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814B1 - 도로의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도로의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814B1
KR102282814B1 KR1020200038465A KR20200038465A KR102282814B1 KR 102282814 B1 KR102282814 B1 KR 102282814B1 KR 1020200038465 A KR1020200038465 A KR 1020200038465A KR 20200038465 A KR20200038465 A KR 20200038465A KR 102282814 B1 KR102282814 B1 KR 10228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ember
road
median
light emi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115A (ko
Inventor
박현만
박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박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박한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Publication of KR2021009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지면에 설치되는 분리대; 분리대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본체;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저장되는 1차 전지와,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는 광발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주,야간의 시인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생산에 의해 장시간 자력으로 램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중앙분리대{Median of Road}
개시되는 내용은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을 구별하도록 하여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양 방향의 차량 통행을 위하여 중앙선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중앙선은 도로 중앙으로 2개의 황색선을 그려놓은 것으로서, 종래의 중앙차선은 선으로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침범할 수 있는 위험의 소지가 높았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졸음운전이나 운전미숙, 또는 악천우로 인하여 중앙선을 침범하게 되는 경우 마주오는 차량 간에 정면충돌이 일어나게 되므로 대형사고로 인해 엄청난 인명피해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현재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재나 철재 등으로 설치되어 강성이 지나치게 높고, 대략 1m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자동차가 중앙분리대에 부딪혀 오히려 더 큰 충격을 줄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재나 콘크리트제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대는 철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야간에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눈에 띄지 않아 차도의 경계를 알기가 어려워 교통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단위 길이별로 구분되어 있는 중앙분리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공사기간이 길고 이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106851호
개시되는 내용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주,야간의 시인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생산에 의해 장시간 자력으로 램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분리대 몸체; 분리대 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본체;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저장되는 1차 전지와,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는 광발산부;를 포함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와 본체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연결수단은 다리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고,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돌기는 다리부재의 상단 외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끼움홈이 본체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발산부는 다수의 엘이디가 식재된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가 끼움결합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광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주,야간의 시인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생산에 의해 장시간 자력으로 램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사용 상태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사용 상태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는, 지면에 설치되는 분리대 몸체(100); 분리대 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리부재(200)와, 다리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된 본체(300); 본체(300)의 상면에 형성된 태양전지패널(410)과, 상기 태양전지패널(410)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저장되는 1차 전지(420)와, 상기 1차 전지(4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본체(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부재(430)로 구성되는 광발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대 몸체(100)는 하부는 폭이 넓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대 몸체(100)는 하단에는 도로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받침면(30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본체(300)가 장착되는 지지면(302)이 형성된다.
본체(3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개구부(310)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다리부재(200)가 결합되며, 하부 양측에 발광부재(43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리부재(200)와 본체(30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수단(500)이 구비된다.
연결수단(500)은 다리부재(200)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돌기(220)와, 본체(30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350)으로 구성된다.
끼움돌기(220)는 다리부재(200)의 상단 외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50)이 본체(300)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대략 'T'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300)의 하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끼움홈(350)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350)에 다리부재(200)의 끼움돌기(220)가 결합된다.
다리부재(200)는 수직부(210)와, 수직부(210)의 상단에 끼움돌기(220)가 형성되며, 수직부(210)의 하단에는 분리대 몸체(100)의 상단 지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230)이 형성된다.
끼움돌기(220) 및 수직부(210)의 상부가 끼움홈(35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후 밀착판(230)은 분리대 몸체(100)의 지지면(302)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306)를 체결하여 설치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0)는 수직부(210)의 상단에 구체(250)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2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300)에는 구체결합홈(370)이 형성된다.
구체결합홈(370)은 전단에는 구체(250)가 끼워지도록 개구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절개부(380)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80)에 통하면서 경사면이 대칭 형성된 각도조절부(390)가 구비된다.
각도조절부(390)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30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다리부재(200)의 수직부(210)가 각도조절부(39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어 본체(3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일정 각도까지 수용할 수 있어 수직부(210)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조절부(390)는 좌우 약 30°∼50°의 사잇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0)의 하단 밀착판(230')은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곡면부에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밀착판(23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이거나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분리대 몸체(100)의 상단이 곡면형인 경우에도 밀착판(230')이 휘어질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체(300)의 하부 양측에 발광부재(4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광발산부 결합부(360)가 형성된다.
광발산부 결합부(360)는 본체(300)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게 각기 경사면(362)이 형성되고, 경사면(362)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결합홈(364)이 형성된다.
광발산부(400)는 다수의 엘이디가 식재된 피씨비(402)가 본체(300)에 형성된 결합홈(364)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홈(364)에 탈착 가능하게 투광커버(46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피씨비(402)는 광발산부 결합부(360)의 결합홈(364)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결합홈(364)을 막도록 투광커버(460)가 결합된다.
