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79Y1 - 도로용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79Y1
KR200373179Y1 KR20-2004-0030253U KR20040030253U KR200373179Y1 KR 200373179 Y1 KR200373179 Y1 KR 200373179Y1 KR 20040030253 U KR20040030253 U KR 20040030253U KR 200373179 Y1 KR200373179 Y1 KR 200373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entral separator
separator
central
surf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채종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술 filed Critical 채종술
Priority to KR20-2004-003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구성은 도로용 중앙분리대는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하부 방호벽부(220)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상부 방호벽부(210)로 이루어진 금속재로 구성된 표면커버(200)와, 상기 표면커버(200)의 상단면(230)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대(201)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몸체부(300)로 이루어진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저면부(240)에 요철모양()의 요철돌기부(250)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상단면(230)에 차광판(300)을 설치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차광판 고정삽입홈(260)이 구비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도로상에 설치하여 서로간에 결합을 하기 위해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 측면부(245)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결합공(270)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들의 서로간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공(270)을 통해 지지파이프(50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하부에는 운반을 유도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운반유도삽입홈(280)이 구비되는 것을 구성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 방호벽부(210)에 도로상에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양쪽측면과 일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무바퀴를 수평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퀴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수용부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무바퀴(290)가 구비되어 더 형성 되어 있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고무바퀴(290)의 설치로 인해 차량충돌시 완충작용의 역할을 하여 운전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도로용 중앙분리대{Median strip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커버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내면부는 콘크리트로 채워져 구성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고속도로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표면부가 중앙분리대의 몰드로 이용되는 동시에 표면부 표면에 안전색상을 칠하여 운전자 시야에 쉽게 띄게 됨으로 시선 유도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작업 및 설치에 용이하고 도로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고속 주행하는 자동차전용도로나 고속도로와 같은 도로에는 그 한복판에 차도의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별하고 분리하기 위해 중앙분리대가 시설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분리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도로 상에 세워져 차도를 주행 방향별로 분리하는 콘크리트의 중앙분리대 본체와, 이 중앙분리대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대 차도를 주행하는 자동차 전조등 빛이 운전자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금속의 차광용 펜스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본체는 공장에서 이미 제작되어 운반해온 것으로 대부분 이미 완성된 중앙분리대를 운반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는 중앙분리대의 거대한 무게로 인해 공장에서 설치장소까지 임의의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으며 과중한 무게로 인해 다수개의 중앙분리대를 한번에 운반하기는 어려워 여러대의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설치장소까지 운반하는 관계로 수십일이 소요가 된다.
또한, 도로상에 설치된 중앙분리대 본체의 벽면에 안전표시의 색상을 도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벽면에 도장한 안전 색상은 자연환경의 영향과 대기오염의 영향으로 안전색상이 손실을 입게 되는 벽면과 안전색상의 박리가 일어나게 되어 운전자에 위험요소를 불러일으킨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은 도로상에 중앙분리대를 손쉽게 설치하고 운전자에게 안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장소에서 직접 중앙분리대의 제작에서부터 설치까지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고안하게 되었다.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는 도로 공사중인 과정에서 중앙분리대 제작작업을 시작하거나 또는 기존 도로의 보수작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중앙분리대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작업시간과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도로상에 설치된 중앙분리대는 표면부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안전색상의 도장의 수명을 연장하여 안전표시가 선명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중앙분리대의 표면부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으로 콘크리트와 충돌하는 것보다 금속재의 표면부와 충돌에 있어 다소 완충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약간의 완충역할을 하는 금속재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표면부에 충돌시 완충적인 완전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분리대의 금속재로 구성된 표면부에 고무롤러를 설치하여 차량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완충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용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어 차량충돌시 콘크리트의 파손으로 콘크리트 잔해물이 도로상에 어지럽게 널려져 있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2차적인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은 이러한 콘크리트의 파손을 막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커버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표면부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표면부 내부에는 콘크리트로 채워져 있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로 현장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직접 제작을 할 수 있으며, 중앙분리대의 표면이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안전색상을 칠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중앙분리대의 표면부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목적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와 차광판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전체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도로상 설치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일측 고무바퀴설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일측 고무바퀴설치 측면단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양측 고무바퀴설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일측 고무바퀴설치 측면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요철돌기부 저면부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가드레일의 설치예시도와 체결부 확대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지지파이프를 설치한 내부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들 사이에 지지파이프를 설치한 내부구성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돌출구와 요입홈의 내부구성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들 사이에 돌출구와 요입홈에 의해 설치한 내부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로용 중앙분리대 : 100 돌출구 : 271
