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633B1 -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633B1
KR101056633B1 KR1020080053523A KR20080053523A KR101056633B1 KR 101056633 B1 KR101056633 B1 KR 101056633B1 KR 1020080053523 A KR1020080053523 A KR 1020080053523A KR 20080053523 A KR20080053523 A KR 20080053523A KR 101056633 B1 KR101056633 B1 KR 10105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ing
crosswalk
plat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506A (ko
Inventor
박춘길
김병수
Original Assignee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트업테크놀러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6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야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히팅부가 장착되는 플레이트와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절기에 눈이나 결빙으로 인한 위험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고, 특히 횡단보도나 계단에 설치하여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횡단보도, 플레이트, 히팅부, 전열선, 전열필름

Description

야외설치용 플레이트{OPEN AIR INSTALLATION PLATE}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야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도로표지 또는 도로표시에 의하여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하기 위해 마련된 부분임을 표시한 곳이다. 그러므로 횡단보도는 차량 등의 교통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보행자는 차도를 횡단할 때에는 반드시 횡단보도를 이용하여야 하고, 차량운전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때에 일시 정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횡단보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횡단보도 시스템의 구성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횡단하여 사람들이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 여부를 적, 녹색등으로 표시하는 보행신호등(10)과 차량의 흐름을 조정하는 차량신호등(20), 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등 컨트롤러(30) 및 도로에 흰색 페인트로 그려진 횡단보도(40)가 있다. 또한 횡단보도(40) 주변에는 차량을 위한 중앙선(50)과 차량이 일단 정지하도록 기준이 되는 정지선(60)이 있다.
상기와 같은 횡단보도는 도로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보행자와 차량운전자 모두에게 더욱더 위험한 영역이다. 특히, 눈이 많이 오거나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동절기에는 횡단보도의 노면에 쌓이는 눈으로 인하여 횡단보도가 자주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만큼 위험성도 커지게 된다. 즉, 동절기에 눈이나 비 등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아지면서 횡단보도가 결빙되어 보행자가 횡단을 하다 미끄러져서 다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또는 보행자가 보행신호 동안 결빙된 횡단보도를 주의하여 조심스럽게 횡단하는데, 특히 휠체어 및 자전거를 탄 사람이나 노약자, 장애인 및 어린이 같이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노면의 결빙 등으로 인하여 보행신호 동안 횡단보도를 횡단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여 사고위험에 노출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 통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결빙대책으로 모래, 염화칼슘을 살포하여 결빙상태를 해빙시켜 쌓여 있는 눈을 녹이거나 차량을 이용한 제설작업을 하는 등의 방법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다량의 눈이 계속 내리게 되면, 제설을 하더라도 노면에 소량의 눈이 남게 되어 금방 다시 얼어버리는 등 신속한 제거가 어렵고, 일시적으로 제빙이 되더라도 다시 결빙되어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염화칼슘을 이용하여 결빙되어 있는 노면을 해빙시킬 경우에는 염화칼슘이 녹으면서 하수도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어서 차체를 부식시키는 등 자동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모래를 노면에 살포할 경우에는 살포된 모래로 인해 노면이 지저분하게 되고, 모래가 하수도로 유입되어 하수도가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횡단보도의 결빙을 방지하고자 등록특허 10-0763419호(발명의 명칭 :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능성 횡단보도)에 전기전열선이 배치된 횡단보도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노면의 결빙과 해빙이 계절 및 기온 변화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열응력 때문에 횡단보도가 균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균열로 인하여 파손된 횡단보도의 부분을 수리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소비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시설물로, 특히 상기 시설물을 횡단보도나 계단에 설치하여 동절기에 눈이나 결빙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외시설물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가열하는 히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설치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야외시설물은 도로 또는 계단 또는 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설치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는 노면과 접촉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 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는 하판과 상판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설치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부는 전열선을 이용하고, 상기 하판의 일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열선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설치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전열필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설치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절기에 눈이나 결빙으로 인한 위험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고, 특히 횡단보도나 계단에 설치하여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 단위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 단위체(100)는 제1플레이트(110), 제2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플레이트(110)는 제1플레이트부(112)와 제1히팅부로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부(112)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1상판(112a)과 제1하판(11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하판(112b) 위에 제1상판(112a)을 올려 조립한 형태이다.
