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952B1 -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952B1
KR101119952B1 KR1020110030788A KR20110030788A KR101119952B1 KR 101119952 B1 KR101119952 B1 KR 101119952B1 KR 1020110030788 A KR1020110030788 A KR 1020110030788A KR 20110030788 A KR20110030788 A KR 20110030788A KR 101119952 B1 KR101119952 B1 KR 101119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afety
signal rod
road
nut block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365A (ko
Inventor
전현우
Original Assignee
(주)삼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건설 filed Critical (주)삼우건설
Publication of KR2012002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나 노인 보호구역과 같은 교통안전 구역 또는 횡단보도와 같이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는 구역에서 운전자의 경각심을 환기시켜 줌으로써, 이러한 구역으로의 차량 무단 진입을 차단하여 보행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은, 도로에 매립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지면 상으로 출몰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昇降)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端部)에 연결되는 감속기; 일단이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타단에 기어박스가 부착되는 회전축;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베벨기어; 신호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의 피동측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샤프트; 내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관통홈이 구비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나사결합되어 신호봉을 승강시키는 너트블록; 상기 너트블록과 신호봉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볼트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신호봉이 위치하는 하우징 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승강부재가 도로의 횡방향(도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Traffic safety apparatus for pedestrian crossing and variable lane}
본 발명은 교통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나 노인 보호구역과 같은 교통안전 구역 또는 횡단보도와 같이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는 구역에서 운전자의 경각심을 환기시켜 줌으로써, 이러한 구역으로의 차량 무단 진입을 차단하여 보행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보호구역(school zone)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치원 및 초등학교 주변도로 중 일정구간을 지정하여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거나 금지하고 있는 제도인데,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는 보호구역 도로표지 및 도로반사경과 과속방지시설은 물론 미끄럼방지시설과 방호울타리를 설치해야 하고, 이러한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는 등?하교 시간대에 차량의 통행이 제한되거나 주행속도가 30km/h 미만으로 제한되고 더불어 주?정차가 금지되어 있다.
또, 실버존(silver zone)은 시야가 좁아지고 청각이 저하돼 차량의 발견이 늦는 등 위기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보행속도가 늦은 노인들을 위한 제도로, 경로당이나 노인병원 등 노인의 왕래가 잦은 시설의 인근 도로에 설치되는 소위 노인보호구역인데, 실버존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주출입문을 중심으로 반경 300m 이내의 도로 중 일정구간을 보호구역으로 정하고, 보호구역 안에서 구간별?시간대별로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주행속도를 30㎞/h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어린이와 노인 보호구역 내에는 과속방지턱을 설치하고 보호구역임을 알리기 위한 표지판을 세우거나, 횡단보도와 점등 신호등만 설치되어 있을 뿐인데다 운전자들의 교통안전의식 부재 및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차량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횡단보도란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안전표지로써 표시한 도로의 일부분인데, 횡단보도에는 횡단보도표시와 함께 횡단보도표지판이 설치되고 횡단보도 신호기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횡단보도 신호기의 녹색신호시 차량들은 미리 서행운전하여 정지선 앞에 정지함으로써, 횡단보도를 통해 보행자는 차도를 횡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횡단보도 신호기에 녹색신호가 점등되어 있을지라도 일부 차량의 과속이나 무질서한 운행으로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정지선을 지키지 않아 횡단보도 표시 안쪽까지 진입하여 정지하고 있는 차량이 많아 보행자는 이런 차량들 사이를 불편하게 통과해야 하는 문제가 너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인 보호구역과 같은 교통안전 구역 또는 횡단보도와 같이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는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교통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나 노인 보호구역과 같은 교통안전 구역 또는 횡단보도와 같이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는 구역에서 운전자의 경각심을 환기시켜 줌으로써, 이러한 구역으로의 차량 무단 진입을 차단하여 교통안전 구역이나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차선의 신호등과 연동하여 가변차선의 양측 차선을 따라 교통안전 시설물을 설치하여, 가변차선의 신호에 따라 통행이 허가되는 쪽 차선과 허가되지 않는 쪽 차선의 승강수단이 서로 반대로 승강하여 도로 위로 돌출된 승강수단이 차선 분리(중앙선) 역할을 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순간적으로 바뀌는 가변차선에서 차선 착각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은, 도로에 매립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지면 상으로 출몰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昇降)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端部)에 연결되는 감속기; 일단이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타단에 기어박스가 부착되는 회전축;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베벨기어; 신호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의 피동측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샤프트; 내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관통홈이 구비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나사결합되어 신호봉을 승강시키는 너트블록; 상기 너트블록과 신호봉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볼트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신호봉이 위치하는 하우징 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승강부재가 도로의 