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56Y1 -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56Y1
KR200403556Y1 KR20-2005-0027835U KR20050027835U KR200403556Y1 KR 200403556 Y1 KR200403556 Y1 KR 200403556Y1 KR 20050027835 U KR20050027835 U KR 20050027835U KR 200403556 Y1 KR200403556 Y1 KR 200403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lar cell
bottle
light emitt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후
Original Assignee
박종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후 filed Critical 박종후
Priority to KR20-2005-0027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을 위한 전원을 자체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면서도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제작이 용이한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류 건조기(1)는 납작한 돔 형태의 상부(2-1)와 상기 상부(2-1)의 바닥면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된 기둥 형태의 하부(2-2)로 이루어진 하우징(2), 상기 하우징 상부(2-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3),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5), 상기 태양전지(5)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여 저장하는 충전지(6), 태양광을 투과시키면서 상기 하우징 상부(2-1)를 밀봉하는 채광창(7), 및 상기 하우징 상부(2-1)의 전후방 경사면(9,10)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표시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로 표지병(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부(2-1)와 상기 하우징 하부(2-2)는 단품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하우징의 넓적한 상부와 길쭉한 하부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하우징, 더 나아가 표지병 자체의 내구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표지병의 운반이나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Pavement Marker Having a Integrated Housing}
본 고안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을 위한 전원을 자체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면서도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제작이 용이한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 표지병은 운전자가 중앙선 등 각종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장된 도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표시물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 등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주행조건 하에서도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채용되는 수단에 따라 크게 반사형과 발광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반사형 도로 표지병은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최근에는 광반사성이 뛰어난 PC 반사체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반사형 도로 표지병만으로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열악한 주행 조건 하에서 만족스러운 시선유도를 기대할 수 없었고, 이에 대한 보완수단으로 제안된 것이 발광형 도로 표지병이다. 이 발광형 도로 표지병은 따라서 발광을 위한 전원을 필요로 하며, 초기에는 전선을 이용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였으나 최근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제안된 바 있는 종래의 발광형 도로 표지병이 도 1 및 2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로 표지병(101)은 도시된 것처럼 크게 상부 절반부(103), 하부 절반부(105), 및 태양전지 조립체(107)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부 절반부(103)는 도로 표지병(101)의 본체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태양전지 조립체(107)를 결합하기 위한 조립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완만하게 경사진 전후면에는 LED 등의 발광램프(113)가 좌우로 구비된 발광창(115)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발광램프(113)의 중간에는 도시된 것처럼 반사체(117)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좌우면에는 하부 절반부(105)와의 연결을 위한 4개의 나사공(11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절반부(103)의 내부에는 또한 발광램프(113) 등 각종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물론 발광램프(113) 등이 연결된 회로기판(11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절반부(10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절반부(103)를 지지하는 지지판(121)과 이 지지판(121)의 저면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고정용 기둥(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고정용 기둥(123)은 내부에 충전지(125)가 삽입되는 삽입공(127)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21)은 삽입공(127)을 중심으로 네 모서리 부분에 상부 절반부(103)의 나사공(118)과 일치하도록 대응하는 지점에 나사공(12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부 절반부(103,105)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공(118,129)에 체결되는 결합용 나사(131)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절반부(103)의 조립홈(111)에 끼워지는 태양전지 조립체(107)는 조립홈(111)의 내벽면과 조립체(107) 케이스(133) 외벽면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연성 접착제에 의해 상부 절반부(103)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 태양전지 조립체(107)의 케이스(133)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단에는 채광창(135)이 끼워져 있고,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태양전지(137)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로 표지병(101)에 의하면, 상부 절반부(103)의 전후방 경사면에 설치된 발광램프(113)의 발광에 의해 시야 확보가 쉽지 않은 주행환경 하에서도 반사체(117)와 함께 운전자의 시선 유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에 장착된 태양전지(125)와 충전지(137)를 통해 발광램프(113)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 표지병(101)은 회로기판(119)이나 태양전지(137) 같은 주요 부품들을 보호하고 있는 상하 절반부(103,105)와 태양전지 조립체(107) 등이 모두 별도의 몸체로 제작되어 체결용 나사(131)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에 의한 충격이 반복될 때 나사(131) 등에 의한 결합부위에 손상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 