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641B1 -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641B1
KR101056641B1 KR1020100013435A KR20100013435A KR101056641B1 KR 101056641 B1 KR101056641 B1 KR 101056641B1 KR 1020100013435 A KR1020100013435 A KR 1020100013435A KR 20100013435 A KR20100013435 A KR 20100013435A KR 101056641 B1 KR101056641 B1 KR 10105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evice
led
led light
light emitt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운
Original Assignee
안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운 filed Critical 안동운
Priority to KR102010001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641B1/ko
Priority to PCT/KR2011/000485 priority patent/WO201109970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being retractable, i.e. having two fixed positions, one recessed, e.g. in a wall, floor or ceiling, and one extended when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엘이디 및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판부의 하부 측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기둥부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빈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침수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기둥부 및 스프링의 기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BURIED LED LIGHT-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엘이디 및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판부의 하부 측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기둥부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빈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침수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기둥부 및 스프링의 기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술은 매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통 신호등과 관련해서도 엘이디 기술의 접목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횡단보도 및 교통 신호등이 위치하는 교차로 등에서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더욱 좋은 가시성을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도로에 엘이디 발광 장치 등을 매립한 후, 엘이디 발광을 이용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엘이디 발광 장치가 도로 등에 매립되는 경우, 도로에 홈을 판 후 그 자리에 매립되어 도로와 평행한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로보다 엘이디 발광 장치가 높게 매립된 경우에는 지나가는 차에 의하여 장치가 손상될 염려가 있고, 도로보다 엘이디 발광 장치가 낮게 매립된 경우에는 도로에 홈이 생겨 운전자에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엘이디 발광 장치는 도로에 한번 매립된 후에는 높이의 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도로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도로 지형이 변하게 되는 경우 엘이디 발광 장치의 높이가 도로와 평행한 높이를 유지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엘이디 발광 장치는 엘이디가 낮과 밤의 구분없이 발광되도록 구성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햇빛이 비치는 낮 동안에는 햇빛으로 인하여 엘이디 발광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잘 알아볼 수 없으므로 낮과 밤의 구분없이 발광하는 경우 전력의 소비가 늘어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엘이디 발광 장치가 매립된 주변 지형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엘이디 발광 장치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햇빛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햇빛이 비치는 낮 동안에는 엘이디가 발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햇빛이 비치지 않는 야간이나 우천시에 엘이디가 발광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전력의 낭비가 없고 효율적인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한 솔라셀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엘이디의 발광에 필요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끌어오지 않고 자체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엘이디 및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판부의 하부 측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기둥부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빈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침수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기둥부 및 스프링의 기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는 태양광을 받아들여 전력을 생성하는 솔라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는 햇빛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햇빛이 감지되지 않는 야간이나 우천시에 상기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제1 침수 방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침수 방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침수 방지부 또는 제2 침수 방지부는 상측에서의 압력이 있는 경우,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커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과 맞닿는 상기 기둥부의 외측은 톱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톱니 형태의 이음새에 끼워짐으로써 기둥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되,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상기 기둥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가 새로운 이음새에 끼워지며, 이에 의하여 기둥부가 새로운 높이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이디 발광 장치가 매립된 주변 지형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엘이디 발광 장치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햇빛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햇빛이 비치는 낮 동안에는 엘이디가 발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햇빛이 비치지 않는 야간이나 우천시에 엘이디가 발광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전력의 낭비가 없고 효율적인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한 솔라셀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엘이디의 발광에 필요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끌어오지 않고 자체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의 외부 형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판부, 하판부 및 기둥부가 결합하는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홈과 기둥부가 톱니 형태 및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판부에 포함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주변 도로 지형의 변화에 적응하여 높이가 변하는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의 외부 형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의 외부 형태의 일실시예가 나타나 있으며, 상판부(100), 하판부(300) 및 제1 침수 방지부(400)가 포함되며, 상판부(100)는 외측으로 솔라셀(110) 및 햇빛 감지기(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120), 엘이디(130), 제어부(150), 기둥부(200), 홈(310), 고정부(312) 및 스프링(320) 관한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는 도로 등의 지형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매립된 후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엘이디의 발광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는 학교앞 어린이 보호구역, 횡단보도 보행자 유도등, 차량 정지선, 버스 전용차로 지시등, 터널 및 지하차도 중앙선 표식등, 톨게이트 진입 차로등, 각종 빌딩 지하램프 차선유도등, 공항 및 항만 차로지시등 및 공원 및 놀이시설 안전 표식등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는 솔라셀(110), 배터리(120), 엘이디(130), 햇빛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가 포함된 상판부(100), 상판부(100)의 하측에 구비된 기둥부(200), 기둥부(200)를 포함할 수 있는 홈(310) 및 기둥부(200)를 지지하는 스프링(320)을 구비하는 하판부(300) 및 상기 상판부(100)와 하판부(300) 사이의 빈 공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1 