횡방향(도로를 횡단하는 방향) 또는 가변차선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신호봉의 하단부와 너트블록 사이에는 안착볼트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볼트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공으로 너트블록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안착볼트와 기어박스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더 삽입되고, 기어박스의 상부 내측면과 베벨기어의 피동측 기어 상면 사이에는 제2스프링이 더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부재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오일씰(oil seal)이 설치되고, 오일씰의 외측면과 하우징 사이에는 외부커버가 설치되며, 외부커버의 하부로는 열선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은, 어린이나 노인 보호구역과 같은 교통안전 구역 또는 횡단보도 바로 앞에 그려진 정지선에 설치되어, 보행자 신호시에는 지면 위로 신호봉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멀리서도 운전자가 횡단보도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보행자 신호가 적색등으로 바뀌면 신호봉이 지면 아래로 내려가서 그 상단(上端)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어 차량 통행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따라서 본 교통안전 시설물은 교통안전 구역 또는 횡단보도에서의 운전자의 경각심을 환기시켜 이러한 구역으로의 차량 무단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교통안전 구역이나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은 가변차선의 양측 차선을 따라 설치되어 가변차선의 신호등과 연동하여, 가변차선의 신호등이 녹색등(↓)으로 점등되면 통행이 허가되는 쪽 차선의 신호봉이 지면 아래로 내려가서 그 상단(上端)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면서, 통행이 허가되지 않는 쪽 차선을 따라 설치된 신호봉이 지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차선 분리(중앙선) 역할을 하게 되고, 이후 가변차선의 신호등이 적색등(×)으로 바뀌면 올라가고 내려간 신호봉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바뀌게 되어 안전운행을 돕게 되므로, 시간에 따라 순간적으로 바뀌는 가변차선에서의 운전자들의 차선 착각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변차선에서 차선 착각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이 횡단보도에 설치된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의 작동 전과 후의 신호봉의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이 작동되기 전의 신호봉 상단 주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신호봉 작동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에서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을 가변차선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횡단보도 바로 앞에 그어진 정지선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정지신호가 켜지거나 도로를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도로변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도로의 노면 위로 일정 높이만큼 신호봉(또는 블록부재)이 돌출되게 함으로써, 멀리서도 운전자가 횡단보도 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미리 속도를 줄이고 정지하여 횡단보도에서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교통안전 시설물은, 도로에 매립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지면 상으로 출몰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昇降)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한다.
승강부재는 차량이 통행할 때는 상면이 도로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되었다가,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때는 차량이 정지해야 하므로 승강부재가 일정 높이만큼 도로 표면에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부재는 신호봉(30)이거나 블록부재(40)인데, 신호봉(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봉(棒) 형상이고, 도로의 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며, 각 신호봉(30)은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도 1 참조). 또한 승강부재가 블록부재(40)인 경우 블록부재(40)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이고, 도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게 된다(도 5 참조).
승강부재의 외측면에는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야광테이프,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또는 발광하는 LED(33) 등을 부착하여 문자나 도형을 형성해 둠으로써, 운전자의 식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동수단은 모터(20)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승강부재에 전달하여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0), 모터의 구동축(21) 단부(端部)에 연결되는 감속기(22), 일단이 감속기(22)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기어박스(24)가 부착되는 회전축(23), 기어박스(24)의 내부에 위치하는 베벨기어(24b), 신호봉(30)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베벨기어(24b)의 피동측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샤프트(25), 신호봉(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관통홈이 구비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스크류샤프트(25)가 나사결합되어 신호봉(30)을 승강시키는 너트블록(26), 신호봉(30)의 하단부와 너트블록(26) 사이에는 안착볼트(27)를 구비하며, 내부에 승강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31) 하단은 기어박스(24)의 상면에 결합 고정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샤프트(25)의 외측으로는 보강대(도면부호 미지정)를 더 설치하여 스크류샤프트(25)를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미설명부호 24a는 회전축(23)이 기어박스(24)의 측면으로 관통될 때 회전축(23)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구비되는 베어링이며, 승강부재가 신호봉(30)인 경우 기어박스(24)는 각 신호봉(30)마다 구비되고, 인접하는 기어박스 내부에 위치한 베벨기어에 회전축을 연결하여 구동하며, 승강부재가 블록부재(40)인 경우에는 하나의 블록부재(40)에 2~4개의 기어박스만 구비하면 블록부재(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신호봉(30)의 하단부와 너트블록(26) 사이에는 안착볼트(27)는 하우징(31)의 하측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도면부호 미지정)에 얹혀져서 위치하게 되며(도 4 참조), 안착볼트(27)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공으로 너트블록(2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승강부재가 구동수단에 주는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착볼트(27)와 기어박스(24) 사이에는 제1스프링(28)을 삽입하며, 기어박스(24)의 상부 내측면과 베벨기어(24b)의 피동측 기어 상면 사이에는 제2스프링(29)을 더 삽입한다.
