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859B1 -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859B1
KR102507859B1 KR1020220056702A KR20220056702A KR102507859B1 KR 102507859 B1 KR102507859 B1 KR 102507859B1 KR 1020220056702 A KR1020220056702 A KR 1020220056702A KR 20220056702 A KR20220056702 A KR 20220056702A KR 102507859 B1 KR102507859 B1 KR 10250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peed
speed bump
light emitt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엘
Priority to KR102022005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립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안전 유도등; 및 속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조절하는 유도등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SPEED BUMP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A SAFETY LAMP}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유도등을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사고 또는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속도를 낮추기 위하여 도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안전 시설물로 주로 어린이 안전구역이나 교통사고다발구역 등에서의 차량 및 인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외에도 주로 공사 현장에서 도로를 가로질러 전력선이나 물의 공급이 필요할 경우에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되기도 한다.
과속방지턱은 실제로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에서 교통 사고율을 최대 60%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 시설물이지만 과속방지턱의 시공 및 관리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은 관계로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 손상을 비롯하여 운전자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며 2차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과속방지턱이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강제로 늦추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일반적인 규정 속도인 20km/h 내지 30km/h보다 빠르게 통과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머리가 차량의 천정과 충돌할 수 있으며 차체에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특히 노약자를 포함한 시력이 약한 운전자 또는 반사 신경이 느린 운전자는 갑자기 나타나는 과속방지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그대로 통과하거나 혹은 뒤늦게 인지하여 차량을 급 감속함에 따라 차량 고장 또는 교통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속방지턱을 포함하여 노면의 상태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는 경고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고장치의 경우 대부분 초음파 등을 통해 노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해당 경고장치의 특성상 전방 10m 이상의 노면 상태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의 무게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해당 경고장치의 필요성을 느끼는 운전자들이 많지 않아 해당 경고장치가 차량의 기본 장착 장치로 선택되고 있지 않다. 또한, 해당 경고장치는 경사진 길이나 커브 등의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속방지턱에 의해 야기되는 차량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안전 시스템이 필요하다.
KR 10-0216812 B KR 10-1039190 B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설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유도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차량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도등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설된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유도등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사고 또는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립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안전 유도등; 및 속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조절하는 유도등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영상 획득부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과속방지턱에 인접한 차도의 갓길에 설치되며, 자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전 유도등은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수용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발광 조립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발광기판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광 굴절 구조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는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설된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유도등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사고 또는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과속방지턱에 의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설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유도등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차량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도등 제어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설된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유도등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사고 또는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100)은 과속방지턱(50)의 전방에 매립된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은 과속방지턱(50)의 전방에 매설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은 차량(10)의 주행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는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에서 방사되는 빛을 통해 전방에 과속방지턱(50)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은 과속방지턱(50)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은 과속방지턱(5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은 1열 또는 다수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과속방지턱(50)에 인접한 차도의 갓길에 설치되어,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을 제어할 수 있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속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50)으로 접근하는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속도측정센서로는 레이더 센서, 라이더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차량(10)의 주행 속도에 따라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유도등(110)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상으로는 백색, 황색, 적색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50)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상기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영상 획득부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50)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50)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차량인지 사람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유도등 제어장치(120)는, 별도의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없이,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은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설된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유도등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사고 또는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은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과속방지턱에 의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속도측정센서(210), 조도센서(220), 영상 획득부(230), 통신부(240), 태양광 패널(250), 배터리(260), 전원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유도등 제어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유도등 제어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속도측정센서(210)는 과속방지턱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 속도 정보를 제어부(28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속도측정센서(210)로는 전파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레이더 센서, 빛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라이더 센서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도센서(또는 CDS 센서, 220)는 주변의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제어부(28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230)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영상,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영상, 과속 차량에 관한 영상, 과속방지턱에 인접한 차도 및 인도에 관한 영상 등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230)는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제어부(28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230)로는 광학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영상 획득부(230)는 생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유도등 제어장치(200)와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 간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240)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유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직렬 통신(가령, RS485, RS422, CAN 통신), 병렬 통신 등)에 따라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과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복수의 안전 유도등(11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태양광 패널(250)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또는 에너지저장장치, 260)는 태양광 패널(250)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원부(270)는 유도등 전원장치(2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 전원장치(200)의 구동 전원으로는 AC 전원,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환경에 따라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원부(270)는 터널 사용을 고려하여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는 DC/DC 컨버터, 상기 태양광 패널 또는 DC/DC 컨버터로부터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유도등 제어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유도등 제어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속도측정센서(210)를 제어하여 과속방지턱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검출된 차량 속도에 따라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조도센서(220)를 제어하여 과속방지턱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영상 획득부(23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해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과속방지턱의 인접 영역에 존재하는 객체 또는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80)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속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S305).
