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135A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135A
KR20230174135A KR1020220127790A KR20220127790A KR20230174135A KR 20230174135 A KR20230174135 A KR 20230174135A KR 1020220127790 A KR1020220127790 A KR 1020220127790A KR 20220127790 A KR20220127790 A KR 20220127790A KR 20230174135 A KR20230174135 A KR 2023017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cb board
emitting unit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아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아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12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135A/ko
Publication of KR2023017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발광하는 메인 발광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솔라셀의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Road marker}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쏠라셀을 통해 전력을 충전 및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 표시수단 중의 하나로서, 상기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 차선 경계선 또는 분기되는 도로의 안전지대, 횡단보도의 전방 및 과속방지 구간 등에 설치되어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야간운전 시 차량의 전조등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의 시야를 확보시켜 안전운행을 도모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도로 표지병은 다양한 형태로 전후면에 반사체를 도포 또는 부착하여 도로의 표면에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로 표지병은 돌출된 반사체에 차량으로부터 분출되는 분진 및 먼지가 도포되어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 의한 태양광, 눈, 비, 그리고 도로의 각종 이물질로 인해 부식이나 손상이 발생되어 수명 저하와 더불어 휘도가 떨어져 제 수명 및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도로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게 매립하고, 야간에는 시인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태양광의 충전에 의한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태양광 도로 표지병을 개발하여 설치 사용하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0858호에서는 태양전지판(3)을 통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도광판(5)을 통해 시인성을 향상시킨 도로 표지병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 표지병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가 컴팩트하지 못하여 도로표지병 자체의 부피가 커지며, 도광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구성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며, 도광의 효율을 최대한으로 올릴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발광하는 메인 발광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솔라셀의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의하면, 각 구성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광의 효율을 최대한으로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로서, 도 3(a)는 커버부의 상측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커버부의 하측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메인 발광부, 메인 PCB 기판, 서브 발광부 및 서브 PCB 기판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솔라셀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도광판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솔라셀이 메인 PCB 기판 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도광판이 솔라셀 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대해 메인 발광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른 개략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대해 서브 발광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른 개략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발광하는 메인 발광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솔라셀의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메인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PCB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발광부는 상기 메인 PCB 기판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솔라셀은 상기 메인 PCB 기판의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 PCB 기판과 이격되도록 상기 메인 발광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 상기 메인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PCB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솔라셀은 상기 메인 PCB 기판의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PCB 기판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브 PCB 기판; 및 상기 서브 PCB 기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서브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솔라셀 및 상기 도광판 각각은 측면이 상기 서브 PCB 기판과 대향하여 상기 서버 PCB 기판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 상기 메인 발광부는 상기 메인 PCB 기판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메인 발광부가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인 관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도광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메인 발광부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발광부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또, 상기 서브 발광부는 상기 서브 PCB 기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PCB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발광부를 포위하는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내부공간을 커버하며 광을 투과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브 PCB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로서, 도 3(a)는 커버부의 상측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커버부의 하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메인 발광부, 메인 PCB 기판, 서브 발광부 및 서브 PCB 기판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솔라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도광판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솔라셀이 메인 PCB 기판 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도광판이 솔라셀 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대해 메인 발광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대해 서브 발광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른 개략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10)을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도로 표지병(10)은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차선, 횡단보도, 도로 등의 경계를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로 표지병(10)의 적어도 일부는 도로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로 표지병(10)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케이스부(100), 베이스부(B), 고정링(R), 메인 발광부(300), 메인 PCB 기판(400), 서브 발광부(500), 서브 PCB 기판(600), 솔라셀(700), 도광판(800) 및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솔라셀(700)이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들을 생략하고 간략히 표현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로 표지병(10)의 핵심 기술적 사상을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00)는 소정의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외부의 환경(빗물, 흙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부(B)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커버부(200)와 볼트, 나사 등의 고정부재(A)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200)가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링(R)은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된 상기 커버부(200) 상에 안착되되, 상기 케이스부(100)와 볼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T)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200)가 상기 케이스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LED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메인 PCB 기판(400)은 상기 솔라셀(700) 및/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메인 발광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발광부(300)의 점멸 등을 제어할 수도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B)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 발광부(500)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LED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보다 적은 전력으로 적은 광량의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도광판(800)을 향해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서브 PCB 기판(600)은 상기 솔라셀(700) 및/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서브 