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097B1 - 모래 보관함 - Google Patents
모래 보관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2097B1 KR101282097B1 KR1020120126372A KR20120126372A KR101282097B1 KR 101282097 B1 KR101282097 B1 KR 101282097B1 KR 1020120126372 A KR1020120126372 A KR 1020120126372A KR 20120126372 A KR20120126372 A KR 20120126372A KR 101282097 B1 KR101282097 B1 KR 101282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storage box
- guard rail
- sand storag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35744 Hura crepi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2—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e.g. grit or salt b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판상의 형태로 만들어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이 몸체를 도로 측면에 세워지는 가드레일용 기둥에 간단히 씌워 고정하거나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간단히 체결고정하여 설치 및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모래를 보관하는 몸체(2);
가드레일(B)이 설치된 기둥(A) 상단부에 씌움될 수 있도록 수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캡(5); 및
상기 몸체(2)와 캡(5)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의 구성은 모래를 보관하는 몸체(2);
가드레일(B)이 설치된 기둥(A) 상단부에 씌움될 수 있도록 수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캡(5); 및
상기 몸체(2)와 캡(5)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가 결빙되거나 눈이 쌓여 차량 운행이 불가능할 때 모래주머니에 보관된 모래를 도로에 뿌려 차량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모래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판상의 형태로 만들어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이 몸체를 도로 측면에 세워지는 가드레일용 기둥에 간단히 씌워 고정하거나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간단히 체결고정하여 모래주머니의 이용을 쉽게 하고 설치 및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도로가 결빙되거나 눈이 쌓이게 되면 차량 통행이 원활하지 못하고, 특히 오르막 또는 내리막의 경사진 도로나 교량같은 결빙구간에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면 차량 통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를 대비해서 도로 측면 바닥에 모래주머니를 적치하여 눈이 많이 쌓여 차량 통행이 불가능할 때 그 적치된 모래주머니의 모래를 도로에 뿌려 차량 통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 측면에 바닥에 적치된 모래주머니는 눈이 많이 와서 쌓이거나, 제설차량에 의해 도로 측면으로 치워진 눈에 의해 매립되어 보이지 않아 사용시 모래주머니의 적치 장소를 찾기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로관리자가 제설시 교통 통행을 위하여 모래주머니를 도로 측면 바닥에 설치시 잡초제거와 울퉁불퉁한 바닥을 정리하여야 하며, 허리를 굽혀 모래주머니를 적치해야 함에 따라 작업의 비효율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로 측면에 세워지는 가드레일용 기둥이나 이 기둥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모래 보관함 또는 모래 적재함을 높이 고정하여 모래주머니가 적치된 장소가 잘 보이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모래 보관함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08086호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 교통표지판 지주"가 개시되고 있는데, 도로변 가드레일의 지주포스트(102)와 거치파이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도로변 가드레일의 지주포스트(102)에 거치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2)의 후방에 반원형의 거치홈(14)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2)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의 하부면에 결착홈(18,18')을 형성하고, 본체(12)의 상부면에 거치파이프(19)가 부착되어 있는 거치대(10)와 고정핀(22)을 사용하여 거치대(10)의 고정홈(16)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6)이 형성된 고정밴드(20)와. 상기 거치대(10)의 결착홈(18,18')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착돌기(38,38')를 구성하고, 제설모래주머니를 적재할 수 있도록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재걸이대(30)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교통표지판 지주는 상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 및 제품 생산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현장 조립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형태로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적재걸이대(30) 일단부만 지지포스트(102)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가 되어 적재걸이대(30)는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었다. 따라 많은 모래를 적재할 경우 자유단부에 처짐현상이 발생하여 많은 모래를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종래 실시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73889호의 "제설재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는데, 제설재가 적재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를 덮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상, 하측 지지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상,하측 지지부재의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결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설재 보관함은 가드레일에 직접 장착되는 것으로 미관상 보기가 좋지 못하고 가드레일에 하중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가드레일이 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가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690155호의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에 모래 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는 함체(230)와, 힌지(213)에 의해 상기 함체(230)의 일측 상부면에 덮여지는 덮개(210)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230)의 전방부 저면에는 상기 본체부(200)를 가드레일(300,310)에 안정되게 장착하기 위한 체결용 플랜지부재(24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후방쪽에는 지주를 수용하기 위한 지주수용부(45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230)의 후방부 저면 양측에는 고정돌편(235)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지주수용부(455)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수직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지주(410), 일단이 상기 지주의 하단에 체결장치(420)에 의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함체(230)의 고정돌편(235)에 고정결합되는 하중지지대(4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410)는 그 상단에 고무 지주캡(461)이 덮여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지주수용부(455)에 끼워지며, 스페이서(415)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드레일(300,310)과 접하며 최종적으로 장볼트(419)와 너트(417)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모래주머니를 수납하는 본체부(200)가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덮개(210)를 열고 내부에 모래주머니를 수납해야 하므로 모래주머니 수납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본체부(200)가 