제1상판(112a)과 제1하판(112b)은 평면으로 된 직육면체의 형태이고, 제1하 판(112b)의 일면에 홈이 형성된다.
제1히팅부는 열을 발산하는 장치로서 제1플레이트부(112)의 내측에 위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열선(114)이 사용된 제1히팅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전열선(114)은 제1하판(112b)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데, 제1하판(112b)에 형성된 홈에 제1전열선(116)이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제1플레이트(110)가 하중에 의해 눌려도 제1전열선(114)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제1전열선(114)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즉, 제1플레이트(110)는 제1상판(112a)과 제1하판(112b)으로 이루어진 제1플레이트부(112)의 내측에 제1전열선(114)이 구비되고, 제1하판(112b)의 홈에 제1전열선(114)이 삽입되며, 이 위에 제1상판(112a)이 올려진 형태이다. 여기서 제1전열선(114)은 제1플레이트(110)의 내측에서 발열을 하게 되고, 그 열이 제1플레이트(110)를 가열하여 제1플레이트(110)가 외부로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플레이트(120)는 제2플레이트부(122)와 제2히팅부로 이루어지고, 제2플레이트부(122)는 제2상판(122a)과 제2하판(12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전열선(124)이 사용된 제2히팅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제2플레이트부(122)와 제2하판(122b)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가 진 형태이다. 그리고 제2전열선(124)은 제2하판(122b)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제2하판(122b)의 홈에 삽입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2전열선(114, 124)이 제1, 2상판(112a, 122a)과 제1, 2하판(112b, 122b) 사이에 접촉되어 위치함에 따라 제1, 2전열선(114, 124)에서 발산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제1, 2플레이트(110, 12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1, 2플레이트(110, 120)는 제1, 2전열선(114, 124)이 발산하는 열의 온도와 최대한 가까운 온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2상판(112a, 122a)과 제1, 2하판(114b, 124b) 사이에 추가로 다수의 판을 쌓아 조립하여서 제1, 2플레이트(110, 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2전열선(114, 124)의 끝단 일부에 제1, 2소켓박스(116, 126)가 구비되어 제1, 2소켓박스(116, 126)는 제1, 2전열선(114, 124)과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게 하여 전류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 단위체가 횡단보도에 설치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과 제2플레이트(120)의 일면이 밀착되어 조립됨으로써 플레이트 단위체(100)를 이루고, 다수의 플레이트 단위체(100)는 나란히 결합되어서 하나의 플레이트 조립체(200)를 형성하며, 플레이트 조립체(200)는 도로의 노면에 안착되어 횡단보도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횡단보도에 전열선(114, 124)이 구비된 플레이트 조립체(200)를 설치함에 따라서 종래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횡단보도에 전열선을 장착하는데 시간, 작업공정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횡 단보도에 전열선을 장착하는 시공을 한 후 계속된 차량의 통행 등으로 생기는 부분적인 파손을 수리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랐지만, 플레이트 조립체(200)는 파손된 플레이트 단위체(100)만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횡단보도 설치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제1, 2하판(112b, 122b)에 형성된 홈에 제1, 2전열선(114, 124)이 삽입됨에 따라서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중으로 제1, 2플레이트(110, 120)가 눌려 제1, 2전열선(114, 124)이 단선되는 등 외부로부터 야기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조립체(200)는 횡단보도의 노면에 안착되는데, 이때 플레이트 조립체(200)는 횡단보도와 인도의 경계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보행자가 다니는 인도와 같은 높이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휠체어나 어린이, 장애인과 같이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면서 인도턱에 넘어질 위험이 감소하게 되어 안전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조립체(200)는 인도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차도와 높이차가 생김으로 인해서 과속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차도와 횡단보도를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도하고, 횡단보도 앞에서 차량의 운행속도를 저감시켜 과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다음은 횡단보도에 안착되어 동작되는 플레이트 조립체(200)로 인한 이점에 관하여 살펴본다.
