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182Y1 - 조립식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드레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5182Y1 KR200215182Y1 KR2020000025431U KR20000025431U KR200215182Y1 KR 200215182 Y1 KR200215182 Y1 KR 200215182Y1 KR 2020000025431 U KR2020000025431 U KR 2020000025431U KR 20000025431 U KR20000025431 U KR 20000025431U KR 200215182 Y1 KR200215182 Y1 KR 2002151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road
- prefabricated
- guardrail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3개의 부재로 분리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야광체 또는 표식과 같은 다양한 표시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그 조립식 가드레일(guard rail)은 도로의 주변을 따라 타설되는 지주(10); 지주(10)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변에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4)가 형성되는 상부부재(12); 지주(10)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부변에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8)가 형성되는 하부부재(16); 및 상부부재(12)와 하부부재(16)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변에 상부부재(12)의 체결부(14)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고정부(22)가 형성되며, 하부변에 하부부재(16)의 체결부(1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고정부(24)가 형성되는 중앙부재(2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3개의 부재로 분리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야광체 또는 표식과 같은 다양한 표시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진 않지만 차도 또는 인도와 같은 도로의 변에는 차량 또는 사람이 도로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들에게 도로의 경계임을 경고하기 위해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드레일은 그 형태 및 설치 방식이 다양한바, 그 중에서 주로 차도의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드레일이 있다. 이 가드레일(1)은 도로변에 일정간격 또는 예정된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2)와, 그 지주(2)들에 장착되는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물론, 이들 각각의 플레이트(3)는 각각의 단부가 지주(2)에서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각각의 플레이트(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일반적으로 외측에서 볼 때, 즉, 도로의 내측에서 볼 때 도로가로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철부(4,5)와, 그 2개의 철부(4,5)사이에 형성되는 홈부(6)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가드레일은 주간에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도로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지만, 야간에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정상적인 시각으로는 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으므로 종종 가드레일에 충돌하거나 심한 경우 그 가드레일을 파손한 후 도로의 경계를 벗어나게 되는 대형 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드레일은 단순하게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보행자 또는 차량을 부분적으로 보호하는 기증만을 발휘할 뿐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가드레일은 단일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손상되거나 파손된 경우에도 그 전체를 수리하거나 대개의 경우에는 가드레일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에도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어 부분적으로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표시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드레일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식 가드레일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드레일의 중앙플레이트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드레일의 중앙플레이트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드레일을 보여주는 부분 절취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 12: 상부부재
14, 18: 체결부 16: 하부부재
20: 중앙부재 22,24: 고정부
26: 전방플레이트 28: 후방플레이트
30: 조립부재 32: 표식
이 같은 목적들은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차량 또는 행인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조립식 가드레일에 있어서, 도로의 주변을 따라 타설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변에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상부부재; 상기 지주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부변에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변에 상기 상부부재의 체결부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고정부가 형성되며, 하부변에 상기 하부부재의 체결부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고정부가 형성되는 중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드레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드레일을 보여주는 도 2 및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드레일은 기본적으로 도로가와 같은 경계지점에 일정간격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지주(10)를 구비한다.
지주(10)의 상부에는 실제로 도로의 경계를 표시함은 물론 차량 또는 사람의 보호대 역할을 하는 상부부재(12)가 고정된다. 상부부재(12)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부부재(12)의 하부변에는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4)가 형성된다. 그 체결부(14)는 절곡되거나 또는 굽힘 형성되어 체결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의 하부에는 상부부재(12)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하부부재(16)가 고정된다. 하부부재(16)는 역시 도로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부재(16)의 하부변에는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8)가 형성된다. 그 체결부(18)는, 상부부재(12)의 체결부(14)와 동일하게 절곡되거나 또는 굽힘 형성되어 체결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부재(12)와 하부부재(16) 사이에는 중앙부재(20)가 결합된다. 중앙부재(20)의 상부변에는 상부부재(12)의 체결부(14)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제 1고정부(22)를 일체로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중앙부재(20)의 하부변에는 하부부재(16)의 체결부(1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제 2고정부(24)를 일체로 구비한다. 물론, 각각의 고정부(22,24)는 각각의 체결부(14,18)에 상응한 체결홈 또는 체결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앙부재(20)는 야간에도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용이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자체가 야광물질로 형성되거나, 야광페인트가 도포되거나 또는 야광테이프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재(20)는 야간의 식별성은 물론 강도를 보강시키거나 또는 완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앙부재(20)는 도로의 내측으로 다소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방플레이트(26)와, 그 전방플레이트(26)에 일체로 형성되며 도로의 외측으로 다소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후방플레이트(28)로 구성된다. 물론, 전방플레이트(26)의 상부변 및 하부변에는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6)의 각각의 체결편(14,1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부(22,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플레이트(16)의 표면에는 야광페인트가 도포되거나 또는 야광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부재(20)는 다수개의 조립부재(30)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들 각각의 조립부재(30)에는 다양한 문자 또는 표식(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표식(32)들은 야광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각의 조립부재(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6)의 각각의 체결편(14,1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부(22,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2)의 하부변에 형성되는 체결부(1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공(14a)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하부부재(16)의 상부변에 형성되는 체결부(18)에도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8a)이 천공된다. 이에 대응하게, 중앙부재(20)의 상부변에 형성된 제 1고정부(22)에는 상부부재(12)의 체결공(14a)에 삽입되어 쇄정되는 체결편(22a)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중앙부재(20)의 하부변에 형성된 제 2고정부(24)에도 하부부재(16)의 상부변에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공(18a)에 삽입되어 쇄정되는 체결편(24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드레일의 결합방식, 설치방식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부부재(12)와 하부부재(16) 사이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은 중앙부재(20)를 배치한 후, 중앙부재(20)의 상부변에 형성된 제 1고정부(22)를 상부부재(12)의 하부변에 형성된 체결부(14)에 결합하고, 이어서 중앙부재(20)의 하부변에 형성된 제 2고정부(24)를 하부부재(16)의 상부변에 형성된 체결부(18)에 결합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재(20)가 다수의 조립부제(3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의 조립부재(30)를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6)에 결합할 수 있는 바, 이때, 작업자는 도로사정 또는 사업자의 요구에 따라 조립부재(30)의 개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조립부재(30)에 제공된 다양한 문자 또는 표식(32)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부재와 중앙부재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부부재(12)의 하부변에 형성된 체결공(14a) 및 하부부재(16)의 상부변에 형성된 체결공(18a)에 중앙부재(20)의 상부변에 형성된 체결편(22a) 및 하부변에 형성된 체결편(24a)을 삽입한 후, 이들 각각의 체결편(22a,24a)을 타격하거나 가압하여 중앙부재를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결합시킨다.
