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51B1 -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 Google Patents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51B1
KR102208651B1 KR1020200028744A KR20200028744A KR102208651B1 KR 102208651 B1 KR102208651 B1 KR 102208651B1 KR 1020200028744 A KR1020200028744 A KR 1020200028744A KR 20200028744 A KR20200028744 A KR 20200028744A KR 102208651 B1 KR102208651 B1 KR 102208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bump
iot
approach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이금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조이금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이금, 조성훈 filed Critical 조이금
Priority to KR102020002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되면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과속 방지턱의 유무를 알리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과속 방지턱에 접근하는 차량에 LED 조명을 발광하여 과속 방지턱이 존재함을 알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LED LIGHT BASED ON IoT FOR SPEED BUMP}
본 발명은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 조명을 발광하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에 관한 것이다.
도로 표지병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도로 차선을 알린다. 차량 운전자는 도로 표지병의 LED 조명을 인지하고, 도로 차선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도로 차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차량을 운전한다. 도로 표지병은 도로 차선 표시 이외에도 자전거 도로 표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보행자 안전 구간을 알리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과속 방지턱에는 과속 방지턱을 알리기 위한 수단이 없어 어두운 야간에는 과속 방지턱을 차량 운전자가 식별하지 못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번호 제10-1112997호,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등록번호 제20-0311382호, 노면 표지판
본 발명은 과속 방지턱의 유무를 알리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LED 조명을 발광하는 제어부; 및 상기 LED 조명이 설치된 차선의 반대 차선에 설치된 반대편 LED 조명과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반대편 LED 조명으로 LED 발광을 지시한다.
또한,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알에프 신호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송수신부; 상기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알에프 송수신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의 접근을 판단하는 접근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태양광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와 원거리 통신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 대수를 알린다.
본 발명은 과속 방지턱에 접근하는 차량에 LED 조명을 발광하여 과속 방지턱이 존재함을 알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과속 방지턱이 설치된 도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의 동작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주기 변화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이 차량 속도에 반응하여 알에프 송수신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과속 방지턱이 설치된 도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보행자 보호 구간이 설정된 도로에는 과속 방지턱(40)이 설치되고, 과속 방지턱(40)에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이 설치된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과속 방지턱(40)에 접근하는 차량(30)에 LED 조명을 발광해서 과속 방지턱(40)이 존재함을 알린다. 차량(30)의 운전자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발광을 인지하고, 차량 속도를 줄일 수 있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차량(30)이 접근함을 감지하고 과속 방지턱(40)에 접근하는 차량(30)에 LED 조명을 발광하고, LED 조명이 설치된 차선의 반대 차선에 설치된 반대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a)에 반대편 차선에 대해 LED 조명을 발광하도록 지시한다. 반대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a)은 LED 조명의 발광 지시를 수신하면 LED 조명을 발광한다. LED 조명과 반대편 LED 조명은 동일 색상의 광을 출력하거나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과속 방지턱(40)에 접근하는 차량(30)에 LED 조명을 발광함과 더불어 지나가는 차량 대수를 계산해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차량 대수 정보를 수집해서 도로 교통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린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차량 접근을 감지하기 위해 접근 감지 센서를 이용한다. 접근 감지 센서는 알에프 신호를 이용해서 차량 접근을 감지하고,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제어부(200)로 차량 접근을 알린다.
도 2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차량(3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100); 광을 출력하는 LED 모듈(700); LED 모듈(700)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800); 접근 감지 센서(100)에 의해 차량(30)의 접근이 감지되면 LED 모듈(700)을 발광하고, LED 모듈(700)이 설치된 차선의 반대 차선에 설치된 반대편 LED 모듈(700a)의 발광을 지시하고, 수광 센서(800)의 상태를 보고 LED 모듈(7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200);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300); 태양광 패널(300)에 의해 태양광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고 제어부(200)와 접근 감지 센서(1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400); 반대편 LED 조명(700a)과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500); 및 클라우드 서버(20)와 원거리 통신하는 원거리 통신부(600);를 포함한다.