외팔보형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200) 하부를 하중지지대(430)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의 설치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모래 보관함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판상의 형태로 만들어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이 몸체를 도로 측면에 세워지는 가드레일용 기둥에 간단히 씌워 고정하거나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간단히 체결고정하여 이용자의 시인성 확보와 설치 및 제거를 간편하게 하여 관리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판상의 형태로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이 몸체를 가드레일용 기둥에 탑재 고정하여 상기 몸체가 외팔보 형태가 아닌 기둥에 직접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판상의 형태로 구성하여 모래주머니의 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취급과정에서 합성수지(비닐)로 구성된 모래주머니가 장애물에 걸려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체결방식으로 장착하여 조립 및 제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모래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래 보관함은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가 기둥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착탈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일단부에 체결공이 관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은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가 기둥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에 체결공이 관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은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가 기둥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보관된 모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지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은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가 기둥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보관된 모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지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은 모래를 보관하는 몸체;
가드레일이 설치된 기둥 상단부에 씌움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캡; 및
상기 몸체와 캡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판상의 형태로 만들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몸체를 도로 측면에 세워지는 가드레일용 기둥에 간단히 씌워 고정하거나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간단히 체결고정하여 설치 및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몸체를 가드레일용 기둥에 탑재 고정하여 상기 몸체가 외팔보 형태가 되지 않고 기둥에 지지되어 비교적 많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가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모래주머니의 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의 취급과정에서 모래주머니가 장애물에 걸려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를 보울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방식으로 장착하여 조립 및 제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몸체에 가드레일과 동일한 아연도금을 함으로써 염화칼슘과 섞어 사용하는 모래로 인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래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과 연속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과 연속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차단막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차단막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래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과 연속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모래 보관함이 가드레일과 연속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차단막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차단막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보관함의 일 실시예는 비교적 소량의 모래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일 실시예와 비교적 많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로 구분된다.
일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다.
즉, 일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1)은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2)를 가지며, 상기 몸체(2)가 기둥에 설치된 가드레일(B)에 착탈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2) 일단부에 체결공(2a)이 관통된다.
상기 모래 보관함(1)은 상기 몸체(2)가 기둥(A)에 설치된 가드레일(B)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2)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3)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3)에 보울트(C)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a)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결국 가드레일(B)에 고정되므로, 가드레일(B)의 연결부분과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한다.
상기 모래 보관함(1)은 상기 연결부(3)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보관된 모래주머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지턱(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지턱(4)은 모래를 보관하는 합성수지(비닐)로 구성된 모래주머니와 밀착될 수 있도록 곡선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곡선형상으로 돌출된 방지턱(4)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도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3)에 형성된 체결공(2a)은 도 2와 같이 보울트(C)가 삽입되어 몸체(2)를 가드레일(B)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에 너트(D)가 체결되어 몸체(2)를 가드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2)는 금속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옥외에 설치되고 모래주머니 속 모래가 염화칼슘을 혼합한 제설재임을 감안하여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몸체는 염화칼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식에 강한 재질을 도금하거나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부식에 강한 도금재는 가드레일에 도금된 재질, 즉 아연도금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몸체(2)는 비중이 큰 모래를 보관하게 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10)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모래 보관함(10)은 모래를 보관하는 몸체(2);
가드레일(B)이 설치된 기둥(A) 상단부에 씌움될 수 있도록 수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캡(5); 및
상기 몸체(2)와 캡(5)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는 이미 설명한 일 실시예의 몸체(2)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2)는 중앙 부분에 기둥(A)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보울트(C)가 관통되는 조립공(2b)이 관통된다. 상기 몸체(2)는 일 실시예와 달리 기둥(A)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가드레일(B)에 설치되는 일실시예의 설치 위치가 상이하다.
