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941Y1 -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 Google Patents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941Y1
KR200245941Y1 KR2020010014209U KR20010014209U KR200245941Y1 KR 200245941 Y1 KR200245941 Y1 KR 200245941Y1 KR 2020010014209 U KR2020010014209 U KR 2020010014209U KR 20010014209 U KR20010014209 U KR 20010014209U KR 200245941 Y1 KR200245941 Y1 KR 200245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rosswalk
roadway
preventing member
pedestrian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수
이규철
Original Assignee
김해수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수, 이규철 filed Critical 김해수
Priority to KR2020010014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94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위주의 편중되고 독점된 도로사용 여건하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횡단보도 양쪽에서 차량의 저속운행을 유도함으로서 횡단보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횡단보도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일정한 폭과 높이로 사출성형되고 상단은 횡단보도가 표시된 일정폭의 평면을 이루어 차도에 연결설치되는 다수개의 과속방지부재와, 과속방지부재 상부 평면에 형성되는 횡단보도표시, 차도상에 조립설치되는 과속방지부재의 끝단과 보도를 연결하는 연결판 및, 과속방지부재를 차도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Crosswalk with safe-block}
본 고안은 차량 주행 차도의 횡단보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횡단보도 구간에서 차량의 과속을 줄일 수 있도록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진행하는 차도에는 보행자가 건너편의 보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 구간이 지정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게 된다.
즉, 횡단보도란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안전표지로써 표시한 도로의 일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육교나 지하도와는 달리 보행약자를 포함한 모든 보행자가 편안하게 길을 건널 수 있게 해주는 횡단시설이다.
또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횡단보도에는 횡단보도표시와 함께 횡단보도표지판을 설치해야 하고, 횡단보행자용 신호기 등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 녹색신호시 차량들은 미리 서행운전하여 정지선에 대기함으로서, 횡단보도를 통해 보행자는 차도를 횡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행자 녹색신호시라 할지라도 일부 차량의 과속이나 무질서한 운행환경에 의해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행자는 횡단보도 표시 안쪽까지 진입하여 정지하고 있는 차량 사이를 불편하게 통과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이 현재 도로용량을 넘을 만큼 자동차의 수와 통행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자동차 전용도로나 간선도로는 물론이거니와 일반가로, 이면도로, 심지어는 주택가 골목길과 단지내 도로까지 보행자보다는 차량 위주로 사용되게 됨에 따라, 횡단보도로 차량이 무질서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규정속도 이상의 과속이 상습적으로 이루어지는 도로나, 학교 주변과 같은 곳에서는 차량의 감속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안전한 횡단을 보장할 수 있는 횡단보도의 개발이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첫째, 차량 위주의 편중되고 독점된 도로사용 여건하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횡단보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횡단보도 양쪽에서 차량의 저속운행을 유도함으로서 횡단보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횡단보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별도의 공사없이 보도와 횡단보도와의 높이차를 없앰으로서 횡단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횡단보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이동 설치식 구조로 되어 언제 어디서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횡단보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도로상에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과속방지부재 20 : 횡단보도
30 : 연결판 40 : 앵커보울트
41 : 너트
이에 본 고안은 첫째,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횡단보도의 양 측단에 과속방지용 턱이 부설된 횡단보도를 제공한다.
셋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과속방지턱을 폭방향으로 연장하고 평탄한 상면에 횡단보도를 표시함으로서 달성된다.
넷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윗면에 횡단보도표시가 형성된 과속방지턱을 일정한 규격으로 사출성형하고, 각 과속방지턱을 차도상에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한 폭과 높이로 사출성형되고 상단은 일정폭의 평면을 이루어 차도에 연결설치되는 다수개의 과속방지부재와, 과속방지부재 상부 평면에 형성되는 횡단보도표시, 차도상에 조립설치되는 과속방지부재의 끝단과 보도를 연결하는 연결판 및, 과속방지부재를 차도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은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과속방지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차도의 아스팔트에 형성된 체결홀에 볼트체결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도로상에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과속방지부재(10)는 일정한 크기로 사출성형되어 차도(100) 상에 놓여지도록 된 것으로, 윗면이 평면을 이루는 중앙부와, 중앙부 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면을 향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측면부로 이루어진다.
각 측면부의 모서리 쪽에는 수평면으로 단턱이 형성되며 단턱에는 보울트가 꽂아질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중앙부에는 횡단보도(20)표시가 그려지게 되는 데, 통상 차도(100)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반사성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될 수 있다. 횡단보도가 표시된 각 과속방지부재(10)를 연결하게 되면 차도(100)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전체적인 횡단보도(20)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각 과속방지부재간에 상호 밀착 연결되는 양 측면에는 돌기(도시되지 않음)와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일측 과속방지부재에 형성된 홈에 다른 과속방지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끼움으로서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속방지부재(10)는 차도(100)에서보도(150)까지의 높이와 일치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행자는 횡단보도(20)를 건너기 위해 보도(150)를 내려갈 필요없이 같은 높이상에 있는 횡단보도(20)를 지나갈 수 있는 것이다.
과속방지부재(10)는 차도나 횡단보도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조정하여 제작 가능하다.
