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38A -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Google Patents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1238A KR20210141238A KR1020200058645A KR20200058645A KR20210141238A KR 20210141238 A KR20210141238 A KR 20210141238A KR 1020200058645 A KR1020200058645 A KR 1020200058645A KR 20200058645 A KR20200058645 A KR 20200058645A KR 20210141238 A KR20210141238 A KR 202101412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ope
- entry
- entry slope
- prevention facility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은,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적어도 하나의 차선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엔트리 슬로프와, 차량의 진출경로를 형성하는 엑시트 슬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소형 차량 윤간거리 미만의 폭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각심이 고취되도록 하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에게 어린이 보호구역의 강화된 법률 개정을 효과적으로 인지시키면서 운전자의 자발적 감속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이 차량 운전자의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이 요구되는 구역에는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노면표시, 안전표지, 과속방지턱 등의 안전 시설물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의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해당 구역을 대상으로 규정속도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단속하기 위한 카메라도 설치 및 운용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 대부분은 감속에 대한 의지보다 단속에 걸리지 않으려는 의식이 높고, 실질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과속으로 적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가 목숨을 잃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지속적인 사고 발생으로 인해서 2020년 02월 특정범죄가중법 개정안(민식이법)이 발의되어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었으나, 실질적 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자의 감속운전을 물리적으로 강제하는 안전 시설물에 대한 개선은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물리적 감속 유도를 위해 적용되고 있는 안전 시설물은 도로에 단순히 턱을 형성하는 구조의 과속방지턱에 한정되어 있다.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25347호에는 도로에 설치되어 턱을 형성하는 과속 방지턱이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과속방지턱은 어린이 보호구역의 강화된 법률을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지시키기 어렵고, 단순한 턱 구조에 익숙한 운전자들에게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에 대한 의식을 충분히 고취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 구조의 과속방지턱은 균열, 패임, 페인트 벗겨짐 등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수의 사고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시인성 저하로 인해 과속방지턱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차량에 상당한 충격이 가해지며, 이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들의 불만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운전자에게 어린이 보호구역의 강화된 법률 개정을 효과적으로 인지시키며, 운전자의 자발적 감속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면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켜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과속방지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은,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적어도 하나의 차선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엔트리 슬로프와, 차량의 진출경로를 형성하는 엑시트 슬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소형 차량 윤간거리 미만의 폭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각심이 고취되도록 하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 보다 작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기준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전단 보다 후단이 더 높게 형성되되, 상면에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면이 올록볼록한 전후방 종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의 폭 보다 좁은 윤간거리를 가지는 차량 또는 3륜이하의 전동장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서브 슬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슬로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엔트리 슬로프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면이 엑시트 슬로프의 상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하단을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과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운전자에게 구역특성을 인지시키기 위한 이미지 또는 문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경로의 추종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넛지효과 유발 이미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에서 조사되는 빛의 입사경로와 다른 경로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각각 개별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로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를 포함하여 정의되는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몰타르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몰타르가 채워지는 채움공간;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주입구와 채움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통로; 및 상기 채움공간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도로에 설치된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가 도로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를 통해서 몰타르가 주입되면, 상기 몰타르가 상기 채움공간 및 상기 앵커볼트와 삽입홈의 사이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공간부 즉, 공백영역에 의해 차량 주행시 좌우 엔트리 슬로프에 타이어를 정렬하여 주행해야 될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좁은 도로를 주행하거나 다리를 건너듯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차량 주행에 방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 의식을 고취시키는 넛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둘째, 차량이 타고 넘어가는 경우 엔트리 슬로프가 상대적으로 낮고 길게 형성되어 차량이 보다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으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감소 및 이에 따른 운전자의 감성만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안전 시설물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로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으며, 운전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함으로써, 설치된 곳이 어린이 보호구역이며 보다 강화된 법률이 적용됨을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사부가 구비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를 기준으로 절단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공간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공간부가 일측으로 편측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보 안내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넛지효과 유발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시설 바디가 복수의 부분 구성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설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저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이 도로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사부가 구비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를 기준으로 절단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공간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공간부가 일측으로 편측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보 안내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넛지효과 유발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시설 바디가 복수의 부분 구성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설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저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이 도로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은 도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차량 운전자의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이 요구되는 다양한 구역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적어도 차선 하나의 폭에 대응하는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도로에 차량이 타고 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접근하는 차량을 향하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진 후에 다시 하방으로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도로에 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좌우로 이격되어 넛지효과를 유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넛지이론는 행동경제학을 바탕으로 한다. 넛지는 옆구리를 슬쩍 찌른다는 뜻으로, 넛지이론은 강제적인 지시를 내리는 것보다 팔꿈치로 슬쩍 찌르듯 부드럽게 개입 또는 설계하거나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쪽이 기업과 개인의 긍정적인 선택에 효율적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넛지효과는 넛지이론에서 제시된 부드러운 개입을 통해서 사람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효과를 말한다.