본체(300)의 상부측 개구부에 메인피씨비(490)가 장착되고, 메인피씨비(490)의 상부측에 태양전지패널(410)이 장착된다.
따라서 태양전지패널(410)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1차 전지(420)에 공급되어 발광부재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 작업이 필요없고, 외부 전원이 인가될 필요가 없으므로 자체 발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 비용이 월등히 절감될 수 있다.
또한 1차 전지(420)의 기능 고장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조 배터리(4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470)는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성된 전력으로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며, 1차 전지(420)로부터 전원 발생이 불가한 상태인 경우 보조 배터리(470)의 전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회로 전환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된다.
1차 전지(420)의 전원 출력을 상시 감시하는 감시부(미도시)가 회로 상에 형성된다. 전원 출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상 발생으로 인지하고 회로 전환 스위치(미도시)가 작동하여 보조 배터리(47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광발산부(400)의 발광되는 색상의 변경을 이용하여 도로 조건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는 도로 상황 연동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로 상황 연동 표시부는 실시간 교통 상황 데이터를 전송받아 광발산부(400)에서 해당 상황에 적합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로 상황 연동 표시부는 도로의 조건, 즉 차량의 소통 상태에 따라 원활, 지체, 정체로 구분하고, 각기 녹색, 노랑색,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실시간 교통 상황은 일반국도상에 설치된 교통정보 수집장치 중 차량검지기(VDS), 차량번호 인식장치(AVI), 동영상수집장치(CCTV), 도로기상검지체계(RWIS) 등의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통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거쳐 각각의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는 정보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분리대 200 : 다리부재
210 : 수직부 220 : 끼움돌기
230 : 밀착부 300 : 본체
360 : 광발산부 결합부 362 : 경사면
350 : 끼움홈 400 : 광발산부
422 : 엘이디 460 : 투광커버
500 : 연결수단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분리대 몸체;
    상기 분리대 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저장되는 1차 전지와,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는 광발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부는
    다수의 엘이디가 식재된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가 끼움결합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광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와 본체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다리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다리부재의 상단 외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이 본체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는 분리대의 상단 지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단에 구체가 형성되고,
    상기 구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에는 구체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체결합홈은 전단에는 구체가 끼워지도록 개구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통하면서 경사면이 대칭 형성된 각도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하단에 밀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은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곡면부에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20200038465A 2020-01-15 2020-03-30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2282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5243 2020-01-15
KR1020200005243 2020-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15A KR20210092115A (ko) 2021-07-23
KR102282814B1 true KR102282814B1 (ko) 2021-07-29

Family

ID=7712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465A KR102282814B1 (ko) 2020-01-15 2020-03-30 도로의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425B1 (ko) * 2021-12-29 2023-09-14 전병호 솔라셀 델리네이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387B1 (ko) * 2004-08-27 2005-09-29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중앙분리대
JP2010169379A (ja) 2008-12-24 2010-08-05 Sony Corp 熱輸送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熱輸送デバイス
KR20120117440A (ko) * 2011-04-15 2012-10-24 강승구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분리대의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15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874B1 (en) Road-marking complex and system for marking roads
US7025525B2 (en) Dynamic road marking system and road segment provided with said system
KR100655768B1 (ko)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2282814B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1915574B1 (ko)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1432755B1 (ko) 태양광 엘이디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 휀스
CN212612072U (zh) 一种道路智慧斑马线
KR102338236B1 (ko) 도로 중앙분리대 지주용 경고등
CN111629472A (zh) 基于毫米波雷达的人行横道智慧路灯指示系统及控制方法
KR100911243B1 (ko) 보행자 신호등
KR20210071756A (ko) 태양광을 이용한 중앙분리대용 안전표지 장치
CN201000655Y (zh) 有源道路轮廓标
JP2004150022A (ja) 危険回避警告用のled工事標識
CN212452358U (zh) 一种太阳能发光轮廓标
KR102664068B1 (ko) 전방 방향각 및 위험지역 조명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경광등
CN214783389U (zh) 一种人行横道发光指示装置
KR102551003B1 (ko) 스마트 시티용 탈부착형 도로 방호울타리 유도등 조립체
CN216839091U (zh) 一种人行横道发光指示装置
CN214175299U (zh) 一种移动式支撑装置及信号灯
JPH0612016Y2 (ja) 踏切標識
US11585055B1 (en) High efficiency traffice sign with projection light source
CN214832101U (zh) 一种按压式智能预-报警公路护栏柱帽轮廓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