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836A -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 Google Patents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836A
KR20160054836A KR1020140154355A KR20140154355A KR20160054836A KR 20160054836 A KR20160054836 A KR 20160054836A KR 1020140154355 A KR1020140154355 A KR 1020140154355A KR 20140154355 A KR20140154355 A KR 20140154355A KR 20160054836 A KR20160054836 A KR 2016005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lock
turn
illegal
ventilati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578B1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규 filed Critical 이동규
Priority to KR102014015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5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6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도로 노면(P)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안전 블록(100)을 지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로 노면(P)상에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설정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의 꼭지점부가 상기 기초부(110) 최상단부 일측 꼭지점부와 일치되게 구비되는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및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의 최하단부에 연결되게 이루어지면, 위로볼록한 형상의 라운드를 이루며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돌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따르면,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많은 차량들이 무분별하게 불법으로 U턴을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없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도로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주의환기부분(120a)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배치됨에 따라, 주변의 물체와는 확연하게 구별되어 시야에 들어옴으로써, 도시 내 주요 사거리를 통과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운전자에게 주의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SAFETY BLOCK FOR PREVENTING ILLEGAL U-TURN}
본 발명은 안전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많은 차량들이 무분별하게 불법으로 U턴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없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많은 차량들이 무분별하게 불법으로 U턴을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없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도로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검은색표지부분"과 노랑(혹은, 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주의환기부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배치됨에 따라, 주변의 물체와는 확연하게 구별되어 시야에 들어옴으로써, 도시 내 주요 사거리를 통과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운전자에게 주의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배치되는 것 이외에도, 상기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노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해 있는 상기 운전자에게 "주의환기부분"이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주의환기부분"이 노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경사짐과 동시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형이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이외에도, 상기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의 하단부에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주행방향의 노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단면도를 기준으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전체 폭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노면에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ㆍ연결되는 일련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상호간에 지지하는 자립에 의한 것과 더불어서, 전체적으로 누적되는 질량에 의하여 용이하게 어떠한 충격에 의하여서도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경사짐과 동시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형이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은, 상하방향의 수직축을 포함하는 면을 기준하여, 좌우대칭을 이루며 구성되어,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반대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차량이 불법유턴을 시도할때, 차량의 앞바퀴가 안전블록의 삼각뿔 타입의 빗살부분에 닿는 순간, 미끄러짐 현상 발생하여, 차량을 정위치 유턴 지역으로 유도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삼각뿔 타입의 패턴에 의한 '주의 환기'에 목적이 있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인도와 차도 등으로 구분되며, 통상 상기 인도에는 다수의 포장블록을 규칙적으로 시공하여 포장되고, 차도는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포장되고 있다.
즉, 비포장 도로의 경우 건조한 날에는 많은 분진이 비산되고, 비오는 날에는 곳곳에 웅덩이나 돌부리에 의하여 통행에 어려움을 제공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포장블록이나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을 하여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한 도로의 포장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의 통행도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포장블록이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도로 포장용 블록과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930359호에서는 "외관을 이루는 다각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를 통해 외향 돌출된 걸림고리부로 이루어진 포장블록; 지면에 설치되면서 다수 포장블록 간의 서로 인접되는 모서리 부위를 각각 받쳐주는 편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상기 각 포장블록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에 돌출된 걸림고리부를 동시에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갖는 락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포장블록을 이루는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락 플레이트와 맞닿으면서 평면을 이루는 평면단과, 상기 락 플레이트와는 맞닿지 않으면서 내향 요입된 요입단으로 각각 구분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도로 포장용 블록 어셈블리"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도로용 블록의 시공구조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047930호에서는 "지반(30); 상기 지반(30)에 박힌 고정말뚝(16)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 경계석(14); 상기 지반(30) 상에 모래와 자갈이 도포되어 이루어져 배수기능을 갖는 기반층(20); 상기 기반층(20) 상단에 적층되되, 상기 경계석(14)과 연결핀(12)으로 상호 고정되는 블록(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계석(14)은 복수 개가 연설되되, 서로 이웃한 경계석(14)은 상호 연결핀(12)으로 연결되어 연설된 경계석이 수평을 이루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블록의 시공구조"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불구하고, 도로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주의환기부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배치됨으로써, 특히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 U턴을 하지 않도록 운전자에게 주의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930359호 (2009년11월30일 등록)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047930호 (2011년07월04일 등록)
