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232B1 -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 Google Patents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232B1
KR102275232B1 KR1020200154610A KR20200154610A KR102275232B1 KR 102275232 B1 KR102275232 B1 KR 102275232B1 KR 1020200154610 A KR1020200154610 A KR 1020200154610A KR 20200154610 A KR20200154610 A KR 20200154610A KR 102275232 B1 KR102275232 B1 KR 10227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rbon heating
slip
groove
bounda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화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박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박선화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Priority to KR102020015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for preventing ice formation or for loosening ice, e.g. special additives to the paving material, resilient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주변의 인도의 경계석상에서의 결빙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우수 및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여 전기사용료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Boundary stone non-slip block with carbon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주변의 인도의 경계석상에서의 결빙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우수 및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여 전기사용료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버스정류소에 설치된 탄소발열의자는 대중적으로 호응을 받고 있으며, 추후에도 설치될 예정이다.
그러나, 보행자에 대한 미끄럼방지 기능으로 눈, 비, 서리, 결빙 등으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보행 불능현상과 일반인의 낙상사고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본체표면에 다수의 금속알갱이를 일체로 부착하여 접지력을 좋게 하면서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겨울철 빙판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결빙방지 및 눈녹임용 미끄럼방지판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8485호 등으로 제안됨과 더불어 정류장에 스노우멜팅을 설치하여 미끄럼방지를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화강석의 경계석을 제외하여 버스를 타고 내릴 때 경계석상에서의 낙상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버스정류장 등에서 눈, 비, 서리, 결빙 등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상에 설치가 용이하여 경계석상의 낙상사고를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사용료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8485호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주변의 인도의 경계석상에서의 결빙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우수 및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여 전기사용료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내측에 탄소발열체가 구비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상부에 슬립방지돌기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커버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블럭부는 탄성재질의 하부블럭부재와; 상기 하부블럭부재의 상부에 접합되는 탄성재질의 상부블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럭부재와 상기 상부블럭부재 사이에 상기 탄소발열체가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되는 금속망부재와; 상기 금속망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탄소발열체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럭부의 측면 중 상기 경계석 주변의 인도방향을 향하는 측면부위에 상기 인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고, 상부면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슬립방지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경계석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 사이의 상기 블럭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경계석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부의 슬립방지돌기 중 상기 블럭부의 고정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슬립방지돌기와 상기 고정홈 사이의 상기 커버판부의 하부면에 상기 블럭부의 고정홈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블럭부의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부의 슬립방지돌기 중 상기 블럭부의 고정공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슬립방지돌기의 내측에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립방지돌기의 관통공과 상기 블럭부의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경계석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탄소발열체의 하부방향의 상기 블럭부의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의 홈의 중간부에 상기 블럭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블럭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조블럭부 주변의 상기 홈에 복수의 엠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소발열체는 상기 블럭부의 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럭부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럭부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전측과 후측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 및 상기 노출홈과 연통되는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이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슬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노출홈에 실리콘수지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출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홈을 폐쇄하는 폐쇄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부의 삽입구로부터 슬리브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부의 삽입구에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마감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탄소발열체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가 감지한 온도값 및 상기 눈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탄소발열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주변의 인도의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블럭부의 내측에 구비된 탄소발열체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을 통해 특히, 겨울철에 눈, 비, 서리 등으로 인해 상기 경계석상에서 발생하는 결빙현상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결빙현상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상기 경계석의 상부에 상기 블럭부의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전기사용료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블럭부의 하부블럭부재와 상부블럭부재 사이에 탄소발열체, 금속망부재 및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블럭부의 하부블럭부재와 상부블럭부재 사이에 탄소발열체, 금속망부재 및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블럭부의 내측에 탄소발열체, 금속망부재 및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8은 블럭부의 삽입구에 마감캡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블럭부의 삽입구로부터 마감캡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복수의 블럭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평면도이고,
도 12는 블럭부의 노출홈에 실리콘수지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블럭부의 상부에 커버판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블럭부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5는 경계석의 상부로부터 블럭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경계석의 상부에 블럭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블럭부의 노출홈으로부터 폐쇄판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블럭부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3의 블럭부의 하부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블럭부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0의 블럭부의 홈에 복수의 엠보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블럭부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블럭부(10)와 커버판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블럭부(10)는 화강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다.
