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760Y1 -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 Google Patents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760Y1
KR200163760Y1 KR2019990013553U KR19990013553U KR200163760Y1 KR 200163760 Y1 KR200163760 Y1 KR 200163760Y1 KR 2019990013553 U KR2019990013553 U KR 2019990013553U KR 19990013553 U KR19990013553 U KR 19990013553U KR 200163760 Y1 KR200163760 Y1 KR 200163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fixing
barrier
fixed body
centra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46Concrete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로 성형된 고정몸체의 밑면이 도로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분과 밀림방지핀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차광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고정몸체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구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구에 다수의 고정볼트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시선유도판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을 제공함으로써,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시켜 차광 역할을 하고 양측면에는 운전자의 시선유도부를 형성시켜 사고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A protection partition used as a median strip}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시켜 차광 역할을 하고 양측면에는 운전자의 시선유도부를 형성시켜 사고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산업발전에 따른 전국토의 일일 생활권 범위내에 속하면서 특히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법에서는 많은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손실이 커짐에 따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부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최소한의 피해를 입을 수 있도록 도로에 여러 안전시설등을 설치하였고, 그중에서도 고속도로에서 고속주행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최소화하고자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였다.
상기한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의 기능은 첫째, 차량의 주행시 중앙선 침범에 의한 치면적인 정면 충돌을 방지하여 인명과 차량손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둘째, 다차선 도로에서는 반대차선과의 오인을 방지하여 원활한 주행 및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과, 셋째, 차량의 유턴방지 및 보행자의 횡단방지와 운전자의 시전유도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과, 네째, 도로표지 및 교통 관련시절재 등을 설치함은 물론 특히 야간 주행시 반대차선의 전조등의 불빛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차광망 등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여러 기능을 갖는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차량의 충돌시 인명과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충돌차량에 대한 원활한 주행차선으로의 복귀와 차량충돌에 의한 충분한 저항력 및 충돌차량의 반사각도 최소화 등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했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통상적인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종래 사용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요부 종단면도로, 먼저 그 구성은 사다리꼴 형태로 일정높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로 성형되어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몸체(50)와; 상기 고정몸체(50)의 상단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끝단에 고정볼트로서 고정되는 지주(62)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62)와 지주(62) 사이에는 아연도금된 철재 또는 프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차광막(64)이 형성된 차광부(6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정몸체(50)와 차광부(60)의 높이는 규격화로 인해 전체 높이가 1410mm로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그에 따른 고정몸체(50)의 높이는 약 810mm로 하고, 그 상단면으로 설치되는 차광부(60)의 높이는 약 600mm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1)은 상기 상단면으로 설치된 차광부(60)의 끝단이 상호 맞닿게 하면서 상기 고정몸체(50)의 밑면을 도로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분와 밀림방지핀(70)으로 고정하면서 연속되게 설치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1)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이 규격화된 조건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문제점으로 첫째, 상기 고정몸체(50)와 차광부(60)가 각각의 다른 재질로 제작되고 상호 결합시켜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그에 따른 많은 시간의 소요와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점과, 둘째, 철재로 제작되는 차광부(6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식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 추가 및 보수시 중앙차선의 차단으로 인해 교통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셋째, 차량의 충돌로 인해 고정몸체(50)의 상단면에 설치된 차광부(60)가 분리되는 문제점과 그 분리된 차광부(60)가 반대편 차선으로 낙하되어 또 다른 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넷째, 대형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직접 충돌되는 고정몸체(50)의 높이가 낮아 중앙분리대용 방호벽(1)을 타고 반대편 차선으로 이탈됨에 따라 반대 차선에서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 2차적인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중앙분리대용 방호벽(1)에는 운전자의 시선유도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특히 야간주행시에 급커부 도로에서 충돌위험이 상당히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시켜 차광 역할을 하고 양측면에는 운전자의 시선유도부를 형성시켜 사고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로 성형된 고정몸체의 밑면이 도로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분과 밀림방지핀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차광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고정몸체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구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구에 다수의 고정볼트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시선유도판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선유도판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된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사용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10 : 연장부
20 : 고정홈부 22 : 고정구
30 : 시선유도판 32 : 결합공
32a : 인입홈 50 : 고정몸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로 성형된 고정몸체(50)의 밑면이 도로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분과 밀림방지핀(70)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고정몸체(10)의 상단에 반대편 차량의 전조등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광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종래 규격화로 인해 전체 높이가 1410mm에서 상기 고정몸체(50)의 높이는 약 810mm의 상태에서 그 상단면으로 설치되는 차광부의 높이인 약 600mm 만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0)와;
상기 고정몸체(50)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후술하는 시선유도판(30)을 고정볼트로서 체결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도 3참조)(22)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도 3참조)(20)와;
