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637B1 - 스마트 방지턱 - Google Patents

스마트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637B1
KR102106637B1 KR1020170154724A KR20170154724A KR102106637B1 KR 102106637 B1 KR102106637 B1 KR 102106637B1 KR 1020170154724 A KR1020170154724 A KR 1020170154724A KR 20170154724 A KR20170154724 A KR 20170154724A KR 102106637 B1 KR102106637 B1 KR 10210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upling
coupling portion
fixed
suppo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595A (ko
Inventor
조중연
이민재
임홍규
김정훈
김기남
정연이
Original Assignee
유니콘스(주)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콘스(주),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filed Critical 유니콘스(주)
Priority to KR102017015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완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양측 및 전후방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상면은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지지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상에 돌출되어 차량의 과속을 억제하고, 고정결합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표시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신호등의 근접 여부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는 고정결합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표시부를 통해 차량의 근접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방지턱{Smart bump}
본 발명은 스마트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돌출되어 차량의 과속을 억제하고, 고정 결합부에 운전자와 보행자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부를 장착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형성되는 과속방지턱은 주거지 인접지역 또는 학교 주변과 같은 사고 위험지역에 설치되어 이 지역을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강제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과속방지턱의 외면에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그 표면에 노란색 및 검은색의 페인트가 교대로 도포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에도 운전자는 과속방지턱의 존재 유무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속방지턱은 보행자 및 설치지역 주변의 재산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하지만, 통행 차량이 많은 지역에 설치되는 과속방지턱은 도포된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닳아 없어지게 되므로 특히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지역에 대하여 잘 모르는 초행자인 경우에는 원거리에서 과속방지턱의 유무를 확인하지 못하고 주행 속도를 유지한 채 과속방지턱을 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과속방지턱의 기능을 올바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과속에 의한 차량의 파손은 물론 보행자와의 충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야간에 사고의 발생 위험이 커지는데, 이는, 야간에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에 과속방지턱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반사체를 주변에 설치하거나 과속방지턱의 표면에 도포되는 페인트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 물질을 첨가하여 도포함으로써 운전자가 야간에도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반사체 또는 페인트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통해 과속방지턱을 인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반사체 또는 페인트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전조등 빛의 반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93418호(2011.08.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704호(2013.0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상에 돌출되어 차량의 과속을 억제하고, 고정결합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표시부와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표시부를 통해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방지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마감부에 태양광 모듈, 식별기, 블랙박스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스마트 방지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방지턱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완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양측 및 전후방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상면은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지지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결합부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면에 앵커 볼트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톱니 또는 삼각형 형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저면은 고정결합부에 체결구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량의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쿠션재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부는 상면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관통공에는 태양광 모듈, 식별기, 블랙박스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공급 및 전달하는 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전·후방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후방 거리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의 전후방에는 색상 표시를 통해 신호등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후방 표시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장착공간에는 상·하부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프링과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격벽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와 지지부의 사이에는 완충부의 높낮이 조절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튜브, 공급 밸브, 배기 밸브, 공기 공급기, 압력 센서로 구성되는 에어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상에 돌출되어 차량의 과속을 억제하고, 고정결합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표시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신호등의 근접 여부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는 고정결합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표시부를 통해 차량의 근접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마감부에 태양광 모듈, 식별기, 블랙박스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전원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태양광 모듈을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방범 예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고정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완충부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마감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8(a) 및 8(b)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에어 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고정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완충부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마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a) 및 8(b)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지턱을 구성하는 에어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스마트 방지턱(10)은 고정결합부(20), 지지부(30), 완충부(40), 마감부(50),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은 형상은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측면상 삼각 형상, 만곡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2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결합부(20)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면(G)에 앵커 볼트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면(G)에 지지될 수 있도록 톱니 또는 삼각형 형상의 고정 돌기(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결합부(20)는 차량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결구(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차량의 접촉 따른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 돌기(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전·후방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후방 거리감지센서(71, 72)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전후방에는 색상 표시를 통해 신호등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후방 표시부(73, 74)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결합부(20)는 전후방에 각각 전후방 거리감지센서(71, 72)와 전후방 표시부(73, 74)를 장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는 신호등의 근접 여부를 알리고,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근접 여부를 알리게 