접근 감지 센서(100)는 알에프 신호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송수신부(110);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알에프 송수신 시간 측정부(120); 및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의 접근을 판단하는 접근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가 접근 감지 센서(100)에 의해 차량(30)의 접근을 감지하면 LED 모듈(700)을 발광해서 제1색상인 주황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차량(30)의 운전자는 주황색 광을 보고 과속 방지턱(40)이 존재함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30)의 접근을 감지하면 근거리 통신부(500)를 통해 LED 모듈(700)이 설치된 차선의 반대 차선에 설치된 반대편 LED 조명(10a)으로 LED 발광을 지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반대편 LED 조명(10a)으로 LED 발광 지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반대편 LED 조명(10a)에 LED 발광을 지시해서 반대 차선에서 진입하는 차량(30)에 과속 방지턱(40)에 진입하는 차량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반대편 LED 조명(10a)은 제어부(200)의 LED 발광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LED 모듈(700a)을 제2색상인 빨간색 광으로 발광할 수 있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에 탑재되는 LED 모듈(700)은 과속 방지턱(40)을 차량(30)에 알리기 위해 제1색상인 주황색 LED 또는 제2색상인 빨간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 주황색 LED는 과속 방지턱에 접근하는 차량에 발광되고, 빨간색 LED는 반대 차선에 진입하는 차량에 발광된다.
제어부(200)가 반대편 LED 조명(10a)으로부터 LED 발광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색상인 빨간색 LED를 발광한다. 제어부(200)가 과속 방지턱(40)에 차량(30) 접근 또는 반대 차선에서의 과속 방지턱(40)에 차량(30) 접근에 반응해서 제1색상 또는 제2색상의 LED 모듈(700)을 발광한다.
차량(30)이 원거리에서 과속 방지턱(40)에 접근할 때 제2색상의 LED 모듈(700)이 발광하면 차량(30)의 운전자는 반대 차선에 차량(30)이 접근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차량(30)이 과속 방지턱(40)에 접근하면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이 제1색상의 LED 모듈(700)을 발광해서 차량(30) 운전자가 과속 방지턱(40)의 근접을 인지하도록 한다. 차량(30) 운전자는 원거리에서 제2색상의 LED 모듈(700) 발광을 보고 과속 방지턱(40)의 존재를 1차 인지하고, 근거리에서 제1색상의 LED 모듈(700) 발광을 보고 과속 방지턱(40)의 근접을 2차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원거리 통신부(6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로 접근 감지 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차량 대수를 알린다. 근거리 통신부(500)와 원거리 통신부(600)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이 IoT 기기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인접한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과 통신하고, 클라우드 서버(20)와 통신한다. 근거리 통신부(500)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과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원거리 통신부(600)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클라우드 서버(20)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근거리 통신부(500)와 원거리 통신부(600)는 통신 규격에 따라 하나의 통신 모듈로 통합될 수 있으며, 로라(RoLa) 또는 NB IoT를 따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는 인터넷 기반의 서버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며, 곳곳에 설치된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으로부터 차량 대수 정보를 수집해서 도로 교통 상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관리자에게 교통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버(20)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상태 정보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광 출력 레벨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광 출력 레벨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이 고장난 상태인지를 판단해서 고장난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을 교체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LED 조명에 수광 센서(800)를 통해 LED 조명의 발광 상태를 감지해서 클라우드 서버(20)로 고장 유무를 알린다. 클라우드 서버(20)는 수광 센서(800)의 광 출력 레벨을 모니터링해서 광 출력 레벨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측정하여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고장 상태를 판단한다. 클라우드 서버(20)가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의 고장 상태를 파악해서 조치하므로, 도로에 설치된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언제나 항시 양호한 동작 상태를 유지해서 차량 운전자에게 과속 방지턱의 유무를 알릴 수 있다.
도 3은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의 동작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과속 방지턱(40)에 차량(30)이 접근함을 감지하면(S10) LED 조명을 발광하고(S20), 반대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a)에 LED 조명 발광을 지시한다(S30). 반대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a)은 LED 조명을 발광한다(S40).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과속 방지턱(40)을 지나가는 차량 대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S50). 클라우드 서버는 차량 대수 정보를 저장하고(S60), 관리자 요청에 따라 차량 대수를 제공한다.
도 4는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주기 변화를 보인 예시도로,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주기를 나타내고, 제어부(200)는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주기를 이용하여 차량 속도를 측정하고, 차량 속도에 비례하여 알에프 송수신 주기를 조절한다. 도 5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이 차량 속도에 반응하여 알에프 송수신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제어부(200)는 접근 감지 센서(100)에 의한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의 변화 또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한다. 제어부(200)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한 알에프 신호의 파장 변화를 이용하여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과속 방지턱(40)에 진입하는 차량(30)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 LED 조명의 발광 주기를 짧게 해서 발광 경고를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계산되면, 제어부(200)는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 감지 센서(100)의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Δt1)를 차량(30)의 속도에 비례하여 짧게 설정한다(Δt2). 제어부(20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는 가변 주기로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조절한다.
