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446B1 - 적사대 - Google Patents

적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446B1
KR101845446B1 KR1020170104650A KR20170104650A KR101845446B1 KR 101845446 B1 KR101845446 B1 KR 101845446B1 KR 1020170104650 A KR1020170104650 A KR 1020170104650A KR 20170104650 A KR20170104650 A KR 20170104650A KR 101845446 B1 KR101845446 B1 KR 10184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welded
bridge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황수
Original Assignee
박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황수 filed Critical 박황수
Priority to KR102017010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사대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Figure 112017079732112-pat00010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접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파이프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하단은 가드레일(10)의 지주(11)의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지주(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로의 가드레일 또는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위에 적사대를 설치함으로써 강설시에도 눈에 묻히지 않아 도로이용자가 필요시 쉽게 찾아 사용 할 수 있고 적사대 내부에 모래주머니 또는 염화칼슘주머니를 적재하여 교통 및 통행에 지장이 없고 필요시 모래나 염화칼슘을 쉽게 인출할 수는 적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사대{.}
본 발명은 적사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사진 도로, 고개길 도로 및 교량구간 도로 등의 도로 노측에 설치된 가드레일이나, 콘크리트 방호벽의 상부에 도로 외측 방향으로 적사대을 설치하여 교통 및 통행에 지장이 없고, 적사대의 내부에 모래주머니나 염화칼슘 주머니를 적재하여 겨울철 강설등으로 도로가 빙판이 되어 주행차량의 바퀴가 미끄러서 앞으로 진행하지 못한 경우에 빙판에 모래등을 뿌려서 마찰력을 높여 주행차량이 앞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가 되면 도로변 곳곳에는 강설 등으로 빙판이 되는 현상에 대비하여 제설용 염화칼슘이나 모래를 보관하는 적사함이나 적사대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적사함 및 적사대는 대체적으로 도로변 상에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및 FRP 등을 통해 일정 크기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제설용 염화칼슘이나 모래 등을 보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및 FRP 등을 통해 적사함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로변의 노면 가드레일 등의 바깥쪽 바닥에 모래를 쌓아 놓거나 일정 크기의 자루 등에 담아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제설용 염화칼슘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자루에 담아 적사함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및 FRP 등을 통해 적사함을 형성하여 도로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및 FRP를 통한 적사함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의 발생은 물론, 이를 매년 유지 보수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강설에 도로 포장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및 FRP로 된 적사함의 경우 강설높이가 40-50cm가 되면 강설에 묻혀 적사함의 존재 여부를 도로이용자가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및 FRP를 통해 적사함을 도로변에 설치하는 경우 도로변의 환경을 해치기도 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 통행로로 이용되는 갓길에 설치되어 장애물이 되기도 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적사함이 가드레일 바깥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적사함이 멀리 떨어져 있어 제설용 모래주머니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시중에 설치되어 있는 기성품 적사함은 지면에 설치되어 강설시 제설삽날을 이용, 눈을 도로 바깥쪽으로 밀어낼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적사함이 눈에 묻혀 잘 보이지 않고 덮개가 결빙되어 개방에 어려움이 있는 등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이요 적사함 안에 제설용 모래주머니의 소진상태 확인이 불가하여 모래주머니 보충 시에는 일일이 확인한 후 재보충해야 하는 유지관리 상의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도로변의 노면 상에 제설용 모래를 쌓아 두는 경우에는 추위에 모래가 얼어붙거나 도로의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어 제설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얼어붙은 모래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운전자가 삽 등의 도구 없이 사용이 불가하고, 강풍 및 강우 시 도로의 주변으로 모래가 흩어짐으로써 도로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심지와 같이 차량이 집중되는 도로 상에는 차도와 인도가 분리되어 있지만 도로변의 환경을 해치는 문제로 인하여 적사함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눈이 오는 경우에는 제설용 차량에 의하지 않고는 제설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간의 적설량에도 불구하고 제때 제설을 하지 못하여 교통이 마비되는 경우를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일반도로가 아닌 교량의 경우 인도의 폭이 좁거나 인도가 없는 경우 적사함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2362호 한국 등록특허번호 10-0570844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2692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6-00024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도로의 가드레일의 지주나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위에 적사대를 설치하고, 적사대 내부에 모래주머니나 염화칼슘주머니를 적재하여 교통 및 통행에 지장이 없고, 강설시에도 항시 도로이용자가 적사대의 존재여부 및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모래 또는 염화칼슘을 쉽게 사용하도록 하는 가드레일이나 교량용 적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 가드레일판을 활용하여 받침판을 제작 사용 할 수 있어 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적으로도 효과를 발휘함에 목적도 있다.