안착볼트(27)의 머리부분 상면에 하우징(31)의 하단이 앉혀지게 되고, 안착볼트(27)의 나선이 형성된 축부분은 하우징(31)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안착볼트(27)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진 너트블록(26)과의 결합 관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착볼트(27)의 머리부분 외측면에서 중심(관통공)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구멍을 형성(예를 들면 4개)하여, 구멍에 스텐볼(27c)과 스프링(27b)을 삽입하고 볼트(27a)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너트블록(26)의 외면에도 스텐볼(27c)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약간의 구형 홈을 형성해 두어야 한다.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릴 때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승강부재의 외측면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부재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단면이 '⊃' 형상의 오일씰(oil seal, 34)을 설치하고, 오일씰(34)의 외측면과 하우징(31) 사이에는 외부커버(35)를 설치하며, 외부커버(35)의 하부로는 열선(32)을 설치하여 눈이 내릴 때도 눈이 쌓이지 않게 하여 승강부재의 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20)는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모터(20)를 지상의 일정 높이에 설치함으로써, 비가 많이 내려 도로가 침수되었을 경우에도 모터(20)가 물에 잠기지 않게 하여 승강부재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교통 신호등과 연동하여 제어되게 하거나,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보행자가 지상에 별도로 설치한 버튼(미도시)을 눌러서 작동하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을 횡단보도에 설치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설물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차선에도 설치할 수 있다. 가변차선에 설치할 경우에는 가변차선의 양측 차선을 따라 신호봉을 설치하고 가변차선의 신호에 따라 승강부재가 출몰하도록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변차선의 신호등이 녹색등(↓)으로 점등되면 통행이 허가되는 쪽 차선의 신호봉이 지면 아래로 내려가서 그 상단(上端)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면서, 통행이 허가되지 않는 쪽 차선을 따라 설치된 신호봉이 지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차선 분리(중앙선) 역할을 하게 되며, 이후 가변차선의 신호등이 적색등(×)으로 바뀌면 올라가고 내려간 신호봉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바뀌게 된다. 신호봉(블록부재 포함)의 작동에 대하여는 횡단보도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어부
20 : 모터 21 : 구동축
22 : 감속기 23 : 회전축
24 : 기어박스 25 : 스크류샤프트
26 : 너트블록 27 : 안착볼트
28 : 제1스프링 29 : 제2스프링
30 : 신호봉 31 : 하우징
32 : 열선 33 : LED
34 : 오일씰(oil seal) 35 : 외부커버
40 : 블록부재

Claims (14)

  1. 도로에 매립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지면 상으로 출몰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昇降)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端部)에 연결되는 감속기;
    일단이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타단에 기어박스가 부착되는 회전축;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베벨기어;
    신호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의 피동측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샤프트;
    내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관통홈이 구비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나사결합되어 신호봉을 승강시키는 너트블록;
    상기 너트블록과 신호봉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볼트;
    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신호봉이 위치하는 하우징 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승강부재가 도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부재이고, 상기 블록부재는 도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볼트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공으로 너트블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볼트의 머리부분 외측면에서 관통공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에 스텐볼과 스프링을 삽입하고 볼트를 체결하여 안착볼트와 너트블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볼트와 기어박스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 내측면과 베벨기어의 피동측 기어 상면 사이에는 제2스프링이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오일씰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씰의 외측면과 하우징 사이에는 외부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로는 열선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는,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야광테이프 또는 LED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교통 신호등과 연동하여 제어되거나, 별도로 설치한 버튼을 눌러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설물.