도 5는 블럭부의 하부블럭부재와 상부블럭부재 사이에 탄소발열체, 금속망부재 및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블럭부(10)의 내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소섬유발열선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소발열체(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블럭부의 하부블럭부재와 상부블럭부재 사이에 탄소발열체, 금속망부재 및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0)는 하부블럭부재(110)와 상부블럭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블럭부재(110)와 상기 상부블럭부재(120)는 각각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블럭부재(110)와 상기 상부블럭부재(120) 사이에 금속망부재(12)와 전원공급라인(13)이 구비될 수 있다.
철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금속망부재(12)의 상부에 상기 탄소발열체(11)가 지그재그식으로 수평안착된 상태로 상기 금속망부재(12)의 상부에 상기 탄소발열체(11)가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은 상기 블럭부(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은 상기 금속망부재(12)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에 수평안착된 상태로 상기 금속망부재(12)의 상부 타측에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블럭부의 내측에 탄소발열체, 금속망부재 및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복처리된 상기 탄소발열체(11)의 전측은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의 Gnd라인(131)에 연결될 수 있다.
피복처리된 상기 탄소발열체(11)의 후측은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의 Vcc라인(1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블럭부재(110)과 상기 상부블럭부재(120) 사이에 상기 탄소발열체(11), 상기 금속망부재(12)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이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부블럭부재(110)의 상부에 상기 상부블럭부재(120)가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블럭부(10)의 내측에 상기 탄소발열체(11)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블럭부의 삽입구에 마감캡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블럭부의 삽입구로부터 마감캡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럭부(10)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출홈(18)과 삽입구(1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홈(18)은 전측노출홈(181)과 후측노출홈(18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노출홈(181)은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의 전측 상부방향의 상기 블럭부(10)의 전측 상부부위에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노출홈(182)은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의 후측 상부방향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 상부부위에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9)는 전측삽입구(191)와 후측삽입구(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삽입구(191)는 상기 전측노출홈(181) 및 상기 블럭부(10)의 전측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전측노출홈(181)의 전측방향의 상기 블럭부(10)의 전측 부위 내측에 상기 블럭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삽입구(192)는 상기 후측노출홈(182) 및 상기 블럭부(10)의 후측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노출홈(18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 부위 내측에 상기 블럭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의 전측은 상기 전측노출홈(181)과 상기 전측삽입구(19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블럭부(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13)의 후측은 상기 후측노출홈(182)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블럭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럭부(1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블럭부(10)의 전측면이 다른 하나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블럭부(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블럭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전원공급라인(13)의 전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삽입구(192)를 통과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노출홈(182)에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노출홈(182)을 통해 어느 하나의 블럭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전원공급라인(13)의 전측과 다른 하나의 블럭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전원공급라인(13)의 후측을 전선커넥터(2)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블럭부(10)의 전측노출홈(181)과 후측노출홈(182)을 통해 복수의 상기 블럭부(10)의 내측에 각각 구비된 전원공급라인(13)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원공급라인(13)의 연결상태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구(19)에 위치하는 전원공급라인(13)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기 삽입구(19)에 슬리브(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3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슬리브(30)의 후측은 복수의 상기 블럭부(10)의 전측삽입구(19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슬리브(30)의 전측은 각각 복수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삽입구(19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9)에 위치하는 전원공급라인(13) 부위는 복수의 상기 슬리브(30)의 내측을 통과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슬리브(30) 내측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블럭부(10)가 서로 분리 및 복수의 상기 블럭부(10)의 후측삽입구(192)로부터 슬리브(3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0)의 삽입구(19)의 후측삽입구(19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마감캡(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10)의 삽입구(19)의 후측삽입구(192)의 후측의 내경크기는 상기 후측삽입구(192)의 전측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삽입구(192)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감캡(40)은 상기 후측삽입구(192)의 후측에 삽입되어 상기 후측삽입구(192)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2는 