표면커버 : 200 요입홈 : 272
보강대 : 201 운반유도삽입홈 : 280
상부 방호벽부 : 210 고무바퀴 : 290
하부 방호벽부 : 220 지지봉 : 295
상단면 : 230 몸체부 : 300
저면부 : 240 가드레일 : 400
측면부 : 245 지지파이프 : 500
요철돌기부 : 250 스프링후크 : 600
차광판 고정삽입홈 : 260 차광판 : 700
결합공 : 270 고휘도 반사지 : 800
본 고안의 도로용 중앙분리대는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하부 방호벽부(220)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상부 방호벽부(210)로 이루어진 금속재로 구성된 표면커버(200)와, 상기 표면커버(200)의 상단면(230)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대(201)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몸체부(300)로 이루어진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저면부(240)에 요철모양()의 요철돌기부(250)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상단면(230)에 차광판(300)을 설치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차광판 고정삽입홈(260)이 구비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도로상에 설치하여 서로간에 결합을 하기 위해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양쪽 측면부(245)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결합공(270)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들의 서로간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공(270)을 통해 지지파이프(50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하부에는 운반을 유도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운반유도삽입홈(280)이 구비되는 것을 구성하는 것을 제공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이다.
본 고안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와 차광판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전체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도로상 설치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일측 고무바퀴설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일측 고무바퀴설치 측면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양측 고무바퀴설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일측 고무바퀴설치 측면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요철돌기부 저면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가드레일의 설치예시도와 체결부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지지파이프를 설치한 내부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들 사이에 지지파이프를 설치한 내부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돌출구와 요입홈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들 사이에 돌출구와 요입홈에 의해 설치한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전체 분리사시도로 다음과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로용 중앙분리대는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하부 방호벽부(220)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상부 방호벽부(210)로 이루어진 금속재로 구성된 표면커버(200)와, 상기 표면커버(200)의 상단면(230)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대(201)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된몸체부(300)로 이루어진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저면부(240)에 요철모양()의 요철돌기부(250)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상단면(230)에 차광판(300)을 설치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차광판 고정삽입홈(260)이 구비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도로상에 설치하여 서로간에 결합을 하기 위해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 측면부(245)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결합공(270)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들의 서로간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공(270)을 통해 지지파이프(50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하부에는 운반을 유도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운반유도삽입홈(280)이 구비되는 것을 구성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구성에 있어서, 도 6과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상부 방호벽부(210)에 도로상에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도로상과 마주보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측면과 일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무바퀴(290)를 수평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퀴 수용부(291)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수용부(291)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무바퀴(290)가 구비되어 더 형성 되어 있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고무바퀴(290)의 설치로 인해 차량 충돌시 완충작용의 역할을 하여 운전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고무바퀴(290)의 중앙부에는 지지봉(295)이 있어 도 7과 도 9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일측과 양측 고무바퀴(290) 설치시 측면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차량충돌시 고무바퀴(290)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해 고무바퀴(290)의 중앙부에 지지봉(295)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방호벽부(210)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무바퀴(290)는 하부 방호벽부(220)보다 약간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 충돌시 하부 방호벽부(220)의 충돌을 막기 위해 먼저 고무바퀴(290)와 충돌을 일으켜 완충작용으로 운전자 및 차량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일직선상으로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고무바퀴(29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는 방법외에 여러개의 직선상으로 나열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고무바퀴(290)가 설치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상의 설치위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들 사이의 측면부끼리의 결합하는 위치가 아니라 도로상과 면접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측면을 말하면 도로상에서 양측에 고무바퀴(290)가 설치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는 도로의 중앙선에 위치한 장소에 설치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일측에 설치된 고무바퀴(290)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는 도로 외곽선에 설치하여 일방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표면커버(200)의 상단면(230)이 개방되어 있는 것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곳으로 상단면(230)이 개방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표면커버(200)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표면커버(20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커버(200) 내부에 다수의 보강대(201)를 연결하여 표면커버(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대(201)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대(201)의 설치예를 