표지병(101)은 차량 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나 이로 인한 진동 등이 내부로도 전달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발광램프(113)에 결선된 전선(139)이 별다른 안내 또는 지지수단 없이 그대로 회로기판(119)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부로 전달되는 진동 등으로 인해 전선(139)의 결선부위가 단락되어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도로 표지병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는 표지병의 하우징을 단품 주조에 의해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반복적인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주조 및 조립 공정을 감소시켜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내부 진동으로 인한 전선이나 부품 등의 손상을 감소시켜 내구 수명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납작한 돔 형태의 상부와 이 상부의 바닥면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된 기둥 형태의 하부로 이루어진 하우징, 이 하우징 상부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이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여 저장하는 충전지, 태양광을 투과시키면서 하우징 상부를 밀봉하는 채광창, 및 하우징 상부의 전후방 경사면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하우징 상부와 하우징 하부는 단품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은 도 4 내지 6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로 표지병과 마찬가지로 외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2), 회로기판(3), 태양전지(5), 충전지(6), 채광창(7), 및 복수의 발광 표시부(11)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도로 표지병(1)의 외부 몸체를 이루고 있는 하우징(2)은 도 5 및 6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를 이루는 상하부(2-1,2-2) 두 부분이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 위쪽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부(2-1)는 차량의 타이어와 접촉하면서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는 부분으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납작한 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육상 트랙 모양의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 상부(2-1)의 상면 중앙에는 회로기판(3), 태양전지(5), 채광창(7)이 차례로 장착되는 육상 트랙 모양의 설치공(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상부(2-1)의 설치공(8) 바닥에 설치되는 회로기판(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21) 등과 같은 각종 회로와 소자들이 장착되는 바, 충전부(21)는 태양전지(5)로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충전지(6)로 전달하여 충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회로기판(3)에는 센서부(23)가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 센서부(23)는 다름 아닌 조도센서로서, 도로 표지병(1) 주위의 조도를 확인하여 야간이나 우천 시 등과 같이 차선 등 도로표지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이 저하될 때에만 발광 표시부(11)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해준다. 센서부(23) 대신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주위 조도와 관계 없이 설정된 시간에 발광 표시부(11)가 동작 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회로기판(3)에는 발진부(25)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발진부(25) 즉, 발진회로는 발광 표시부(11) 전단에 장착되어 표시부(25)로부터 조사되는 불빛이 점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채광이 용이하도록 이 회로기판(3)의 위쪽에 장착되는 태양전지(5)는 주지된 바와 같이 입사된 태양광의 빛에너지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위쪽에는 채광과 밀봉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강도가 높으면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채광창(7)이 장착된다. 이 채광창(7)은 하우징 상부(2-1)와 동일한 외형을 유지하도록 돔 형태로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설치공(8) 측벽면과의 사이에 충진되는 연성 접착제에 의해 하우징 상부(2-1) 상면에 밀봉 부착된다. 특히, 본 고안의 채광창(7)은 도 4 및 5에 도시된 것처럼, 저면에 세로방향 중심선을 따라 중간이 끊긴 일자 형태의 보강리브(14)가 돌출되어 있어 차량 등으로부터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아래쪽의 하우징 상하부(2-1,2-2)를 통해 지면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상부(2-1)의 전후방 경사면(9,10)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표시부(11)는 도 4 및 5의 좌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 또는 반투명한 광투과성의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채광창(7)과 마찬가지로 하우징 전후방 경사면(9,11)과 동일한 외형을 유지하도록 완만한 곡면 형태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내부에 LED와 같은 발광수단(12)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발광수단(12)은 전선(17)을 통해 회로기판(3)에 결선되어 있다.
하우징 상부(2-1)와 함께 하우징(2)을 형성하도록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하부(2-2)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축소된 기둥 형태로 중심 축선을 따라 아래쪽으로 곧게 뻗어 있으며, 따라서 설치 시 도로면에 깊이 박혀 표지병(1)을 강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 하부(2-2)는 내부에 충전지(6)를 장착하기 위한 삽입공(13)이 중심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13)은 하우징 상부(2-1)의 설치공(8)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1)은 특히, 이와 같이 충전지 삽입공(13)과 설치공(8)에 연결되는 경계지점에 회로기판(3)을 설치하기 위한 기판홈(15)이 삽입공(13)과 동심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당연히 기판홈(15)은 회로기판(3)과 정합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3)의 평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때, 기판홈(15)에는 채광창(7)의 보강리브(14)가 맞닿음되어 지지되는 지지턱(16)이 중심선을 따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홈(15)의 둘레 부분에는 복수의 안내홈(19)이 각각의 발광 표시부(11)를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3)에서 발광 표시부(11)로 이어진 전선(17)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1)의 작용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1)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품으로 제작된 하우징(2)의 하우징 하부(2-2) 삽입공(13)에 충전지(6)를 삽입하고 그 위에 회로기판(3)을 장착한다. 