상기 검출된 차량 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가령, 시속 30km)를 초과하는 경우(S310),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제1 색상(가령, 적색)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1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15).
한편, 상기 검출된 차량 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가령, 시속 20km) 초과이고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S320),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제2 색상(가령, 황색)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25).
한편, 상기 검출된 차량 속도가 규정 속도, 즉 제2 임계치 이하인 경우(S330),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제3 색상(가령, 백색)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3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35).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는 발광 제어신호를 복수의 안전 유도등으로 전송하여 복수의 안전 유도등에서 방사되는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S340). 이를 통해,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차량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변경하거나 혹은 차량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점멸 주기만을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조광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45).
상기 확인 결과, 조광제어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할 수 있다(S350).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상기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S355).
유도등 제어장치(200)는 유도등 제어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305 단계 내지 355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36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등 제어장치는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차량 속도에 따라 안전 유도등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유도등(300)은 하부 케이스(310), 복수의 가스켓 부재(320), 발광 조립체, 상부 케이스(350) 및 하부 브라켓(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조립체는 실링부재(330)와 상기 실링부재(330)에 삽입되는 발광기판(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전 유도등(300)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립될 수 있다. 안전 유도등(300)은 도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노출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안전 유도등(300)은 10톤 이상의 하중을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전 유도등(300)은 길이에 비해 높이와 폭이 상당히 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안전 유도등(300)은 30㎝의 길이와 5㎝의 높이와 4.3㎝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10)는 상부 케이스(350)와 결합되어 안전 유도등(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310)는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310)는 외부의 압력 및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안전 유도등(30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케이스(310)는 케이블 및 방수 커넥터의 대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П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1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310)는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1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하부 브라켓(360)은 하부 케이스(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310)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하부 브라켓(360)은 П 모양의 하부 케이스(310)가 양 옆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가스켓 부재(320)는 하부 케이스(310)에 형성된 복수의 케이블 홀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케이블 홀들과 복수의 케이블들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안전 유도등(3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가스켓 부재(320)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각각의 가스켓 부재(320)는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가스켓 부재(320)의 중앙 부분에는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 부재(320)의 외 측면에는 방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정의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조립체는 하부 케이스(310)와 상부 케이스(350)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조립체는 발광기판(340)을 실링부재(330)에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330)는 발광기판(340)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실링부재(330)에는 발광기판(34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30)의 상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발광기판(340)이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330)는, 발광기판(34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기판(340)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링부재(33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330)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3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발광기판(340)은 과속방지턱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는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의 빛을 방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발광기판(340)은 유도등 제어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로 방사되는 빛의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발광기판(340)은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기판(340)은 1열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판(34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350)는 하부 케이스(310)와 결합되어 안전 유도등(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350)는, 발광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조립체를 보호(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350)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미도시)을 통해 하부 케이스(3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50)는 발광 조립체에서 방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350)는 광 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부 케이스(35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350)는 안전 유도등(3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50)의 내측에는 발광기판(340)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5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은 상부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광 굴절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 방향으로 굴절시켜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 유도등은 방수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 실링부재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6의 (a)는 하부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의 (b)는 하부 케이스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의 (c)는 하부 케이스를 