KR19990008107U -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107U
KR19990008107U KR2019980022652U KR19980022652U KR19990008107U KR 19990008107 U KR19990008107 U KR 19990008107U KR 2019980022652 U KR2019980022652 U KR 2019980022652U KR 19980022652 U KR19980022652 U KR 19980022652U KR 19990008107 U KR19990008107 U KR 199900081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entral
center
vehicl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0838Y1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19980022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3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38Y1/ko

Links

Abstract

본고안은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4차선이상의 고속도로에서의 운행차량의 중앙선침범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중앙선에 설치하는 도로중앙분리대는 철근콘크리트제로 제작되였으나,차량의 중앙침범에 의한 사고예방차원도 중요하지만,도로중앙분리대의 견고성으로 인하여 중앙선침범사고시 추돌되는 1차충격이 치명적인 경우가 많았고,경미한 접촉의 경우에도 차량이 손상부위가 크다는점이 지적되어 왔었다.한편 위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합성수지제로 성형된 중앙분리대의 모형에 물을 충만시켜 도로중앙분리대로 사용하던 공지의 도로중앙분리대장치 역시 권장할만하나,초기금형설비의 과다로 인해 제품의 원가 구성비가 과대하고,겨울에는 결빙되어 용기가 파손되거나,충만된 물의 결빙의 강도증진으로 철근콘크리트제품보다 더욱 위험스러울수 있었다.이를 위해 부동액을 함께 사용하지만,이역시 제품의 유지비 구성이 크게 차지되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본 고안은 폐타이어분쇄물을 주재로해 도로중앙분리대를 제작함으로서폐자우너의 재활용과 시각유도 식별을 용이하기 위한 야광반사판의 형성 및 중앙분리대에 견고히 설치시키기 위한 저부에 지주철근을 형성하는 등의 장치로 인해 차량중앙선침범사고시 차량에 대한 완충작용,차량의 파손경감,이동설치의 용이 및 유지보수비의 저비용 등의 작용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 인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본고안은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4차선이상의 고속도로에서의 운행차량의 대형중앙선침범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중앙선에 설치하는 도로중앙분리대는 철근콘크리트제로 제작되였으나,차량의 중앙침범에 의한 사고예방차원도 중요하지만,철근콘크리트제로 제작된 도로중앙분리대의 견고성으로 인하여 중앙선침범사고시 상기 중앙분리대에 추돌되는 1차충격이 치명적인 경우가 많았고,경미한 접촉의 경우에도 차량이 손상부위가 크다는점이 지적되어 왔었다.한편 위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합성수지제로 성형된 중앙분리대의 모형에 물을 충만시켜 도로중앙분리대로 사용하던 공지의 도로중앙분리대장치 역시 권장할만하나,초기금형설비의 과다로 인해 제품의 원가 구성비가 과대하고,겨울에는 결빙되어 용기가 파손되거나,충만된 물의 결빙의 강도증진으로 철근콘크리트제품보다 더욱 위험스러울수 있었다.이를 위해 부동액을 함께 사용하지만,이역시 제품의 유지비 구성이 크게 차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점들을 감안해 안출 한것으로서,이를 개량한 고안으로서, 이하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와 본 고안의 일실시 구조 및 작용효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운행중인 차량이 부주의로 도로중앙분리대에 추돌될 경우,가해지는 1차 충격이나 차체에 긁히는 파손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도로중앙분리대의 사용재질의 선택에 있어서,처분이 곤란했던,폐타이어분쇄물을 주재로하며,또한 시각유도 식별을 용이하기 위한 야광반사판의 형성 및 중앙분리대에 견고히 설치시키기 위한 지주철근을 형성하는 등의 장치로 인해 차량중앙선침범의 방지기능과 차량의 완충작용,차량의 파손경감,이동설치의 용이 및 유지보수비의 저비용 등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 인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은 도 2의 A-A선 참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참고 저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야광표지판
3: 지주철근 4: 노란칠부
5: 검정칠부 6: 하부홈
7:도로중앙분리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도로중앙분리대의 일반적인 형상으로 폐타이어분쇄물로 성형압출한 본체(1)를 양상측단에는 야광표지판(2)을 부착하며,본체(1)의 양중간사면과 양하측단에는 45도 각도로 노란칠부(4)와 검정칠부(5)를 도색형성하며,본체(1) 저부 중앙으로는 V홈의 하부홈(6)을 형성하며, 그 양편으로는 2개씩의 지주철근(3)을 돌출 성형하여 된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에 따르면,본체(1)의 구성재질이 폐타이어로 제조됨으로서,야광표지판(2)의 매입 부착되는 야광표지판(2)의 야간식별력에 가시효과가 있으며,이의 부분파손에도 교체보수가 용이하며,또한 지주철근(3)의 매입설치에 있어서도,본체(1)의 저부바닥에 몰드성형할 때 지주철근(3)의 설치직경보다 적게 성형하여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넣게되면 본체 재질이 폐타이어로 제조된 탄력 특성으로 인해,지주철근(3)이 견고하게 돌출설치되는 작용이 있는 것이다.
폐타이어분쇄물로 성형압출한 본체(1)를 양상측단에 야광표지판(2)을 부착부위를 함몰성형하여 접착제로 부착시킴으로서,견고하게 부착되며,또한 파손시에도 용이하게 유지보수시킬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본체(1)의 양중간사면과 양하측단에는 45도 각도로 노란칠부(4)와 검정칠부(5)로 형성한 도색부도 일반 콘크리트 제품의 본체(1)에 비하여 폐타이어재로 제작된 본원 본체(1)에 도색된 내구성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가 있으며,본체(1) 저부 중앙으로는 V홈의 하부홈(6)을 형성한 작용효과로는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본체(1)를 도로중앙분리선(7) 위치에 정확히 시공시킬수 있게 하며,본체(1)를 도로중앙분리(7)선 부위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선 본체(1)양편으로 2개씩 돌출성형된 지주철근(3)을 도로중앙분리선 노면을 150㎜ 정도 타공하여 본체(1)의 바닥에 돌출형성된 지주철근(3)에 의하여 본체(1)는 차량의 추돌에 의하여도 단단히 설치되면서도,추돌에 의한 완충효과가 종래의 철근콘크리트제품이나,합성수지 용기 내부에 물을 충만한 제품에 비하여 우수하며,파손에 의해서도 다시 분쇄해 재생할수 있어 자연,환경친화력도 있는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1)