발광부(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발광부(500)의 점멸 등을 제어할 수도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솔라셀(700)은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발광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광판(800)은 빛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구성으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면에 미세한 홈 또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 상의 상기 솔라셀(700)의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커버하며 상기 메인 발광부(300) 및/또는 상기 서브 발광부(500)가 발광하는 광을 외부로 투과하는 구성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로 표지병(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메인 PCB 기판(400)은 볼트, 나사 등의 고정부재(A)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상기 베이스부(B)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PCB 기판(400)과 상기 베이스부(B)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메인 PCB 기판(400)에서 발생되는 열은 이격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는 상기 메인 PCB 기판(400)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PCB 기판(400)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는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는 상기 메인 PCB 기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메인 PCB 기판(4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발광 본체부(310) 및 상기 발광 본체부(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발광 본체부(310)의 끝단에 형성되어 발광하는 발광유닛(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 본체부(310)는 합성수지 및/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발광유닛(320)은 광을 투과해야 함에 따라 투명의 합성수지 및/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솔라셀(700)은 상기 메인 PCB 기판(400)의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 PCB 기판(40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솔라셀(700)과 상기 메인 PCB 기판(400) 사이에는 이격공간(d1)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솔라셀(700) 및/또는 상기 메인 PCB 기판(400)에서 발생되는 열은 이격공간(d1)을 통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솔라셀(700)과 상기 메인 PCB 기판(400) 상호 간의 열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솔라셀(700)은 상기 메인 PCB 기판(400) 상에서 돌출 형성된 상기 메인 발광부(300) 상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 PCB 기판(400)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솔라셀(700)은 상기 메인 발광부(300)의 상기 발광 본체부(310) 상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 PCB 기판(400)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은 상기 메인 PCB 기판(400)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서브 발광부(500)는 상기 서브 PCB 기판(6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솔라셀(700) 및 상기 도광판(800) 각각은 측면이 상기 서브 PCB 기판(600)과 대향하여 상기 서버 PCB 기판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솔라셀(700)은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요동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측면이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내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 방향의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솔라셀(700)은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솔라 본체부(710) 및 상기 솔라 본체부(710)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솔라 연장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라 연장부(720)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요동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그 측면이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내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라셀(700)은 상기 메인 PCB 기판(400)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상기 메인 발광부(300) 상에 안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 방향의 상기 메인 발광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800)은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요동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측면이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내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 방향의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광판(800)은 상기 고정부재(A)와 체결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A)가 파손되거나 공차로 인해 요동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도광판(800)의 측면과 대향됨에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상기 도광판(8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도광판(800)은 상기 메인 발광부(300)가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인 관통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통공간(S3)은 상기 도광판(800)의 측면의 일부가 상기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광판(800)은 상기 관통공간(S3)을 정의하는 측면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와 대향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 방향의 상기 메인 발광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800)은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 본체부(810) 및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도광 본체부(810)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발광부(500)를 포위하는 단차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820)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내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함에 따라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내면과 측면을 포위하여,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도광판(800)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d2)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발광부(500)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도광판(800)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발광부(500)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어 상기 서브 발광부(500)가 발광하는 빛을 받아 분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메인 발광부(300)의 상기 발광유닛(320)과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d2)되어 상기 메인 발광부(300)의 상기 발광유닛(320)이 발광하는 빛을 받아 분산시켜,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시인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메인 발광부(300)가 발광하는 빛, 상기 서브 발광부(500)가 발광하는 빛 및 상기 도광판(800)이 분산시키는 빛을 외부로 투과하는 투과부(210) 및 상기 투과부(2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을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투과부(2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의 외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을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서브 PCB 기판(600)이 외력에 의해 요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투과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메인 발광부(30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함입공간(S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2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부(B)와 접촉되어 상기 내부공간(S1)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커버 연장부(2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고정부재(A)는 복수 개가 배치(예들 들어, 4개)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예를 들어, 2개)는 상기 베이스부(B)와 상기 메인 PCB 기판(400), 상기 도광판(800)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부(200)에 체결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예를 들어, 2개)는 상기 베이스부(B)와 상기 메인 PCB 기판(400)만을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앞서 설명한 고정부재(A)는 상기 도광판(800)을 고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오로지 상기 베이스부(B)와 상기 메인 PCB 기판(400)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부(200)에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부(B)와 상기 메인 PCB 기판(400)만을 체결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10)은 각 구성들이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발광부(300), 상기 서브 발광부(500) 및 상기 도광판(800)을 통해 시인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케이스부
200: 커버부
300: 메인 발광부
400: 메인 PCB 기판
500: 서브 발광부
600: 서브 PCB 기판

Claims (1)

  1. 도로 표지병.