넛지효과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화장실 소변기에 파리 모양 스티커를 붙여 사람들의 집중력을 자연스럽게 높임으로써, 소변기 밖으로 떨어지는 소변량을 크게 줄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좌우로 이격되어 후술할 공간부(30)를 형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집중력 향상을 이끌고, 운전자가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을 하도록 이끌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차량 주행 방향을 따라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전반부는 차량이 진입하는 영역으로서, 전체적으로 전측 보다 후측이 높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후반부는 차량이 진출하는 영역으로서, 전체적으로 전측 보다 후측이 낮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전반부는 상향 경사부로 명명될 수 있으며, 후반부는 하향 경사부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상향 경사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엔트리 슬로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향 경사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엑시트 슬로프(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상기 상향 경사부에서 4륜 차량의 바퀴가 이동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차량의 바퀴가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전단이 최대한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전단은 원활한 차량 진입을 위해 뾰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파손 방지를 위해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엑시트 슬로프(20)는 상기 하향 경사부에서 차량의 바퀴가 이동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엑시트 슬로프(20)는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상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엑시트 슬로프(20)는 차량의 바퀴가 도로로 부드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후단이 최대한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후단은 뾰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파손 방지를 위해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 후단과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상면 전단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 후단과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상면 전단이 만나는 부분에 연결면(H)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공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일부 구성이 좌우로 이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상향 경사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향 경사부 및 하향 경사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상향 경사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상향 경사부의 전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향 경사부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상기 공간부(30)를 기준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좌우로 서로 이격된 제1 엔트리 슬로프(11), 제2 엔트리 슬로프(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이격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을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는 상기 공간부(30)의 좌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엔트리 슬로프(12)는 상기 공간부(30)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공간부(30)는 4륜 소형차량의 윤간거리 이내의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4륜 소형차량의 윤간거리는 일반적으로 1,000mm를 초과하며, 상기 공간부(30)는 700mm ~ 1,000m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30)에 의한 넛지효과의 유발이 가능하면서도 4륜 차량의 바퀴가 상기 공간부(30)에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향 경사부와 하향 경사부는 전후방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향 경사부가 상기 하향 경사부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20)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가 상기 엑시트 슬로프(20)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엔트리 슬로프(10)가 상기 엑시트 슬로프(20) 보다 비교적 낮은 경사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길이가 길고 낮은 경사도를 가지는 엔트리 슬로프(10)로 진입함으로써 부드러운 차량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은 상사점을 지난 이후 엑시트 슬로프(20)를 따라 진출한다. 이 때, 엑시트 슬로프(11)가 길이가 짧고 높은 경사도를 가짐으로써 차량에 가속이 부여되고 보다 부드러운 차량 진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향 경사부는 서브 슬로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상기 공간부(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3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내측면과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좌우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상기 공간부(30)의 좌우폭에 대응하는 좌우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전단은 차량의 바퀴가 상면으로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최대한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전단은 뾰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파손 방지를 위해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전단은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전단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전후방 길이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전후방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상면 후단은 동일선상의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상면 후단은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 후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슬로프(40)의 상면 후단은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상면 전단과 서로 접하여 연결되어 차량의 바퀴를 상기 엑시트 슬로프(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상기 공간부(30)의 내측에서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와 연결되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상기 공간부(30)의 폭 보다 좁은 윤간거리를 가지는 차량, 3륜이하의 차량 및 전동장치의 바퀴가 이동하는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 슬로프(40)는 3륜 차량의 중앙 바퀴가 이동하는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3륜 이하의 차량 및 전동장치의 바퀴는 서브 슬로프(40)를 따라 이동한 후 엑시트 슬로프(20)로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향 경사부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를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의해서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가 서로 연결되어 지지됨으로써, 충격 및 스트레스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상기 서브 슬로프(40) 보다는 낮은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지면의 굴곡을 고려하여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에는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사부가 구비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를 기준으로 절단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부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서브 슬로프(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반사부가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구조를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재(60)가 경사지게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부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빛 통로(16)와, 상기 빛 통로(16)에 구비되는 반사부재(60)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반사부가 빛 통로(16)와 반사부재(6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반사부의 형성을 위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는 빛 통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빛 통로(16)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내부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60)는 전방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빛 통로(16)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60)는 빛을 반사 가능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거울일 수 있다.
