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574B1 -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574B1
KR101915574B1 KR1020170045053A KR20170045053A KR101915574B1 KR 101915574 B1 KR101915574 B1 KR 101915574B1 KR 1020170045053 A KR1020170045053 A KR 1020170045053A KR 20170045053 A KR20170045053 A KR 20170045053A KR 101915574 B1 KR101915574 B1 KR 10191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destrian
replacement
protruding
replacem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686A (ko
Inventor
이근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동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동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동산업
Priority to KR102017004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5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보도의 양측에 배열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면부를 구비하는 융기블록 및 상기 융기블록의 지지면부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신호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교체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융기블록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함몰되어 강선연결부를 구성하는 체결공간과 교체블록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PRECAST PANNEL FOR CROSSWALK}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단보도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보행자의 도로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횡단보도는 도로 상에서 횡단보도선을 그어 그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횡단보도는 횡단이 가능함을 의미하는 소정의 단속적인 라인과 보행자용 신호등 장치를 구비한다.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신호등 장치는 보행을 허용하는 녹색 신호와 보행을 금지하는 적색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신호등 장치는 자동차용 신호등 장치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횡단보도에 인접된 자동차용 신호등 장치의 적색 신호가 발광되면 이와 연계되어 보행자용 신호등 장치의 녹색신호가 발광되어 자동차의 주행을 제한하도록 하며 보행자가 횡단가능한 환경을 조성한다. 이렇게 횡단보도의 신호등은 운전자와 보행자가 상호 간에 신호등 신호를 준수하게 되면 안전한 주행과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차량 및 그 운행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보행자의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에 의한 상해나 사망사고가 함께 증가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인 횡단보도의 경우 도로에 횡단보도 표시를 하여 운전자나 보행자가 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횡단보도선이 도로의 노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지 못하고 기상이 안좋은 상황 등에 있어서 식별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의 위협이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횡단보도의 전방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시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9659호는 종래기술의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보호용 합성수지재 과속방지블럭을 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속방지블럭(100) 하부 양측의 볼트를 통해 과속방지블럭(100)을 횡단보도 양측 경계선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첫번째 단일프레임(10)의 요입부(14)에 두번째 단일 프레임(10)의 요철부(13)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각 과속방지블럭(100)을 서로 연결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측 차선의 과속방지블럭(100)을 일직선상으로 장착시켜 각 차선의 차량이 횡단보도 경계선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도 횡단보도에 대한 인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과속방지블록의 내구성 문제와 차량에 대한 과도한 충격으로 인하여 차량이 손상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횡단보도에 대한 시인성을 증가하고 차량에 대한 주의환기 기능을 향상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공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양측에 배열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부(1110)와 경사부(1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면부(1120)와 경사부의 측벽과 지지면부 사이에 돌출되는 가이드부(1140)를 구비하는 융기블록(1100), 일측에서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된 삽입부(1340)와 타측에서 중심부의 결합 및 안착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되 융기블록의 지지면부 상측에 배열되고 신호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발광부(1320)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배수홀부(1360)를 구비하는 교체블록(1300), 상기 지지면부와 교체블록 사이에 배열되어 교체블록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기능하며 삽입부에 대응되는 돌기부(1380)가 구비되는 조절부(1300b) 및 양측의 교체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라인을 형성하고 각각의 교체블록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중심부(1200)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블록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고, 전후방측에 함몰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전후측으로 강선연결부(1131)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간(1130)을 구비하고, 상기 교체블록은, 수평상 배열되는 형태와 상면에서 경사면을 연장할 수 있도록 경사부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융기블록은 상호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제어전력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간에서 상호 연결되는 제어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체블록은 가이드부에 대응되고 제어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가이드부의 단자에 접촉되어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체블록은 눈 또는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발열되는 열선부와, 상호 간에 전후방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융기블록은 차량의 진입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보행신호가 작동되거나 보행이 감지된 조건에서 차량이 융기블록에 진입되어 감지신호가 생성된 경우 보행자에게 발광을 통하여 경보할 수 있다.
상기 융기블록 또는 교체블록은 차량의 주행 및 보행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발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발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체블록은 발광부, 열선부 또는 발전부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유형이 선택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 타설의 필요 없이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현장 적응성이 높고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체블록 기능의 교환의 필요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교체 대상블록을 제거하고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호등과 연동되는 발광의 기능과 차량의 보행자의 경보 기능을 부가하고, 적설이나 강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 보행자 안전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보호용 합성수지재 과속방지블럭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에서 융기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에서 교체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의 교체블록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로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들로 구성되며, 횡단보도의 양방향에 배치되고 경사면을 가지는 융기블록과, 상기 융기블록의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교체블록을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제공한다.
