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137B1 - 미니방지턱 - Google Patents

미니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137B1
KR102209137B1 KR1020200089712A KR20200089712A KR102209137B1 KR 102209137 B1 KR102209137 B1 KR 102209137B1 KR 1020200089712 A KR1020200089712 A KR 1020200089712A KR 20200089712 A KR20200089712 A KR 20200089712A KR 102209137 B1 KR102209137 B1 KR 102209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restoration
mini
vehicle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김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기 filed Critical 김덕기
Priority to KR102020008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9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multi-chambe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니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하되는 미니방지턱을 포함하는 방지턱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니방지턱{mini bump}
본 발명은 미니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하되는 미니방지턱을 포함하는 방지턱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는 정해진 위치에 차량 과속을 방지할 목적으로 많은 수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고 있다.
특히, 도로상에서도 인적이 많은 주택가 도로나 아파트 단지 내 도로,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과 같이 주행 차속을 반드시 규정 차속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 도로, 국도나 농촌의 마을 앞 도로와 같이 별도의 인도를 두지 않은 도로, 기타 횡단보도 앞 차량 정지선 위치 등 차량의 일단 정지가 필요한 도로 위치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과속방지턱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의 표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시켜 차량이 속도를 줄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의 소정 폭 구간의 표면을 상방으로 돌출시켜 시공하며,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조립식 구조의 과속방지턱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속방지턱은 주행 차량의 과속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로상에 일종의 장애물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보행자 보호도 중요하지만 운전자 안전 및 체체 보호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과속방지턱은 과속방지 효과는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차량 운전자가 운전 중에 쉽게 인지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속방지턱이 개발되야 한다.
현재 시공되는 과속방지턱은 방지턱의 높이가 다양하게 시공되고 있어 차량이 쉽게통과하여 방지턱의 효과가 적게 나타나거나, 방지턱의 높이가 높아 차량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72611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되는 방지턱이 메쉬망과 공기층 형성으로 차량의 진입시 방지턱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차체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진입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방지턱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체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며, 방지턱의 복원력이 우수하도록 형성되는 미니방지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도로 지면에 안착되도록 미니방지턱부 하부로 형성되는 방지턱프레임; 지면에 밀착되며, 진입하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방지턱프레임 하부로 형성되는 방지턱플레이트; 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방지턱플레이트가 밀착 되도록 방지턱플레이트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돌기; 각각의 고정돌기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삽입홈; 차량의 진입시 차량의 타이어와 마찰이 발생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상부로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고무패드; 차량의 진입시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변형이 이루어지는 고무패드를 복원시키기 위해 고무패드 하부로 형성되는 메쉬망; 차량의 하중으로 인한 고무패드와 메쉬망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망과 방지턱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형성공간; 차량의 진입시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고무패드 외주면에 미니방지턱부의 길이방향 또는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하여 형성되는 감속돌기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1.2㎛ ~ 2.1㎛의 크기로 고정돌기 둘레로 도포 형성되며, 돌기삽입홈 내면과 접촉시 크랙이 발생되어 내부의 접착제가 고정돌기와 돌기삽입홈 사이 틈에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접착캡슐을 더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며, 고무패드와 메쉬망의 파손을 방지하고, 미니방지턱의 형상으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형상복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상복원부는, 공기형성공간 양측에 미니방지턱부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측면복원튜브; 공기형성공간 중앙에 미니방지턱부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중앙복원튜브;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복원펌프; 복원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가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 측으로 주입되도록 일측이 복원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에 연결 형성되는 공기주입관;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 내의 공기압력을 센싱하도록 측면복원튜브 내부 일측과 중앙복원튜브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감지정보를 복원펌프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겨울철 미니방지턱부 주변으로 발생되는 결빙을 제거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상에 형성되는 제설액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설액분사부는, 고무패드 외면 측으로 제설액을 분사하기 위해 고무패드 상에 복수개 매립 형성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 측으로 제설액을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설펌프에 연결 형성되는 노즐연결튜브; 분사노즐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설액을 보관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내부 일측 또는 외부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 측으로 형성되는 제설액보관함; 제설액보관함에 내장된 제설액을 분사노즐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설액보관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설펌프; 