블럭부의 노출홈에 실리콘수지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블럭부의 상부에 커버판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블럭부(10)가 서로 연결완료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블럭부(10)의 노출홈(18)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착제인 실리콘수지(18a)가 상기 노출홈(18)의 상하높이와 대응되는 상하높이로 각각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수지(18a)로 인해 상기 노출홈(18)에 위치하는 전원연결라인(13)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판부(2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소발열체(11)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커버판부(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판부(20)는 연질의 ABS 수지 등의 난연성 수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럭부(10)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상기 커버판부(20)를 통해 상기 블럭부(10)의 상부가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블럭부(10)의 보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리콘수지(18a)의 상부는 상기 실리콘수지(18a)의 상부방향의 상기 커버판부(20)의 하부면과 접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블럭부(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커버판부(2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보행자가 상기 커버판부(20)의 상부에서 미끄러져 낙상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 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부(20)의 상부에 슬립방지돌기(210)가 상기 커버판부(2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럭부(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커버판부(20)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0)의 일측과 타측에는 복수의 고정공(101)이 상기 경계석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고정공(101) 사이의 상기 블럭부(10)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의 고정홈(102)이 상기 경계석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부(20)의 슬립방지돌기(210) 중 상기 블럭부(10)의 고정홈(10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슬립방지돌기(210)와 상기 고정홈(102) 사이의 상기 커버판부(20)의 하부면에 상기 블럭부(10)의 고정홈(10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0)의 고정홈(102)에 삽입고정되는 관상의 삽입부재(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부의 슬립방지돌기(210) 중 상기 블럭부(10)의 고정공(10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슬립방지돌기(210)의 내측에 상기 고정공(101)과 연통되는 관통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블럭부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5는 경계석의 상부로부터 블럭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경계석의 상부에 블럭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블럭부(10)의 하부에는 접착제인 실리콘수지가 유입되는 유입홈(1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홈(100)은 상기 블럭부(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상기 블럭부(10)의 하부에 'H'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립방지돌기(210)의 관통공(212)과 상기 블럭부(10)의 고정공(101)을 통과하여 상기 경계석(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위치고정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1)는 앵커볼트 또는 칼블럭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럭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홈(100)에 유입되는 접착제인 실리콘수지와 상기 위치고정부(21)를 통해 상기 경계석(3)의 상부에 상기 블럭부(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판부(20)의 상부에 올라선 보행자가 상기 경계석(3) 주변의 인도(1)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럭부(10)의 측면 중 상기 경계석(3) 주변의 인도(1)방향을 향하는 측면부위, 일예로, 상기 블럭부(10)의 일측면부위에 슬립방지바(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바(14)는 상기 블럭부(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경계석(3) 주변의 인도(1)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된 상태로 상기 블럭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바(14)의 상부에는 상기 슬립방지바(14)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되는 단차홈(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홈(141)의 단면형상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주변의 인도(1)의 경계석(3)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상기 블럭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탄소발열체(11)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을 통해 특히, 겨울철에 눈, 비, 서리 등으로 인해 상기 경계석(3)상에서 발생하는 결빙현상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결빙현상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인도(1)와 차도(5)를 구분하는 상기 경계석(3)의 상부에 상기 블럭부(10)의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7은 도 13의 블럭부의 노출홈으로부터 폐쇄판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블럭부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노출홈(18)에 충진된 상기 실리콘수지(18a)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커버판부(20) 부위가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노출홈(18)에 충진된 상기 실리콘수지(18a)를 가압한 상태로 상기 노출홈(18)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출홈(18)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노출홈(18)을 폐쇄하는 폐쇄판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출홈(18)의 상부내경크기는 상기 노출홈(18)의 하부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판부(182)는 상기 노출홈(18)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폐쇄판부(182)의 중간부에는 상기 노출홈(18)에 충진되는 실리콘수지(18a)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공(1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판부(182)의 유입공(183)에 유입된 실리콘수지(18a)의 상부는 상기 커버판부(20)의 하부면과 