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457B1 -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 Google Patents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457B1
KR100864457B1 KR1020070103203A KR20070103203A KR100864457B1 KR 100864457 B1 KR100864457 B1 KR 100864457B1 KR 1020070103203 A KR1020070103203 A KR 1020070103203A KR 20070103203 A KR20070103203 A KR 20070103203A KR 100864457 B1 KR100864457 B1 KR 10086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afety
top plate
road structure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전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전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전그린
Priority to KR102007010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노면에 함몰 형성된 수용홈을 가지며, 차로를 형성하는 도로 상판과; 폐고무와 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에 매입되어 교통안전 표식을 표시하는 안전표식부재와;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도로 상판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ROAD STRUCTURE}
본 발명은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고무를 주재료로 하는 안전표식부재에 조명수단을 매입하고, 안전표식부재를 도로 상판에 매입 설치하여 노면표시 교통안전 표식을 형성한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자동차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차선에 의해 여러 개의 차로로 구획되고,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은 차선으로 구획된 차로를 따라 질서정연하게 주행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상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도로 노면에 횡단보도가 표시되어 있고, 차량의 통행이 많고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곳에 위치한 횡단보도에는 보행자용 신호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보행 및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을 안전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횡단보도와 같은 도로구조물은 형광물질 등을 함유한 융착식 도로표식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로 노면 상에 보행자선과 정지선 등의 교통안전 표식을 그려왔으나, 이러한 페인트는 도로 노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거나, 시간이 경 과함에 따라 많은 차량들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차량들의 바퀴와 페인트로 그려진 교통안전 표식이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지워지게 되므로, 도시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멀리에서 노면표시 교통안전 표식이 그려져 있음을 미리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페인트로 그려진 횡단보도의 경우, 야간이나 우천시 운전자가 보행자선과 정지선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횡단보도 상에서 빈번하게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폐고무를 재활용하여 교통안전 표식을 형성하고, 또한 그 내부에 조명수단을 구비한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에 있어서, 노면에 함몰 형성된 수용홈을 가지며, 차로를 형성하는 도로 상판과; 폐고무와 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에 매입되어 교통안전 표식을 표시하는 안전표식부재와;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도로 상판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불연재는 산화안티몬, 탈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에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상기 도로 상판에 매설된 복수의 앵커볼트와; 상기 안전표식부재의 저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는 복수의 볼트수용홈과; 내측에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와 걸림유지되는 래칫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수용홈에 장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더 포함함으로써, 교통안전 표식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명수단은, 투광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로 상판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로 상판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LED램프를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태양 빛을 흡수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는 상기 축전지에 축전되며,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된 조도가 소정의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LED램프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된 조도가 소정의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LED램프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매설되어, 상기 안전표식부재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함으로써, 동절기에 상기 안전표식부재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노면표시 도로구조물로서 횡단보도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은 차량이 주행하거나 보행자가 횡단하는 도로 상판(10)과, 도로 상판(10)에 설치되어 교통안전 표식을 표시하는 안전표식부재(20)와, 도로 상판(10)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30)을 포함한다.
도로 상판(10)에는, 노면에 보행자선 및 정지선 등의 교통안전 표식이 형성되도록,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된 복수의 수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홈(13)에는 교통안전 표식을 표시하는 안전표식부재(20)가 매입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홈(13)은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각 수용홈(13)에는 도로 상판(10)에 매설된 복수의 앵커볼트(15)가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안전표식부재(20)는 도로 상판(10)에 형성된 각 수용홈(13)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 및 단면형상을 가지며 각 수용홈(13)에 수용되며, 안전표식부재(20)의 양측면에는 안전표식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도로 상판(10)의 노면에 안착되는 걸림턱(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안전표식부재(20)는 외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에 대응하며 안정적으로 도로 상판(10)의 수용홈(13)에 수용된다. 