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89B1 -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89B1
KR102537789B1 KR1020210137319A KR20210137319A KR102537789B1 KR 102537789 B1 KR102537789 B1 KR 102537789B1 KR 1020210137319 A KR1020210137319 A KR 1020210137319A KR 20210137319 A KR20210137319 A KR 20210137319A KR 102537789 B1 KR102537789 B1 KR 10253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oundary
parts
block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931A (ko
Inventor
곽은구
Original Assignee
곽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은구 filed Critical 곽은구
Priority to KR102021013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서 차도와의 경계를 구분하면서 자체적으로 발광 가능하여 보도를 향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야간에 차도 경계를 확인하기 위한 시인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함을 제공하도록, 보도 측 도로와의 경계에 설치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성분을 갖는 산화슬래그 골재 10~30 중량부, 부순 골재 5-30중량부, 고성능 감수제 1-5중량부, 나노 탄산칼슘 1~5중량부, 아크릴 수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블록몸체와;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블록몸체 중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매립 설치하고 발광 가능하게 구성하는 LED유닛과;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몸체별 상기 LED유닛에 대응하여 점멸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LED Boundary Block Having a Luminous Function for Road Visibility}
본 발명은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서 차도와의 경계를 구분하면서 자체적으로 발광 가능하여 보도를 향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야간에 차도 경계를 확인하기 위한 시인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도로에서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거나, 공원 또는 정원 등을 조경할 때 인도와 조경물을 구획하여 인도를 확보하면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계블록은 주로 화강암을 사각 단면의 긴 막대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고,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경계면에 일자형태 또는 코너부분에 라운드형태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계블록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00718호(2005.07.02.)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구조를 가지며, 그 몸체에는 배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정 직경의 복수의 관통공이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보차도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입구에는 잔자갈이나 기타 이물질의 관통공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장치가 더 마련되게 구성함에 따라 우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며 운반 및 시공시 취급이 용이한 보차도 경계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경계블록은 오직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목적으로 재료가 화강암 등의 천연석이나 콘크리트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이 매우 어려우며 운반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고, 경계블록 중 외부에 노출된 상면과 측면이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차량이 도로에 근접하게 정차할 때 차량의 바퀴가 경계블록과 접촉하여 충격을 가하게 되며, 충격시 차량의 손상뿐 아니라 경계블록도 충격에 의해 시공 위치를 이탈하면서 주변 보도포장재의 파손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경계블록에는 상면 또는 측면에 반사판을 부착하여 야간에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도록 하므로 차량이 도로의 경계 등을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나아가 경계블록의 상면에 별도의 안전봉을 설치하여 도로의 경계를 명확히 하면서 안전봉에 의한 차도와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경계블록을 구성하여도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그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도로 중 급커브나 야간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은 곳에는 별도의 표시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운전자의 시선이 도로 하부로 보이기 때문에 표시등을 정확하게 보지 못하여 기능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종래의 반사판이나 표시등의 경우 차량 이동 및 우천이나 제설 등에 의해 오염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는 것조차 어려움이 있으며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00718호 (2005.07.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 측 하부에 경사진 접근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계블록 내 LED를 일체로 장착하여 주변 밝기에 따라 발광 운영하게 구성하므로 경계블록에 근접한 운전자의 접근 운행이 용이하며 차량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차량 및 경계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경계블록에 대한 야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경계블록 몸체를 시멘트, 산화슬래그 골재, 부순 골재, 고성능 감수제, 나노 탄산칼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여 조성하므로 제품의 가공성 및 운반성, 시공성을 높이면서 동절기 사용되는 제설제에 대해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은 보도 측 도로와의 경계에 설치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성분을 갖는 산화슬래그 골재 10~30 중량부, 부순 골재 5-30중량부, 고성능 감수제 1-5중량부, 나노 탄산칼슘 1~5중량부, 아크릴 수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블록몸체와;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블록몸체 중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매립 설치하고 발광 가능하게 구성하는 LED유닛과;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몸체별 상기 LED유닛에 대응하여 점멸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몸체에는,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형성하는 완충접촉단을 구성한다.
상기 블록몸체에는, 측면 하단부에 차도 표면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하되 외측 하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경사접촉면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접촉면은, 차도 표면에 대응하여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경사각도가 10~25°를 이룬다.
상기 블록몸체에는,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표면에 광촉매인 이산화티탄늄을 피막 형성하는 광촉매코팅부를 구성한다.