제1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의 (d)는 하부 케이스를 제2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310)는 상부 케이스(350)와 결합되어 안전 유도등(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1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310)는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10)는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평탄부(311)와, 상기 평탄부(311)의 양 측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부(312, 313)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부(312, 313)의 일 측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314, 3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탄부(311), 제1 및 제2 수직부(312, 313), 제1 및 제2 지지부(314, 315)는 각각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10)의 평탄부(311)에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 홀들(316)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블 홀들(316)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부 케이스(310)에 두 개의 케이블 홀(316)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케이스(310)의 제1 및 제2 지지부(314, 315)에는 상부 케이스(35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 홈들(31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지지부(314, 315)에 4개의 체결 홈들(317)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케이스(310)의 배면에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31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10)의 양 측면(즉, 단 측면)에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들(31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7의 (a)는 실링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실링부재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의 (c)는 실링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30)는, 발광기판(34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기판(340)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33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 부재(330)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링부재(330)는 발광기판 수용부(331), 주름 패턴부(332), 복수의 간격 유지부들(333) 및 복수의 와이어 홀들(334)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판 수용부(331)는, 실링부재(330)의 내부에 형성되어, 발광기판(34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기판 수용부(331)는 발광기판(3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330)의 상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발광기판(340)이 삽입될 수 있다.
주름 패턴부(332)는, 실링부재(3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기판(340)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름 패턴부(332)는 발광기판(340)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기판(340)을 실링부재(330)의 내부 공간(33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주름 패턴부(332)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실링부재(330)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 패턴부(332)의 돌출부는 상부 케이스(35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간격 유지부들(333)은, 실링부재(3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330)와 하부 케이스(310)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 유지부들(333)은 실링부재(33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간격 유지부들(333)은 실링부재(3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들(333)은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와이어 홀들(334)은, 실링부재(33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다수의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각각의 와이어 홀(334)은 그 너비가 와이어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와 와이어 홀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의 (a)는 발광기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의 (b)는 발광기판을 제1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의 (c)는 발광기판을 제2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340)은 과속방지턱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는 색상 및/또는 점멸 주기의 빛을 방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광기판(340)은 회로기판(341)과, 상기 회로기판(341)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소자(342)와, 상기 회로기판(341)에 실장되는 복수의 전자부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41)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기판(341)은 PCB 기판 또는 FPCB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342)는 회로기판(341)의 상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342)는 1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발광소자(342)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최소 발광 단위를 기준으로 다수의 발광 그룹(또는 발광 패키지, 343)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발광 그룹(343)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6개의 발광소자(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342)는 회로기판(341)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발광소자(342)는 10도에서 80도 사이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342)는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황색 발광소자, 백색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소자는 LED 소자 또는 O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부품들은 복수의 발광소자(342)를 구동하기 위한 발광 구동부와 상기 발광기판(3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부품들은 회로기판(341)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9의 (a)는 상부 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의 (b)는 상부 케이스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의 (c)는 상부 케이스를 제1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의 (d)는 상부 케이스를 제2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350)는 하부 케이스(310)와 결합되어 안전 유도등(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5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350)는 안전 유도등(3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하부 케이스(310) 및 발광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3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50)의 양 측면(즉, 단 측면)에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들(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에는 하부 케이스(31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 홈들(3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50)의 상면은 중앙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차량에 의해 안전 유도등(300)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부 케이스(350)의 내측에는 발광기판(340)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354)와, 상기 광 굴절 구조부(354)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355)이 형성될 수 있다.