분사노즐 측으로 제공되는 제설액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제설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량제어기; 결빙온도를 센싱하며, 센싱되는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제설펌프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무패드 외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신호등의 점등신호를 제공받아 방지턱 내에서 개폐패널이 신호에 따라 개폐 작동하여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지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고정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개폐패널; 개폐패널을 상측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일측이 개폐패널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플레이트에 연결 형성되는 패널실린더; 개폐패널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패널실린더의 실린더축과 개폐패널 하부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패널회동부재; 개폐패널의 개폐시 패널실린더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패널실린더의 하부 일측과 고정플레이트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실린더회동부재; 개폐패널의 양측으로 개폐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측이 바힌지에 의해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폐패널에 형성되는 바슬라이드홈에 결합 형성되는 패널가이드바; 패널가이드바의 일측이 결합되어 개폐패널의 개폐회전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개폐패널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슬라이드홈; 패널가이드바가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패널가이드바와 고정플레이트 간의 결합 형성되는 바힌지; 개폐패널의 닫힘시 고정플레이트 상의 밀착단에 밀착되도록 개폐패널 양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 밀착부재가 안착되도록 패널삽입홈 양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단; 개폐패널이 고정플레이트에 매립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패널삽입홈;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속도감속돌기; 신호등으로부터 신호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신호수신수단; 개폐패널의 상승시간을 카운터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타이머를 포함하다.
또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는, 신호등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정보와 운전자에게 방지턱의 위치와 결빙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신호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발광부는, 신호등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의 색상을 점등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신호LED; 방지턱의 위치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명LED; 개폐패널의 상승 시간을 나타내주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타이머LED; 설정되는 결빙온도에 따른 조명이 발광되도록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빙LED; 방지턱을 지나는 차량의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압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부로 복수개 매립 형성되는 압전소자; 압전소자를 통해 생성되는 전기를 충전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일측으로 매립 형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는, 도로의 폭에 따라 방지턱을 가변시켜 설치하기 위한 방지턱가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지턱가변부는, 고정플레이트 양측으로 슬라이드 돌출되도록 고정플레이트에 매립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개폐패널이 설치되며,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가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플레이트; 가변프레임이 구동모터에 의해 돌출 되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가변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프레임기어; 프레임기어와 맞물리도록 프레임기어 상부로 형성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기어 일측에 모터 축이 연결 형성되며, 고정플레이트 내부로 결합되는 구동모터; 돌출되는 가변프레임의 거리조절시 정지시키기 위해 가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스토퍼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되는 방지턱이 메쉬망과 공기층 형성으로 차량의 진입시 방지턱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차체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줌으로 방지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차체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미니방지턱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미니방지턱부의 또다른 실시예인 접착캡슐을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미니방지턱부의 또다른 실시예인 형상복원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미니방지턱부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설액분사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6은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6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9는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의 또다른 실시예인 신호발광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0은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의 또다른 실시예인 방지턱가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미니방지턱 및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을 포함하는 방지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하며, 도로 상에 설치하여 신호등의 점등신호를 제공받아 방지턱 내의 개폐작동으로 자동차를 적색신호시 신호등 진입 전 감속시키기 위한 미니방지턱 및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을 포함하는 방지턱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시스템은 도로상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미니방지턱 및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 미니방지턱부(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단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진입하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발생되는 자동차의 하중을 분산시켜 방지턱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방지턱을 진입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차체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방지턱프레임(110), 방지턱플레이트(120), 고정돌기(121), 돌기삽입홈(122) ,고무패드(130), 메쉬망(140), 공기형성공간(150), 감속돌기(160), 접착캡슐(170)을 포함한다.