횡단보도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보도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보행 가능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등이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호등이 없는 경우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로를 기준으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폭방향으로 정의하며 보행자가 가로질러 횡단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의 개념도이다.
인도를 사이에 두고 도로(10)는 차량이 주행 가능하도록 하며, 통상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11)이 표시되어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시사항을 기준으로 융기블록(1100)에서 교체블록(1300)이 배치되는 측을 내측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로(10)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을 적용하며, 이러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은 복수의 블록들이 상호 간에 결합되어 입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패널모듈(1000)로 구성된다.
횡단보도의 입구와 출구측에서는 소정의 높이로 융기되는 형태로서 융기블록(1100)이 배치되는데, 여기서 입구와 출구란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횡단보도가 표시되는 부위에 진입되는 부위와 진출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입구와 출구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정의되는 것이며 반드시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융기블록(1100)을 양측에 두고 복수의 교체블록(1300)들이 그 사이에 배치되며, 이러한 교체블록(1300)들은 상호 간 및 융기블록(1100)들과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험프(Hump)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패널모듈(1000)을 프리캐스트(Precast) 형태로 제조한 블록들을 현장에서 조립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교체블록(1300)들은 소정의 발광소재를 구비하여 발광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기능은 상기된 신호등의 발광신호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이때, 상기 융기블록(1100)의 상단과 교체블록(1300)의 높이는 도로(10)의 양안에 형성되는 인도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행자의 편리한 사용과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패널모듈(1000)의 전후방 단부는 도로(10)와 인도의 단턱 부위에 밀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도블록의 교체시공이 필요 없이 횡단보도와 인도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에게 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융기블록(1100)들은 상면에 소정의 횡단보도 표시를 위한 표시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융기블록(1100)의 상면에도 횡단보도 진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 차선이나 노란색 등의 방지턱과 같은 경고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모양의 표시는 선택적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의 보행 방향의 구분을 위하여 횡단보도의 표시는 좌우로 구분될 수 있는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교체블록(1300)들을 양측으로 2개의 열 내지는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양측을 구분하기 위한 중심부(120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심부(1200)는 소정의 전력라인을 형성하여 각각의 교체블록(1300)에 제어신호를 보내거나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고, 교체블록(1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중심부(1200)는 또한 장애인을 위한 안내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에서 융기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융기블록(1100)은 횡단보도의 진입과 진출측에 배치되어 감속을 유도함과 동시에 높이의 변형에 따른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외곽측으로부터 중심측, 즉 교체블록(1300)이 배치되는 측으로 점점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부(1110)가 배치되고 교체블록(1300)의 저면측을 지지하는 지지면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10)의 높이와 각도는 선택에 따르며,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호 형태나 만곡진 형태로 융기될 수 있으면 족하다. 이러한 경사부(1110)의 각도는 도로의 너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며 폭 15m 이하인 경우 5%, 그 이상인 경우 10%의 경사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부(1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면부(1120)는 교체블록(1300)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마련한다.
융기블록(1100)이 길이방향 및 양측으로 상호 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면부(1120)는 소정의 레일 형태로서 교체블록(1300)들이 배열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에 교체블록(1300)들이 선택되어 배열됨으로써 보행이 가능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융기블록(1100)이 최소한 상면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면부(1120)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경우 도로의 불규칙한 형태에도 교체블록(1300)들이 수평상으로 안정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융기블록(1100)은 콘크리트와 강선이 결합된 프리캐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이송될 수 있으며, 현장 시공시 별도의 타설 과정 없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단부측이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상호 간에 체결력의 향상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강선연결부(1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선연결부(1131)는 전후측으로 돌출된 소정의 부재들을 체결하여 상호 간에 밀착시키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서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체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융기블록(1100) 상호 간 및 융기블록(1100)과 교체블록(1300)의 접촉면은 밀착되어 배치되는 것이 좋고, 상기 강선연결부(1131)의 배치를 위하여 융기블록(1100)의 전후방 측에는 소정의 함몰 공간인 체결공간(113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공간(1130)은 소정의 제어라인 연결을 위한 연결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이어지는 제어라인(1132)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노출되어 있다.