된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고정결합부(20)는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거리감지센서(71)를 통해 차량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거리감지센서(72)를 통해 신호등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표시부(73)는 차량 운전자에게 신호등과 스마트 방지턱(10)의 근접 여부를 빨강, 노랑, 초록 등의 색상을 통해 알리고,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표시부(74)는 차량의 근접 여부를 빨강, 노랑, 초록 등의 색상으로 차량의 근접 여부를 보행자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0)는 고정결합부(20)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저면은 고정결합부(20)에 체결구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2)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30)는 하부에 개구부(31)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상부에 체결구 또는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고, 전·후방에는 전선 또는 이음구 등의 연결을 위하여 관통공(3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0)의 높이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의 장착공간(32)에는 상·하부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프링(34)과 다수개의 관통공(35a)이 구비된 격벽(35)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40)는 지지부(30)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4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미끄럼 방지 돌기(4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량의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쿠션재(43)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완충부재(4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완충부(40)는 다수개의 완충부재(41)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부에는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4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할 수 있도록 쿠션재(4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40)와 지지부(30)의 사이에는 완충부(40)의 높낮이 조절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튜브(81), 공급 밸브(82), 배기 밸브(83), 공기 공급기(84), 압력 센서(85)로 구성되는 에어 수단(8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수단(80)은 완충부(40)와 지지부(30)의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 공급기(84)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 밸브(82)를 통해 튜브(81)에 공급하면서도 배출 밸브(8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튜브(81)의 일 측에 장착되는 압력 센서(85)를 통해 튜브(81)의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40)는 차량의 원활한 이동과 하중의 전달을 위하여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기(84)는 스마트 방지턱(1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마감부(50)는 고정결합부(20)의 양측 및 전후방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50)는 상면(51)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 관통공(5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관통공(52)에는 태양광 모듈(53), 식별기(54), 블랙박스(55)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마감부(50)는 차량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면(51)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고, 마감 관통공(52)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태양광 모듈(53) 또는 외부에서 도로용 차량방지턱(10)을 확인할 수 있는 식별기(54) 또는 방범을 위한 블랙박스(55)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모듈(53)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의 획득은 공지된 기술을 택일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지지부(30)의 장착공간(3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신호를 공급 및 전달하는 통신부(61)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2),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부(6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지지부(30)의 장착공간(32)에 장착되어, 상기 통신부(61)를 통해 작동신호를 공급받고,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을 통해 각종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며, 관리부(63)를 통해 각종 구성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부(61)는 유무선 통신망이 사용되고, 전원부(62)의 제어는 자동뿐만 아니라 수동으로도 조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 방지턱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면(G)에 앵커 볼트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면(G)에 지지될 수 있도록 톱니 또는 삼각형 형상의 고정 돌기(22)가 형성되는 고정결합부(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전·후방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후방 거리감지센서(71, 72)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전후방에는 색상 표시를 통해 신호등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후방 표시부(73, 74)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상부에 중앙 부분에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저면은 고정결합부(20)에 체결구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2)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는 지지부(3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30)의 장착공간(32)에는 신호를 공급 및 전달하는 통신부(61)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2),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부(63)로 이루어진 제어부(6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0)의 상부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미끄럼 방지 돌기(4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량의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쿠션재(43)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완충부재(41)로 이루어진 완충부(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결합부(2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상면(51)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 관통공(5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관통공(52)에는 태양광 모듈(53), 식별기(54), 블랙박스(55)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마감부(50)를 장착하면, 스마트 방지턱(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방지턱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 방지턱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은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도시된 도 9와 같이 신호등의 전방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은 관리자가 직접 또는 제어부(60)의 통신부(61)를 통해 구성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은 운전자가 물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침과 낮 시간의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의 형상과 색상 또는 마감부(50)에 장착되는 식별기(54) 또는 스마트 방지턱(10)의 형상과 색상 및 마감부(50)의 식별기(54)를 통해 운전자에게 스마트 방지턱(10)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은 운전자가 물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밤과 새벽 시간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결합부(20)는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거리감지센서(71)를 통해 차량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거리감지센서(72)를 통해 신호등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고정결합부(2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표시부(73)를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신호등 및 스마트 방지턱(10)의 근접 여부를 빨강, 노랑, 초록 등의 색상을 통해 알리고,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표시부(74)를 통해 차량의 근접 여부를 빨강, 노랑, 초록 등의 색상으로 보행자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의 상부로 차량이 이동하면,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은 완충부(40)를 구성하는 완충부재(41)를 통해 충격을 완충하여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방지턱(10)을 지지부(30)는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34)과 격벽(35)을 통해 충격과 소음을 완충시키면서도 내부 구성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스마트 방지턱은 도로상에 돌출되어 차량의 과속을 억제하고, 고정 결합부에 운전자와 보행자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부를 장착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 방지턱 20 : 고정결합부
21 : 결합공 22 : 고정 돌기
30 : 지지부 31 : 개구부
32 : 장착공간 33 : 관통공
34 : 스프링 35 : 격벽
40 : 완충부 41 : 완충부재
42 : 미끄럼 방지 돌기 43 : 쿠션재
50 : 마감부 51 : 상면
52 : 마감 관통공 53 : 태양광 모듈
54 : 식별기 55 : 블랙박스
60 : 제어부 61 : 통신부
62 : 전원부 63 : 관리부
71: 전방 거리감지센서 72: 후방 거리감지센서
73: 전방 표시부 74: 후방 표시부
80 : 에어 수단 81 : 튜브
82 : 공급 밸브 83 : 배기 밸브
84 : 공기 공급기 85 : 압력 센서
G : 지면 B : 체결구