상기 방지턱프레임(110)은 미니방지턱부(100)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지면에 안착되도록 미니방지턱부(100) 하부로 사각의 틀로 형성되거나, 미니방지턱부(10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턱플레이트(120)는 방지턱프레임(1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미니방지턱부(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지면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 방지턱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121)는 방지턱플레이트(120)가 밀착시 지면으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121)는 방지턱플레이트(120)가 지면에 안착시 차량의 의해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홈(122)에 삽입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121)는 방지턱플레이트(120)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삽입홈(122)은 고정돌기(1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삽입홈(122)은 방지턱플레이트(120)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21)의 갯수와 간격 위치에 따라 지면에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삽입홈(122)의 깊이는 고정돌기(121)가 삽입 될 수 있도록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고정돌기(1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접착제 등의 접착물질이 삽입되어 고정돌기(121)가 돌기삽입홈(122) 내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패드(130)는 미니방지턱부(100) 상부 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방지턱프레임(110) 상부로 결합방식 또는 접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패드(130)는 차량의 진입시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패드(130)는 차량의 타이어와 마찰이 발생되어 차량의 속도가 감속됨과 원호의 곡선을 넘어 이동함에 따라 차량이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망(140)은 고무패드(130) 하부면에 부착 형성되는 것으로, 미세한 격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하중에 따라 격자의 홈간격이 큰 메쉬망(14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망(140)은 차량의 진입시 차량으로부터 제공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며, 차량에 의해 눌려지는 고무패드(130)의 형상을 복원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망(140)은 고무패드(130)가 눌려지는 경우 고무패드(130)의 원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시켜줌에 효과를 가진다.
상기 메쉬망(140)은 고무패드(130) 내면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양측이 방지턱프레임(110)에 결합되거나 고무패드(130)에 열을 통한 융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형성공간(150)은 고무패드(130)와 방지턱플레이트(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공기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형성공간(150)은 미니방지턱부(100) 설치시 공기를 주입하여 고무패드(130)가 원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진입시 쉽게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고무패드(130)와 메쉬망(14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돌기(160)는 차량이 고무패드(130) 상면으로 진입시 차량의 타이어와 마찰력을 높여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속돌기(160)는 고무패드(130) 외주면에 길이방향 또는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속돌기(160)는 돌출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미니방지턱부(100)의 또다른 실시예인 접착캡슐(170)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접착캡슐(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캡슐(170)은 고정돌기(121)를 돌기삽입홈(122) 내에서 쉽게 빠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캡슐(170)은 1.2㎛ ~ 2.1㎛의 크기로 고정돌기(121) 둘레로 도포 형성되며, 돌기삽입홈(122) 내면과 접촉시 크랙이 발생되어 내부의 접착제가 고정돌기(121)와 돌기삽입홈(122) 사이 틈에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돌기(121) 둘레로 일정 두께로 도포되며, 고정돌기(121)가 돌기삽입홈(122)에 삽입시 고정돌기(121) 외면과 돌기삽입홈(122) 내면이 밀착 접촉되면서 접착캡슐(170)이 깨짐으로 접착캡슐(170) 내부에 접착제가 흘러 경화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미니방지턱부(100)의 또다른 실시예인 형상복원부(2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형상복원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상복원부(200)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형상복원부(200)는 고무패드(130)와 메쉬망(140)의 파손을 방지하고, 미니방지턱부(100)의 형상대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상복원부(200)는 측면복원튜브(210), 중앙복원튜브(211), 복원펌프(220), 공기주입관(230), 압력감지센서(24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복원튜브(210)는 공기의 주입으로 형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공기형성공간(15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복원튜브(210)는 미니방지턱부(100)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고무패드(130) 상에 위치시 고무패드(130)의 형상이 눌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차량의 무게와 관계없이 고무패드(130)의 형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복원튜브(210)는 복원펌프(220)를 통해 생성되는 공기를 주입받아 타원형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복원튜브(211)는 상기 측면복원튜브(210)와 동일한 것으로, 공기의 주입으로 형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공기형성공간(150)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복원튜브(211)는 미니방지턱부(100) 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고무패드(130) 