도 9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측 고무바퀴(290)설치시 측면단면도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보강대(201)는 고무바퀴(290)를 설치하지 않은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일측에 고무바퀴(290)를 설치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도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차량의 충돌시 외관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철거할 수 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표면커버(200)만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표면커버(200)내부에 구비된 보강대(201)와 표면커버(200)를 결속하는 결속장치를 풀어 표면커버(200)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쉽게 표면커버(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표면커버(200)와 보강대(201)를 결속하는 방식즉 볼트와 너트의 조립체로 구성된 결속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판을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도로상에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시 표면커버(200)의 상단면(230)에 차광판(300)을 설치하기 위해 차광판 고정삽입홈(260)을 미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차광판(300) 설치는 반대편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 등을 막아주어 주행하는 운전자의 시각보호 및 시야확보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상부 방호벽부(210)에 수평의 일직선상으로 고휘도반사지(800)를 부착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위험표시의 식별을 더욱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더 형성되는 것을 도 8의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양측에 고무바퀴를 설치한 사시도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고휘도반사지(800)는 일측에 고무바퀴(290)를 설치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뿐만 아니라 고무바퀴(290)를 설치하지 않은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휘도반사지(800)는 야간에 빛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원리로 작용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시야에 뚜렷이 구별될 수 있는 고휘도반사지(800)를 사용한다.
상기 도 10에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저면부(240)인 바닥면에 요철돌기부(250)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요철돌기부(250)는 차량충돌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천시 도로의 배수를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요철돌기부(250)는 요철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직선의 돌기선(255)이 다수개 수평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가드레일의 설치예시도와 체결부 확대도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구성에 있어서, 다수개의 도로용중앙분리대(100)를 연결하고, 상기 다수개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연결된 시작부의 측면부(245)와 다수개로 연결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끝나는 종점부의 측면부(245)에 스프링후크(600)를 구비하여 다수개로 연결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시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가드레일(400)과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스프링후크(600)로 인해 시점부와 종점부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차량충돌시 완충적인 역할을 하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돕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와 가드레일(400)을 체결하는 수단으로 스프링후크(600)를 설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12와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 측면부(245)를 연결하는 결합공(270)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70)은 일정크기의 지지파이프(500)를 삽입시킬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가진 결합공(270)으로 도로상에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설치시 하나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결합공(270)에 양쪽 측면부(245)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길이를 가진 지지파이프(500)를 삽입하고, 상기 하나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양쪽에 설치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상기 돌출된 지지파이프(500)의 길이가 다른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결합공(27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 측면부(245)를 연결하는 결합공(270)을 구비하는 대신에 도 14와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측면부(245)에 돌출구(271)를 구비하고 반대쪽의 다른 일측 측면부에 요입홈(272)을 구비하며, 다수개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설치시 일측 측면부에 돌출구(271)를 가진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다른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일측 측면부의 요입홈(272)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방법으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하부에는 운반을 유도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운반유도삽입홈(28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는 지게차 등의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상에 설치되기 위해 운반유도삽입홈(280)을 구비하여 간단히 운반하는 운반유도삽입홈(280)이며, 또한 배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도로에 설치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인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현장 즉 도로상에서 직접 설치하는 것으로 먼저,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거푸짚역할을 하는 표면커버(200)를 도로의 시공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표면커버(100)는 고무바퀴(290)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표면커버(200)와 고무바퀴(290)가 없는 표면커버(200) 중 선택하여 도로상에 설치하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보강대(201)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표면커버(200)의 변형을 막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커버(200)의 저면부(240)에는 미끄럼 방지의 요철돌기부(250)와 운반시 이동수단에 유도되는 운반유도삽입홈(28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시공장소에 기존의 중앙분리대를 운반하여 설치하듯이 상기 다수개의 표면커버(200)를 도로상의 설치장소에 일렬로 고정결합시켜 설치하고, 상기 표면커버(200) 상단면(230)에 개방이 되어 있어 이 개방된 상단면(230)을 통해 콘크리트를 투입하며, 상기 표면커버(200) 상단면(230)을 통해 콘크리트를 투입하기전 차광판 고정삽입홈(260)을 설치한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한후 양생시켜 콘크리트가 경화된 몸체부(300)가 형성된 본 고안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제작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경화후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표면커버(200)에 안전표시를 도색하는 작업, 안전표시의 고휘도반사지(800)를 부착하여 설치하는 작업, 차광판(700)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도로상에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에 있어서는 도로상에서 직접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제작할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충격완화의 완충작용을 일으켜 차량 및 운자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하며 도로상의 2차적인 피해를 없애기 위한 본 고안의 도로용 중앙분리대이다.
