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154B1 -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154B1
KR101323154B1 KR1020120121147A KR20120121147A KR101323154B1 KR 101323154 B1 KR101323154 B1 KR 101323154B1 KR 1020120121147 A KR1020120121147 A KR 1020120121147A KR 20120121147 A KR20120121147 A KR 20120121147A KR 101323154 B1 KR101323154 B1 KR 10132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osswalk
pedestrian crossing
ligh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기
정준화
문재필
조원범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횡단보도 방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이부와,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Crosswalk Ligh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에 설치하는 횡단보도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도로 상에 보행자가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고, 야간에는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주의 신호등을 켜거나,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조명등을 설치하여 횡단보도를 조명하고 있으나, 미관상 나쁠 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이나 태풍 등에 의하여 조명등이 파손되거나 탈착될 수 있어 보행자에게 상당한 위험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비록 반사갓이 구비되어 눈부심을 방지하고 조명방향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조명등이 지주상의 횡봉 위에 설치되어 위에서 아래로 조명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조명등의 불빛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운전자가 주위 신호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횡단보도 상의 사람 또는 물체를 인식하기가 곤란하고, 더구나 유지 보수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보수작업시 주행도로 중앙을 가로막아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하여 대기하는 대기장소에 밝기가 고려되지 않게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횡단보도 상의 사람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을 바닥으로 발광하여 보행자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하여 대기하는 대기장소에 조명을 비추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횡단보도 방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이부와,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횡단보도의 양 측과 접하는 대기장소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는 횡단보도 내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는 상기 횡단보도의 기상상태를 측정하는 기상관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관측부에서 측정한 상기 기상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 상기 정보가 인지될 수 있도록 차량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 측면에 형성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서 상기 횡단보드 내에 상기 물체를 인지하면 상기 조명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태양열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집광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상기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는 신호로 변경되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는 (a) 광센서에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광센서에서 제어부로 상기 물체를 인식한 것을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에서 조명부와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조명부에서 상기 횡단보도에 빛을 발광하는 단계; (f)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횡단보도와 상기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하여 대기하는 대기장소에 동시에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조명부의 조명을 낮게 비추어 운전자 및 보행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명부의 조명이 비추는 각을 넓게 하여 대기장소까지 빛이 도달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대기장소에 대기하는 보행자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가 설치된 횡단보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영역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에 태양집광판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에 기상관측부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가 설치된 횡단보도를 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케이스(110)와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120)와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횡단보도(10)의 양 측면에 접하는 인도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횡단보도(10)의 전체에 빛을 비추기 위하여 양쪽의 인도에 설치된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가 대각선으로 바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상기 횡단보도(10)와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한 인도를 조명으로 비출 수 있도록 넓은 각도로 빛을 분포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인도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횡단보도(10)를 건너는 보행자(40)나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10)가 너무 높으면 빛이 감소되므로 운전자나 횡단보도(10)를 건너는 보행자(40)의 시야를 좁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가 너무 낮으면 빛이 넓게 퍼지지 않으므로 횡단보도(10)의 전체에 빛을 분포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가 보행자(40)의 눈 높이나 운전자의 눈 높이와 동일한 높이이면 횡단보도(10)를 건너는 보행자(40)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므로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스(110)의 높이는 사용자의 허리 높이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에서 횡단보도(10)를 향하는 측면에는 횡단보도(10)에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1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운전자의 시야가 상기 케이스(110)를 향했을 때 보이는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은 횡단보도(10)의 제한속도, 기상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명부(1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는 LED램프(121)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횡단보도(10)를 건너는 보행자(40)의 존재를 운전자의 시야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횡단보도(10)를 