  1. 폐타이어분쇄물로 성형압출한 본체(1)를 양상측단에는 야광표지판(2)을 부착하며,본체(1)의 양중간사면과 양하측단에는 45도 각도로 노란칠부(4)와 검정칠부(5)를 도색형성하며,본체(1) 저부 중앙으로는 V홈의 하부홈(6)을 형성하며, 그 양편으로는 2개씩의 지주철근(3)을 돌출 성형해 제작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19980022652U 1998-11-16 1998-11-16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270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52U KR200270838Y1 (ko) 1998-11-16 1998-11-16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52U KR200270838Y1 (ko) 1998-11-16 1998-11-16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07U true KR19990008107U (ko) 1999-02-25
KR200270838Y1 KR200270838Y1 (ko) 2002-08-16

Family

ID=6950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652U KR200270838Y1 (ko) 1998-11-16 1998-11-16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67B1 (ko) * 2005-09-29 2006-05-26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20160054836A (ko) * 2014-11-07 2016-05-17 이동규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513B1 (ko) 2019-09-02 2021-07-21 윤희남 단위도로중앙분리대 및 그를 이용한 도로중앙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67B1 (ko) * 2005-09-29 2006-05-26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20160054836A (ko) * 2014-11-07 2016-05-17 이동규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838Y1 (ko) 200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200270838Y1 (ko)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049892B1 (ko) 도로 가드레일용 지주대
KR0166317B1 (ko) 도로용 완충구
KR200180108Y1 (ko) 충격완화용 가드레일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324264Y1 (ko) 합성수지 경계석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191753Y1 (ko) 보.차도 경계용 블록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200313293Y1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326745Y1 (ko) 자동차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20438Y1 (ko) 충격 흡수 탱크를 이용한 가드레일 형 중앙 분리대
KR20021685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293152Y1 (ko) 가드레일장치
KR200389104Y1 (ko) 차량의 충격 방지용 경계석
KR200167934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255632Y1 (ko) 도로안전분리대
KR101766424B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