횡단보도는 다른 도로영역보다 보행자에게 위험한 영역으로 주로 겨울철에 눈이나 비가 내리고 횡단보도의 노면이 얼어붙으며 결빙상태가 지속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다가 미끄러져서 다치는 등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의 주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제1, 2플레이트(110, 120)의 내측에 장착된 제1, 2전열선(114, 124)은 열을 발산하여 제1, 2플레이트(110, 120)를 가열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 조립체(200) 위에 쌓인 눈을 녹이게 된다. 즉, 보행자가 눈이나 결빙으로 미끄러워진 횡단보도를 횡단하면서 발생하는 결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행자가 신속히 횡단을 하도록 도모하여 차량의 원활한 통행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제설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모래나 염화칼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서 환경오염 및 경제적 손실도 줄일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조립체(200)가 도로의 노면과 연속되어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횡단보도의 노면에 매립되어 횡단보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2플레이트(120)는 따로 구성하지 않고, 제1플레이트(110)의 길이를 연장하여 플레이트 단위체(100)를 구성한다.
<제2실시예>
도4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 전열필름의 전열라인이 각각 병렬과 직렬로 연결된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4의 (c)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전열필름에 홀이 형성된 플레 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4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400, 500)는 플레이트부(410, 510)와 히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열필름(430, 530)이 사용된 히팅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플레이트부(410, 510)는 상판(412, 512)과 하판(414, 514)으로 이루어지고, 상판(412, 512)과 하판(414, 514)은 평면으로 된 직육면체의 형태이다.
전열필름(430, 530)은 열을 발산하는 장치로서, 상판(412, 512)과 하판(414, 514)의 사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400, 500)를 가열한다.
즉, 플레이트(400, 500)는 하판(414, 514) 위에 전열필름(430, 530)을 올려놓아 하판(414, 514)의 일면과 전열필름(430, 530)의 일면이 접촉되도록 하고, 다시 전열필름(430, 530) 위에 상판(412, 512)을 올려놓아 전열필름(430, 530)의 일면과 상판(412, 512)의 일면이 접촉되도록 조립되어진 형태이다. 여기서 전열필름(430, 530)이 상판(412, 512) 및 하판(414, 514)의 일면과 접촉되어 위치함에 따라 전열필름(430, 530)에서 발산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플레이트(400, 500)에 전달되어 플레이트(400, 500)를 가열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400, 500)는 전열필름(430, 530)이 발산하는 열의 온도와 최대한 가까운 온도로 열을 발산할 수 있어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열필름(430, 530)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을 일직선으로 배열하여 열이 발생하는 부분을 병렬연결하거나 전선과 열이 발생하는 부분을 'ㄹ'형태로 배열하여 직렬연결한다. 또한 상판(412, 512)과 하판(414, 514) 사 이에 추가로 다수의 판을 쌓아 조립하여서 플레이트(400, 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전열필름을 히팅부로 사용함에 따라 플레이트 제작시 시공이 간편해지고 전열필름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필름(430, 530)이 구비된 플레이트(400, 500)를 육교와 같은 야외 계단의 일면에 안착되어 다수 설치함에 따라 동절기에도 눈이나 결빙으로 인해 계단이 얼어붙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 미끄러운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사람들이 미끄러져 넘어지고 다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400, 500)를 스키장 리프트, 공원 벤치 및 넓은 공간에서 사용되는 야외 의자의 일면에 장착하여 의자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동절기에 사람들이 야외에 형성된 의자에 착석하면서 차가워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4의 (c)를 참조하면, 플레이트(600)는 도4의 (a), (b)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LED전광판(6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판(612)과 전열필름(630)의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는 구조로 상기 홀에 LED전광판(640)이 장착되어 각종 정보 및 홍보 메시지를 텍스트나 이미지로 표출한다. 또한 전열필름(630)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을 일직선으로 배열하여 열이 발생하는 부분을 병렬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플레이트(600)는 눈을 녹이는 효과뿐만 아니라 계단을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환경이나 미아찾기 캠페인, 교통상황, 현재시각 및 날씨 등 다양한 정보 및 광고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횡단보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 단위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 단위체가 횡단보도에 설치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4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 전열필름의 전열라인이 병렬로 연결된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4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전열필름의 전열라인이 직렬로 연결된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4의 (c)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전열필름에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행신호등 20 : 차량신호등