상에 위치시 고무패드(130)의 형상이 눌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차량의 무게와 관계없이 고무패드(130)의 형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복원튜브(211)는 복원펌프(220)를 통해 생성되는 공기를 주입받아 타원형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원펌프(220)는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면복원튜브(210)와 중앙복원튜브(211) 측으로 일정시간 또는 공기압력에 따라 지속적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원펌프(220)는 미니방지턱부(100) 일측으로 형성되거나, 소형의 복원펌프(220)의 경우 고무패드(130) 내측으로 방지턱플레이트(120) 상면에 안착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주입관(230)은 복원펌프(220)에서 생성된 공기를 측면복원튜브(210)와 중앙복원튜브(211)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주입관(230)의 일측은 측면복원튜브(210)와 중앙복원튜브(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복원펌프(22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240)는 측면복원튜브(210)와 중앙복원튜브(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복원튜브(210)와 중앙복원튜브(211) 내의 공기압력을 센싱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압력이 설정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복원펌프(220) 측으로 감지정보를 제공하여 복원펌프(220)가 작동되도록 하며, 설정값에 도달하는 경우 복원펌프(220) 측으로 감지정보를 제공하여 복원펌프(22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미니방지턱부(100)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설액분사부(3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제설액분사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설액분사부(300)는 겨울철 미니방지턱부(100) 주변으로 발생되는 결빙을 제거하여 차량의 미끄러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미니방지턱부(100)는 미니방지턱부(1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설액분사부(300)는 분사노즐(310), 노즐연결튜브(320), 제설액보관함(330), 제설펌프(340), 분사량제어기(350), 온도감지센서(36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310)은 고무패드(130) 외면 측으로 제설액을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310)은 고무패드(130) 상에 복수개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310)은 고무패드(130)에서 일정 깊이 매립되어 자동차의 진입시 타이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연결튜브(320)는 분사노즐(310) 측으로 제설액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연결튜브(320)는 일측이 분사노즐(3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설펌프(34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설액보관함(330)은 분사노즐(31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설액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설액보관함(330)은 미니방지턱부(10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인 공기형성공간(150)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설액보관함(330)은 소량의 제설액만 보관되는 것으로, 방지턱 내부에 형성 가능하며, 소량의 제설액만 보관함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설펌프(340)는 제설액보관함(330)에 내장된 제설액을 분사노즐(31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설펌프(340)는 제설액보관함(330) 일측으로 형성되어 제설액보관함(33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압축시킴으로 제설액이 노즐연결튜브(320)를 따라 분사노즐(310) 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량제어기(350)는 분사노즐(310) 측으로 제공되는 제설액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량제어기(350)는 제설펌프(340) 일측으로 형성되거나, 노즐연결튜브(320) 일측으로 형성되어 설정되는 제설액의 양만 분사노즐(310) 측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360)는 고무패드(130) 상면에 일측에 매립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감지센서(360)는 겨울철 미니방지턱부(100) 주변 또는 미니방지턱부(100)에 결빙온도를 센싱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360)로부터 센싱되는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감지정보를 제설펌프(340) 측으로 제공하여 제설액이 분사노즐(310)을 통해 고무패드(130) 상면과 주변 도로 상에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는 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신호등(590)으로부터 점등신호를 제공받아 방지턱 내에서 개폐패널(520)이 신호에 따라 개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는 고정플레이트(510), 개폐패널(520), 패널실린더, 패널회동부재(522), 실린더회동부재(523), 패널가이드바(530), 바슬라이드홈(531), 바힌지(532), 밀착부재(540), 밀착단(550), 패널삽입홈(560), 속도감속돌기(570)(160), 신호수신수단(58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10)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지면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가 도로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거나, 도로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510)에 형성되는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10)는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높이가 일반 방지턱에 비해 낮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패널(520)은 고정플레이트(51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패널(520)은 고정플레이트(510) 상측 방향에서 복수개 형성되어 개방시 고정플레이트(510)에 매립되어 있다가 회동하여 일정 각도록 상승하거나, 닫힘시 고정플레이트(510) 상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510)와 동일한 면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패널(520)의 