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455B1 -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455B1
KR102482455B1 KR1020220058747A KR20220058747A KR102482455B1 KR 102482455 B1 KR102482455 B1 KR 102482455B1 KR 1020220058747 A KR1020220058747 A KR 1020220058747A KR 20220058747 A KR20220058747 A KR 20220058747A KR 102482455 B1 KR102482455 B1 KR 10248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traffic
vehicle
light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55B9 (ko
Inventor
설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엘
Priority to KR102022005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55B1/ko
Publication of KR10248245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5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인접한 영역에 매립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 및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으로 전송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SMART CROSSWALK TRAFFIC SYSTEM USING BOTTOM TRAFFIC SIGN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에 매설된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대한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교통시설로서, 도로의 교차로 부근이나 보행자가 많이 다니는 곳에 주로 설치된다. 횡단보도에는 보행자를 위한 보행신호등과 차량 운전자를 위한 차량신호등이 설치되고, 이러한 교통신호등은 구조물(가령, 지주)을 통해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횡단보도는 차량과 보행자 간의 원활한 사용 기회 제공을 위해 일정한 교통신호체계에 따라 동작한다. 이를 위한 횡단보도 교통신호체계는 각 신호를 시간에 따라 분배하는 방법과 보행자의 요구에 의해 신호가 발생하는 방식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도로 면적과 차량 수가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횡단보도와 교통신호기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운전자 및 보행자 특성과 지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보행자와 차량 간의 효율적인 도로 사용을 위한 교통신호체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통신호체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차량 운전자의 과실 또는 부주의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차량이 횡단보도 전방의 차량 정지선을 지키지 않고 그냥 지나치다가 보행자를 치는 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을 지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새로운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 10-2271092 B
(특허문헌 2) KR 10-2201272 B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도로에 매설된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대한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차량신호등의 차량신호와 연동하여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매설된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인접한 영역에 매립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 및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으로 전송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을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은 횡단보도의 양측 인도에 매설된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기는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보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바닥제어신호를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기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수용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발광 조립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자기장 펄스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ID 정보 및 차선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발광기판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광 굴절 구조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는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신호등의 차량신호와 연동된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차량 정지선의 인접 영역에 매설함으로써,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대한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신호등의 차량신호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을 방사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횡단보도에서의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로에 매설된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대한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신호등의 차량신호와 연동하여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매설된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100)은 보행신호등(110), 차량신호등(120),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 교통신호 제어기(150) 및 통합 제어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100)은 통합 제어기(160)와 연동된 속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행신호등(110)은 도로의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인도에 각각 설치되며, 적색등과 녹색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가로등 구조는 물론 다양한 종류의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행신호등(110)은,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교통신호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적색등과 녹색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이 경우, 보행신호등(110)의 녹색등은 보행자의 보행 허용 신호를 나타내고, 적색등은 보행자의 보행 금지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보행자 신호등(110)은, 녹색등 점등 시, 보행 허용 시간에 대한 잔여 시간을 숫자 또는 바(bar)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차량신호등(120)은, 운전자의 정면 시야에 들어오도록 차량 주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도로 위에 설치되며, 적색, 녹색, 황색 및 녹색 화살 표시의 점/소등으로 주행 차량의 진행, 정지, 우회 등을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신호등(120)은,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교통신호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적색등, 녹색등, 황색등, 녹색 화살 표시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은 도로의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인도에 매설되어, 해당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들에게 보행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은, 교통신호 제어기(150)와 연동된 통합 제어기(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적색등과 녹색등과 황색 점멸등(또는 녹색 점멸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이때,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은 보행신호등(11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은 차량 정지선의 후방에 매설되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이 전방에 존재하는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은, 교통신호 제어기(150)와 연동된 통합 제어기(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적색등과 백색등(또는 녹색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이때,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은 차량신호등(12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은 차선의 종류(가령, 직진 차선, 좌회전 차선)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교통신호 제어기(150)는 교차로 및/또는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되며, 해당 지역의 교통 상황을 주기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최적의 교통신호등 운영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교통신호 제어기(150)는 보행신호등(110), 차량신호등(120) 및 통합 제어기(16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신호등(110), 차량신호등(120),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및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교통신호 제어기(150)는 보행신호등(110) 및 차량신호등(12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C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AC 전압 신호를 보행신호등(110), 차량신호등(120) 및 통합 제어기(160)로 출력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60)는 교차로 및/또는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되어, 교통신호 