또한,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온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몸체에는, 내부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외부 표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블록몸체에 대응하여 보도 측 기초콘크리트 상에 일체로 박힘 고정하는 보강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고정부는, 상기 블록몸체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는 수직관통구와, 상기 수직관통구 상에 유입되어 하부 기초콘크리트 상에 박힘 고정되는 보강심지봉과, 상기 보강심지봉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관통구를 채우도록 주입 형성하는 마감그라우트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에 의하면 경계블록 몸체를 시멘트, 산화슬래그 골재, 부순 골재, 고성능 감수제, 나노 탄산칼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여 조성하면서 주변 밝기에 따라 발광 가동하는 LED유닛을 일체로 매립 구성하므로, 경계블록 제품의 가공성 및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절기 제설제로부터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경계블록의 우수한 야간 시인성을 도모하여 운전자의 운행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은 차도에 대응하여 연장된 경사접촉면을 구비하여 차량 접근시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체 파손의 우려 없이 운전자의 접근 운행이 용이함은 물론 차량 타이어의 파손은 물론 경계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은 블록몸체에 대응하여 보도 측 기초콘크리트 상에 일체로 박힘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경계블록의 시공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예시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보도 측 도로와의 경계에 설치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성분을 갖는 산화슬래그 골재 10~30 중량부, 부순 골재 5-30중량부, 고성능 감수제 1-5중량부, 나노 탄산칼슘 1~5중량부, 아크릴 수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블록몸체와;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블록몸체 중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매립 설치하고 발광 가능하게 구성하는 LED유닛과;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몸체별 상기 LED유닛에 대응하여 점멸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도 측 도로와의 경계에 설치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블록몸체(10)와, 조도센서(20)와, LED유닛(30)과,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몸체(10)는 경계블록의 가장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되,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 배치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블록몸체(10)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성분을 갖는 산화슬래그 골재 10~30 중량부, 부순 골재 5-30중량부, 고성능 감수제 1-5중량부, 나노 탄산칼슘 1~5중량부, 아크릴 수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산화슬래그 골재로는 철 1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슬래그 분말 또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부순 골재는 파분쇄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 SiO2를 5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순환 골재 및 천연 골재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고성능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로 콘크리트의 물량을 감소시켜 강도 발현 및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형분 함유량 25중량%이상을 갖는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나노탄산칼슘은 CaO 성분이 60중량%이상을 갖는 탄산칼슘으로 시멘트와 골재와의 공극 사이를 충전하여 균열 저항성을 갖는 특징을 갖는 나노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수지에는 에폭시기를 도입하여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에폭시 아크릴 공중합체를 적용하므로 부착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아크릴수지에 대해 에폭시 아크릴 공중합체는 적량의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착력이 우수하며, 내수성 및 내화학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블록몸체(10)에는 상부 표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점자 형태로 형성하여 일반 보행자의 미끄럼 현상을 기본적으로 방지하면서 시각장애인에게 보도와 차도의 경계임을 인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블록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 즉 차도 측 상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갖는 완충접촉단(11)을 형성한다.
상기 완충접촉단(11)은 상기 블록몸체(10)의 차도 측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완충접촉단(11)을 구성하게 되면, 차량 바퀴와의 직접적인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은 물론 굴곡면을 향한 접촉으로 충격을 완충하며 차량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몸체(10)에는 차도 측 측면 하단부에 차도 표면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하되 외측 하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경사접촉면(13)을 구성한다. 즉, 상기 경사접촉면(13)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서 차도 표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로를 형성하므로 차량 진입에 따른 차량과의 간격을 확보한 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접촉면(13)의 하단은 차도 표면의 상면에 대응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형성한다.
상기 경사접촉면(13)은 차도 표면에 대응하여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경사각도(α)가 10~25°이루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경사접촉면(13)의 경사각도(α)를 10°미만으로 형성하게 되면, 차량이 접촉에 따른 운전자의 인식이 미미하여 기능성이 떨어지고, 상기 경사접촉면(13)의 경사각도(α)를 25°초과하여 형성하게 되면, 차량 접촉시 충격을 가중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0)에는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표면에 광촉매인 이산화티탄늄을 피막 형성하는 광촉매코팅부(15)를 구성한다.
상기 광촉매코팅부(15)는 자외선에 의한 공촉매 반응을 촉진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이산화티타늄은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 등이 좋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각종 오염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변화시켜 주는 친환경적 소재이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은 친수성을 갖는 특성이 있다.