침수 방지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둥부(200) 및 스프링(320)의 기능에 의하여 장치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높이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상판부(100)는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엘이디(110) 및 상기 엘이디(110)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며, 솔라셀(110), 배터리(120) 및 햇빛 감지부(1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200)는 상판부(100)의 하부 측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판부(300)는 상기 기둥부(200)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홈(3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홈(310)에는 상기 기둥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32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상기 기둥부(200) 및 스프링(320)의 구성에 의하여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침수 방지부(400)는 상기 기둥부(200)의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판부(100)와 하판부(300)의 빈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형태의 변형 및 뒤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름 커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상기 상판부(100), 하판부(300) 및 제1 침수 방지부(4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제2 침수 방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침수 방지부(400) 및 제2 침수 방지부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는 침수 방지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판부, 하판부 및 기둥부가 결합하는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판부(100)의 하부 측으로 기둥부(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하판부(300)에는 상기 기둥부(200)를 포함할 수 있는 홈(310) 및 기둥부(20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320)이 구비된다. 이때, 각 홈(310)에는 기둥부(200)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프링(3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200)는 하판부(300)에 구비된 홈(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이 톱니 형태로 구성되며, 홈(310)은 상기 기둥부(200)를 지지하는 스프링(320) 및 상기 톱니 형태의 이음새에 끼워짐으로서 기둥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기둥부(2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가 새로운 이음새에 끼워지며, 이에 의하여 기둥부(200)가 새로운 높이로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홈과 기둥부가 톱니 형태 및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둥부(200)의 외측은 다수의 톱니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홈(310)은 스프링(320) 및 고정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의 상측 도면을 참조하면, 기둥부(200)가 홈(310)의 고정부(312)에 고정된 최초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상측으로부터의 일정 강도 이상의 압력이 있는 경우, 기둥부(200)는 압력에 의하여 홈(310)의 내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고정부(312)는 도 3의 하측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부(200)의 새로운 이음새로 이동하여 고정된다.
이때, 기둥부(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톱니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홈(310)의 하측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하측에서 상측 방향의 압력이 있는 경우 상측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기둥부(200)가 홈(310)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어야 스프링(320)의 탄성에 의한 지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둥부(200), 스프링(320) 및 고정부(312) 등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는 높이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장치가 매립된 주변의 지형이 변형된다 하더라도 변형된 지형에 적응하여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판부에 포함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판부(100)는 솔라셀(110), 배터리(120), 엘이디(130), 햇빛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솔라셀(110)은 태양광을 받아들여 전력을 생성하는 수단이다. 솔라셀(110)은 엘이디 발광 장치가 매립되는 경우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판부(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판부(100)의 상측은 장착된 솔라셀을 보호하고, 엘이디가 발광하는 경우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강화 유리나 방탄 유리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솔라셀이 상측에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예컨대, 상측의 가로측 또는 세로측을 이등분하여 한 쪽에 솔라셀을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솔라셀(1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솔라셀(110)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엘이디를 발광하는 경우, 인위적인 전기 장치 없이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상기 솔라셀(120)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배터리(120)는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충전 배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낮 동안에 솔라셀(110)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한 후, 엘이디의 발광시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엘이디(130)는 상판부(100)의 내부 측에 구비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수단이다. 엘이디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차량 정지선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교통 신호등과 같이 녹색, 황색 적색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햇빛 감지부(140)는 장치에 햇빛이 비추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상기 햇빛 감지부(140)는 현재 햇빛이 비추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에 통지하게 되며, 제어부(150)는 햇빛이 감지되지 않는 야간이나 우천시에만 상기 엘이디(130)를 발광하도록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엘이디의 발광이 시야에 잘 들어오지 않는 낮 동안에는 엘이디를 발광시키지 않고 솔라셀에 의한 충전 기능만을 수행하고, 엘이디의 발광이 시야에 잘 들어올 수 있는 야간이나 우천시에만 엘이디를 발광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솔라셀(110) 및 배터리(120)로부터 생성된 전력 및 햇빛 감지부(14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엘이디(130)의 발광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제어부(150)는 각 상황에 맞도록 엘이디(13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햇빛이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엘이디(130)를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엘이디(130)가 있는 경우 상기 엘이디(13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주변 도로 지형의 변화에 적응하여 높이가 변하는 일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상측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도로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5의 중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매립된 도로의 주변 지형이 변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의 지형이 변화되는 경우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의 높이와 도로의 높이가 평행하게 맞지 않게 된다. 이때,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의 높이 제어가 안되는 경우라면 도로 위를 지나는 차량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도 5의 중간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와 도로의 지형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 도로 위를 지나는 차량 등에 의하여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는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을 받게 된다.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부(200), 스프링(320) 및 고정부(312) 등의 구성에 의하여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총 높이가 낮아져서 고정이 되게 된다.