KR1020220127790A 2022-06-20 2022-10-06 도로 표지병 KR20230174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90A KR20230174135A (ko) 2022-06-20 2022-10-06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66A KR102455018B1 (ko) 2022-06-20 2022-06-20 시인성을 향상시킨 발광형 도로 표지병
KR1020220127790A KR20230174135A (ko) 2022-06-20 2022-10-06 도로 표지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66A Division KR102455018B1 (ko) 2022-06-20 2022-06-20 시인성을 향상시킨 발광형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135A true KR20230174135A (ko) 2023-12-27

Family

ID=838035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66A KR102455018B1 (ko) 2022-06-20 2022-06-20 시인성을 향상시킨 발광형 도로 표지병
KR1020220127790A KR20230174135A (ko) 2022-06-20 2022-10-06 도로 표지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66A KR102455018B1 (ko) 2022-06-20 2022-06-20 시인성을 향상시킨 발광형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55018B1 (ko)
WO (1) WO2023249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018B1 (ko) * 2022-06-20 2022-10-18 주식회사 지앤아이테크 시인성을 향상시킨 발광형 도로 표지병
KR102619979B1 (ko) * 2022-12-16 2024-01-03 (주)씨엘테크 매립형 구조의 led 도로표지병
KR102508372B1 (ko) * 2023-01-05 2023-03-10 주식회사 이콘 솔라셀이 장착된 도로표지병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5641B2 (ja) * 1997-03-25 2005-02-02 積水樹脂株式会社 自発光式道路鋲
KR100878901B1 (ko) * 2008-09-24 2009-01-15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303313B1 (ko) * 2011-08-30 2013-09-03 주식회사 지앤아이 전 방향 투사 매립형 태양광 도로 표지병
KR101330858B1 (ko) * 2011-12-30 2013-11-18 이종훈 도로표지병
KR20140109740A (ko) * 2013-03-06 2014-09-16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매립식 도로 표지병
KR101561810B1 (ko) * 2015-03-31 2015-10-20 유재학 교통표시 모양의 태양전지모듈을 장착한 교통 표지장치
KR102007245B1 (ko) * 2019-01-10 2019-10-21 (주)엠파이브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2324262B1 (ko) * 2021-05-04 2021-11-10 권영민 매립식 도로 표지병
KR102354817B1 (ko) * 2021-10-05 2022-01-24 김지영 도로표지병
KR102455018B1 (ko) * 2022-06-20 2022-10-18 주식회사 지앤아이테크 시인성을 향상시킨 발광형 도로 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018B1 (ko) 2022-10-18
WO2023249181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74135A (ko) 도로 표지병
KR101963598B1 (ko) 엘이디 도로표지병
US6305874B1 (en) Road-marking complex and system for marking roads
CA2749166C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emitting diode
KR102523961B1 (ko) 조립식 도로 표지병
KR102324262B1 (ko) 매립식 도로 표지병
CN117616487A (zh) 地面式步行信号机
KR100992851B1 (ko)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101464104B1 (ko) 간접조광식 도로경계석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102561889B1 (ko) 동결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JP2004137814A (ja) 点字ブロック型補助信号灯及び交通信号装置
KR200403556Y1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KR100961522B1 (ko) 차량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도로 매립형 조명 장치
KR100939015B1 (ko) Led 램프
KR20070035666A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JP3615641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20120001121U (ko) 도로경계석에 장착되는 led 표지장치
EP2803911B1 (en)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distribution
KR200496938Y1 (ko) 시인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led 표지판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R102269579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스마트 표지병
KR102490460B1 (ko) 시인성 및 방수성이 개선된 바닥신호등
KR101944749B1 (ko) 반사체의 내구성 및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