상기 빛 통로(16)는 반사 공간(16a), 빛 공급구(16b), 빛 토출구(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공간(16a)은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재(6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빛 공급구(16b)는 상기 반사 공간(16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빛 공급구(16b)는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반사 공간(16a)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빛 토출구(16c)는 상기 반사 공간(16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빛 토출구(16c)는 상기 반사부재(60)에 의해서 반사된 빛이 상방으로 발산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에 의해서 차량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방으로 발산되어 빛 기둥과 같은 시각 효과를 부여하여 운전자의 주위 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30)는 전후방으로 동일한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간부(30)의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30)는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넛지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간부(30)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공간부(30)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공간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30)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공간부(30)의 좌우폭이 실제보다 더 넓게 형성된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공간부(30)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의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보다 효과적인 넛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전단부의 좌우폭이 실제보다 더 좁게 형성된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진입 초기에 운전자의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진입한 후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좌우폭으로 인해서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운전자의 감성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상향 경사부의 가로 방향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는 서로 동일한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공간부(30)의 배치 위치는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운전자의 집중력 향상을 위하여 배치 위치가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공간부가 일측으로 편측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상향 경사부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서 좌우측 중 일측으로 편측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는 서로 다른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측면 상측 모서리가 모따기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 정위치 정렬되어 진입하지 못하여 상기 공간부(30)에 차량의 바퀴가 빠지는 경우,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한 차량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차량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엑시트 슬로프(20), 서브 슬로프(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는 차량의 바퀴와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접치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서 돌출되는 미끄럼 방지 돌기(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70)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70)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 설치되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안내 요소(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보 안내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안내 요소(80)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및 엑시트 슬로프(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안내 요소(80)는 구역특성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이미지나 문구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 안내 요소(80)는 "어린이 보호구역" 문구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안내 요소(80)는 운전자에게 과속방지를 안내하기 위한 이미지나 문구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 안내 요소(80)는 "과속방지" 문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시속 30km/h 제한 구역인 경우 "30" 문구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안내 요소(80)는, 의도하는 이미지나 문구가 인쇄된 별도 필름을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및 엑시트 슬로프(20)의 상면에 부착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프린팅 작업을 통해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경로의 추종의욕을 더욱 고취시키기 위한 넛지효과 유발 요소(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넛지효과 유발 요소가 적용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넛지효과 유발 요소(90)는 운전자에게 진입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미지나 문구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넛지효과 유발 요소(90)는 타이어 마크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마크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타이어 마크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엑시트 슬로프(20)에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타이어 마크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전방의 도로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로에 형성된 타이어 마크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 형성된 타이어 마크와 연결되어, 운전자에게 차량 진입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넛지효과 유발 요소(90)는, 의도하는 이미지나 문구가 인쇄된 별도 필름의 부착에 의해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프린팅 작업을 통해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시인성 및 운전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색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엑시트 슬로프(20)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상면은 노란색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엑시트 슬로프(20) 및 서브 슬로프(40)는 전체적으로 상향 경사 또는 하향 경사를 형성하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와 상기 서브 슬로프(40)도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사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는 전체적으로 상향 경사를 형성하되, 복수의 굴곡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엔트리 슬로프(10)가 복수의 굴곡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사시도이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에는 복수의 굴곡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굴곡부(15)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상면 