  14. 도로에 매립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지면 상으로 출몰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昇降)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端部)에 연결되는 감속기;
    일단이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타단에 기어박스가 부착되는 회전축;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베벨기어;
    신호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의 피동측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샤프트;
    내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관통홈이 구비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나사결합되어 신호봉을 승강시키는 너트블록;
    상기 너트블록과 신호봉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볼트;
    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신호봉이 위치하는 하우징 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승강부재가 가변차선의 양측 차선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20110030788A 2010-08-19 2011-04-04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1119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24 2010-08-19
KR20100008724 2010-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365A KR20120024365A (ko) 2012-03-14
KR101119952B1 true KR101119952B1 (ko) 2012-03-16

Family

ID=44957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788A KR101119952B1 (ko) 2010-08-19 2011-04-04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20110030804A KR101064628B1 (ko) 2010-08-19 2011-04-04 휴대용 간이 바리케이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804A KR101064628B1 (ko) 2010-08-19 2011-04-04 휴대용 간이 바리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119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4002A (zh) * 2019-05-22 2019-10-22 江苏科创交通安全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道路交通网络中的车辆三级诱导控制方法及系统
CN111402615A (zh) * 2020-04-08 2020-07-10 王爱伶 一种基于导航信息的可变车道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6984B (zh) * 2013-04-22 2015-01-07 东南大学 一种城市交叉口可变导向车道转向功能变换触发方法
KR101477189B1 (ko) * 2013-07-30 2014-12-30 대명건설산업(주) 도로의 불법 유턴을 방지할 수 있는 유턴방지시설
KR101718635B1 (ko) * 2015-11-27 2017-03-22 이명식 복수개의 볼라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식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KR101915266B1 (ko) * 2017-02-16 2018-11-06 주식회사 싸이베리어 이동식 바리케이드
KR101946610B1 (ko) * 2018-03-28 2019-02-11 오정오 체인을 이용한 차단수단을 갖는 인출형 주차차단기
KR101929155B1 (ko) * 2018-04-30 2019-03-12 이권이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KR101986624B1 (ko) * 2018-08-23 2019-06-07 이기섭 지능형 휴대용 도로 비상 상황 표시장치
CN113914159A (zh) * 2021-11-12 2022-01-11 南京林业大学 一种基于双潮汐护栏的多用途车道实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196Y1 (ko) * 1994-10-21 1997-06-19 김성주 가변도로에 있어서의 중앙분리 안내 표시장치
KR0181597B1 (ko) * 1996-07-04 1999-04-01 원백희 횡단보도의 인명보호용 안전장치
KR200265858Y1 (ko) * 2001-07-31 2002-02-25 주식회사 3국산업 차선유도 자동장치
JP2005320795A (ja) 2004-05-11 2005-11-17 Nishikawa Shoji Kk 昇降式ポ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2243B2 (ja) * 1995-04-27 1998-06-04 三興商事株式会社 警報ロボット装置
JP4100825B2 (ja) * 1999-06-08 2008-06-11 仁之輔 木下 標識装置
KR20030071701A (ko) * 2003-08-12 2003-09-06 김정명 불법주차 방지장치
KR100490960B1 (ko) * 2005-01-14 2005-05-24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196Y1 (ko) * 1994-10-21 1997-06-19 김성주 가변도로에 있어서의 중앙분리 안내 표시장치
KR0181597B1 (ko) * 1996-07-04 1999-04-01 원백희 횡단보도의 인명보호용 안전장치
KR200265858Y1 (ko) * 2001-07-31 2002-02-25 주식회사 3국산업 차선유도 자동장치
JP2005320795A (ja) 2004-05-11 2005-11-17 Nishikawa Shoji Kk 昇降式ポ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4002A (zh) * 2019-05-22 2019-10-22 江苏科创交通安全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道路交通网络中的车辆三级诱导控制方法及系统
CN111402615A (zh) * 2020-04-08 2020-07-10 王爱伶 一种基于导航信息的可变车道控制方法
CN111402615B (zh) * 2020-04-08 2021-10-26 王爱伶 一种基于导航信息的可变车道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365A (ko) 2012-03-14
KR101064628B1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200400235Y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663929B1 (ko) 스쿨존 횡단보도 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CN201212136Y (zh) 城市道路交叉路口行人安全防护装置
JP2010522917A (ja) 進入検出器及び警報機を備えた歩行者用交差路
EP2390860A1 (en) Signaling equipment for safe crossing of a street
CN106875748B (zh) 人行横道智能防冲撞系统的控制方法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CN111968381B (zh) 一种基于动态交通信息的道路交通预警系统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20190061602A (ko) 차량 통제용 스마트 안내 시스템
KR101572199B1 (ko) 노면전차 노선에 설치되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KR101740267B1 (ko)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CN209907131U (zh) 一种自动式行人过街装置
KR100949180B1 (ko) 세이프존에서의 차량 제어장치
CN210063011U (zh) 有轨电车城市平交道口智能防护装置
CN113793514A (zh) 施工道路周边地块出入口交通安全警示系统
JP2009127415A (ja) 警告表示装置を用いた警告表示システム及び警告表示装置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KR200389202Y1 (ko) 횡단보도용 표시장치
US20040027828A1 (en) Indication apparatus using beam
KR200191096Y1 (ko) 교통신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