제어기(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및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기(16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보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기(16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60)는 차량 정지선에 매설된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을 차선의 종류별(가령, 직진 차선, 좌회전 차선)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바닥신호등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기(160)는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ID 정보 및/또는 차선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60)는 조도 센서(CDS)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및 차량용 바닥신호등(140)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기(160)는 보행자 및 차량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동작을 학습하여 상기 보행자 및 차량용 바닥신호등(130, 140)과 관련된 교통신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교통신호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통합 제어기(160)가 보행신호등(110)의 전주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교통신호 제어기(15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속도측정센서는 차량신호등(120)의 인접 영역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속도 정보를 통합 제어기(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속도측정센서로는 레이더 센서, 라이더 센서, 초고주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합 제어기(160)는 속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점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점멸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100)의 교통신호 제어기(150)는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제어신호를 통합 제어기(160)로 전송할 수 있다(S210). 이때, 상기 교통제어신호는 차량신호등(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제어신호와 보행신호등(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행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6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20).
통합 제어기(160)는 상기 생성된 차량용 바닥제어신호를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은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차량용 바닥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신호등(120)에 연동된 점/소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0).
한편, 통합 제어기(16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보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을 제어하기 위한 보행자용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50).
통합 제어기(160)는 상기 생성된 보행자용 바닥제어신호를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60).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은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보행자용 바닥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보행신호등(110)에 연동된 점/소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7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은 차량신호등의 차량신호와 연동된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차량 정지선의 인접 영역에 매설함으로써,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 상의 차량 정지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기(160, 300)는 통신부(310), 보호회로(320), 조도센서(330), 제1 바닥제어신호 생성부(340), 제2 바닥제어신호 생성부(350), 전원 공급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통합 제어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통합 제어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310)는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차량용 바닥신호등(140) 및 교통신호 제어기(150)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310)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유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직렬 통신(가령, RS485, RS422, CAN 통신), 병렬 통신 등)에 따라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차량용 바닥신호등(140) 및 교통신호 제어기(150)와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차량용 바닥신호등(140) 및 교통신호 제어기(15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310)는 보행제어신호 및 차량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교통제어신호를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바닥제어신호를 해당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바닥제어신호를 해당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회로(320)는 통합 제어기(300)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및/또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회로(320)에는 과전압 보호회로 또는 과전류 보호회로 등이 있다.
조도센서(330)는 횡단보도 주변의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제어부(370)로 제공할 수 있다. 조도센서(330)는 빛이 입사하면 전도성이 되는 반도체로서,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즉, 빛의 세기가 셀수록 저항이 작아짐) 광 가변저항이다. 상기 조도센서(330)로 CDS(황화카드뮴)를 주로 사용하므로 CDS 센서라 지칭하기도 한다.
제1 바닥제어신호 생성부(또는 차량용 바닥제어신호 생성부, 34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차량용 바닥신호등(140)을 차량신호등(120)과 연동하기 위함이다.
제2 바닥제어신호 생성부(또는 보행자용 바닥제어신호 생성부, 35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보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을 보행신호등(110)과 연동하기 위함이다.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 및 보행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된 파형을 갖는 AC 전압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원 공급부(36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통합 제어기(3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360)는 AC/DC 컨버터 또는 DC/DC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통합 제어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70)는 교통신호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들을 기반으로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조도센서(33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조광(dimming)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70)는 제1 및 제2 바닥제어신호 생성부(340, 350)를 제어하여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조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70)는 제1 및 제2 바닥제어신호 생성부(340, 350)에서 생성되는 DC 전압 신호의 진폭(amplitude)을 이용하여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조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370)는 제1 및 제2 바닥제어신호 생성부(340, 350)에서 생성되는 DC 전압 신호의 펄스 폭(pulse width)을 이용하여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조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370)는 제1 및 제2 바닥제어신호 생성부(340, 350)에서 생성되는 DC 전압 신호에 대해 이진 코드(binary code) 방식 또는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 방식 등을 적용하여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130, 140)의 조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기는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교통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및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140, 400)은 통신부(410), 보호회로(420), 발광 구동부(430), 발광부(440), 홀 센서(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410)는 통합 제어기(160)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410)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유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직렬 통신, 병렬 통신 등)에 따라 통합 제어기(160)와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통합 제어기(1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410)는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바닥제어신호를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회로(420)는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및/또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회로(420)에는 과전압 보호회로 또는 과전류 보호회로 등이 있다.