전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굴곡부(15)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15)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의 좌우폭에 대응하는 좌우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엔트리 슬로프(12)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15)는 상기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좌우폭에 대응하는 좌우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굴곡부(15)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굴곡부(15)에 의하여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은 다수의 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전후방 종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의 상면은 올록볼록한 전후방 종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의 굴곡부(15)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복수의 굴곡부(15)에 의해서 차량의 바퀴가 상기 엔트리 슬로프(10)를 따라 이동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의 주위 환기를 유도하고 운전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엔트리 슬로프(10)가 복수의 굴곡부(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굴곡부(15)에 상기 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빛 통로(16)는 상기 굴곡부(15)를 전방에서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트리 슬로프(10), 엑시트 슬로프(20), 서브 슬로프(40), 베이스 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과속방지시설 바디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부분 요소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는 PU 소재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는 다수의 부분 요소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부분 요소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PU 소재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분 요소는 다양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가 두개의 부분 요소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시설 바디가 복수의 부분 구성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서브 슬로프(40)는 일체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서브 슬로프(40)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엔트리 바디(100)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엑시트 슬로프(20)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별도의 구성으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 및 엑시트 슬로프(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11)와 제2 엔트리 슬로프(12)를 연결 가능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엑시트 슬로프(20)의 조립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는 도로에 앵커 볼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엑시트 슬로프(20)의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엑시트 슬로프(20)는 다양한 결합 구조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엑시트 슬로프(20)는 걸어 맞춤 결합 구조, 억지끼움 결합 구조, 브라켓 등 별도의 부재 등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엑시트 슬로프(20)가 걸어 맞춤 결합 구조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 요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서로 형합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요소(200)는 결합 돌기(210), 상기 결합 돌기(210)가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결합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210)와 결합구(22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210)와 결합구(22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의 배면과 마주보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엔트리 바디(100)의 배면에 상기 결합 돌기(210)와 결합구(220)가 모두 형성되고,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전면에도 대응하는 상기 결합 돌기(210)와 결합구(220)가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상기 결합 돌기(210)는 상기 엔트리 바디(10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절곡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20)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전면에 상기 결합 돌기(210)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구(220)는 상기 결합 돌기(210)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결합 돌기의 고리가 걸리는 걸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엑시트 슬로프(20)의 전단을 들어서 상기 결합구(220)에 상기 결합 돌기(210)를 위치시켜 삽입시킨 후, 상기 엑시트 슬로프(20)를 내려 놓으면 상기 결합 돌기(210)가 결합구(220)에 걸림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트리 바디(100)와 엑시트 슬로프(2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도로에 앵커 볼트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시 그라우팅 공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이 앵커 볼트 및 그라우팅에 공법에 의해서 도로에 설치되는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설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저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이 도로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에는 타설 시공을 위한 타설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설 요소는 주입구(1a), 주입통로(1b), 채움공간(1c), 삽입홈(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a)는 몰타르(M)가 주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상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입구(1a)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10)와 엑시트 슬로프(2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통로(1b)는 몰타르(M)가 상기 채움공간(1c)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구(1a)에서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1c)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채움공간(1c)은 도로와 대면하는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구(1a)로 주입된 몰타르(M)가 채워지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채움공간(1c)은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 가장자리를 제외한 내측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측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구획된 다수의 부분 채움공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채움공간(1c)은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통로(1b)는 분지되어 다수의 부분 채움공간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부분 채움공간으로 몰타르(M)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d)은 체결부재(300)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d)은 상기 채움공간(1c)과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채움공간(1c)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1d)은 상기 채움공간(1c)의 내측에서 상기 채움공간(1c) 보다 더 깊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d)이 상기 채움공간(1c)과 연통됨에 따라 몰타르(M)가 상기 삽입홈(1d)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홈(1d)은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에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상기 삽입홈(1d)은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설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설치를 위해서 도로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홀이 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로에 형성되는 홀은 상기 삽입홈(1d)에 위치 및 수에 대응하여 시공될 수 있다.