회동으로 인한 개방은 신호등(590)으로부터 적색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작동되며, 이로 인해 접근하는 차량이 감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과속과 신호위반을 방지하여 차량사고와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실린더는 개폐패널(520)을 상측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실린더의 일측은 개폐패널(520)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플레이트(510)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패널실린더의 작동시 실린더 축이 개폐패널(520)을 밀어 개폐패널(520)이 일정각도록 회전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패널실린더는 진입신호를 신호등(590)으로 부터 제공받는 경우 패널실린더의 닫힘 작동시간과 무관하게 차량이 개폐패널(520)을 밟고 지나는 경우 파손없이 패널실린더가 작동되어 개폐패널(520)이 고정플레이트(510)에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회동부재(522)는 개폐패널(520)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회동부재(522)는 패널실린더의 실린더축과 개폐패널(520)의 결합시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패널회동부재(522)가 패널실린더의 실린더축과 개폐패널(520)의 하부를 결합시켜 패널실린더의 작동시 개폐패널(520)이 간섭없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회동부재(523)는 패널실린더가 고정플레이트(510)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회동부재(523)는 패널실린더의 일측과 고정플레이트(510)의 내부 바닥면과 결합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패널실린더의 작동시 개폐패널(520)이 회전됨에 따라 패널실린더가 일정 간격으로 회전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가이드바(530)는 개폐패널(52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패널(520)이 일정 각도록 회전됨에 따라 고정플레이트(510) 상에서 흔들린 없이 개폐되도록 하것나, 차량의 실수로 인해 방지턱 측으로 진입시 패널실린더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가이드바(530)는 일측이 개폐패널(520)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슬라이드홈(531)에 결합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플레이트(51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슬라이드홈(531)은 패널가이드바(53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슬라이드홈(531)은 개폐패널(52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힌지(532)는 패널가이드바(530)가 고정플레이트(5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힌지(532)는 고정플레이트(510)를 기준으로 패널가이드바(530)가 일정 각도록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개폐패널(520)의 일정 각도 상승시 패널가이드바(530)가 바슬라이드홈(5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때 바힌지(532)에 의해 고정플레이트(510)에 연결된 패널가이드바(53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가이드바(530)의 회전은 개폐패널(520)의 각도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540)는 개폐패널(520)의 닫힘 시 고정플레이트(510) 상에 형성되는 밀착단(55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540)가 밀착단(550)에 밀착 됨으로 개폐패널(520)과 고정플레이트(510)의 상면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의 진입시 개폐패널(520)이 고정플레이트(510) 내부 바닥면으로 더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밀착단(550)은 밀착부재(54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단(550)은 고정플레이트(510)에 형성되는 패널삽입홈(560) 양측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삽입홈(560)은 개폐패널(520)이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510) 상에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패널삽입홈(560)은 고정플레이트(510) 상면에 개폐패널(520)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감속돌기(570)(160)는 차량의 진입시 고정플레이트(510) 상에서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속도감속돌기(570)(160)는 고정플레이트(5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감속돌기(570)(160)는 길이방향 또는 사선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수신수단(580)은 신호등(590)으로부터 신호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수신수단(580)은 신호등(590)에 형성되는 신호송신수단(591)으로부터 신호등(590)의 현재 상태의 신호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수신수단(580)은 고정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수신수단(580)은 고정플레이트(5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581)는 개폐패널(520)이 상승되어 있는 시간을 카운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이머(581)는 신호수신수단(580)을 이용하여 제공받은 신호정보의 변경시간을 카운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적색신호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적색신호의 점등시간에 따라 카운터 된다.
도 9는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의 또다른 실시예인 신호발광부(6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는 신호발광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발광부(600)는 신호등(590)으로부터 제공받아 신호정보와 운전자에게 방지턱의 위치를 나타내주며, 겨울철 결빙상태를 알려줌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발광부(600)는 신호LED(610), 조명LED(620), 타이머LED(630), 결빙LED(640), 압전소자(650), 배터리(66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LED(610)는 신호등(590)으로부터 제공받는 현재 신호정보에 대한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LED(610)는 고정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LED(610)를 통해 발광되는 색상은 적색등, 녹색등이다.