[수학식 1]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 = 기준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 * (기준 차량 속도 - 차량 속도)/기준 차량 속도
여기서, 기준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는 기설정된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이고, 차량 속도는 차량의 속도이고, 기준 차량 속도는 차량 과속 방지턱이 설치된 차로에서의 차량 운행 제한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예를 들어, 10 km/hour)를 더한 값(예를 들어, 40 km/h) 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속도가 기준 차량 속도를 초과하면, 차량 속도를 기준 차량 속도로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조절한 다음 접근 감지 센서(100)를 이용하여 차량(30)이 과속 방지턱(40)을 지나갔는지를 감지해야 한다. 차량(30)이 과속 방지턱(40)을 지나가면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시간 후에 짧아진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기준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로 되돌린다. 제어부(200)가 접근 감지 센서(100)를 이용하여 차량(30)이 과속 방지턱(40)을 지나감을 감지하는 구성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근 감지 센서(100)는 과속 방지턱(40)에 차량(30)의 접근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제1알에프 송수신부(140)와 과속 방지턱(40)에 진입한 차량(30)의 존재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제2알에프 송수신부(150)를 포함한다. 제1알에프 송수신부(140)는 앞서 설명한 알에프 송수신부(110)의 동작과 동일하다. 제2알에프 송수신부(150)는 과속 방지턱(40)에 진입한 차량(30)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알에프 신호를 상향 방향으로 출력한다. 상향 방향으로 출력되는 알에프 신호는 과속 방지턱(40)에 차량(30)이 존재하면 차량(30)에 반사되어 제2알에프 송수신부(150)에 수신된다. 알에프 송수신 시간 측정부(120)는 제2알에프 송수신부(150)의 알에프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고, 접근 감지부(130)는 측정된 알에프 송수신 시간의 변화에 기반하여 과속 방지턱(40)에 진입한 차량의 존재를 감지한다.
제어부(200)는 과속 방지턱(40)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LED 모듈(700)의 발광을 중단시킨다. LED 모듈(700)의 발광 중단은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이 소모하는 전력량을 감소시켜 배터리(400)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킨다.
제어부(200)가 제2알에프 송수신부(150)를 이용하여 차량(30)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30)이 과속 방지턱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LED 모듈(700)의 발광 중단을 지속한다.
제어부(200)는 차량(30)이 과속 방지턱을 지나간 다음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Δt2)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고, 차량(30)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준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Δt1)로 되돌린다. 제어부(200)가 짧아진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Δt2)를 기설정된 시간 유지해서 과속 차량(30)이 과속 방지턱을 빠르게 지나쳤을 때 뒤에 따라오는 차량(30)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알에프 신호의 송신 주기가 차량(30)의 속도에 따라 조절되어 차량의 접근과 속도에 따라 적응된다. 예를 들어, 차량(30)의 속도가 기준 차량 속도에 근접하면 알에프 신호의 송신 주기가 짧아지고, 차량(30)의 속도가 기준 차량 속도에 비해 느리면 알에프 신호의 송신 주기가 길어진다. 알에프 신호의 송신 주기가 차량(30)의 접근과 속도에 따라 적응됨으로 인해 접근한 차량(30)이 과속 방지턱을 지나가고, 바로 다음 차량(30)이 과속 방지턱에 접근했을 때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10)은 다음 차량(30)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30)의 접근을 감지하는 샘플링 주기인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감소시켜 다음 차량(30)을 빠르게 감지한다. 차량(30)이 빠르게 과속 방지턱을 지나갈 때 제어부(200)는 다음 차량(30)에 빠르게 과속 방지턱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10a: 반대편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20: 클라우드 서버
30: 차량
40: 과속 방지턱
100 ,100a: 접근 감지 센서
110, 110a: 알에프 송수신부
120, 120a: 알에프 송수신 시간 측정부
130, 130a: 접근 감지부
140: 제1알에프 송수신부
150: 제2알에프 송수신부
200, 200a: 제어부
300, 300a: 태양광 패널
400, 400a: 배터리
500, 500a: 근거리 통신부
600, 600a: 원거리 통신부
700, 700a: LED 모듈
800, 800a: 수광 센서

Claims (4)

  1.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LED 조명을 발광하는 제어부; 및
    상기 LED 조명이 설치된 차선의 반대 차선에 설치된 반대편 LED 조명과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반대편 LED 조명으로 LED 발광을 지시하며,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알에프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알에프 송수신부;
    상기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알에프 송수신 시간 측정부;
    상기 알에프 신호의 송수신 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의 접근을 판단하는 접근 감지부; 및
    과속 방지턱에 진입한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알에프 신호를 상향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2알에프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접근 감지 센서의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짧게 설정하고,