본 발명은, 도로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검은색표지부분"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주의환기부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배치됨에 따라, 도시 내 주요 사거리를 통과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변의 물체와는 확연하게 구별되어 시야에 들어옴으로써, 특히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 U턴을 하지 않도록, 운전자에게 주의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도로 노면(P)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안전 블록(100)을 지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로 노면(P)상에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설정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측의 꼭지점부가 상기 기초부(110) 최상단부 일측 꼭지점부와 일치되게 구비되는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및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의 최하단부에 연결되게 이루어지면, 위로볼록한 형상의 라운드를 이루며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돌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는, 그 형상이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되, 다수개의 주의환기부분(120a)는 다수개의 검은색표지부분(120b)와 설정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는,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야에는 입체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부(110),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및 하나이상의 돌기부(130)는,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 설치되어, 차량이 불법으로 U턴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부(110)의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110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0b)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ㆍ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따르면,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많은 차량들이 무분별하게 불법으로 U턴을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없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격되게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배치됨에 따라, 도시 내 주요 사거리를 통과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운전자에게 충분히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따르면, 상기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노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해 있는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주의환기부분"이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따르면, 상기 "주의환기부분"의 하단부에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주행방향의 노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단면도를 기준으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전체 폭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노면에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따르면,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ㆍ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어떠한 충격에 의하여서도 용이하게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따르면, 경사짐과 동시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형이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은, 상하방향의 수직축을 포함하는 면을 기준하여, 좌우대칭을 이루며 구성되어,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반대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차량이 불법유턴을 시도할때, 차량의 앞바퀴가 안전블록의 삼각뿔 타입의 빗살부분에 닿는 순간,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을 정위치 유턴 지역으로 유도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삼각뿔 타입의 패턴에 의한 '주의 환기'를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이, 인접하는 안전블록과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이, 사거리에서 중앙차선이 끝나는 지점에 적층되도록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있어서,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반복 설치되고, 전방에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의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반복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이 설치된 사거리에 있어서,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전 블록에 최대한 근접한 상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의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반복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5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도로 노면(P)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안전 블록(100)을 지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로 노면(P)상에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설정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의 꼭지점부가 상기 기초부(110) 최상단부 일측 꼭지점부와 일치되게 구비되는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및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의 최하단부에 연결되게 이루어지면, 위로볼록한 형상의 라운드를 이루며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돌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10)/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그리고 하나이상의 상기 돌기부(130)는, 일체로써 하나의 구조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기초부(110)/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그리고 하나이상의 상기 돌기부(130)는, 콘크리트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로써 제조되는 그 외부의 채색은, 운전자의 눈에 확실하게 띄일 수 있도록 시인성이 우수한 페인트(즉, 도료)이면서, 궂은 날씨에도 견딜 수 있는 도료로써 도색ㆍ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기초부(110), 그리고 하나이상의 상기 돌기부(130)는, 콘크리트로써 제조되고, 반면에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만을 별도로 사출금형에서 몰드(mold)형성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만을 별도로 사출하는 경우에는, 사출시의 색상을 최종적으로 필요로 하는 색상으로써 채색되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이, 인접하는 안전블록과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중앙차선(300) 선상에 중첩되도록 설치되고, 기초부(110)의 경사진 양측벽면에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와 검은색표지부분(120b)이 각각 배치되어, 맞은편 차선을 지나가는 운전자에게도 눈에 띌 수 있게 실치되되,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주의환기부분(120a)은 질정한 간격을 이루며 교대로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는 달리,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는 노랑색 또는 형광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의 대비에 의한 효과로서, 운전자의 시야에 곧 바로 띄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는 상기 기초부(110)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ㆍ구비되는 마감부(14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때 별도로 상기 마감부(14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색상은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 또는 노랑색/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과는 색상에 있어서 차별하여 도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주의환기부분(120a)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배치되는 것 이외에도,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주의환기부분(120a)이 노면(P)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해 있는 상기 운전자에게 주의환기부분(120a)이 입체적으로 보여지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110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0b)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ㆍ연결되는 일련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어떠한 충격에 의하여서도 용이하게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이, 사거리에서 중앙차선이 끝나는 지점에 적층되도록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중앙차선(300) 선상에 중첩되도록 설치되기도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차선(300) 선상에 연직방향으로 노면(P)상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일련의 중앙차선표지봉(200)이 끝나는 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주변의 물체와는 확연하게 구별되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옴으로써, 도시 내 주요 사거리를 통과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운전자에게 주의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때 연속하여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중앙차선표지봉(200)은,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와는 달리 주황색상의 밝은 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에 있어서, 검은색표지부분과 주의환기부분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반복 설치되고, 전방에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110)의 경사진 