상기 조명LED(620)는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 상에 설치된 신호등(590)감응형방지턱부(500)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명LED(620)는 고정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며, 조명LED(620)를 통해 발광되는 색상은 흰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LED(620)를 통해 주변 조명효과와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타이머LED(630)는 개폐패널(520)의 상승 시간을 나타낸 주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590)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정보에 따라 적색 정보를 제공받음에 따라 개폐패널(520)이 상승되며, 개폐패널(520)의 상승 시간을 점, 숫자, 막대띠 등의 표시등이 모두 점등되었다가 점멸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이머LED(630)는 고정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며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빙LED(640)는 설정되는 결빙온도에 따른 조명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정되는 온도가 4℃인 경우 4℃ ~ 0℃일 때, 하늘색 LED가 점등되며, 0℃ 이하 일 때, 파란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여 방지턱 주변의 결빙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전소자(650)는 신호발광부(600)에 공급되는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전소자(650)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전기에너지가 생성되는 원리로써, 복수의 압전소자(650)가 고정플레이트(510) 상부에 매립 형성되어 방지턱을 지나는 차량이 압력을 가함에 따라 전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660)는 압전소자(650)를 통해 생성되는 전기를 충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660)는 고정플레이트(510) 일측으로 매립 형성되며, 충전된 전기는 신호발광부(600)의 신호LED(610), 조명LED(620), 타이머LED(630), 결빙LED(640)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의 또다른 실시예인 방지턱가변부(700)를 적용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500)는 방지턱가변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지턱가변부(700)는 도로의 폭에 따라 방지턱을 가변시켜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방지턱가변부(700)를 통해 도로의 폭이 다양한 곳에서도 설치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턱가변부(700)는 가변프레임(710), 가변플레이트(720), 프레임기어(730), 구동기어(740), 구동모터(750), 조절스토퍼(760)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프레임(710)은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 도로 폭에 맞게 방지턱을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변프레임(710)은 고정플레이트(5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프레임(710)은 고정플레이트(5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슬라이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방지턱을 연장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720)는 가변프레임(7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플레이트(720)는 고정플레이트(5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720)는 가변시 고정플레이트(5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복귀시 고정플레이트(510)의 일측면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기어(730)는 가변프레임(710)이 구동모터(750)에 의해 돌출되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기어(730)는 가변프레임(7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기어(730)는 구동기어(740)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740)와 동일한 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740)는 프레임기어(7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740)는 구동모터(750)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어 구동모터(750)로부터 제공받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구동기어(740)의 회전시 프레임기어(73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750)는 구동기어(7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750)는 고정플레이트(510)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스토퍼(760)는 돌출되는 가변프레임(710)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절스토퍼(760)는 가변되는 가변프레임(710)이 도로 폭과 동일한 경우 더이상 가변되지 않도록 가변프레임(710)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스토퍼(760)는 가변프레임(7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방지턱시스템
100 : 미니방지턱부 110 : 방지턱프레임
120 : 방지턱플레이트 121 : 고정돌기
122 : 돌기삽입홈 130 : 고무패드
140 : 메쉬망 150 : 공기형성공간
160 : 감속돌기 170 : 접착캡슐
200 : 형상복원부 210 : 측면복원튜브
211 : 중앙복원튜브 220 : 복원펌프
230 : 공기주입관 240 : 압력감지센서
300 : 제설액분사부 310 : 분사노즐
320 : 노즐연결튜브 330 : 제설액보관함
340 : 제설펌프 350 : 분사량제어기
360 : 온도감지센서
500 : 신호등감응형방지턱부 510 : 고정플레이트
520 : 개폐패널 521 : 패널실린더
522 : 패널회동부재 523 : 실린더회동부재
530 : 패널가이드바 531 : 바슬라이드홈
532 : 바힌지 540 : 밀착부재
550 : 밀착단 560 : 패널삽입홈
570 : 속도감속돌기 580 : 신호수신수단
581 : 타이머 590 : 신호등
591 : 신호송신수단
600 : 신호발광부 610 : 신호LED
620 : 조명LED 630 : 타이머LED
640 : 결빙LED 650 : 압전소자
660 : 배터리
700 : 방지턱가변부 710 : 가변프레임
720 : 가변플레이트 730 : 프레임기어
740 : 구동기어 750 : 구동모터
760 : 조절스토퍼

Claims (2)

  1.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진입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방지턱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체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며, 방지턱의 복원력이 우수하도록 형성되는 미니방지턱부를 포함하는 방지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도로 지면에 안착되도록 미니방지턱부 하부로 형성되는 방지턱프레임;
    지면에 밀착되며, 진입하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방지턱프레임 하부로 형성되는 방지턱플레이트;
    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방지턱플레이트가 밀착 되도록 방지턱플레이트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돌기;
    각각의 고정돌기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삽입홈;