한편, 광촉매(Photocatalyst)는 빛(Photo)과 촉매(Catalyst)의 합성어로 빛을 이용한 촉매라 말할 수 있다. 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촉매 반응을 진행시키는 물질을 말하는데, 이러한 광촉매 물질은 항균, 탈취, 자외선 차단, 방오, 친수, 난분해성 유해물질 분해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어 개발되고 있다. 외부에서의 인위적인 에너지공급 없이 빛에너지, 특히 자연에 무한정 존재하는 태양에너지만을 이용하여 환경정화를 할 수 있는 물질로서 주목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광촉매코팅부(15)를 구성하게 되면, 차량의 배기가스가 직간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도센서(20)는 주변 밝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도센서(20)와 함께 감지 가능한 구성으로서, 주변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2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도센서(20) 및 상기 온도측정센서(25)는 상기 블록몸체(10) 상에 매립하여 일체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변 정류장이나 가로등 시설 등 별도의 구조물 상에 설치하여 분리 적용하되, 복수의 블록몸체(10)에 대한 일괄적인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블록몸체(10)에는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외부 표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수단(17)을 구성한다.
상기 발열수단(17)은 외부온도에 따른 구분하여 구동하되, 상기 온도측정센서(25)의 감지신호에 의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구동하므로, 주변 영하권 날씨에서만 구동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몸체(10)에 발열수단(17)을 구성하게 되면, 동절기 결빙 현상을 방지하면서 야간 시인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LED유닛(30)은 야간 즉 어두운 환경에서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경계블록의 위치를 인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LED유닛(30)은 상기 블록몸체(10) 중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매립 설치하고, 발광 가능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 구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LED유닛(3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선형 장착구조를 이루게 구성한다.
상기 LED유닛(30)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모든 구성들(예를 들면, 발열수단(17) 등)의 사용 전력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한 태양광모듈(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태양광모듈로부터 충전된 전력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블록몸체(10)별 상기 LED유닛(30)에 대응하여 점멸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조도센서(20) 및 상기 온도측정센서(25)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몸체(10) 중 상기 LED유닛(30)에 일괄적인 점멸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에서는 상기 조도센서(20)에서 야간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LED유닛(30)의 조명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LED유닛(30)의 점등 상태는 야간에 항시 조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40)에서는 상기 온도측정센서(25)에서 영하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수단(17)을 가열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온도측정센서(25)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가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제어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에 의하면, 경계블록 몸체를 시멘트, 산화슬래그 골재, 부순 골재, 고성능 감수제, 나노 탄산칼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여 조성하면서 주변 밝기에 따라 발광 가동하는 LED유닛을 일체로 매립 구성하므로, 경계블록 제품의 가공성 및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절기 제설제로부터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경계블록의 우수한 야간 시인성을 도모하여 운전자의 운행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도에 대응하여 연장된 경사접촉면을 구비하여 차량 접근시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체 파손의 우려 없이 운전자의 접근 운행이 용이함은 물론 차량 타이어의 파손은 물론 경계블록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에 대응하여 보도 측 기초콘크리트 상에 일체로 박힘 고정하는 보강고정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고정부(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는 수직관통구(51)와, 상기 수직관통구(51) 상에 유입되어 하부 기초콘크리트 상에 박힘 고정되는 보강심지봉(53)과, 상기 보강심지봉(53)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관통구(51)를 채우도록 주입 형성하는 마감그라우트(55)를 구성한다.