일측의 융기블록(1100)과 타측의 융기블록(1100)은 상호 간 마주보고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교체블록(1300)들이 하나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폭의 조정을 위하여 지지면부(1120)의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지지면부(110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융기블록(1100)이 프리캐스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렇게 연장지지면부(1101)를 적용하는 경우 다양한 횡단보도 폭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융기블록(1100)에서 교체블록(1300)의 결합을 위하여 경사부(1110)의 일단인 측벽과 지지면부(112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가이드부(1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40)는 교체블록(1300)의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40)에는 제어라인(1132)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어신호가 해당 교체블록(1300)에 분기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융기블록(1100)의 경사부(1110)에는 차량이 횡단보도신호나 보행자를 미인식하여 진입하였을 때 구름저항을 발행하여 진동이나 소리로 경고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여 진입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에서 교체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융기블록(1100)들이 배치된 이후에 지지면부(1120)의 상측에 선택된 교체블록(1300)들이 결합될 수 있는바, 교체블록(1300)들은 보행 가능시 또는 제한시 신호등과 연동되어 발광될 수 있는 발광부(132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1320)에 적용되는 광원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량이 비교적 높고 저전력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320)의 배치부위에는 피복부(1310)가 형성되어 보행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전장계통과 전체적인 블록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복부(1310)는 선택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E(PolyEthylene)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내마모성이 높은 옥텐계열을 위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전기방지재, 내UV제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복부(1310)의 저부에 형성되는 바디(참조번호 미표시)의 저면은 지지면부(1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은 접착제, 후크, 볼팅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교체블록(1300) 상호 간 및 융기블록(1100)과의 결합에서 결합관계의 확실성을 위하여 소정의 요철(凹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블록(1100)의 가이드부(114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함몰된 형태의 삽입부(1340)가 형성되어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라인(1132)으로부터 분기된 단자에 접촉되는 단자부(1341)가 형성되어 발광부(1320) 등의 전기작동부재들이 제어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융기블록(1100)의 가이드부(1140)와 교체블록(1300)의 삽입부(1340)의 형태는 상호 치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교체블록(1300)은 상면에 적설이나 강우에 대응하여 발열함으로써 보행과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발광면을 상시 노출할 수 있도록 열선부(135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열선부(1350)는 제어전력의 입력을 받아 저항체에 의하여 발열하여 상면에 눈이나 물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광부(1320)와 열선부(1350)는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는 교체블록(1300)들이 선택에 따라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교체블록(1300)은 상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배수홀부(136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면부(1120)에도 이러한 배수홀부(1360)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수홀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교체블록(1300)들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상면에 도로(10)의 면으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횡단보도를 형성하고, 발광 및/또는 발열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330)가 전후방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교체블록(1300) 또는 그 배열의 경사부(1110)의 측벽과 밀착되는 부위에 대향되는 부위에는 중심부(1200)의 결합 및 안착을 위한 소정의 단턱(참조번호 미표시)가 더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경우에 따라 교체블록(1300) 상호 간의 제어전력의 연결을 위하여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융기블록(1100)은 발광제어를 위한 제어라인(1132)을 가지고 각 교체블록(1300)의 발광부(1320)들은 측면에 배치되는 삽입부(1340)의 단자부를 통하여 제어전력을 입력받으며, 열선부(1350)들은 융기블록(1100) 상호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전후방 단부측에 배치되는 연결부(1330)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열선부(1350)의 제어는 길이방향 배열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교체블록(1300) 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 따를 때 각각의 교체블록(1300)에서 발광부(1320)들은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열선부(135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제어전력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발광부(1320)의 작동에 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신호등의 신호와 연동되어 빨간색이나 녹색의 발광 또는 점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광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부는 교통신호제어기에 결합되어 제어라인(1132)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라인(1132)이 융기블록(1100)측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따를 때, 경사부(1110) 측에도 융기발광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특히, 보행신호의 발광시에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경사부(1110)에 융기발광부가 배치되는 경우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배치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를 더욱 쉽게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융기블록(1100)은 차량의 진입 감지를 위한 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이 보행신호를 무시하거나 보행자를 인지하지 못하고 횡단보도에 진입하려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발광부(1320)를 통하여 보행자에게 교통사고 주의에 대한 경보를 수행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경보는 조도의 변화, 점멸 또는 다른 색상으로의 발광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교체블록(1300)에 구비되거나 신호등에 구비되는 스피커 등을 통하여 음향으로 경보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교체블록(130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보행자의 보행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감지센서가 보행자의 보행을 감지하게 되면 경사부측에 배치되는 융기발광부에서 조도의 변화, 점멸 또는 다른 색상으로의 발광 등의 방식으로 횡단보도측으로 진행되는 차량에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무단횡단을 하는 보행자나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 대해 유용하게 안전성 향상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의 교체블록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교체블록(1300a)이 경사면을 연장할 수 있도록 상면에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게 되며 이와 관련하여 상기 교체블록(1300)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융기블록(11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어 현장 타설 없이 바로 조립되어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해진 형태의 변형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와 