또한 반영구적인 아연도금한 가드레일에 방청도장한 후 시인성이 좋은 황색의 야광페인트를 도장하여 도로변의 가드레일의 지주 또는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에 설치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부가적인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2a, 2b와 같이 단면이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1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접결합 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파이프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하단은 가드레일(10)의 지주(11)의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지주(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의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주(30)의 하단부에는 지주볼트(13)에 삽입되어 걸림 구조를 갖도록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2
형상의 볼트결합 홈(도5 30a)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주(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주(11)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지주(30)가 삽입되어 지주볼트(13)가 관통하여 걸림 구조를 갖도록 지주볼트결합 장공(3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레일용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드레일(10)의 지주(11)와 상기 고정지주(30)이 결합되는 사이에는 유동이 없도록 삽입되는 클립(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용의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면이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3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접결합 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ㄷ자 형상의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외측의 중앙부분은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ㄷ자 형상의 내측부분은 교량의 난간 상부의 콘크리트 상부벽(50)의 외측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철판(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의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철판(41)은 도로측으로 고정되는 일측에는 장공(41a)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벽(50)에 볼트(41b)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의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적사대는 1차로 장청도장을 한 후 2차로 황색의 야광페인트를 도색하여 주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적사대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황색의 반사띠(2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띠(23)의 표면에는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사함(또는 적사대)'의 문자가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의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21)는 차량 운행이나 보행자 통행시 지장으로 받지 않도록 도로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가드레일의 지주나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위에 적사대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강설시에는 눈에 묻히지 않아 도로이용자가 쉽게 적사대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파악 할 수 있어 도로 결빙시 운전자들이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결빙부에 뿌려 사용함으로서 결빙에 따른 교통지정체, 교통사고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효과가 있고, 적사대 내부에 모래주머니나 염화칼슘주머니를 적재하여 교통 및 통행에 지장이 없고 필요시 모래 또는 염화칼슘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겨울철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 가드레일판을 활용하여 받침판을 제작 사용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하고, 받침판의 강성을 증대시키며 재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적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아연도금한 가드레일에 방청도장한 후 시인성이 좋은 황색의 야광페인트를 도장하여 도로변의 가드레일의 지주 또는 콘크리트 방호벽에 설치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의 적사함과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용의 적사대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의 적사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용의 받침부 및 측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용의 받침부의 제작순서를 설명하기 측면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용의 지주의 볼트 홈 및 홀의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사대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용의 적사대는 단면이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4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접결합 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파이프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하단은 가드레일(10)의 지주(11)의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지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가드레일(10) 또는 교량난간(50)을 기준으로 도로측을 도로내측이라 칭하고, 바깥쪽을 도로외측이라 칭하며, 도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칭한다.
통상 가드레일(10)은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울타리 역할을 하며, 차량 사고에 따른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표면에 일정 깊이로 매설되는 지주(11)와, 상기 지주(11)에 볼트(12)에 의해 가드레일판(15)을 고정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용의 적사대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1), 측면지지대(22) 및 고정지주(3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21)는 폐 가드레일판 2장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작된다.
먼저 도 4와 같이 가드레일판의 가로길이가 약 40~50cm로 절단하여 하나는 바닥판(21A)으로 사용하고, 하나는 전면판(21B)으로 사용된다. 전면판(21B)은 도 4의 b와 같이 가로부분으로 절단하여 '가'부분을 취하여(c), 상하 대칭으로 회전시킨 후(d), 이를 좌측으로 90도 회전(e)하여 하부의 끝은 바닥판(21A)의 좌측 끝과 맞대어 용접접합을 한다(f). 접합이 끝난 후 전면판(21B)의 좌측 끝부분을 바닥판(21A)의 끝 부분과 나란하게 이루도록 적곡시킨다(g). 절곡된 전면판(21B)의 좌측 끝부분과 바닥판(21A)의 우측 끝부분을 측면지지대(22)를 대고 용접하여 결합한다.