상기 캡(5)의 구성은 몸체(2)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받침대(51); 및
가드레일(B)이 설치되는 기둥(A) 상단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51)에 고정된 수용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51)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보울트(C)에 의해 몸체(2)에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공(51a)이 관통된다.
상기 받침대(51)의 저면에는 기둥(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52)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수용부재(52)는 수용홈(52a)에 기둥(A)을 수용한 상태에서 스크류(S) 체결에 의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크류(S)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52b)이 관통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몸체(2)에 관통되는 조립공(2b);
상기 조립공(2b)과 대응되게 받침대(51)에 관통되는 연결공(51a); 및
상기 조립공(2b)과 연결공(51a)을 체결고정하는 보울트(C) 및 너트(D);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에 형성된 조립공(2b)은 몸체(2)에 캡(5)을 체결 고정하는 보울트(C)가 삽입되는 것으로 캡(5) 상부에 조립 고정되는 몸체(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공(51a)은 캡(5)의 받침대(5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공(2b)과 대응되는 받침대(51)에 관통된다. 여기서, 기둥(A)과 가드레일(B)이 형식에 따라 간격이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몸체(2)가 가드레일(B)에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받침대(51)의 연결공(51a)을 장공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울트(C) 및 너트(D)는 몸체(2)의 저면에 캡(5)을 체결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모래 보관함(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2)를 판상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몸체(2) 일측 또는 양측면에 모래를 내장한 모래주머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면차단막(2c)이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함체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몸체(2)의 양측에 복수 개의 삽입홈(2d)을 형성하고, 측면차단막(2c) 저면에 상기 삽입홈(2d)과 대응되게 조립돌기(2c-1)를 돌출시켜, 이 조립돌기(2c-1)가 삽입홈(2d)에 삽입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몸체(2)가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면, 모래 보관함(1) 내부에 보관된 모래주머니가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도로의 경계부분의 위치를 안내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차단막(2c) 상부에 반사부재(2e)가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하는 몸체(2)가 판상 또한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이 몸체(2)가 가드레일(B)용 기둥(A) 또는 가드레일(B)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기둥(A)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경우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많은 모래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어 종래의 모래 보관함과 대비되는 우수한 발명이다.
1,10 : 모래 보관함 2 : 몸체
2a : 체결공 2b : 조립공
2c : 측면차단막 2d : 삽입홈
3 : 연결부 4 : 방지턱
5 : 캡 51 : 받침대
52 : 수용부재 A : 기둥
B : 가드레일 C : 보울트
D : 너트 S : 스크류
2a : 체결공 2b : 조립공
2c : 측면차단막 2d : 삽입홈
3 : 연결부 4 : 방지턱
5 : 캡 51 : 받침대
52 : 수용부재 A : 기둥
B : 가드레일 C : 보울트
D : 너트 S : 스크류
Claims (11)
-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2)를 가지며, 상기 몸체(2)는 기둥(A)에 설치된 가드레일(B)에 착탈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체결공(2a)이 관통되고, 측면차단막(2c)이 조립된 위치에 복수 개의 삽입홈(2d)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차단막(2c)은 상기 삽입홈(2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조립돌기(2c-1)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2)를 가지며, 상기 몸체(2)는 기둥(A)에 설치된 가드레일(B)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3)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3)에 체결공(2a)이 관통되며, 측면차단막(2c)이 조립된 위치에 복수 개의 삽입홈(2d)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차단막(2c)은 상기 삽입홈(2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조립돌기(2c-1)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모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판상의 몸체(2)를 가지며, 상기 몸체(2)는 기둥(A)에 설치된 가드레일(B)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2)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보관된 모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지턱(4)이 형성되며, 측면차단막(2c)이 조립된 위치에 복수 개의 삽입홈(2d)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차단막(2c)은 상기 삽입홈(2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조립돌기(2c-1)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모래를 보관하는 몸체(2);
가드레일(B)이 설치된 기둥(A) 상단부에 씌움될 수 있도록 수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캡(5); 및