상기 연결판(30)은 보도(150)의 턱과 횡단보도(20)의 끝단에 설치되는 과속방지부재(10)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보도(150)와 같은 높이를 이루며, 저면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다리(31)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은 일반 판재와 동일하게 막혀있는 구조로 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빗물 등이 내려갈 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판(30) 설치를 위해 끝단의 과속방지부재(10)는 중앙부에 연결판이 놓여지는 단턱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연결판과 단턱에는 홀이 형성되어 보울트(33)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판(30)을 설치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보도(150)턱과 차도(100)의 연결부는 물이 흘러내려가는 배수로(200) 역할을 하게 되는 데, 배수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본 고안의 과속방지부재(10)는 배수로 전까지 시공되며, 과속방지부재(10)와 보도턱과는 상기와 같이 연결판(3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판(30) 밑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결판은 스틸과 같은 강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도가 없는 차도 상에 과속방지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과속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횡단보도의 양 끝단에는 연결판 대신 마무리를 위한 마무리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마무리부재는 과속방지부재에 밀착되는 면 이외의 삼면이 차도를 향해 만곡형성된 부재로 과속방지부재와 차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과속방지부재(10)는 플라스틱류나 스틸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폐타이어를 고무분말로 만들어 스틸 성분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압축성형하여 제조하거나, 시멘트 등의 부원료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어떻게 제조되더라도 본 고안의 횡단보도는 과속방지턱을 겸하게 되므로 차량과의 접촉시 최소한의 물리적인 강성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여기서 과속방지부재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과속방지부재는 보울트에 의해 차도상에 고정설치되는 데, 설치하고자 하는 차도(100) 상에 과속방지부재의 체결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홀을 가공하여 앵커보울트(40)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미리 사출성현된 과속방지부재(10)를 설치위치에 안착시키게 되면 차도(100) 위로 돌출 시공된 앵커보울트(40) 선단이 과속방지부재(10)의 각 체결홀에 끼워진 체 단턱 위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보울트에 와셔를 끼운 다음 너트(41)로 조여줌으로서, 과속방지부재(10)의 시공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다.
하나의 과속방지부재(10)가 설치되면 과속방지부재 측면에 연속적으로 다음 과속방지부재를 밀착시켜 설치작업을 함으로서 차도(100)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횡단보도(2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에 의하면, 횡단보도 기능 외에 과속방지턱의 기능을 겸함으로서 차량의 과속을 제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횡단보도에서 차량이 과속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리 제작된 제품을 차도상에 설치함으로서 시공 및 해체시간이 신속하고, 시공시 소요되는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과속방지턱 설치 또는 횡단보도 표시작업시 교통혼잡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행자가 넘어지더라도 부상당할 위험이 적으며, 차량 하부와의 마찰시 차량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한 차도 횡단으로 인해 장애인과 노약자와 같은 보행약자들에게는 힘겹고 불가능했던 보행이 가능해져, 보행이 장려되고 활성화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고, 자전거를 비롯한 바퀴 이용이 촉진되어 근거리 자동차 이용을 줄이는 부가적인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도의 폭방향으로 표시된 횡단보도가 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차도에 형성된 횡단보도의 높이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이며, 차량의 운행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는 도로를 형성하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와는 별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는 일정한 폭과 높이로 사출성형되고 상단은 횡단보도가 표시된 일정폭의 평면을 이루어 차도에 설치되는 과속방지부재와, 차도상에 조립설치되는 과속방지부재의 끝단과 보도를 연결하는 연결판 및, 과속방지부재를 차도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부재는 횡단보도 표시면이 보도와 일치하는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부재의 일측 연결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상호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과속방지부재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차도의 아스팔트에 앵커볼트를 시공하여 체결홀을 통해 너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보도의 턱과 횡단보도를 형성하는 과속방지부재 종단 사이에 연결설치되고, 저면에는 다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격자형태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9. 횡단보도의 양 측단에 과속방지용 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2020010014209U 2001-05-15 2001-05-15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200245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209U KR200245941Y1 (ko) 2001-05-15 2001-05-15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209U KR200245941Y1 (ko) 2001-05-15 2001-05-15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941Y1 true KR200245941Y1 (ko) 2001-10-29

Family

ID=7306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209U KR200245941Y1 (ko) 2001-05-15 2001-05-15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9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33B1 (ko) * 2008-06-09 2011-08-12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KR101071375B1 (ko) * 2008-04-25 2011-10-07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시설물용 플레이트
KR101532554B1 (ko) * 2015-03-18 2015-07-03 박재성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
KR102401739B1 (ko) * 2021-10-27 2022-05-26 (주)에스티씨 과속방지턱 겸용 조립식 횡단보도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375B1 (ko) * 2008-04-25 2011-10-07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시설물용 플레이트
KR101056633B1 (ko) * 2008-06-09 2011-08-12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KR101532554B1 (ko) * 2015-03-18 2015-07-03 박재성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
KR102401739B1 (ko) * 2021-10-27 2022-05-26 (주)에스티씨 과속방지턱 겸용 조립식 횡단보도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499A (en) Traffic lane delineator
US7819605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US8439596B1 (en) Textured til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US5302047A (en) Pedestrian safety barrier
KR100554567B1 (ko) 건축단지의 과속방지턱
KR101011729B1 (ko) 바이브레이터 및 가이드라인이 부착된 조립식 과속방지턱및 그 설치 방법.
KR100820732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JPH09158136A (ja) 車止め用の縁堰
US20230018669A1 (en) Expediently Installable Traffic Calming System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KR100945590B1 (ko) 자전거 도로와 보차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경계석 및 이 시공 방법
KR200403786Y1 (ko) 폐고무를 이용한 트랜치 커버.
KR20190002700U (ko) 차선표지병
KR100435780B1 (ko) 도로용 시각장애인 유도 블록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KR101109128B1 (ko) 보강설치 구성을 갖는 가설 인도교
RU2781786C1 (ru) Дорожный бордюр
KR102206774B1 (ko) 매설형 신호등이 구비된 험프형 횡단보도
KR200229384Y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200274541Y1 (ko) 차도의 노면 표지판
KR200227584Y1 (ko) 횡단보도용 블록
KR200152834Y1 (ko) 조립식 과속 방지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