여기서, 안전표식부재(20)의 두께는 수용홈(13)의 깊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도로 상판(10)의 노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표식부재(20)는 도로 상판(10)의 노면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고중량 대형차량의 주행에도 파손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자체 탄성에 의해 차량의 차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폐고무와 불연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전표식부재(20)는 일 실시예로서, 폐고무 분말 50∼70중량%와 불연물 30∼50중량%를 혼합하여 성형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연물은 산화안티 몬, 탈크(talc)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전표식부재(20)를 폐고무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도로 구조물의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전표식부재(20)에는, 야간이나 우천시 주행자 및 차량 운전자의 교통안전 표식에 대한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사체로서 형광 물질, 반사재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형광 물질의 경우 폐고무 분말 및 불연물에 일정량 혼합하여 성형하거나, 반사재의 경우 성형된 안전표식부재(20)의 표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안전표식부재(20)의 저면에는 도로 상판(10)의 수용홈(13)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앵커볼트(15)를 수용하는 볼트수용홈(21)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볼트수용홈(21)에는 안전표식부재(20)를 도로 상판(10)에 체결하는 체결구(25)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구(25)가 볼트수용홈(2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구(25)는 볼트수용홈(21)에 끼워맞춤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구(2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5)의 돌출된 단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앵커볼트(15)의 나사와 걸림유지되는 래칫(27)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25)의 외주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복수의 절개부(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체결구(25)와 앵커볼트(15)의 조립 및 분해시 체결구(25)의 절개부(29)가 수축 및 이완하여 체결구(25)와 앵커볼트(15)를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체결구(25)는 탄성변형 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의 안전표식부재(20)에는 도로 상판(10)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30)이 매입되어 있다. 조명수단(30)은 투광성의 하우징(31)과, 하우징(31)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램프(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31)은 삼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는 캡(미도시)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하우징(31)은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고중량 대형차량의 주행에도 파손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31)은 안전표식부재(20)의 성형시 매입되거나, 안전표식부재(20)의 성형 후 안전표식부재(20)의 내부에 표식부재 수용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안전표식부재(20)를 표식부재 수용홈에 삽입할 수도 있다.
LED램프(35)는 하우징(31)에 수용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37)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LED램프(35)는 상시 점등되거나, 점멸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된 후 점멸되는 등 운전자 및 보행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적절한 패턴으로 작동된다. 여기서, 기판(37)에는 LED램프(35) 및 후술할 조도센서(45)와 열선(51)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LED램프(35)는 기판(37)을 배제한 채 외부 전원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태양전지판과 축전지를 도로 상판(10)의 근처에 부설 하여, 태양열을 이용하여 LED램프(35)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판은 공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 빛을 전기로 변환시키며, 태양전지판은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주간에 태양전지판을 통해 태양 빛이 흡수되어 전기가 발생되면,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를 축전지에 축전하였다가, 흐린 날이나 야간에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를 광원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은 도로 상판(10)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45)를 가진다.
LED램프(35)는 조도센서(45)에 의해 측정된 조도에 의거하여 발광할 수 있다. 즉, 조도센서(45)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이 소정의 설정치를 초과하는 주간의 경우, LED램프(3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LED램프(35)를 소등한다. 그리고, 조도센서(45)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이 소정의 설정치 이하인 야간의 경우, LED램프(35)에 전원을 공급하되, 지속적으로 LED램프(35)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LED램프(35)가 순차적으로 점등된 후 점멸되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절한 패턴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조도센서(45)가 하우징(31)에 수용된 기판(37)에 설치되어 있으며, 조도센서(45)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은, 안전표식부재(20)에 매설되어 안전표식부재(20)를 가열하는 열선(51)을 더 포함한다. 열선(51)은 동절기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여, 횡단보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 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41은 안전표식부재(20)의 저부면과 수용홈(13) 사이에 개재되어 안전표식부재(20)를 수용홈(13)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은, 도로 상판(10)에 교통안전 표식을 형성하도록 노면에 복수의 수용홈(13)을 함몰 형성하고, 앵커볼트(15)가 수용홈(13)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도로 상판(10)에 매설한 후, 수용홈(13)에 접착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나서, 폐고무와 불연재로 이루어지며 도로 상판(10)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30)이 매입된 안전표식부재(20)를 수용홈(13)에 안착시킨다.