또한, 본 고안의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견고성이 증대되므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커버의 표면에 도장된 안전표식부의 수명이 길고 식별이 용이하여 운전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표면커버의 소재의 특성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시 중앙분리대 및 차량 차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하부 방호벽부(220)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상부 방호벽부(210)로 이루어진 금속재로 구성된 표면커버(200)와, 상기 표면커버(200)의 상단면(230)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대(201)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커버(200) 내부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몸체부(300)로 이루어진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저면부(240)에 요철모양()의 요철돌기부(250)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상단면(230)에 차광판(300)을 설치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차광판 고정삽입홈(260)이 구비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도로상에 설치하여 서로간에 결합을 하기 위해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 측면부(245)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결합공(270)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들의 서로간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공(270)을 통해 지지파이프(50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과,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하부에는 운반을 유도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운반유도삽입홈(2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도로상과 마주보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양쪽측면과 일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상부 방호벽부(210)에 수평으로 고무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수용부(291)와,
    상기 바퀴수용부(291)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무바퀴(290)와,
    상기 고무바퀴(290)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고무바퀴(290)의 중앙부에 지지봉(295)이 더 추가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의 상부 방호벽부(210)에 수평의 일직선상으로 고휘도반사지(800)를 부착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위험표시의 식별을 더욱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를 연결하고, 상기 다수개의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연결된 시작부의 측면부(245)와 다수개로 연결된 도로용 중앙분리대(100)가 끝나는 종점부의 측면부(245)에 가드레일(400)과 체결하기 위해 스프링후크(600)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5. 제1항에 있어서, 도로용 중앙분리대들 사이의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양쪽 측면부(245)를 연결하는 결합공(270)을 구비하는 대신에 도로용 중앙분리대(100)에있어서 일측 측면부(245)에 돌출구(271)를 구비하고 반대쪽의 다른 일측 측면부에 요입홈(2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2004-0030253U 2004-10-22 2004-10-22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73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253U KR200373179Y1 (ko) 2004-10-22 2004-10-22 도로용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253U KR200373179Y1 (ko) 2004-10-22 2004-10-22 도로용 중앙분리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997A Division KR100673306B1 (ko) 2005-03-02 2005-03-02 도로용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79Y1 true KR200373179Y1 (ko) 2005-01-15

Family

ID=4935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253U KR200373179Y1 (ko) 2004-10-22 2004-10-22 도로용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936B1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110131633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200373179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20110031554A (ko) 완충기능을 갖는 가드펜스
KR101049892B1 (ko) 도로 가드레일용 지주대
KR101422598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326714Y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354790Y1 (ko) 차량진입 방지대
KR100526399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298746Y1 (ko) 맨홀 보호 덮개
CN107059700A (zh) 长波形护栏安装设备
KR200163760Y1 (ko)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KR101845446B1 (ko) 적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