일측면에만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를 구ㅡ비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주의환기부분(120a)의 주행측 도로를 향하는 전방으로 돌기부(1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110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0b)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이 설치된 사거리에 있어서,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전 블록에 최대한 근접한 상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따르면, 차량(C)이 불법유턴을 시도할 때, 차량(C)의 앞바퀴(T)가 안전블록의 삼각뿔 타입의 빗살부분에 닿는 순간,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C)을 정위치 유턴 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따르면,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서 많은 차량들이 무분별하게 불법으로 U턴을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없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도로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주의환기부분(120a)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배치됨에 따라, 주변의 물체와는 확연하게 구별되어 시야에 들어옴으로써, 도시 내 주요 사거리를 통과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운전자에게 주의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따르면,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노랑(형광)색으로 표시되는 주의환기부분(120a)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배치되는 것 이외에도, 상기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주의환기부분(120a)이 노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해 있는 상기 운전자에게 주의환기부분(120a)이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따르면, 주의환기부분(120a)이 노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경사짐과 동시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형이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이외에도,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의 하단부에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30)가 주행방향의 노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단면도를 기준으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전체 폭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노면에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110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0b)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ㆍ연결되는 일련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은, 상호간에 지지하는 자립에 의한 것과 더불어서, 전체적으로 누적되는 질량에 의하여 어떠한 충격에 의하여서도 용이하게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 따르면, 경사짐과 동시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형이 대략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검은색표지부분(120b)과 주의환기부분(120a)은, 상하방향의 수직축을 포함하는 면을 기준하여, 좌우대칭을 이루며 구성되어, 주요 사거리에서 불법으로 U턴하지 못하도록 반대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은, 차량(C)이 불법유턴을 시도할 때, 차량(C)의 앞바퀴(T)가 안전블록의 삼각뿔 타입의 빗살부분에 닿는 순간,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C)을 정위치 유턴 지역으로 유도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은, 운전자로 하여금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삼각뿔 타입의 패턴에 의한 '주의 환기'를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110 : 기초부
110a : 제1 결합돌기
110b : 제2 결합돌기
120a : 주의환기부분
120b : 검은색표지부분
130 : 돌기부
140 : 마감부
200 : 중앙차선표지봉
300 : 중앙차선
C : 차량
P : 노면
T : 타이어

Claims (5)

  1. 도로 노면(P)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안전 블록(100)을 지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로 노면(P)상에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설정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측의 꼭지점부가 상기 기초부(110) 최상단부 일측 꼭지점부와 일치되게 구비되는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및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의 최하단부에 연결되게 이루어지면, 위로볼록한 형상의 라운드를 이루며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돌기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는, 그 형상이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되, 다수개의 주의환기부분(120a)는 다수개의 검은색표지부분(120b)와 설정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는,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야에는 입체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10), 주의환기부분(120a)/검은색표지부분(120b) 및 하나이상의 돌기부(130)는, 도시 내 주요 사거리에 설치되어, 차량이 불법으로 U턴 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10)의 일측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또 다른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100)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110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0b)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방식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ㆍ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KR1020140154355A 2014-11-07 2014-11-07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KR101669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55A KR101669578B1 (ko) 2014-11-07 2014-11-07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55A KR101669578B1 (ko) 2014-11-07 2014-11-07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836A true KR20160054836A (ko) 2016-05-17
KR101669578B1 KR101669578B1 (ko) 2016-11-09

Family

ID=5610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355A KR101669578B1 (ko) 2014-11-07 2014-11-07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07U (ko) * 1998-11-16 1999-02-25 김동수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242749Y1 (ko) * 2001-02-03 2001-09-26 김정우 중앙분리대의 안전커버구조
KR200391883Y1 (ko) * 2005-05-23 2005-08-09 안재영 차선규제블록
KR200428444Y1 (ko) * 2006-07-18 2006-10-11 경북산업 주식회사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07U (ko) * 1998-11-16 1999-02-25 김동수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242749Y1 (ko) * 2001-02-03 2001-09-26 김정우 중앙분리대의 안전커버구조
KR200391883Y1 (ko) * 2005-05-23 2005-08-09 안재영 차선규제블록
KR200428444Y1 (ko) * 2006-07-18 2006-10-11 경북산업 주식회사 중앙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578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02632A (ja) 立体図形状の道路標示
KR102208572B1 (ko) Led를 이용한 보조 교통 신호등
CN106758920A (zh) 一种智能斑马线
KR101669578B1 (ko) 불법 u턴 방지를 위한 안전 블록
JP6971683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
GB2165873A (en) Reflective road markers
US2033028A (en) Pavement curb
JP4107507B2 (ja) 側溝付き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用側溝製品
KR200452265Y1 (ko) 화강석을 이용한 스쿨존
KR100662543B1 (ko) 버스전용차로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KR200255629Y1 (ko) 바닥 표지판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2621254B1 (ko) 경계석 보호 및 장소 식별용 완충 커버
KR100675512B1 (ko)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KR200267358Y1 (ko) 표시구 부설된 맨홀덮개
US7967525B2 (en) Concrete element with high-visibility refracting and reflecting surface
KR101036492B1 (ko) 색상물질이 칠해진 자연석 블록스톤
JP3158292U (ja) 自転車歩行者道又は自転車歩行者専用道路用境界ブロック
KR200267359Y1 (ko) 표시구 부설된 맨홀덮개
KR200271994Y1 (ko) 입체식 돌출차선 표시구
EP0773325A1 (en) Manufactured article for marking areas adjacent to roadways for vehicles, particularly in the dark
CN114960319A (zh) 一种用于城市道路交叉口的盲道
KR200274541Y1 (ko) 차도의 노면 표지판
KR101172440B1 (ko) 비노출식 도로라인 시선유도 반사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