이후에는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은 가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도로가의 주변에 설치된 지주(10)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가드레일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드레일이 도로가에 설치되면, 야광체로 형성되는 중앙부재에 의해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운전자는 도로의 경계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중앙부재에는 다양한 교통표지 또는 공지사항이 표시될 수 있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훼손되거나 파손된 경우 해당부분 만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어 수리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드레일에 의하면, 중앙부재가 야광성으로 형성되므로 야간운전시 운전자로 하여금 가드레일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부재에 다양한 교통정보 또는 공지사항을 표시할 수 있어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부분적인 파손 또는 훼손시 해당부분만을 분해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차량 또는 행인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조립식 가드레일(guard rail)에 있어서,도로의 주변을 따라 타설되는 지주(10);상기 지주(10)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변에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4)가 형성되는 상부부재(12);상기 지주(10)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부변에 그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8)가 형성되는 하부부재(16); 및상기 상부부재(12)와 하부부재(16)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변에 상기 상부부재(12)의 체결부(14)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고정부(22)가 형성되며, 하부변에 상기 하부부재(16)의 체결부(1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고정부(24)가 형성되는 중앙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드레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재(20)는 야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드레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재(20)는 도로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방플레이트(26)와, 상기 전방플레이트(26)에 일체로 형성되며 도로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후방플레이트(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드레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재(20)는 교통안내 표식(32)을 구비한 복수개의 조립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드레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2)의 체결부(14)에는 다수의 체결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16)의 체결부(18)에는 다수의 체결공(18a)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재(20)의 제 1고정부(22)에는 상기 상부부재(12)의 각각의 체결공(14a)에 삽입되어 쇄정되는 다수의 체결편(22a)이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재(20)의 제 2고정부(24)에는 상기 하부부재(16)의 각각의 체결공(18a)에 삽입되어 쇄정되는 다수의 체결편(24a)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드레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5431U KR200215182Y1 (ko) | 2000-09-06 | 2000-09-06 | 조립식 가드레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5431U KR200215182Y1 (ko) | 2000-09-06 | 2000-09-06 | 조립식 가드레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2557A Division KR100372977B1 (ko) | 2000-09-05 | 2000-09-05 | 조립식 가드레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5182Y1 true KR200215182Y1 (ko) | 2001-03-02 |
Family
ID=7307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5431U KR200215182Y1 (ko) | 2000-09-06 | 2000-09-06 | 조립식 가드레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518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493B1 (ko) | 2008-06-13 | 2009-02-24 | (주)우림휀스 | 도로 시설물 |
KR102035623B1 (ko) * | 2018-07-23 | 2019-10-24 | 이재훈 | 도로용 가드레일의 연결구조 |
-
2000
- 2000-09-06 KR KR2020000025431U patent/KR20021518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493B1 (ko) | 2008-06-13 | 2009-02-24 | (주)우림휀스 | 도로 시설물 |
KR102035623B1 (ko) * | 2018-07-23 | 2019-10-24 | 이재훈 | 도로용 가드레일의 연결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3051B2 (en) | Flexible route marker | |
US5974712A (en) | Traffic sign | |
KR100372977B1 (ko) | 조립식 가드레일 | |
KR200215182Y1 (ko) | 조립식 가드레일 | |
KR100673306B1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 | |
KR101049892B1 (ko) | 도로 가드레일용 지주대 | |
KR100436390B1 (ko) |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 |
US11459713B2 (en) | Roadside delineator device | |
KR20050088931A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 | |
KR200197896Y1 (ko) | 도로안전시선유도표지판 | |
KR200345530Y1 (ko) | 차선규제봉 | |
KR200260369Y1 (ko) | 교각용 안전표지판 | |
KR100648890B1 (ko) |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200385854Y1 (ko) | 도로 안전 시선 유도 표지판 | |
KR100413131B1 (ko) | 가드레일 | |
KR200343192Y1 (ko) |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200311387Y1 (ko) | 가드레일 및 중앙분리대 결합용 안전표시판 | |
CA2569442C (en) | Flexible route marker | |
CN217579904U (zh) | 一种受压自动警示的隔离防护栏 | |
KR200184733Y1 (ko) | 재활용 도로 표지병 | |
KR200220479Y1 (ko) | 도로 가이드레일 고정볼트용 야광캡 | |
KR200373179Y1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 | |
KR20010035854A (ko) | 도로의 차선 표지병, 차선 규제봉, 중앙선 대체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 |
KR20050098071A (ko) | 유턴차로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100714791B1 (ko) |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