접합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3의 블럭부의 하부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블럭부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발열체(11)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의 일부가 상기 경계석(3)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탄소발열체(11)를 이용한 결빙현상방지효율을 더욱 향상시킴과 더불어 탄성재질의 상기 블럭부(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0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체(11)의 하부방향의 상기 블럭부(1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블럭부(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홈(15)이 상기 블럭부(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부(10)의 홈(15)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블럭부(10)의 하부 중간부위에는 상기 블럭부(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블럭부(10)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블럭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10)의 홈(15)에 잔재하는 공기를 통해 상기 탄소발열체(11)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의 일부가 상기 경계석(3)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발열체(11)가 보다 빠른시간내에 고온의 열을 상기 커버판부(20)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체(11)는 상기 블럭부(10)의 홈(15)의 내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럭부(10)의 중간부보다 높은 높이(H)로 상기 블럭부(1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0의 블럭부의 홈에 복수의 엠보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블럭부가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탄성재질의 상기 블럭부(10)로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높은 효율로 완화 및 상기 블럭부(10)가 원래형태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블럭부(16) 주변의 상기 홈(15)에 위치하는 상기 블럭부(10)의 하부면 부위에는 상기 블럭부(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경계석(3)의 상부면과 접하는 복수의 엠보(17)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체(11)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0)와;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부(60)와; 상기 온도감지부(50)가 감지한 온도값 및 상기 눈감지부(6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탄소발열체(11)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50)는 온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50)는 상기 커버판부(20)의 상부 외면 또는 상기 경계석(3) 주변의 가로등 지주의 외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50)가 감지한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70)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소발열체(11)로 전원공급부(9)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탄소발열체(11)가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50)가 감지한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70)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탄소발열체(11)가 고온의 열을 발산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소발열체(11)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눈감지부(60)는 눈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눈감지부(60)는 상기 온도감지부(5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커버판부(20)의 상부 외면 또는 상기 경계석(3) 주변의 가로등 지주의 외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눈감지부(60)가 눈을 감지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소발열체(11)로 전원공급부(9)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탄소발열체(11)가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눈감지부(60)가 눈을 감지하지 못하게 될 경우, 상기 탄소발열체(11)가 고온의 열을 발산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소발열체(11)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50), 상기 눈감지부(60) 및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전기사용료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블럭부, 20; 커버판부.

Claims (12)

  1. 경계석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내측에 탄소발열체가 구비되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경계석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경계석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소발열체의 하부방향의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잔재하는 공기를 통해 상기 탄소발열체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의 일부가 상기 경계석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의 홈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를 지지하는 보조블럭부와;
    상기 블럭부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상부에 슬립방지돌기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며, 상기 슬립방지돌기 중 상기 블럭부의 고정공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슬립방지돌기의 내측에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버판부와;