상기 몸체(2)와 캡(5)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몸체(2)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기둥(A)에 설치된 가드레일(B)에 수평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연결부(3)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3)에 체결공(2a)이 관통되며, 측면차단막(2c)이 조립된 위치에 복수 개의 삽입홈(2d)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차단막(2c)은 상기 삽입홈(2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조립돌기(2c-1)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연결부(3)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보관된 모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지턱(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캡(5)은 몸체(2)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받침대(51); 및
가드레일(B)이 설치되는 기둥(A) 상단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51)에 고정된 수용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몸체(2)에 관통되는 조립공(2b);
상기 조립공(2b)과 대응되게 받침대(51)에 관통되는 연결공(51a); 및
상기 조립공(2b)과 연결공(51a)을 체결고정하는 보울트(C) 및 너트(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차단막(2c)에 반사부재(2e)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보관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372A KR101282097B1 (ko) | 2012-11-08 | 2012-11-08 | 모래 보관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372A KR101282097B1 (ko) | 2012-11-08 | 2012-11-08 | 모래 보관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2097B1 true KR101282097B1 (ko) | 2013-07-04 |
Family
ID=4899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372A KR101282097B1 (ko) | 2012-11-08 | 2012-11-08 | 모래 보관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20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5446B1 (ko) * | 2017-08-18 | 2018-05-18 | 박황수 | 적사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291Y1 (ko) | 2003-04-28 | 2003-08-06 | 신성엔지니어링 (주) | 도로용 가드레일 구조 |
JP2005287427A (ja) * | 2004-03-31 | 2005-10-20 | Marutomi:Kk | 防護柵用花壇 |
KR100690155B1 (ko) * | 2006-08-16 | 2007-03-08 | 도원철 |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
KR20100096597A (ko) * | 2009-02-25 | 2010-09-02 | 한국도로공사 | 가드레일 설치용 모래주머니 보관함 |
-
2012
- 2012-11-08 KR KR1020120126372A patent/KR1012820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291Y1 (ko) | 2003-04-28 | 2003-08-06 | 신성엔지니어링 (주) | 도로용 가드레일 구조 |
JP2005287427A (ja) * | 2004-03-31 | 2005-10-20 | Marutomi:Kk | 防護柵用花壇 |
KR100690155B1 (ko) * | 2006-08-16 | 2007-03-08 | 도원철 |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
KR20100096597A (ko) * | 2009-02-25 | 2010-09-02 | 한국도로공사 | 가드레일 설치용 모래주머니 보관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5446B1 (ko) * | 2017-08-18 | 2018-05-18 | 박황수 | 적사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45159A (en) | Anti-theft vehicle shelter | |
WO2009136766A3 (ko) | 자전거 수직 보관대 | |
US7628289B1 (en) | Turf anchor | |
KR101282097B1 (ko) | 모래 보관함 | |
CA2368946C (en) | Planter comprising a support | |
US7431246B1 (en) | Refuse container holder system | |
US5678757A (en) | Mailbox unit | |
KR100907831B1 (ko) | 주차장용 카스토퍼 | |
KR200446824Y1 (ko) | 접이식 모래함 | |
KR20100053039A (ko) |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 |
JP2005287427A (ja) | 防護柵用花壇 | |
RU2371539C2 (ru) | Модульный барьер для ограждений и знаков | |
KR200441306Y1 (ko) | 자전거 보관대 | |
KR100690155B1 (ko) |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 |
CN215482586U (zh) | 一种道路防护栏 | |
WO2014202926A2 (en) | Bicycle storage unit | |
KR200441305Y1 (ko) | 자전거 보관대 | |
NL1038277C2 (nl) | Werkwijze en stelsel voor het met plantenbakken en/of panelen bedekken van een structuur zoals een wand of dak, alsmede bevestigingsmiddelen, bakken en panelen als deel van een dergelijk stelsel, alsmede een geluidsscherm voorzien van een dergelijk stelsel. | |
KR101243141B1 (ko) | 가드레일 장착형 적재함 | |
US7275680B1 (en) | Adjustable mailbox support assembly | |
KR200436283Y1 (ko) | 표지판 거치대 | |
JPH02182589A (ja) | 駐輪装置駐輪ユニット | |
CN210712665U (zh) | 一种紧密型错层道路绿化分隔栏 | |
EP0809584A1 (fr) | Dispositif de parcage aerien de vehicules legers | |
CN205637818U (zh) | 一种露天车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