발광 구동부(430)는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제1 바닥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발광부(4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동신호를 발광부(440)로 제공할 수 있다.
발광부(440)는, 발광 구동부(430)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점/소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발광부(440)는 차량신호등(120)과 연동하여 적색등과 백색등(또는 녹색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상기 발광부(440)는 복수의 LED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홀 센서(450)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자기장 펄스를 센싱하는 장치이다. 홀 센서(450)는 별도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자기장 펄스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데이터를 제어부(46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장 펄스는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ID 정보와 해당 바닥신호등(400)이 설치된 차선의 종류에 관한 정보와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에서 홀 센서(450)로 제공하는 정보는 통합 제어기(160)와 공유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60)는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제1 바닥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제1 바닥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홀 센서(45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ID 정보 및/또는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의 차선 종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차량용 바닥신호등(400)은 온도 보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보상부는 발광부(440)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광 구동부(430)의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온도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보상 기능을 통해 발광부(440)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차량신호등에 연동된 점/소등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 상의 차량 정지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은 하부 케이스(510), 복수의 가스켓 부재(520), 발광 조립체, 상부 케이스(550) 및 하부 브라켓(5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조립체는 실링부재(530)와 상기 실링부재(530)에 삽입되는 발광기판(5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은 차량 정지선의 인접 영역, 즉 차량 정지선의 전방 또는 후방에 매립될 수 있다.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은 도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노출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은 10톤 이상의 하중을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은 길이에 비해 높이와 폭이 상당히 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은 30㎝의 길이와 5㎝의 높이와 4.3㎝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510)는 상부 케이스(550)와 결합되어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510)는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510)는 외부의 압력 및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케이스(510)는 케이블 및 방수 커넥터의 대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П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51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510)는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51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하부 브라켓(560)은 하부 케이스(5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510)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하부 브라켓(560)은 П 모양의 하부 케이스(510)가 양 옆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가스켓 부재(520)는 하부 케이스(510)에 형성된 복수의 케이블 홀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케이블 홀들과 복수의 케이블들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차량용 바닥신호등(5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가스켓 부재(520)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각각의 가스켓 부재(520)는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가스켓 부재(520)의 중앙 부분에는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 부재(520)의 외 측면에는 방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정의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조립체는 하부 케이스(510)와 상부 케이스(550)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조립체는 발광기판(540)을 실링부재(530)에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530)는 발광기판(540)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실링부재(530)에는 발광기판(54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30)의 상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발광기판(540)이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530)는, 발광기판(54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기판(540)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링부재(53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530)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3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발광기판(540)은 차량신호등(120)의 차량신호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을 방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발광기판(540)은 통합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제1 바닥제어신호에 따라 적색광과 백색광(또는 녹색광)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방사할 수 있다.