도 5의 하측 도면을 참조하면,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가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높이의 조절이 일어나게 되고, 높이의 조절이 일어나서 도로의 지형이 다시 평행하게 제어가 된 형태로 변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 침수 방지부(400)는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쉽게 접혀질 수 있는 주름 커텐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형태의 변형이나 뒤틀어짐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침수 방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상판부(100), 하판부(300) 및 제1 침수 방지부(4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침수 방지부가 포함된 형태로 도로에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침수 방지부 역시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높이의 변화가 있는 경우 형태의 변형이나 뒤틀어짐이 이루어지지 않는 주름 커텐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파악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판부
110 : 솔라셀
120 : 배터리
130 : 엘이디
140 : 햇빛 감지부
150 : 제어부
200 : 기둥부
300 : 하판부
310 : 홈
312 : 고정부
320 : 스프링
400 : 제1 침수 방지부

Claims (7)

  1.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에 있어서,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엘이디 및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판부의 하부 측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기둥부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빈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침수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홈과 맞닿는 상기 기둥부의 외측은 톱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톱니 형태의 이음새에 끼워짐으로써 기둥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있는 경우, 상기 기둥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가 새로운 이음새에 끼워지며, 이에 의하여 기둥부가 새로운 높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태양광을 받아들여 전력을 생성하는 솔라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햇빛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햇빛이 감지되지 않는 야간이나 우천시에 상기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제1 침수 방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침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수 방지부 또는 제2 침수 방지부는 상측에서의 압력이 있는 경우, 형태의 변형 또는 뒤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커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7. 삭제
KR1020100013435A 2010-02-12 2010-02-12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KR10105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35A KR101056641B1 (ko) 2010-02-12 2010-02-12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PCT/KR2011/000485 WO2011099705A2 (ko) 2010-02-12 2011-01-24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35A KR101056641B1 (ko) 2010-02-12 2010-02-12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641B1 true KR101056641B1 (ko) 2011-08-12

Family

ID=4436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435A KR101056641B1 (ko) 2010-02-12 2010-02-12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6641B1 (ko)
WO (1) WO20110997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7066B (zh) * 2012-10-26 2015-03-25 福建省锐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led光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334A (ja) * 1996-12-12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埋込型照明器具
KR200413570Y1 (ko) * 2006-01-20 2006-04-07 김정인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KR100888797B1 (ko) * 2007-03-15 2009-03-13 주식회사삼명사 광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내진형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334A (ja) * 1996-12-12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埋込型照明器具
KR200413570Y1 (ko) * 2006-01-20 2006-04-07 김정인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KR100888797B1 (ko) * 2007-03-15 2009-03-13 주식회사삼명사 광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내진형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705A3 (ko) 2011-11-24
WO2011099705A2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043B1 (ko)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US11227492B2 (en)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KR20120058235A (ko)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CN203834385U (zh) 一种自发光车道分道线
CN106097643A (zh) 一种用于测绘作业中的警示装置
KR20070101740A (ko) 불빛이 발광 되는 휀스용 안전캡
KR101056641B1 (ko)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1030282B1 (ko) 컬러변경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등 제어장치
KR101025635B1 (ko) 휀스용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KR101415006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도로 표지병
KR102304485B1 (ko) 컨트롤러 내장형 ups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CN205474938U (zh) 一种市政修建道路用新型警示设备
KR200420428Y1 (ko) 발광소자를 구비한 볼라드
ES2678269A1 (es) Sistema de alerta de punto de conflicto y mejora de la visibilidad de peatones en pasos de cebra
JP7426601B2 (ja) 照明システム
KR100996945B1 (ko)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116246A (ko) 자전거 전용 도로 표시용 펜스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KR102507859B1 (ko)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20200002711A (ko) 횡단보도 안전표시등 및 이를 이용한 안전표시 시스템
KR20110093411A (ko)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및 차량유도 신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유도 엘이디 발광 시스템
KR102488084B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발광 볼라드
CN215801163U (zh) 对射型激光路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