Claims (5)

  1.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완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양측 및 전후방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상면은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지지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결합부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면에 앵커 볼트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톱니 또는 삼각형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와 지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완충부의 높낮이 조절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에어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에어 수단은,
    공기 공급기와, 상기 공기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는 튜브와, 상기 공기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튜브에 공급하는 공급 밸브와, 상기 튜브에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밸브 및 상기 튜브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저면은 고정결합부에 체결구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량의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쿠션재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부는 상면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관통공에는 태양광 모듈, 식별기, 블랙박스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공급 및 전달하는 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각종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방지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전·후방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후방 거리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의 전후방에는 색상 표시를 통해 신호등과 차량의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후방 표시부가 장착되는 것인 스마트 방지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장착공간에는 상·하부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프링과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격벽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인 스마트 방지턱.
  5. 삭제
KR1020170154724A 2017-11-20 2017-11-20 스마트 방지턱 KR10210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24A KR102106637B1 (ko) 2017-11-20 2017-11-20 스마트 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24A KR102106637B1 (ko) 2017-11-20 2017-11-20 스마트 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95A KR20190057595A (ko) 2019-05-29
KR102106637B1 true KR102106637B1 (ko) 2020-05-04

Family

ID=6667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724A KR102106637B1 (ko) 2017-11-20 2017-11-20 스마트 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5042U1 (ru) * 2019-10-25 2020-01-14 Николай Геннадьевич Яковлев Дорожная рельефная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полоса
KR102208651B1 (ko) * 2020-03-09 2021-01-28 조이금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CN111424574B (zh) * 2020-05-12 2021-02-26 聊城鲁聊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路面儿童马路防护减速带
CN112502059B (zh) * 2020-12-08 2021-11-26 郑世泉 一种公路用减速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409Y1 (ko) * 2004-06-28 2004-09-10 박연동 이동식 과속방지턱
KR100554567B1 (ko) * 2005-08-26 2006-03-03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의 과속방지턱
KR100583175B1 (ko) * 2005-10-31 2006-05-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과속 방지턱
KR101115280B1 (ko) * 2010-12-15 2012-03-05 손상석 도로용 안전램프 제어 시스템
KR101490206B1 (ko) * 2014-06-10 2015-0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과속방지턱
KR101618106B1 (ko) * 2014-10-28 2016-05-04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멀티 과속방지턱과 유도봉 일체의 이동식 충돌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418A (ko) 2010-02-12 2011-08-18 박명원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KR101293913B1 (ko) 2011-07-04 2013-08-07 조선화 차량용 과속 방지턱
KR102016766B1 (ko) * 2013-01-04 2019-08-30 조현경 자가발전 기능을 갖춘 과속방지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409Y1 (ko) * 2004-06-28 2004-09-10 박연동 이동식 과속방지턱
KR100554567B1 (ko) * 2005-08-26 2006-03-03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의 과속방지턱
KR100583175B1 (ko) * 2005-10-31 2006-05-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과속 방지턱
KR101115280B1 (ko) * 2010-12-15 2012-03-05 손상석 도로용 안전램프 제어 시스템
KR101490206B1 (ko) * 2014-06-10 2015-0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과속방지턱
KR101618106B1 (ko) * 2014-10-28 2016-05-04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멀티 과속방지턱과 유도봉 일체의 이동식 충돌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95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637B1 (ko) 스마트 방지턱
KR101436338B1 (ko) 에어 홀딩부를 구비한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용 고속도로 가이드 레일 시스템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US20210269995A1 (en) Safety truck attachments, and methods of safety truck use
CN106605026A (zh) 道路轮廓标和安全系统
KR20080080869A (ko)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US20060257204A1 (en) Wireless reflective marker with internal light source
US20180291573A1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102209138B1 (ko)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KR101600361B1 (ko) 시인성 확보 및 우수처리 시설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DK3092343T3 (en) ROAD SAFETY DEVICE DEVICE
KR101250532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가이드레일 장치
KR10101644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204570522U (zh) 光束虚拟立体道闸
KR200335017Y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100835849B1 (ko) 자동차 과속방지 시스템
KR20200002069U (ko) 차량 진입방지용 볼라드
KR102209137B1 (ko) 미니방지턱
KR200303370Y1 (ko) 전신주의 충격 완충 장치
KR20200026597A (ko) 도로 표지병
KR102669343B1 (ko) 유압발전 과속방지턱
CN203246379U (zh) 光束转向灯汽车
KR101192588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