발광기판(540)은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기판(540)은 1열 또는 다수열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판(54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550)는 하부 케이스(510)와 결합되어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550)는, 발광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조립체를 보호(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550)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미도시)을 통해 하부 케이스(5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50)는 발광 조립체에서 방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550)는 광 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부 케이스(55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550)는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50)의 내측에는 발광기판(540)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55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상부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광 굴절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 방향으로 굴절시켜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방수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 실링부재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7의 (a)는 하부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하부 케이스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의 (c)는 하부 케이스를 제1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의 (d)는 하부 케이스를 제2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510)는 상부 케이스(550)와 결합되어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51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510)는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510)는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평탄부(511)와, 상기 평탄부(511)의 양 측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부(512, 513)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부(512, 513)의 일 측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514, 5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탄부(511), 제1 및 제2 수직부(512, 513), 제1 및 제2 지지부(514, 515)는 각각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510)의 평탄부(511)에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 홀들(516)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블 홀들(516)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부 케이스(510)에 두 개의 케이블 홀(516)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케이스(510)의 제1 및 제2 지지부(514, 515)에는 상부 케이스(55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 홈들(51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지지부(514, 515)에 4개의 체결 홈들(517)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케이스(510)의 배면에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51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510)의 양 측면(즉, 단 측면)에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들(51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의 (a)는 실링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의 (b)는 실링부재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의 (c)는 실링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530)는, 발광기판(54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기판(540)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53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 부재(530)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링부재(530)는 발광기판 수용부(531), 주름 패턴부(532), 복수의 간격 유지부들(533) 및 복수의 와이어 홀들(534)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판 수용부(531)는, 실링부재(530)의 내부에 형성되어, 발광기판(54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기판 수용부(531)는 발광기판(5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530)의 상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발광기판(540)이 삽입될 수 있다.
주름 패턴부(532)는, 실링부재(5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광기판(540)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름 패턴부(532)는 발광기판(540)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기판(540)을 실링부재(530)의 내부 공간(53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주름 패턴부(532)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실링부재(530)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 패턴부(532)의 돌출부는 상부 케이스(55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간격 유지부들(533)은, 실링부재(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530)와 하부 케이스(510)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 유지부들(533)은 실링부재(53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간격 유지부들(533)은 실링부재(5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들(533)은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와이어 홀들(534)은, 실링부재(53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다수의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각각의 와이어 홀(534)은 그 너비가 와이어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와 와이어 홀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9의 (a)는 발광기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의 (b)는 발광기판을 제1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의 (c)는 발광기판을 제2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540)은 차량신호등의 차량신호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방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광기판(540)은 회로기판(541)과, 상기 회로기판(541)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소자(542)와, 상기 회로기판(541)에 실장되는 복수의 전자부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541)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기판(541)은 PCB 기판 또는 FPCB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542)는 회로기판(541)의 상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542)는 1열 또는 다수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발광소자(542)는 차량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최소 발광 단위를 기준으로 다수의 발광 그룹(또는 발광 패키지, 543)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발광 그룹(543)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6개의 발광소자(5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542)는 회로기판(541)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발광소자(542)는 10도에서 80도 사이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542)는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백색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소자는 LED 소자 또는 O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부품들은 복수의 발광소자(542)를 구동하기 위한 발광 구동부와 상기 발광기판(5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부품들은 회로기판(541)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0의 (a)는 상부 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상부 케이스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의 (c)는 상부 케이스를 제1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의 (d)는 상부 케이스를 제2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550)는 하부 케이스(510)와 결합되어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5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550)는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40)의 내부에는 하부 케이스(510) 및 발광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5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50)의 양 측면(즉, 단 측면)에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들(5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4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에는 하부 케이스(51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 홈들(5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50)의 상면은 중앙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차량에 의해 차량용 바닥신호등(500)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부 케이스(550)의 내측에는 발광기판(540)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554)와, 상기 광 굴절 구조부(554)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555)이 형성될 수 있다.