광 굴절 구조부(354)는 상부 케이스(350)의 배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굴절 구조부(354)에 대응하는 함몰부의 형상은 상부 케이스(350)의 배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 굴절 구조부(354)는 삼각형 모양의 두 평면으로 이루어진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굴절 구조부(354)의 단면은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굴절 구조부(354)의 단면은 미리 결정된 경사각(θ)을 갖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각(θ)을 갖는 광 굴절 구조부(354)는 발광기판(340)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355)은 상부 케이스(35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35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355)은 상부 케이스(350)의 배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355)은, 상부 케이스(35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로서, 상부 케이스(350)의 상면으로 인가되는 차량의 높은 하중을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355)은 발광기판(34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그룹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강화 플레이트(355)는 서로 인접한 제1 발광 그룹과 제2 발광 그룹 사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강화 플레이트(355)는 두께가 얇은 삼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 플레이트(355)의 두께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도록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부 케이스(350)의 배면에는 미리 결정된 광 산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 패턴은 발광기판(340)에서 방사되는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하여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110/300: 안전 유도등
120/200: 유도등 제어장치 210: 속도측정센서
220: 조도센서 230: 영상 획득부
240: 통신부 250: 태양광 패널
260: 배터리 270: 전원부
280: 제어부 310: 하부 케이스
320: 가스켓 부재 330: 실링부재
340: 발광기판 350: 상부 케이스

Claims (7)

  1. 과속방지턱의 전방에 매립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안전 유도등; 및
    속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조절하는 유도등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은 상기 과속방지턱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상기 과속방지턱에 인접한 차도 밖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과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된 주행 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된 주행 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2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측정된 주행 속도가 상기 제2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발광색을 제3 색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3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전 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영상 획득부를 이용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제어장치는 상기 과속방지턱에 인접한 차도의 갓길에 설치되며, 자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전 유도등은,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수용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발광 조립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발광기판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광 굴절 구조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는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1020220056702A 2022-05-09 2022-05-09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10250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02A KR102507859B1 (ko) 2022-05-09 2022-05-09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02A KR102507859B1 (ko) 2022-05-09 2022-05-09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859B1 true KR102507859B1 (ko) 2023-03-09

Family

ID=8551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702A KR102507859B1 (ko) 2022-05-09 2022-05-09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8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812B1 (ko) 1996-09-23 1999-09-01 류정열 자동차의 주행중 노면상태 경고장치
KR101039190B1 (ko) 2011-01-05 2011-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과속방지턱 알림장치
KR20200072035A (ko) * 2018-12-12 2020-06-22 이진우 태양열 발전 기능을 구비한 과속 방지턱
KR102208651B1 (ko) * 2020-03-09 2021-01-28 조이금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KR102303036B1 (ko) * 2020-12-22 2021-09-17 설동열 광 굴절 구조를 갖는 바닥 신호등
KR102337088B1 (ko) * 2021-07-09 2021-12-08 (주)라인테크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예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812B1 (ko) 1996-09-23 1999-09-01 류정열 자동차의 주행중 노면상태 경고장치
KR101039190B1 (ko) 2011-01-05 2011-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과속방지턱 알림장치
KR20200072035A (ko) * 2018-12-12 2020-06-22 이진우 태양열 발전 기능을 구비한 과속 방지턱
KR102208651B1 (ko) * 2020-03-09 2021-01-28 조이금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KR102303036B1 (ko) * 2020-12-22 2021-09-17 설동열 광 굴절 구조를 갖는 바닥 신호등
KR102337088B1 (ko) * 2021-07-09 2021-12-08 (주)라인테크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예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3468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KR101986162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도로표지병
US9959754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KR102304484B1 (ko)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US10774486B2 (en) Light signalling slab and system capable of using such a slab
CN106605026A (zh) 道路轮廓标和安全系统
KR102507860B1 (ko) 점자블록 바닥신호등이 설치된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CN117616487A (zh) 地面式步行信号机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2482455B1 (ko)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KR102507859B1 (ko)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20090008811U (ko) 매립형 보조신호등
KR102033922B1 (ko)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를 위한 안전 경보시스템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KR102304485B1 (ko) 컨트롤러 내장형 ups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200310581Y1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엘이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KR101132004B1 (ko) 압전소자가 적용된 교통사고 예방장치
KR101056641B1 (ko)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KR101323154B1 (ko)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KR20110028906A (ko) 엘이디전등 도로 표시장치
CN110939079A (zh) 路面式电子交通导向的指引装置及应用该指引装置的道路
US11859356B2 (en) Temporary light strip system
KR102269579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스마트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