    상기 커버판부의 슬립방지돌기 중 상기 블럭부의 고정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슬립방지돌기와 상기 고정홈 사이의 상기 커버판부의 하부면에 상기 블럭부의 고정홈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블럭부의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슬립방지돌기의 관통공과 상기 블럭부의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경계석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럭부는 탄성재질의 하부블럭부재와, 상기 하부블럭부재의 상부에 접합되는 탄성재질의 상부블럭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블럭부재와 상기 상부블럭부재 사이에 상기 탄소발열체가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되는 금속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망부재에 상기 탄소발열체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블럭부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전측과 후측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 및 상기 노출홈과 연통되는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이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에 위치하는 상기 전원공급라인 부위를 보호하는 슬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블럭부의 삽입구로부터 슬리브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부의 삽입구에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의 측면 중 상기 경계석 주변의 인도방향을 향하는 측면부위에 상기 인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고, 상부면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슬립방지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럭부 주변의 상기 홈에 복수의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발열체는 상기 블럭부의 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럭부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홈에 실리콘수지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홈을 폐쇄하는 폐쇄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발열체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가 감지한 온도값 및 상기 눈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탄소발열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54610A 2020-11-18 2020-11-18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KR10227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10A KR102275232B1 (ko) 2020-11-18 2020-11-18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10A KR102275232B1 (ko) 2020-11-18 2020-11-18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232B1 true KR102275232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610A KR102275232B1 (ko) 2020-11-18 2020-11-18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469B1 (ko) * 2021-08-18 2022-07-08 주식회사 피노콘 버스 승강장 안전 유도 및 안전 승차를 위한 승강장 경계블록 시스템
KR20230053931A (ko) * 2021-10-15 2023-04-24 곽은구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933U (ko) * 1989-12-29 1991-09-19
JPH11236758A (ja) * 1998-02-20 1999-08-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床材
KR200248485Y1 (ko) 2001-06-20 2001-10-31 현기종 결빙방지 및 눈녹임용 미끄럼 방지판
KR101064398B1 (ko) * 2010-08-13 2011-09-14 박민영 도로 경계 인식장치
KR20120130797A (ko) * 2011-05-23 2012-12-04 서정수 노면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방지 시스템
KR20130064549A (ko) * 2011-12-08 201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열유닛을 이용한 도로 융설 장치
KR101619106B1 (ko)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휨 방지용 온열고무블럭
KR101843988B1 (ko) * 2015-09-01 2018-05-18 바위산업 주식회사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KR102117043B1 (ko) * 2019-08-08 2020-05-29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KR102148456B1 (ko) * 2019-08-30 2020-08-26 (주)이테크 발열고무패드를 이용한 발열통행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933U (ko) * 1989-12-29 1991-09-19
JPH11236758A (ja) * 1998-02-20 1999-08-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床材
KR200248485Y1 (ko) 2001-06-20 2001-10-31 현기종 결빙방지 및 눈녹임용 미끄럼 방지판
KR101064398B1 (ko) * 2010-08-13 2011-09-14 박민영 도로 경계 인식장치
KR20120130797A (ko) * 2011-05-23 2012-12-04 서정수 노면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방지 시스템
KR20130064549A (ko) * 2011-12-08 201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열유닛을 이용한 도로 융설 장치
KR101619106B1 (ko)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휨 방지용 온열고무블럭
KR101843988B1 (ko) * 2015-09-01 2018-05-18 바위산업 주식회사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KR102117043B1 (ko) * 2019-08-08 2020-05-29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KR102148456B1 (ko) * 2019-08-30 2020-08-26 (주)이테크 발열고무패드를 이용한 발열통행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469B1 (ko) * 2021-08-18 2022-07-08 주식회사 피노콘 버스 승강장 안전 유도 및 안전 승차를 위한 승강장 경계블록 시스템
KR20230053931A (ko) * 2021-10-15 2023-04-24 곽은구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KR102537789B1 (ko) * 2021-10-15 2023-05-26 곽은구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32B1 (ko)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KR102117043B1 (ko)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KR101297629B1 (ko)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101101624B1 (ko) 결빙방지용 융설매트
KR100879447B1 (ko) 경계석 부착용 안전유도 표지판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101915574B1 (ko)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100822066B1 (ko) 횡단보도 차량정지 신호장치
JP2002250016A (ja) ヒータ付き点字ブロック
KR102543401B1 (ko) 논슬립 led 탄소발열매트
KR101905577B1 (ko) 탄소섬유발열선을 이용한 결빙방지 매트
KR200304815Y1 (ko) 시각장애인용 전자보도블록
KR20110130554A (ko) 도로 표지병
KR101210690B1 (ko)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KR102173289B1 (ko) 셀프세차장용 결빙방지매트
KR100969985B1 (ko) 지열을 이용한 도로의 노면 결빙 방지장치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100883585B1 (ko) 발열논슬립패드를 이용한 논슬립발판 및 계단논슬립판
KR101056633B1 (ko) 야외설치용 플레이트
CN212489491U (zh) 一种具有led灯地铁出口防滑装置
KR102039895B1 (ko)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KR100717584B1 (ko) 공동주택용 계단의 슬립방지구조
KR101081725B1 (ko) 경계석용 패드
KR101259360B1 (ko) 횡단보도용 차량정지 유도장치
JP2005146557A (ja) 階段用融雪床材及びこれを用いた階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