    상기 알에프 송수신 시간 측정부는 상기 제2알에프 송수신부의 알에프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접근 감지부는 측정된 알에프 송수신 시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과속 방지턱에 진입한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속 방지턱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LED 조명의 발광을 중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알에프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이 상기 과속 방지턱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상기 과속 방지턱을 지나간 다음,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고,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준 알에프 신호 송신 주기로 되돌리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태양광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4. 제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와 원거리 통신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 대수를 알리는,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KR1020200028744A 2020-03-09 2020-03-09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KR102208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44A KR102208651B1 (ko) 2020-03-09 2020-03-09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44A KR102208651B1 (ko) 2020-03-09 2020-03-09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51B1 true KR102208651B1 (ko) 2021-01-28

Family

ID=7423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44A KR102208651B1 (ko) 2020-03-09 2020-03-09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859B1 (ko) * 2022-05-09 2023-03-09 주식회사 에스티엘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102654096B1 (ko) * 2023-01-19 2024-04-03 주식회사 해건 전방 차량 사고신호 정보 전달기능을 가진 지능형 델리네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82Y1 (ko) 2003-01-29 2003-04-23 (주) 미도랜드 노면 표지판
KR101112997B1 (ko) 2010-01-22 2012-02-29 정종석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KR20120058026A (ko) * 2010-11-29 2012-06-07 (주) 텔트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도로반사경 및 그의 도로 감시방법
KR20150072611A (ko) * 2013-12-20 2015-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식별이 가능한 led모듈을 갖는 과속 방지턱 및 이 제어방법
KR20190057595A (ko) * 2017-11-20 2019-05-29 유니콘스(주) 스마트 방지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82Y1 (ko) 2003-01-29 2003-04-23 (주) 미도랜드 노면 표지판
KR101112997B1 (ko) 2010-01-22 2012-02-29 정종석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KR20120058026A (ko) * 2010-11-29 2012-06-07 (주) 텔트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도로반사경 및 그의 도로 감시방법
KR20150072611A (ko) * 2013-12-20 2015-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식별이 가능한 led모듈을 갖는 과속 방지턱 및 이 제어방법
KR20190057595A (ko) * 2017-11-20 2019-05-29 유니콘스(주) 스마트 방지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859B1 (ko) * 2022-05-09 2023-03-09 주식회사 에스티엘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102654096B1 (ko) * 2023-01-19 2024-04-03 주식회사 해건 전방 차량 사고신호 정보 전달기능을 가진 지능형 델리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651B1 (ko)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US20050187701A1 (en)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EA039644B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доро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1332117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인텔리전트 led 도로 및 교통안전 표지
US11487010B2 (en) Laser ranging over-height vehicle detector system (LARA-OHVD)
CN102013174A (zh) 基于光通信的车辆碰撞预警系统
KR20120005405A (ko) 자동차 외부 가시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센서 장치
US201002138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light sensing headlight modulator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7152A (ko) 센서 노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돌 정보 전달 방법
CN202294879U (zh) 列车运行预警系统
CA3113473A1 (en) Traffic warning and data capture devices and methods
CN105894820A (zh) 一种区间测速装置
KR20150072611A (ko) 식별이 가능한 led모듈을 갖는 과속 방지턱 및 이 제어방법
CN203034392U (zh) 一种对车辆闯红灯进行加强警示的警示系统
CN102708704A (zh) 一种交互行人便携警示装置
JP5732248B2 (ja) 信号装置及び交通信号システム
KR100615748B1 (ko) 차량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6574238U (zh) 一种高速公路车速提示装置
KR100567721B1 (ko) 차량 충돌 방지용 지능형 도로 시스템
KR102193155B1 (ko)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CN113724516B (zh) 一种传递紧急交通事件的系统
CN103366509A (zh) 高速公路车祸智能报警系统及方法
CN112509287A (zh) 一种滑坡预警系统及方法
KR102654096B1 (ko) 전방 차량 사고신호 정보 전달기능을 가진 지능형 델리네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