광 굴절 구조부(554)는 상부 케이스(550)의 배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굴절 구조부(554)에 대응하는 함몰부의 형상은 상부 케이스(550)의 배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 굴절 구조부(554)는 삼각형 모양의 두 평면으로 이루어진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굴절 구조부(554)의 단면은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굴절 구조부(554)의 단면은 미리 결정된 경사각(θ)을 갖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각(θ)을 갖는 광 굴절 구조부(554)는 발광기판(540)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555)은 상부 케이스(55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55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555)은 상부 케이스(550)의 배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555)은, 상부 케이스(55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로서, 상부 케이스(550)의 상면으로 인가되는 차량의 높은 하중을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555)은 발광기판(54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그룹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강화 플레이트(555)는 서로 인접한 제1 발광 그룹과 제2 발광 그룹 사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강화 플레이트(555)는 두께가 얇은 삼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 플레이트(555)의 두께는 상부 방향으로 갈수도록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부 케이스(550)의 배면에는 미리 결정된 광 산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 패턴은 발광기판(540)에서 방사되는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하여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110: 보행신호등
120: 차량신호등 130: 보행자용 바닥신호등
140: 차량용 바닥신호등 150: 교통신호 제어기
160: 통합 제어기

Claims (8)

  1.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인접한 영역에 매립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 및
    상기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바닥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으로 전송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제어기는 차량 정지선에 매설된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차선의 종류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바닥 신호등 단위로 개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 인도에 매설된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기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보행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바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바닥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기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의 조도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수용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발광 조립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발광 조립체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발광기판에서 방사되는 빛을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광 굴절 구조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는 복수의 강화 플레이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량용 바닥신호등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자기장 펄스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용 바닥신호등의 ID 정보 및 차선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KR1020220058747A 2022-05-13 2022-05-13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KR10248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47A KR102482455B1 (ko) 2022-05-13 2022-05-13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47A KR102482455B1 (ko) 2022-05-13 2022-05-13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55B1 true KR102482455B1 (ko) 2022-12-29
KR102482455B9 KR102482455B9 (ko) 2023-03-23

Family

ID=8453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47A KR102482455B1 (ko) 2022-05-13 2022-05-13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24B1 (ko) * 2023-06-22 2024-01-29 (주)루스테크놀로지 바닥형 보행신호등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526A1 (ko) * 2009-02-25 2010-09-02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및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20130083285A (ko) * 2012-01-12 2013-07-22 채성길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2102268B1 (ko) * 2019-09-06 2020-04-20 임대영 단방향 및 양방향 겸용 매립형 항공등화
KR102202401B1 (ko) * 2020-10-28 2021-01-13 엘컴텍 주식회사 바닥 신호등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271092B1 (ko) * 2020-11-09 2021-06-30 현형호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 연동제어 시스템
KR102303036B1 (ko) * 2020-12-22 2021-09-17 설동열 광 굴절 구조를 갖는 바닥 신호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526A1 (ko) * 2009-02-25 2010-09-02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및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20130083285A (ko) * 2012-01-12 2013-07-22 채성길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2102268B1 (ko) * 2019-09-06 2020-04-20 임대영 단방향 및 양방향 겸용 매립형 항공등화
KR102202401B1 (ko) * 2020-10-28 2021-01-13 엘컴텍 주식회사 바닥 신호등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271092B1 (ko) * 2020-11-09 2021-06-30 현형호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 연동제어 시스템
KR102303036B1 (ko) * 2020-12-22 2021-09-17 설동열 광 굴절 구조를 갖는 바닥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24B1 (ko) * 2023-06-22 2024-01-29 (주)루스테크놀로지 바닥형 보행신호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55B9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546B1 (ko)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KR102507860B1 (ko) 점자블록 바닥신호등이 설치된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102482455B1 (ko)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2271092B1 (ko)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 연동제어 시스템
KR20150012873A (ko) 도로 표지병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74135A (ko) 도로 표지병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101564902B1 (ko)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2022931B1 (ko) 차선 표시 장치
KR102335547B1 (ko) 바닥형 보행 신호기 제어 시스템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KR200423179Y1 (ko) 차량용 유도장치
KR100676847B1 (ko) 반사겸용 led 도로 표지병 시스템
KR102304485B1 (ko) 컨트롤러 내장형 ups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101914363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 조명 장치
JP2004137814A (ja) 点字ブロック型補助信号灯及び交通信号装置
KR102507859B1 (ko)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101415006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도로 표지병
KR101110001B1 (ko) 측방발광형 엘이디루프램프체가 구비된 도로차선표시장치
KR102269579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스마트 표지병
KR200373641Y1 (ko) 횡단보도 정지선 조명설비장치
KR20230054139A (ko) 통신 리피터를 내장한 횡단보도용 도로표지병
KR100911243B1 (ko) 보행자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