이 때, 앵커볼트(15)의 돌출 부분이 안전표식부재(20)에 장착된 체결구(25)에 의해 걸림유지되며 안전표식부재(20)가 도로 상판(10)의 수용홈(13)에 매입되어, 횡단보도의 보행자선과 정지선 등의 교통안전 표식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로 상판(10)의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45)를 구비하여, 조도센서(45)의 측정된 조도에 의거하여 조명수단(30)의 LED램프(35)를 점등 및 소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절기에는 안전표식부재(20)에 매설된 열선(51)을 작동하여, 횡단보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에 보행자선과 정지선을 표시하는 안전표식 부재를 폐고무와 불연물로 제조함과 동시에, 안전표식부재에는 도로 상판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수단의 하우징이 삼각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하우징은 삼각형 단면의 파이프형상 이외에 다각형 및 원형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노면표시 도로구조물로서 횡단보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타이어의 트레드마크처럼 마찰계수가 증가토록 도로의 정지선, 버스전용 도로 노면 전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종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의 체결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로 상판 13 : 수용홈
15 : 앵커볼트 20 : 안전표식부재
21 : 볼트수용홈 25 : 체결구
27 : 래칫 29 : 절개부
30 : 조명수단 31 : 하우징
35 : LED램프 37 : 기판
41 : 접착제층 45 : 조도센서
51 : 열선

Claims (9)

  1.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에 있어서,
    노면에 함몰 형성된 수용홈을 가지며, 차로를 형성하는 도로 상판과;
    상기 수용홈에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상기 도로 상판에 매설된 복수의 앵커볼트와;
    폐고무 및 산화안티몬 또는 탈크 중 어느 하나로 된 불연재로 이루어지며 저부면에 상기 앵커볼트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는 복수의 볼트수용홈이 형성되어 교통안전 표식을 표시하는 안전표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상기 도로 상판의 상방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내측에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와 걸림유지되는 래칫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수용홈에 장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투광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상판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태양 빛을 흡수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는 상기 축전지에 축전되며,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축전지에서 LED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표식부재에 매설되어, 상기 안전표식부재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1020070103203A 2007-10-12 2007-10-12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10086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03A KR100864457B1 (ko) 2007-10-12 2007-10-12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03A KR100864457B1 (ko) 2007-10-12 2007-10-12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457B1 true KR100864457B1 (ko) 2008-10-20

Family

ID=4017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203A KR100864457B1 (ko) 2007-10-12 2007-10-12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4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27B1 (ko) 2011-05-09 2012-05-24 이영길 차선 표시용 조명 장치
KR101210690B1 (ko) 2011-04-15 2012-12-10 김동욱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KR101740267B1 (ko) * 2016-01-06 2017-05-29 (주)씨큐넷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KR20200119342A (ko) 2018-03-07 2020-10-19 드 노라 페르멜렉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용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01884A (ko) 2020-11-20 2023-07-06 드 노라 페르멜렉 가부시키가이샤 애노드의 가속 평가 방법
KR102616782B1 (ko) * 2022-12-07 2023-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차 표시 구획 내 보행자 진입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8700U (ko) * 1990-11-19 1992-07-09
KR100655768B1 (ko) * 2006-01-18 2006-12-0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0694289B1 (ko) * 2006-11-29 2007-03-14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8700U (ko) * 1990-11-19 1992-07-09
KR100655768B1 (ko) * 2006-01-18 2006-12-0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0694289B1 (ko) * 2006-11-29 2007-03-14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690B1 (ko) 2011-04-15 2012-12-10 김동욱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KR101144127B1 (ko) 2011-05-09 2012-05-24 이영길 차선 표시용 조명 장치
KR101740267B1 (ko) * 2016-01-06 2017-05-29 (주)씨큐넷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KR20200119342A (ko) 2018-03-07 2020-10-19 드 노라 페르멜렉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용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01884A (ko) 2020-11-20 2023-07-06 드 노라 페르멜렉 가부시키가이샤 애노드의 가속 평가 방법
KR102616782B1 (ko) * 2022-12-07 2023-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차 표시 구획 내 보행자 진입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US20080286043A1 (en) Light Emitting Road Boundary Stone Using Solar Cell
US10222011B2 (en) Street lighting device including traffic sensing and communication with observer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098488A1 (en) Solar Powered Road Marker Light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KR200416773Y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KR101017867B1 (ko) 돌출형 솔라 led 도로 표지병
WO2010028544A1 (zh) 一种太阳能led指示标
KR20060065618A (ko) 도로매립형 운전자 경고등
KR101564902B1 (ko)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200416774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200413570Y1 (ko)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KR101352465B1 (ko) 커버 개폐가 가능한 led 보조신호등
KR200395641Y1 (ko) 중앙분리대 및 옹벽의 안전유도등
KR20120001121U (ko) 도로경계석에 장착되는 led 표지장치
KR200293123Y1 (ko) 쏠라발광볼라드
KR102597716B1 (ko)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CN216275342U (zh) 一种交通护栏及其自发光节能警示灯
KR20200002711A (ko) 횡단보도 안전표시등 및 이를 이용한 안전표시 시스템
CN206786465U (zh) 一种反光发光标识灯
KR20130039899A (ko) 광섬유를 사용하여 다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도로표지병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200197339Y1 (ko) 도로 교통표지판에 발광수단을 장착한 식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