    차량의 진입시 차량의 타이어와 마찰이 발생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상부로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고무패드;
    차량의 진입시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변형이 이루어지는 고무패드를 복원시키기 위해 고무패드 하부로 형성되는 메쉬망;
    차량의 하중으로 인한 고무패드와 메쉬망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망과 방지턱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형성공간;
    차량의 진입시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고무패드 외주면에 미니방지턱부의 길이방향 또는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하여 형성되는 감속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1.2㎛ ~ 2.1㎛의 크기로 고정돌기 둘레로 도포 형성되며, 돌기삽입홈 내면과 접촉시 크랙이 발생되어 내부의 접착제가 고정돌기와 돌기삽입홈 사이 틈에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접착캡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며, 고무패드와 메쉬망의 파손을 방지하고, 미니방지턱의 형상으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형상복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상복원부는,
    공기형성공간 양측에 미니방지턱부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측면복원튜브;
    공기형성공간 중앙에 미니방지턱부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중앙복원튜브;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복원펌프;
    복원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가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 측으로 주입되도록 일측이 복원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에 연결 형성되는 공기주입관;
    측면복원튜브와 중앙복원튜브 내의 공기압력을 센싱하도록 측면복원튜브 내부 일측과 중앙복원튜브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감지정보를 복원펌프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니방지턱부는,
    겨울철 미니방지턱부 주변으로 발생되는 결빙을 제거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상에 형성되는 제설액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설액분사부는,
    고무패드 외면 측으로 제설액을 분사하기 위해 고무패드 상에 복수개 매립 형성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 측으로 제설액을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설펌프에 연결 형성되는 노즐연결튜브;
    분사노즐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설액을 보관하기 위해 미니방지턱부 내부 일측 또는 외부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 측으로 형성되는 제설액보관함;
    제설액보관함에 내장된 제설액을 분사노즐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설액보관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설펌프;
    분사노즐 측으로 제공되는 제설액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제설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량제어기;
    결빙온도를 센싱하며, 센싱되는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제설펌프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무패드 외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방지턱시스템.
  2. 삭제
KR1020200089712A 2020-07-20 2020-07-20 미니방지턱 KR102209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712A KR102209137B1 (ko) 2020-07-20 2020-07-20 미니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712A KR102209137B1 (ko) 2020-07-20 2020-07-20 미니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137B1 true KR102209137B1 (ko) 2021-01-27

Family

ID=7423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712A KR102209137B1 (ko) 2020-07-20 2020-07-20 미니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1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75B1 (ko) * 2005-10-31 2006-05-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과속 방지턱
KR20150072611A (ko) 2013-12-20 2015-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식별이 가능한 led모듈을 갖는 과속 방지턱 및 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75B1 (ko) * 2005-10-31 2006-05-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과속 방지턱
KR20150072611A (ko) 2013-12-20 2015-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식별이 가능한 led모듈을 갖는 과속 방지턱 및 이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138B1 (ko)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KR102117043B1 (ko)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US5639179A (en) Traffic safety control device
US20100102991A1 (en) Pedestrian crossing with presence detector and warning
US20160312416A1 (en) Piston-type variable speed control device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200394955Y1 (ko)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WO2007103709A1 (en) One-way speed bump
WO2015142153A1 (es) Tope vial empotrable de rampa emergente
KR102106637B1 (ko) 스마트 방지턱
KR102209137B1 (ko) 미니방지턱
RU2541589C1 (ru) Пешеходный переход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RU2751291C1 (ru) Пешеходный переход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остановк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2339582B1 (ko) 신호등 연계 횡단보도 차단 시스템
KR101101357B1 (ko) 충격 보호대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CN110777697B (zh) 一种隔离墩
KR20010077509A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CN113668427A (zh) 一种道路用智能管控的升降路障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101014603B1 (ko) 교량 연석부의 열화방지 커버와 이 설치방법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299267Y1 (ko) 조명 및 표지판을 제공하는 충격흡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