30 : 신호등 컨트롤러 40 : 횡단보도
50 : 중앙선 60 : 정지선
100 : 플레이트 단위체
110 : 제1플레이트
112 : 제1플레이트부
112a : 제1상판 112b : 제1하판
114 : 제1전열선 116 : 제1소켓박스
120 : 제2플레이트
122 : 제2플레이트부
122a : 제2상판 122b : 제2하판
124 : 제2전열선 126 : 제2소켓박스
200 : 플레이트 조립체
400, 500, 600 : 플레이트
410, 510, 610 : 플레이트부
412, 512, 612 : 상판 414, 514, 614 : 하판
430, 530, 630 : 전열필름 640 : LED전광판

Claims (5)

  1. 야외시설물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가열하는 히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노면과 접촉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LED전광판; 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는 하판과 상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히팅부는 전열선 또는 전열필름을 이용하고, 상기 하판의 일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열선이 삽입되고,
    상기 야외시설물은 도로 또는 계단 또는 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53523A 2008-06-09 2008-06-09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KR10105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23A KR101056633B1 (ko) 2008-06-09 2008-06-09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23A KR101056633B1 (ko) 2008-06-09 2008-06-09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506A KR20090127506A (ko) 2009-12-14
KR101056633B1 true KR101056633B1 (ko) 2011-08-12

Family

ID=4168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523A KR101056633B1 (ko) 2008-06-09 2008-06-09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64U (ko) * 2021-01-08 2022-07-15 하영주 발열 제설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23907B1 (es) * 2012-03-23 2014-07-29 Esther Parra Pardo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modulo para construcción de señalizaciones viarias y/o superficies de paso antideslizan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69Y1 (ko) * 2000-11-01 2001-04-16 손용조 조립식 목재 전열판넬
KR200245941Y1 (ko) * 2001-05-15 2001-10-29 김해수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20060099052A (ko) * 2005-03-10 2006-09-1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69Y1 (ko) * 2000-11-01 2001-04-16 손용조 조립식 목재 전열판넬
KR200245941Y1 (ko) * 2001-05-15 2001-10-29 김해수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20060099052A (ko) * 2005-03-10 2006-09-1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64U (ko) * 2021-01-08 2022-07-15 하영주 발열 제설망
KR200495950Y1 (ko) * 2021-01-08 2022-09-28 하영주 발열 제설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506A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320B1 (en) Rubberized covering with integral heating system
KR102117043B1 (ko)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WO2008116955A1 (es) Paso de peatones con detector y avisador de presencia
KR101056633B1 (ko)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JP3654842B2 (ja) ヒータ付き点字ブロック
KR102275232B1 (ko)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KR20080066507A (ko) 눈을 녹일 수 있도록 결빙을 방지하는 열선을 장착한 도로
CN215329477U (zh) 一种行人与非机动车分流的发光交通安全岛
US6758630B1 (en) Snow and ice melting system for roads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KR200389202Y1 (ko) 횡단보도용 표시장치
KR100770530B1 (ko) 도로용 난방장치
KR102617388B1 (ko) 히팅 기능을 갖는 바닥 신호등
KR101081725B1 (ko) 경계석용 패드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200358592Y1 (ko) 보행자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우레탄과 콘크리트합성 보도블록 구조
KR200427704Y1 (ko) 경계석 부착용 미끄럼방지 표지판
KR102209137B1 (ko) 미니방지턱
KR102289918B1 (ko) 차선표시 및 블랙아이스 방지장치
KR200428176Y1 (ko) 결빙주의용 델리네이터
KR102517281B1 (ko) 전열케이블의 열손실 차단을 위한 전열케이블 보호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213420940U (zh) 一种便于维修的路灯
KR200332866Y1 (ko)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