차도의 단차의 높이가 규격보다 크거나 경사면을 연장이 요구되는 등의 적응이 필요한 경우 경사부(1110)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상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경사면은 경사부(1110)의 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교체블록(1300)들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블록으로서 조절부(1300b)가 더 배열되어 지지면부(1120)와 교체블록(1300)의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융기블록(1100)과의 연결성을 확장하도록 삽입부(1340)에 대응되는 부위에 돌기부(1380)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융기블록(1100) 또는 교체블록(1300)은 압전소자 등 주행이나 보행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통하여 발전이 가능한 발전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소진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태양광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융기블록(1100) 또는 교체블록(1300) 또는 그 저부에 추가적인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등의 전력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등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횡단보도에서 저장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전력공급의 기능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은 미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 타설의 필요 없이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현장 적응성이 높고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체블록 기능의 교환의 필요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교체 대상블록을 제거하고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호등과 연동되는 발광의 기능과 차량의 보행자의 경보 기능을 부가하고, 적설이나 강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 보행자 안전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패널모듈 1100...융기블록
1101...연장지지면부 1110...경사부
1120...지지면부 1130...체결공간
1131...강선연결부 1132...제어라인
1140...가이드부 1200...중심부
1300...교체블록 1310...피복부
1320...발광부 1330...연결부
1340...삽입부 1341...단자부
1350...열선부 1360...배수홀부
1380...돌기부

Claims (7)

  1. 횡단보도의 양측에 배열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부(1110)와 경사부(1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면부(1120)와 경사부의 측벽과 지지면부 사이에 돌출되는 가이드부(1140)를 구비하는 융기블록(1100);
    일측에서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된 삽입부(1340)와 타측에서 중심부의 결합 및 안착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되 융기블록의 지지면부 상측에 배열되고 신호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발광부(1320)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배수홀부(1360)를 구비하는 교체블록(1300);
    상기 지지면부와 교체블록 사이에 배열되어 교체블록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기능하며 삽입부에 대응되는 돌기부(1380)가 구비되는 조절부(1300b); 및
    양측의 교체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라인을 형성하고 각각의 교체블록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중심부(1200);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블록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고, 전후방측에 함몰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전후측으로 강선연결부(1131)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간(1130)을 구비하고,
    상기 교체블록은,
    수평상 배열되는 형태와 상면에서 경사면을 연장할 수 있도록 경사부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블록은,
    상호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제어전력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간에서 상호 연결되는 제어라인을 구비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블록은,
    가이드부에 대응되고 제어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가이드부의 단자에 접촉되어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1341)가 형성되는 삽입부(1340)를 구비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블록은,
    눈 또는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발열되는 열선부(1350)와, 상호 간에 전후방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1330)를 구비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블록은,
    차량의 진입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보행신호가 작동되거나 보행이 감지된 조건에서 차량이 융기블록에 진입되어 감지신호가 생성된 경우 보행자에게 발광을 통하여 경보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블록 또는 교체블록은,
    차량의 주행 및 보행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발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발전부를 더 구비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블록은,
    발광부, 열선부 또는 발전부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유형이 선택되어 배열될 수 있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1020170045053A 2017-04-07 2017-04-07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10191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53A KR101915574B1 (ko) 2017-04-07 2017-04-07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53A KR101915574B1 (ko) 2017-04-07 2017-04-07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86A KR20180113686A (ko) 2018-10-17
KR101915574B1 true KR101915574B1 (ko) 2018-11-06

Family

ID=6409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053A KR101915574B1 (ko) 2017-04-07 2017-04-07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85A1 (ko) 2018-09-21 2020-03-26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금속 도금성형품
KR102297149B1 (ko) * 2020-01-31 2021-09-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KR102563624B1 (ko) * 2021-12-20 2023-08-03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5559170B (zh) * 2022-10-17 2023-07-04 南通大学 一种友好型智慧人行横道路面处置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86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574B1 (ko)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005383B1 (ko) 도로에 매립되어 신호 및 차선을 안내하는 주행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유도시스템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00045325A (ko) 횡단보도
JP2012062718A (ja) 有機el照明を用いた横断歩道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0873914B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938397B1 (ko) 도로 주행 안전 장치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JP2013096201A (ja) 自発光道路鋲装置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KR102264369B1 (ko) 모듈형 led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도로안전 표시 시스템
KR101415006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도로 표지병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279054B1 (ko) 도로용 방호 울타리
KR102189175B1 (ko) 야간 차선 차량 유도 시설
KR102282814B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JP5539291B2 (ja) 自発光道路鋲装置
KR20130045959A (ko) 도로의 정지신호장치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20230099495A (ko) 사람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