향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하여 대기하는 보행자(40)들의 존재를 운전자의 시야에 전달하기 위하여 빛을 발광하는 각도를 넓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광하는 빛이 상기 횡단보도(10)의 바닥을 향하도록 상기 LED램프(121)를 상기 횡단보도(10)의 바닥을 향하도록 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램프(121)의 상부에 반사판을 구비하여 상기 LED램프(121)에서 발광하는 빛이 운전자 또는 상기 횡단보도(10)를 건너는 보행자(40)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빛을 하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수의 LED발광소자(13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에서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 상기 정보가 인지될 수 있도록 차량(30)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횡단보도(10) 내의 제한속도, 기상상태 등의 도로정보를 표출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출하는 메시지는 제한속도뿐만 아니라 심볼이나 글씨를 표출하며 풀칼라 LED발광소자(131)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의 LED발광소자(131)는 전체가 LED발광소자(131)로 구성되어 제한속도를 나타내는 속도뿐만 아니라 심볼도 LED발광소자(131)로 표현하여 제한속도 외에 주의 표시 등의 심볼이나 문장을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제한속도의 숫자만 LED발광소자(131)를 표시하거나, 테두리 및 숫자만 LED발광소자(131)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횡단보도(10)의 신호등이 상기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는 파란색 신호로 변경되면 빛을 발광하여 보행자(40)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의 빛이 발광할 때는 상기 운전자에게 블랙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파란색 신호가 되기 전에 서서히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조명부(1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출하는 정보를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광센서(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150)는 인적이 드문 도로의 횡단보도(10)에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10)의 양 측에 설치된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횡단보도(10)의 전체를 감지할 수 있게 설정된다. 상기 횡단보도(10)의 한 측에 구비된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서 물체를 감지하면 양 측의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횡단보도(10)에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150)의 광센서영역(151)은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므로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한 보행자(40)들이 대기하는 대기장소(20)와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하여 횡단보도(10)에 접근하는 보행자(40)들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부(14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의 센서가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한 대기장소(20)와 횡단보도(10)에 있을 경우에는 보행자(40)가 대기장소(20)가 횡단보도(10)를 건널 때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빛을 발광하게 된다. 그런데 보행자(40)가 빠르게 뛰어가거나 자전거 등을 타고 횡단보도(10)에 갑자기 접근을 하게 되면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빛을 발광하는 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횡단보도(10)에 접근하는 차량(30)은 갑자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기 전에 횡단보도(10)에 접근하여 갑자기 횡단보도(10)로 진입하는 보행자(40)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광센서(150)를 보행자(40)가 대기장소(20) 또는 횡단보도(10)에 접근하기 전에 인지하여 보행자(40)가 횡단보도(10)에 진입하기 전에 빛을 발광하여 운전자가 보행자(40)를 인지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는 등의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100에서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의 케이스(110)에 구비된 광센서(150)는 횡단보도(10)와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하여 대기하는 대기장소(20)에 물체를 인식하고, 상기 횡단보도(10)에 접근하는 보행자(40), 차량(30) 등의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1200은 단계 1100에서 상기 광센서(150)가 횡단보도(10)와 대기장소(20) 그리고 횡단보도(10)에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하였을 때 제어부(140)로 인식한 물체에 대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단계 1300은 단계 1200에서 상기 광센서(15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에서 인지하여 조명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단계 1400은 단계 1300에서 상기 제어부(14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은 조명부(120)가 상기 횡단보도(10)와 상기 대기장소(20)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단계 1500은 디스플레이부(130)가 단계 1300에서 상기 제어부(14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140)에서 제한속도, 기상상태 등의 횡단보도(10)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에 태양집광판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기상관측부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집광판(160)과 도로의 기상상태를 측정하는 기상관측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태양집광판(160)은 인적이 드문 지방부 도로에 설치한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를 인적이 드문 지방부 도로에 설치할 때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인력을 투입하기 힘들고 무인으로 작동을 시킬 때는 전력이 낭비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낮에 태양집광판(160)을 통해 전력을 저장하고 야간에 횡단보도(10)를 건너기 위한 보행자(40)에게 조명을 비추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태양집광판(16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서 저장한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경하는 전력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판에서 저장한 전력을 저장하여 야간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저장판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는 기상관측부(170)가 구비한다. 상기 기상관측부(170)는 수광부(172)와 발광부(171)를 구비하여 발광부(171)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반대 측 횡단보도(10) 대기장소(20)에 구비된 횡단보도 조명 장치(100)의 수광부(172)로 전송하여 상기 횡단보도(10)의 황상, 안개 등의 기상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횡단보도(10)의 시정거리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서 횡단보도(10)를 지나는 차량(30)의 운전자에게 표출할 수 있다.
