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541Y1 - 차도의 노면 표지판 - Google Patents

차도의 노면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541Y1
KR200274541Y1 KR2020020005460U KR20020005460U KR200274541Y1 KR 200274541 Y1 KR200274541 Y1 KR 200274541Y1 KR 2020020005460 U KR2020020005460 U KR 2020020005460U KR 20020005460 U KR20020005460 U KR 20020005460U KR 200274541 Y1 KR200274541 Y1 KR 200274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road sign
road
glass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길
Original Assignee
유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길 filed Critical 유병길
Priority to KR2020020005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541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포장도로의 횡단보도 또는 차선을 표시하는 차도의 노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써, 도로에 매설되어 횡단보도 또는 차선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고안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정길이의 사각체 형상의 몸체를 제작하되,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측면판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와 측면판의 외측에는 결합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노면 표지판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노면 표지판은 횡단보도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편 몸체의 상면은 흰색을 띄도록 하여 횡단보도를 표시해 주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에 유리알을 혼합하여 유리알에서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도의 노면 표지판{a marking plate road surface a roadway}
본고안은 포장도로의 횡단보도 또는 차선을 표시하는 차도의 노면 표지판에관한 것으로써, 도로에 매설되어 횡단보도 또는 차선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로의 횡단보도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1)를 예로들을 경우 교차로(1)의 진입 도로(2)마다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횡단보도(5)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횡단보도(5)는 흰색의 도료를 사용하여 횡단보도 표시선(6)을 도색하게 된다.
상기된 횡단보도 표시선(6)은 도로(2)의 포장작업이 완료된 후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하게 되나, 상기 횡단보도 표시선(6)을 도색하기 위한 도료는 도로(2)위에 도포되면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 의해 닳아서 지워지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재 도색을 하지 않으면 횡단보도 표시선(6)이 표시나지 않아 차량이 횡단보도(5)를 지나쳐서 정지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 표시선(6)은 흰색 도료로 도색되지만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이 빈번해져 닳거나 더러워지게 되고, 그러면 횡단보도(5)가 잘 보이지 않아 운전자나 보행자가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횡단보도 표시선(6)은 자동차의 타이어에 의해 쉽게 마모되므로 주기적으로 재 도색해 주어야 하나, 횡단보도 표시선(6)의 도색작업에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 표시선(6)이외에 차선(7)도 주기적으로 도색해 주어야 차선(7)이 선명하게 보여 자동차가 통행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상기 차선(7)도 도료를 사용하는 관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 도색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본고안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횡단보도 표시선 또는 차선을 도료로 도색하지 않고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제작한 노면 표지판을 도로에 설치하여 자동차나 보행자의 통행에 의해서 쉽게 닳지 않도록 하는 한편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횡단보도를 선명하게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고안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정길이의 사각체 형상의 몸체를 제작하되,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측면판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와 측면판의 외측에는 결합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노면 표지판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노면 표지판은 횡단보도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편 몸체의 상면은 흰색을 띄도록 하여 횡단보도를 표시해 주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에 유리알을 혼합하여 유리알에서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도로의 교차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본고안의 실시예를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3 은 본고안의 시공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고안의 시공 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 는 본고안의 시공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차로 2 : 도로 3 : 아스팔트
5 : 횡단보도 7 : 차선 10 : 노면 표지판
11 : 몸체 12 : 측면판 13,14 : 결합돌기
15 : 유리알 16 : 돌기
본고안은 합성수지나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또는 이와 유사한 물성의 재질로 제작한 노면 표지판(10)을 횡단보도(5)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되, 상기 노면 표지판(10)은 도로(2)의 아스팔트(3)에 박혀 몸체(11)의 상면이 도로(2)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노면 표지판(10)은 일정넓이와 길이를 갖는 사각형상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에 연하여 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판(12)과, 상기 몸체(11)의 하부와 측면판(12)의 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13)(14)와, 상기 몸체(11)의 상면에 노출되는 유리알(15)을 구비하므로써 구성된다.
상기 몸체(11)와 측면판(12)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측면판(12)을 몸체(11)에 경사지게 형성하는 한편 경사면이 각지지 않도록 라운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11)는 합성수지로 성형할 때 유리알(15)을 혼합하여 성형시킴으로써 유리알(15)이 몸체(11)의 표면쪽으로 노출되게 하는 한편 몸체(11)는 흰색을 띄도록 안료를 혼합하여 성형시킴으로써 흰색을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유리알(15)은 폐유리 또는 사기조각등을 분쇄하여 사용하게 되며, 유리알(15)에서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몸체(11)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1)의 표면에 수 개의 돌기(16)를 형성시킬 경우 몸체(11)에서 뿐만 아니라 돌기(16)에서도 빛의 반사가 이루어져 식별력이 높아지게 된다.
본고안의 노면 표지판(10)은 그 형상이 도로(2)의 사정이나 설치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본고안의 노면 표지판(10)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노면 표지판(10)의 형상에 맞춘 금형에 합성수지를 부어 제작하거나 FRP를 수차례 도포하여 형상을 제작하되, 상기 합성수지 또는 FRP에는 흰색의 도료를 첨가하여 흰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한편 분쇄된 유리알(15)을 혼합하여 유리알(15)이 표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리알(15)을 합성수지 또는 FRP에 도포하여 노면 표지판(10)을 성형시키지 않고, 합성수지 또는 FRP만으로 노면 표지판(10)을 성형시킨 후 몸체(11)의 표면에 강력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켜도 무방하나 수명을 고려하면 합성수지 또는 FRP에 혼합하여 일체로 성형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노면 표지판(10)은 흰색의 도료를 혼합하여 흰색을 띄도록 하고, 몸체(11)에 일체로 성형되는 측면판(12)은 경사지게 성형되도록 하며, 몸체(11)의하부와 측면판(12)의 외측에는 아스팔트(3)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결합돌기(13)(14)를 성형시키도록 한다.
몸체(11)의 표면에는 돌기(16)를 형성시키는 것이 빛의 난반사에 유리하다.
이러한 본고안의 노면 표지판(10)을 도로(2)의 횡단보도(5) 위치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로(2)를 포장하거나 덧씌우기를 할 경우 아스팔트(3)를 깔게 되나, 상기 아스팔트(3)는 초기에 열이 가해져 있어 경화되려면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뜨거운 아스팔트(3)를 깔은 후 롤러차로 마무리하여 고형화 시키기 전에 횡단보도(5)위치에 노면 표지판(10)을 일정 간격에 맞추어 배열한 후 몸체(11)의 상부를 발로 밟게 되면 노면 표지판(10)은 어느 정도 아스팔트(3)를 파고 들어가며 아스팔트(3)에 박히게 된다.
노면 표지판(10)이 아스팔트(3)에 약간 박힌 상태에서 롤러차를 이용하여 아스팔트(3)와 함께 노면 표지판(10)을 압착하게 되면, 상기 노면 표지판(10)은 아스팔트(3)에 완전히 박히게 되고, 이때 몸체(11)의 표면과 아스팔트(3)의 표면은 일치한 상태가 된다.
노면 표지판(10)이 아스팔트(3)에 박힐 때 결합돌기(13)(14)도 아스팔트(3)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아스팔트(3)는 뜨거운 상태로 도로(2)에 깔린 상태에서 노면 표지판(10)이 박히게 되므로써 노면 표지판(10)의 주변이 압착되게 되므로 아스팔트(3)사이에 결합돌기(13)(14)나 노면 표지판(10)이 단단히 박혀지게 된다.
이상태로 아스팔트(3)가 경화되면 노면 표지판(10)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는 한 아스팔트(3)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노면 표지판(10)의 몸체(11)상부는 아스팔트(3)와 같은 높이를 갖게 되고, 몸체(11)의 표면에서 유리알(15)이 노출되게 되므로 빛이 몸체(11)의 흰색과 유리알(15)에서 반사되어 횡단보도(5)의 위치를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노면 표지판(10)은 몸체(11)가 완전히 닳기 전에는 흰색의 표시가 가능하므로 기존의 흰색도료를 사용하여 횡단보도(5)를 표시해주는 경우보다 수명이 길게 되어 재 도색 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해도 횡단보도(5)가 선명히 표시되어 사고발생의 우려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노면 표지판(10)은 도로(2)에서 횡단보도(5)만 표시하지 않고 차선(7)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차선(7)이 안 보이는 경우를 없애주고 주기적으로 재 도색할 필요를 없애줄 수 있는 것이다.
즉, 도로(2)를 아스팔트(3)로 포장할 때 노면 표지판(10)을 설치하여 횡단보도(5) 또는 차선(7)을 표시해주면 다시 덧씌우기를 할 때까지 횡단보도(5) 또는 차선(7)의 표시에 문제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안은 도로의 횡단보도나 차선을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하지 않고 합성수지 또는 FRP를 이용한 노면 표지판을 도로의 아스팔트에 심어 고정시킴으로써 횡단보도 또는 차선을 표시하도록 한 것으로, 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재 도색이 필요치 않아 재 도색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 또는 차선의 시인성이 뛰어나 사고발생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흰색의 도료가 혼합된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을 이용하여 일정길이의 사각체 형상의 몸체(11)를 제작하되, 상기 몸체(11)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측면판(12)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1)의 하부와 측면판(12)의 외측에는 결합돌기(13)(14)를 형성하며, 몸체(11)에는 유리알(15)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의 노면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의 상부에는 돌기(16)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의 노면 표지판.
KR2020020005460U 2002-02-23 2002-02-23 차도의 노면 표지판 KR200274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60U KR200274541Y1 (ko) 2002-02-23 2002-02-23 차도의 노면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60U KR200274541Y1 (ko) 2002-02-23 2002-02-23 차도의 노면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541Y1 true KR200274541Y1 (ko) 2002-05-04