상기 보강고정부(50)는 상기 블록몸체(10) 상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여 안정적인 고정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블록몸체에 대응하여 보도 측 기초콘크리트 상에 일체로 박힘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경계블록의 시공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블록본체 11 : 완충접촉단
13 : 경사접촉면 15 : 광촉매코팅부
17 : 발열수단 20 : 조도센서
25 : 온도측정센서 30 : LED유닛
40 : 제어부 50 : 보강고정부
51 : 수직관통구 53 : 보강심지봉
55 : 마감그라우트
α : 경사접촉면의 경사각도

Claims (8)

  1. 보도 측 도로와의 경계에 설치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성분을 갖는 산화슬래그 골재 10~30 중량부, 부순 골재 5-30중량부, 고성능 감수제 1-5중량부, 나노 탄산칼슘 1~5중량부, 아크릴 수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산화슬래그 골재는 철 1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부순 골재는 파분쇄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서 SiO2를 5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나노탄산칼슘은 CaO 성분이 60중량%이상을 갖는 탄산칼슘으로 시멘트와 골재와의 공극 사이를 충전하여 균열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아크릴수지는 에폭시기를 도입하여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에폭시 아크릴 공중합체로서 부착력이 우수하며, 내수성 및 내화학성, 내구성이 우수한 블록몸체와;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블록몸체 중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매립 설치하고 발광 가능하게 구성하는 LED유닛과;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몸체별 상기 LED유닛에 대응하여 점멸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몸체에는,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경계지점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형성하는 완충접촉단과, 측면 하단부에 차도 표면에 대응하여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경사각도가 10~25°인 경사접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에는, 외부 노출된 상면과 측면의 표면에 광촉매인 이산화티탄늄을 피막 형성하는 광촉매코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온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몸체에는, 내부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외부 표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7.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에 대응하여 보도 측 기초콘크리트 상에 일체로 박힘 고정하는 보강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고정부는, 상기 블록몸체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는 수직관통구와, 상기 수직관통구 상에 유입되어 하부 기초콘크리트 상에 박힘 고정되는 보강심지봉과, 상기 보강심지봉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관통구를 채우도록 주입 형성하는 마감그라우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KR1020210137319A 2021-10-15 2021-10-15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KR10253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19A KR102537789B1 (ko) 2021-10-15 2021-10-15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19A KR102537789B1 (ko) 2021-10-15 2021-10-15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31A KR20230053931A (ko) 2023-04-24
KR102537789B1 true KR102537789B1 (ko) 2023-05-26

Family

ID=8614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19A KR102537789B1 (ko) 2021-10-15 2021-10-15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7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903A (ja) * 1999-04-28 2000-11-07 Nakaken 道路等に設置するブロックと、道路等に設置する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モール
JP2009007852A (ja) * 2007-06-28 2009-01-15 Shinkai Kogyo:Kk 境界ブロック
KR100914482B1 (ko) * 2009-04-02 2009-08-27 주식회사 이노세이페스 안전경계석 원격제어 시스템
KR101747319B1 (ko) * 2015-09-30 2017-06-27 이은숙 점자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자블록 제조방법
KR102024748B1 (ko) * 2018-11-06 2019-09-24 주식회사 카리스 질소산화물 제거 가능한 플라스틱 도로 경계석
KR102275232B1 (ko) * 2020-11-18 2021-07-09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18B1 (ko) 2002-12-04 2005-07-14 (주)신성엔지니어링 보차도 경계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903A (ja) * 1999-04-28 2000-11-07 Nakaken 道路等に設置するブロックと、道路等に設置する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モール
JP2009007852A (ja) * 2007-06-28 2009-01-15 Shinkai Kogyo:Kk 境界ブロック
KR100914482B1 (ko) * 2009-04-02 2009-08-27 주식회사 이노세이페스 안전경계석 원격제어 시스템
KR101747319B1 (ko) * 2015-09-30 2017-06-27 이은숙 점자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자블록 제조방법
KR102024748B1 (ko) * 2018-11-06 2019-09-24 주식회사 카리스 질소산화물 제거 가능한 플라스틱 도로 경계석
KR102275232B1 (ko) * 2020-11-18 2021-07-09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탄소발열기능을 가진 경계석 미끄럼방지 논슬립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31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965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RO130255B1 (ro) Sistem de iluminare automată a marcajelor transversale de traversare pentru trecerile de pietoni
KR101133276B1 (ko) 자동차 진입 억제용 투명 말뚝
KR102537789B1 (ko) 도로 시인성을 갖는 발광성 led 경계블록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200416773Y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KR20060065618A (ko) 도로매립형 운전자 경고등
KR200448338Y1 (ko) 야광표시 도로 경계석
KR101635143B1 (ko) 안전유도 발광콘크리트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CN201952709U (zh) 一种可显示文字符号的电子发光路面装置
CN110004853B (zh) 超疏水自发光钢-混组合防护栏的施工方法
KR100941477B1 (ko) 태양광 표지병을 장착한 도로경계석
US20100272510A1 (en) Illuminated groove seals for pathways
CN211735063U (zh) 一种道路桥梁防撞护栏
CN201180929Y (zh) 太阳能交通提示灯
KR200311382Y1 (ko) 노면 표지판
JP7275531B2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20200002711A (ko) 횡단보도 안전표시등 및 이를 이용한 안전표시 시스템
KR200326788Y1 (ko) 건널목 야간 발광 표시기 장치
KR101169200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CN216275342U (zh) 一种交通护栏及其自发光节能警示灯
KR102080925B1 (ko) 횡단보도에 장착되는 도로표지병
CN2576787Y (zh) 余辉发光路缘石
CN102162215A (zh) 一种可显示文字符号的电子发光路面装置
JP3869422B2 (ja) 標識体及び標識体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