이때 회로기판(3)은 기판홈(15) 위에 정합되며, 도시된 것처럼 중심을 향하여 지지턱(16)이 함입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로기판(3)이 H자 형태로 가운데 부분이 연결된 반원 모양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3) 위로 태양전지(5)가 장착되는 한편, 하우징(2)의 앞뒤로 즉, 도면 상 좌우로 발광 표시부(11)가 장착되고, 기판홈(1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안내홈(19) 위로 발광 표시부(11)에 결선된 전선(17)이 안착된다. 그리고 나서, 태양전지(5) 위로 채광창(7)이 덮혀져 부착되면 도로 표지병(1)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1)은 하우징 하부(2-2)가 도로면에 깊이 박히면서 일단 설치되면, 태양광의 채광이 가능한 주간에 태양전지(5)를 통해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충전지(6)에 저장한다. 그 후, 센서부(23)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조도가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충전지(6)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발진부(25)를 거쳐 발광 표시부(11)로 전달되어 비로소 발광 표시부(11)가 빛을 발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발진부(25)의 동작에 의해 발광 표시부(11)에서 발산되는 빛은 점멸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보다 효과적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에 의하면, 일정 수준 이상의 채광면적과 발광면적을 확보하면서 높이를 낮추기 위해 넓적하게 되어 있는 상부와 도로면에의 장착을 확고히 하기 위해 기둥 모양으로 길쭉하게 되어 있는 하부가 주조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제작되는 동시에, 각종 부품을 지지하는 구조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상하부가 별체로 되어 있거나 하우징 내부에 공동이 크게 존재하는 종래의 도로 표지병에 비해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되어 가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 상하부가 별체로 되어 있는 경우보다 하우징 자체의 생산 공정이나 생산된 하우징의 조립 공정 등이 단순화되거나 생략되므로 전반적인 제품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표지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로 표지병 2 : 하우징
2-1 : 하우징 상부 2-2 : 하우징 하부
3 : 회로기판 5 : 태양전지
6 : 충전지 7 : 채광창
8 : 설치공 9,10 : 전후방 경사면
11 : 발광 표시부 12 : 발광수단
13 : 삽입공 14 : 보강리브
15 : 기판홈 17 : 전선
19 : 안내홈 23 : 센서부

Claims (3)

  1. 납작한 돔 형태의 상부(2-1)와 상기 상부(2-1)의 바닥면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된 기둥 형태의 하부(2-2)로 이루어진 하우징(2), 상기 하우징 상부(2-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3),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5), 상기 태양전지(5)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여 저장하는 충전지(6), 태양광을 투과시키면서 상기 하우징 상부(2-1)를 밀봉하는 채광창(7), 및 상기 하우징 상부(2-1)의 전후방 경사면(9,10)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표시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로 표지병(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부(2-1)와 상기 하우징 하부(2-2)는 단품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충전지 삽입공(13)이 연결된 상기 하우징 상부(2-1)의 저면에 회로기판(3) 설치를 위한 기판홈(15)이 상기 삽입공(13)과 동심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홈(15)의 둘레 부분에는 상기 발광 표시부(11)에 결선된 전선(17)이 배치되는 복수의 안내홈(19)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창(7)은 저면에 중점을 지나도록 배치된 보강리브(14)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상부(2-1)의 기판홈(15)에는 상기 보강리브(14)와 맞닿음 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턱(16)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20-2005-0027835U 2005-09-28 2005-09-28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KR200403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35U KR200403556Y1 (ko) 2005-09-28 2005-09-28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35U KR200403556Y1 (ko) 2005-09-28 2005-09-28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330A Division KR20070035666A (ko) 2005-09-28 2005-09-28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56Y1 true KR200403556Y1 (ko) 2005-12-09

Family

ID=4370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835U KR200403556Y1 (ko) 2005-09-28 2005-09-28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96B1 (ko) * 2017-12-15 2019-04-02 김성태 시선 유도등
CN109594487A (zh) * 2018-11-20 2019-04-09 台州市星标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地埋式道钉
KR102027735B1 (ko) 2019-04-23 2019-10-01 박완규 교차로용 도로표지병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96B1 (ko) * 2017-12-15 2019-04-02 김성태 시선 유도등
CN109594487A (zh) * 2018-11-20 2019-04-09 台州市星标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地埋式道钉
KR102027735B1 (ko) 2019-04-23 2019-10-01 박완규 교차로용 도로표지병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598B1 (ko) 엘이디 도로표지병
KR100729910B1 (ko) 일체형 솔라 델리네이터
KR102523961B1 (ko) 조립식 도로 표지병
KR102151551B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20120073610A (ko) 도로 표지병
KR200403556Y1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KR20070035666A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JP5123188B2 (ja) 道路用標示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柱
KR101330858B1 (ko) 도로표지병
JPH11158825A (ja) 自発光式道路鋲
KR101589647B1 (ko)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KR10040503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중앙분리 표시장치
JPH083948A (ja) 自発光式道路用ブロック及び自発光式道路点滅照明装置
JP3820000B2 (ja) 道路標識柱
TWM552510U (zh) 道路凸起指示照明裝置
KR102562883B1 (ko) 저전력 광섬유 발광형 표지판
KR200394498Y1 (ko) 석재 볼라드
KR200316229Y1 (ko) 쏠라셀을 이용한 표지병
KR200337339Y1 (ko) 쏠라 노출형 표지병
KR102269579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스마트 표지병
KR200201507Y1 (ko) 공사장용 보안등
CN216339153U (zh) 一种主动发光式护栏轮廓标
KR200318085Y1 (ko) 태양전지 냉음극형광 슬림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