상기 측면지지대(21)는 앞의 b과정에서 절단된 '나'부분을 약 3cm의 폭으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된 받침부는 도 3a와 같은 형상을 이루며, 가로, 세로 및 높이가 40cm이고 경사면의 길이가 50cm를 이루는 받침부가 형성된다. 형성된 받침부(21)의 하부에 도 3b와 같이 약 35cm의 고정지주(30) 상단을 용접하여 접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같이 제작된 가드레일용의 적사대가 제작되면 용접부분과 모서리 부분을 그라인드로 다듬고 도장과정을 거친다. 도장은 통상 1차로 방청도장을 한 후, 2차로 황색도장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받침부(21)는 탄성이 유지되고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21)의 바닥판(21A)에는 요철 모양의 산이 형성되어 모래주머니를 적재 시 눈이나 빗물에 의해 주머니 내부로 물이 스며들더라도 쉽게 배수가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지주(30)의 하단부에는 지주볼트(13)에 삽입되어 걸림 구조를 갖도록 도 5a와 같이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5
형상의 볼트결합 홈(30a)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가드레일(10)의 지주(11)의 내경으로 삽입하여 지주볼트(13)에 수직으로 삽입된 후 다시 직각으로 꺽인 후 수직으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지주볼트(13)에 최종 삽입되면 바닥판(21A)은 도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지주볼트(13)에 삽입된 고정지주(30)는 볼트결합홈(30a)에 걸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 등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결합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주(30)는 도 2와 같이 바닥판(21A)의 하부 좌측에 결합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 결합홈(30a) 대신에 도 5b와 같이 상기 고정지주(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주(11)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지주(30)가 삽입되어 지주볼트(13)가 관통하여 걸림 구조를 갖도록 지주볼트결합 장공(30b)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주볼트결합 장공(30b)을 형성하여 지주볼트(13)를 삽입시켜 결합하고 바닥판(21A)의 각도를 도로와 나란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가드레일(10)의 지주(11)와 상기 고정지주(30)이 결합되는 사이에는 유동이 없도록 삽입되는 클립(14)을 구비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4)은 철판을 절단 절곡하여 제작되며 지주(11)에 고정지주(30)를 삽입한 후 고정지주(3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고 유동이 없도록 탄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일 실시예로, 교량의 측면 콘크리트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용의 적사대는 단면이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6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하부면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ㄷ자 형상의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외측의 중앙부분은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ㄷ자 형상의 내측부분은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상부벽(50)의 외측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철판(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b와 같이 받침부(21) 및 측면지지대(22)는 앞에서 설명한 가드레일용의 적사대와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갖고, 다만 고정지주(30) 대신에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상부(50)에 결합하기 쉬운 구조인 ㄷ자 형상의 철판을 용접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철판(41)은 도 6과 같이 도로측으로 고정되는 일측에는 장공(41a)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벽(50)에 볼트(41b)로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철판(41)은 도 6과 같이 바닥판(21A)의 하부 좌측에 결합되어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상부(50)에 설치시 보행자나 차량의 운행에 지장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적사대는 1차로 방청도장을 한 후 2차로 황색의 야광페인트를 도색하여 주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적사대를 장기간 부식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시인성을 좋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사대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황색의 반사띠(23)가 부착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좋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반사띠(23)의 표면에는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사함(또는 적사대)'의 문자를 넣어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부(21)는 차량 운행이나 보행자 통행시 지장으로 받지 않도록 도로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폐 가드레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적사대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7과 같이 일반 철판을 사용하여 적사대를 제작한 도면을 개시하고 있듯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가드레일
11: 지주
12: 가드레일판
13: 지주 볼트
14: 클립
21: 받침부
21A: 바닥판
21B: 전면판
21a: 접합부
22: 측면지지대
23: 반사띠
24: 적사함(적사대) 문자
30: 고정지주
30a: 볼트결합 홈
30b: 지주볼트결합 장공
41: 고정철판
41a: 장공
41b: 볼트
50: 콘크리트 상부벽
51: 상면부
52: 측면부
100: 도2a 가드레일용의 적사대
500: 도2b 교량용 적사대

Claims (10)

  1. 도로의 가드레일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용 적사대에 있어서,
    가드레일판을 일정 길이로 복수개 절단하여 하나는 바닥판(21A)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전면판(21B)으로 사용하되, 상기 전면판(21B)은 가로부분으로 절단하여 전면판의 하부 끝이 상기 바닥판의 좌측 끝과 맞대어 용접한 후 전면판의 좌측 끝부분을 바닥판의 끝 부분과 나란하게 이루도록 절곡시켜 그 단면이
    Figure 112017130190545-pat00018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접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파이프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하단은 가드레일(10)의 지주(11)의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지주(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21)는 차량 운행이나 보행자 통행시 지장으로 받지 않도록 도로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적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30)의 하단부에는 지주볼트(13)에 삽입되어 걸림 구조를 갖도록
    Figure 112017079732112-pat00008
    형상의 볼트결합 홈(30a)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적사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주(11)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지주(30)가 삽입되어 지주볼트(13)가 관통하여 걸림 구조를 갖도록 지주볼트결합 장공(3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적사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10)의 지주(11)와 상기 고정지주(30)이 결합되는 사이에는 유동이 없도록 삽입되는 클립(14)을 구비하고, 적사대의 표면을 1차로 방청도장을 한 후 2차로 황색의 야광페인트를 도색하여 주야간 시인성을 높이고, 적사대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황색의 반사띠(2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적사대.