상기 기상관측부(170)에서 측정한 시정거리를 상기 제어부(140)에서 인지하여 상기 조명부(1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휘도를 조절하여 상기 횡단보도(10)에 접근하는 차량(30)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10)의 상태를 표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횡단보도 20: 대기장소
30: 차량 40: 보행자
100: 횡단보도 조명 장치 110: 케이스
120: 조명부 121: LED램프
130: 디스플레이부 131: LED발광소자
140: 제어부 150: 광센서
151: 광센서영역 160: 태양집광판
170: 기상관측부 171: 발광부
172: 수광부

Claims (11)

  1. 횡단보도의 양 측과 접하는 대기장소에 각각 구비되며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도록 허리 높이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횡단보도 방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횡단보도 내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횡단보도의 기상상태를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한 상기 적외선을 전달받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기상관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 상기 정보가 인지될 수 있도록 차량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관측부에서 측정한 상기 기상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며 상기 광센서에서 상기 횡단보드 내에 상기 물체를 인지하면 상기 조명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태양열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집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상기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는 신호로 변경되면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21147A 2012-10-30 2012-10-30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KR10132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47A KR101323154B1 (ko) 2012-10-30 2012-10-30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47A KR101323154B1 (ko) 2012-10-30 2012-10-30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154B1 true KR101323154B1 (ko) 2013-10-30

Family

ID=4963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147A KR101323154B1 (ko) 2012-10-30 2012-10-30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70B1 (ko) * 2020-08-06 2021-03-24 주식회사 와이비텔 도로 안전 시설물의 레이저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777A (ja) * 2000-05-30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2006113659A (ja) * 2004-10-12 2006-04-27 Bab-Hitachi Industrial Co 注意喚起方法
KR200448358Y1 (ko) * 2008-11-24 2010-04-07 (주)코리아콤디앤아이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램프
KR101145955B1 (ko) * 2011-06-16 2012-05-1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777A (ja) * 2000-05-30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2006113659A (ja) * 2004-10-12 2006-04-27 Bab-Hitachi Industrial Co 注意喚起方法
KR200448358Y1 (ko) * 2008-11-24 2010-04-07 (주)코리아콤디앤아이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램프
KR101145955B1 (ko) * 2011-06-16 2012-05-1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70B1 (ko) * 2020-08-06 2021-03-24 주식회사 와이비텔 도로 안전 시설물의 레이저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587963B1 (ko) 도로용 시선 유도등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FI122000B (fi) Valaisinlaite ja järjestelmä liikenneväylän risteyskohdan turvallisuuden parantamiseksi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20210122474A (ko)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1323154B1 (ko)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RU2541591C1 (ru) Автономный комплекс обустройства пешеходного перехода с телеметрией на основе gsm/gprs модуля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20100128763A (ko) 안전 유도 기능을 갖는 차선 표시 장치
KR101713157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30098555A (ko) 경계라인 조명용 볼라드
KR20200127570A (ko) 배터리 잔량에 의한 밝기제어와 보행자 및 신호대기자 조사가 가능한 태양광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RU122514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нерегулируемом пешеходном переходе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KR101228191B1 (ko)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KR101447594B1 (ko) 조명장치
KR101389006B1 (ko) 횡단 보도의 조명 장치 및 조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