Family

ID=7307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60U KR200274541Y1 (ko) 2002-02-23 2002-02-23 차도의 노면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5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9295A1 (en)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with improve performance in wet night conditions
US20100055374A1 (en) Retroflective pavement markers for wet weather
AU2010257461A1 (en) System and Method of Pavement Advertising
KR200274541Y1 (ko) 차도의 노면 표지판
AU619526B2 (en) Traffic direction pavement markers
KR200311382Y1 (ko) 노면 표지판
JP3020579U (ja) 路面敷設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横断歩道路面構成体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JPH09158136A (ja) 車止め用の縁堰
KR20070114068A (ko) 경계석 부착용 미끄럼방지 표지판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253593B1 (ko) 경계석
RU2781786C1 (ru) Дорожный бордюр
KR200238702Y1 (ko) 노면표시용 반사표시구를 부착한 블록
KR20020013633A (ko) 형상화된 도로 차선
KR101607276B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도로용 경계석
KR200252633Y1 (ko)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야광 유도 경계블럭
KR20020039588A (ko) 도로표시 및 지시 표지판
US7967525B2 (en) Concrete element with high-visibility refracting and reflecting surface
TW202338184A (zh) 具警示/標示功能之道路設施及其製造方法與製造設備
JP3146281B2 (ja) 道路の通行区画体
JPH03241107A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
JP2006316572A (ja) 小型標識物
KR200295930Y1 (ko) 블럭결합형 과속방지턱
KR20110065250A (ko) 도로 노면 표지용 구조체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