  5. 교량의 측면 콘크리트 방호벽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용 적사대에 있어서,
    가드레일판을 일정 길이로 복수개 절단하여 하나는 바닥판(21A)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전면판(21B)으로 사용하되, 상기 전면판(21B)은 가로부분으로 절단하여 전면판의 하부 끝이 상기 바닥판의 좌측 끝과 맞대어 용접한 후 전면판의 좌측 끝부분을 바닥판의 끝 부분과 나란하게 이루도록 절곡시켜 그 단면이
    Figure 112017130190545-pat00019
    자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모래주머니를 적재하는 받침부(21);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상기 받침부(21)의 양단 측면의 상부에 용접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22);
    ㄷ자 형상의 소정을 폭을 갖는 철판으로 외측의 중앙부분은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면에 용접결합 되고, ㄷ자 형상의 내측부분은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상부(50)의 외측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철판(41);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21)는 차량 운행이나 보행자 통행시 지장으로 받지 않도록 도로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적사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판(41)은 도로측으로 고정되는 일측에는 장공(41a)이 형성되어 상기 교량 콘크리트 방호벽 상부(50)에 볼트(41b)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적사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사대는 1차로 방청도장을 한 후 2차로 황색의 야광페인트를 도색하여 주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적사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사대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황색의 반사띠(2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적사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사띠(23)의 표면에는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사대'의 문자가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적사대.

  10. 삭제
KR1020170104650A 2017-08-18 2017-08-18 적사대 KR10184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50A KR101845446B1 (ko) 2017-08-18 2017-08-18 적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50A KR101845446B1 (ko) 2017-08-18 2017-08-18 적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446B1 true KR101845446B1 (ko) 2018-05-18

Family

ID=6245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650A KR101845446B1 (ko) 2017-08-18 2017-08-18 적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670Y1 (ko) * 2003-06-20 2003-09-26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제설용기가 탑재된 도로구조물
KR200446824Y1 (ko) * 2008-09-03 2009-12-03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접이식 모래함
KR101282097B1 (ko) * 2012-11-08 2013-07-04 (주)케이엠디자인 모래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670Y1 (ko) * 2003-06-20 2003-09-26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제설용기가 탑재된 도로구조물
KR200446824Y1 (ko) * 2008-09-03 2009-12-03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접이식 모래함
KR101282097B1 (ko) * 2012-11-08 2013-07-04 (주)케이엠디자인 모래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5504B1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US20070258764A1 (en) One-way speed bump
KR101845446B1 (ko) 적사대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US5302047A (en) Pedestrian safety barrier
KR100525944B1 (ko) 배수 시설이 구비된 공동 주택 단지 진입 도로 과속 방지턱
KR101109111B1 (ko)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US3194537A (en) Safety barrier for road traffic
CN102146650B (zh) 一种单轨公路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JP3076217U (ja) 道路用衝撃吸収装置
RU98425U1 (ru) Дорожно-тротуарный бортовой камень со светоотражающей полосой
Lundstrom et al. A bridge parapet designed for safety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CN208167603U (zh) 一种带有融冰雪装置的波形护栏
CN113431430A (zh) 一种窄距分隔带施工隔挡和车辆警示结构
WO2007148110A1 (en) Safety barrier
KR200271971Y1 (ko) 차량의 전복 방지용 도로 옹벽의 가드레일
KR200229384Y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200373179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RU2601825C1 (ru) Концевой участок дорожного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US20030190188A1 (en) Roadway barrier for protecting pedestri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