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84Y1 - 도로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84Y1
KR200229384Y1 KR2020010001507U KR20010001507U KR200229384Y1 KR 200229384 Y1 KR200229384 Y1 KR 200229384Y1 KR 2020010001507 U KR2020010001507 U KR 2020010001507U KR 20010001507 U KR20010001507 U KR 20010001507U KR 200229384 Y1 KR200229384 Y1 KR 200229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body portion
safety device
reflector
sidewal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10001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8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있어서 차도의 양끝차선에 인접되어 있는 인도의 경계석 및 경계석이 없는 가변차선에서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게 설치함으로서 차량이 인도로 진입함을 방지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및 인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양측단부가 지면에 일정 깊이만큼 매입 설치되는 'ㄷ'자 형으로 굴곡된 관체의 중공부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주입 및 양생시킨 몸체부의 양측면 적당부위에 야간에 운전자에게 식별을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형성한 후 상기 반사체의 하측에 몸체부를 지면에 타설하였을 때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를 설치하였다.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지면에 설치된 후에도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받침부는 상부면에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반사체로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한 방향 표시부를 형성하였으며, 저면에는 받침부가 지면에 정착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가 볼트로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있어서 차도의 양끝차선에 인접되어 있는 인도의 경계석 및 경계석이 없는 가변차선에서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게 설치함으로서 차량이 인도로 진입함을 방지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및 인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지금 차량에 의한 사고가 하루에도 몇 건씩 발생하여 많은 인명 및 시설물이 손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과 차량의 충돌에 의한 사고는 차량이 안전시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차량이 과속으로 주행을 하다가 발생되었을 때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인명피해가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차량과 보행자와의 충돌사고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지 않더라도 보행자의 생명을 빼앗는 대형사고가 되기 쉬운 것이다.
특히 여름철의 우천시나 겨울철에 폭설이 내렸을 때 차량이 차도에서 미끄러지면서 방향을 잡지 못하여 차도에서 이탈하여 인도로 진입하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보행하는 인도와 차도사이에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도로상황인 것이다.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인도와 차도사이에 경계석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상기 경계석은 20Cm 정도의 높이에 불과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일부 지역은 경계석자체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 인도로 진입하는 차량은 통제하지 못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는 차량의 위험 속에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야간에는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보통 때보다 훨씬 높으므로 그 위험수위 또한 등한시할 수 없는 실정인데 반하여 경계석의 높이가 낮으므로 그 식별이 용이하지 못하여 더욱더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보안하고자 도로변에 가로수를 심어서 그 역할을 대신하고는 있으나 가로수와 가로수간의 간격이 넓어 실질적으로는 그 역할을 다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도의 양끝차선에 인접되어 있는 인도의 경계석 및 경계석이 없는 가변차선에서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게 설치함으로서 차량이 인도로 진입함을 방지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및 인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단부가 지면에 일정 깊이 만큼 매입 설치되는 'ㄷ'자 형으로 굴곡된 관체의 중공부에 강도를 보강하는 콘크리트가 주입 및 양생되고 지면에 접촉되는 부위에 틈새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삽입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적당위치에 형성되어 야간에 운전자에게 식별이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와, 상기 몸체부가 안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반사체로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한 방향 표시부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 볼트로 체결되어 지면에 정착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1 : 콘크리트
12 : 반사체 13 : 커버
20 : 받침부 21 : 홈
22 : 방향 표시부 30 : 고정부
31 : 고정돌기
이하,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사시도로써, 양측단부가 지면에 일정 깊이만큼 매입 설치되는 'ㄷ'자 형으로 굴곡된 관체의 중공부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11)를 주입 및 야생시킨 몸체부(10)의 양측면 적당부위에 야간에 운전자에게 식별을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12)를 형성한다.
상기 반사체(12)의 하측에는 몸체부(10)를 지면에 타설하여 설치한 후 몸체부(10)와 지면과의 사이에 우천시 빗물이나 차량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13)를 설치하였다.
상기 몸체부(10)의 저면에는 시설물이 지면에 설치된 후에도 그 고정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20)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받침부(20)는 상부에 몸체부(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반사체로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한 방향 표시부(22)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는 받침부(20)가 지면에 보다 안정되게 정착되도록 고정돌기(31)가 형성된 고정부(30)가 볼트로서 체결되어 있다.
내부에 콘크리트(11)가 타설된 몸체부(10)의 측면에 야간에 운전자에게 식별을 용이하게 한 반사체(12)와 몸체부(10)가 지면에 설치된 후 발생할 틈을 가리기 위한 커버(13)를 삽입한 후 고정돌기(31)에 의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부(30)가 저면에 체결된 받침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21)에 안착시킨 후 몸체부(10)의 양측단부와 고정부(30)에 형성된 고정돌기(31)를 지면에 타설하여 설치함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보다 견고하게 완충 및 통제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도로용 안전장치는 인도의 경계석 및 경계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가변차선에서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게 설치함으로서 차량이 인도로 진입함을 방지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및 인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측단부가 지면에 일정 깊이 만큼 매입 설치되는 'ㄷ'자 형으로 굴곡된 관체의 중공부에 강도를 보강하는 콘크리트(11)가 주입 및 양생되고 지면에 접촉되는 부위에 틈새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3)가 삽입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적당위치에 형성되어 야간에 운전자에게 식별이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12)와,
    상기 몸체부(10)가 안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반원형의 홈(2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반사체로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한 방향 표시부(22)가 형성된 받침부(20)와,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볼트로 체결되어 지면에 정착되도록 고정돌기(31)가 형성된 고정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장치.
KR2020010001507U 2001-01-19 2001-01-19 도로용 안전장치 KR200229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07U KR200229384Y1 (ko) 2001-01-19 2001-01-19 도로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07U KR200229384Y1 (ko) 2001-01-19 2001-01-19 도로용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708A Division KR100454707B1 (ko) 2002-03-09 2002-03-09 도로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84Y1 true KR200229384Y1 (ko) 2001-07-19

Family

ID=7309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07U KR200229384Y1 (ko) 2001-01-19 2001-01-19 도로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KR100843306B1 (ko)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200229384Y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100871934B1 (ko) 보도의 차량진입 방지장치
KR100525944B1 (ko) 배수 시설이 구비된 공동 주택 단지 진입 도로 과속 방지턱
KR100454707B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20070039425A (ko) 도로용 안전장치
GB2165873A (en) Reflective road markers
KR100673583B1 (ko) 도로 안내표지판 및 가로등 지주
KR100945590B1 (ko) 자전거 도로와 보차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경계석 및 이 시공 방법
US20110164922A1 (en) Roadway marker and reflector guard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200354790Y1 (ko) 차량진입 방지대
KR102206774B1 (ko) 매설형 신호등이 구비된 험프형 횡단보도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KR200262801Y1 (ko)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KR200427704Y1 (ko) 경계석 부착용 미끄럼방지 표지판
KR101845446B1 (ko) 적사대
KR200189318Y1 (ko) 가드 케이블용 반사구
KR200327801Y1 (ko) 미끄럼 방지용 보행자 도로
KR200298746Y1 (ko) 맨홀 보호 덮개
KR200357116Y1 (ko) 보·차도 경계용 펜스
KR200259317Y1 (ko) 시내도로의 개구리주차 방지용 도로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