상기 고정구(22)에 다수의 고정볼트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도 3참조)(32)이 형성된 시선유도판(30)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시선유도판(30)에 형성된 결합공(32)은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도 3참조)(32a)이 형성된 장공으로 형성시켜 시선유도판(30)을 상기 고정홈부(20)의 고정구(22)에 고정볼트로 고정시 약간의 유동폭을 갖도록 하여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5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20)와 이 고정홈부(20)에 인입된 고정구(22)에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시선유도판(30)을 1단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다단으로 설치함은 물론 상기 시선유도판(30)을 고정몸체(50)의 측면에서 일정거리만큼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작용이 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선유도판(30)은 방부처리된 목재나 프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그 외측면에는 통상적으로 도로표지판에 많이 형성된 45°의 사선각도를 갖으면서 일정폭을 갖도록 표시된 반사지를 부착하거나 형광물질이 함유된 페인트 등으로 페인팅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시선이 자연적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 상기한 고정몸체(50)의 측면으로 형성된 고정홈부(20)로 인입되어 있는 고정구(22)에 시선유도판(30)의 결합공(32)을 이용하여 고정볼트로서 시선유도판(30)이 체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몸체(50)의 상부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10)는 고정몸체(50)를 성형시에 규격된 높이만큼 일체로 형성시킴에 따라 종래 별도의 구성을 갖는 차광부(60)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운 작업공정이 삭제되고, 그에 따른 유지보수 등의 공정도 삭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50)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부(20)에 인입되어 있는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22)에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헤드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32a)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시선유도판(30)을 고정볼트로서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시키게 되면 모든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시에는 상기 고정몸체(50)의 상부로 형성된 연장부(10)에 의해 반대 차선의 차량에서 밝혀진 전조등 빛이 차단되어 원활한 운행을 할 수 있는 것이고, 양측면으로 설치된 시선유도판(30)에 의해 운전자의 시선이 자연적으로 유도되어 사고가 발생할 조건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선유도판(30)의 외측면에는 통상적으로 도로표지판에 많이 형성된 45°의 사선각도를 갖으면서 일정폭을 갖도록 표시된 반사지를 부착하거나 형광물질이 함유된 페인트 등으로 페인팅되어 있어, 차량의 운전자 시선이 자연적으로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10)에 의해 고정몸체(50)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대형차량의 충돌시에도 반대차선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50)의 양측면으로 고정볼트에 의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 시선유도판(30)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에도 상기 시선유도판(30)이 1차적인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격감시켜 차량이나 운전자에게 보다 적은 피해을 갖을 수 있는 조건 또한 구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시켜 종래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차광부의 차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제작되고 설치됨에 따라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양측면에는 운전자의 시선유도부를 형성시켜 사고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시선유도부에 의해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킴에 따라 충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로 성형된 고정몸체의 밑면이 도로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분과 밀림방지핀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50)의 상단에 차광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0)와; 상기 고정몸체(50)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구(22)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20)와; 상기 고정구(22)에 다수의 고정볼트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2)이 형성된 시선유도판(3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판(30)에 형성된 결합공(32)은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32a)이 형성된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KR2019990013553U 1999-07-10 1999-07-10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KR2001637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99A KR20010009512A (ko) 1999-07-10 1999-07-10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99A Division KR20010009512A (ko) 1999-07-10 1999-07-10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760Y1 true KR200163760Y1 (ko) 2000-02-15

Family

ID=196008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553U KR200163760Y1 (ko) 1999-07-10 1999-07-10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KR1019990027899A KR20010009512A (ko) 1999-07-10 1999-07-10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99A KR20010009512A (ko) 1999-07-10 1999-07-10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37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77B1 (ko) * 2012-07-19 2013-01-15 이진규 가드레일 부착형 시선유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77B1 (ko) * 2012-07-19 2013-01-15 이진규 가드레일 부착형 시선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512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7926C (en) Traffic sign
KR200163760Y1 (ko)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KR20060035554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92524Y1 (ko) 반사판 디스크를 포함하는 차선 분리대
KR100703957B1 (ko) 착시현상을 이용한 가상 과속방지턱
KR200268035Y1 (ko) 개량형 중앙분리대
KR20210141238A (ko)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KR0131498Y1 (ko) 도로 표지병
KR100467284B1 (ko) 곡선파이프를 이용한 도로 교량용 가드레일
KR200268756Y1 (ko) 반사판이부착된도로난간지주
KR200269783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0293172Y1 (ko) 커브 도로구간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시설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269782Y1 (ko) 도로의 시선유도표지가 장착된 중앙분리대
CN217579904U (zh) 一种受压自动警示的隔离防护栏
KR200163876Y1 (ko) 고속도로중앙분리대
KR200274543Y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KR200350869Y1 (ko) 곡선파이프를 이용한 도로 교량용 가드레일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200268166Y1 (ko) 완충기능을 갖춘 교량용 도로경계 구조물
KR200235031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0373179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294928Y1 (ko) 보호구조물을 착탈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
KR200259247Y1 (ko) 교차로 충돌방지용 도로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