도로에 형성된 홀에는 체결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앵커볼트(300)일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300)는 일단부가 도로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도로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300)가 도로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를 도로의 설치위치에 정위치 정렬시켜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가 설치위치에 정위치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볼트(300)의 타단부는 상기 삽입홈(1d)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설치위치에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가 설치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주입구(1a)를 통해서 몰타르(M)를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몰타르(M)는 상기 주입통로(1b)를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1c)으로 유입되며, 상기 채움공간(1c)에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M)으로 유입된 몰타르(M) 중 일부는 도로에 형성된 홀에 유입되어, 도로와 상기 앵커볼트(3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M)으로 유입된 몰타르(M) 중 일부는 상기 삽입홀(1d)에 유입되어, 상기 삽입홀(1d)과 상기 앵커볼트(3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메울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몰타르(M)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몰타르(M)가 경화된다.
상기 몰타르(M)가 경화되면, 상기 앵커볼트(300)는 상기 몰타르(M)에 의해서 도로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d)과 상기 앵커볼트(300)의 사이 틈에 메워진 몰타르(M)에 의해서 상기 앵커볼트(300)와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1c)에 채워진 몰타르(M)에 의해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이 직접적으로 도로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은 내부에 채워진 몰타르(M)에 의해서 보다 무거운 하중을 가지게 되며 보다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술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이 도로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1)의 구조에 의하면, 공간부 즉, 공백영역에 의해 차량 운전자에게 좌우 엔트리 슬로프에 타이어를 정렬하여 주행해야 될 것 같은 느낌을 일으키게 되며, 이로 인해 좁은 도로를 주행하거나 다리를 건너듯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차량 주행에 방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조심운전 및 감속운전 의식을 고취시키는 넛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타고 넘어가는 경우 엔트리 슬로프가 엑시트 슬로프 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길게 형성되어 차량이 보다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으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감소 및 이에 따른 운전자의 감성만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에 의해서 차량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방으로 발산되어 빛 기둥과 같은 시각 효과를 부여함에 따라, 운전자의 주위 환기시키고 운전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안전 시설물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로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으며, 운전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1: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1a: 주입구
1b: 주입통로
1c: 채움공간
1d: 삽입홈
10: 엔트리 슬로프
11: 제1 엔트리 슬로프
12: 제2 엔트리 슬로프
15: 굴곡부
16: 빛 통로
16a: 반사 공간
16b: 빛 공급구
16c: 빛 토출구
20: 엑시트 슬로프
30: 공간부
40: 서브 슬로프
50: 베이스 플레이트
60: 반사부재
70: 미끄럼 방지 돌기
80: 정보 안내 요소
90: 넛지효과 유발 요소
100: 엔트리 바디
200: 결합 요소
210: 결합 돌기
220: 결합구
300: 앵커볼트
M: 몰타르
1a: 주입구
1b: 주입통로
1c: 채움공간
1d: 삽입홈
10: 엔트리 슬로프
11: 제1 엔트리 슬로프
12: 제2 엔트리 슬로프
15: 굴곡부
16: 빛 통로
16a: 반사 공간
16b: 빛 공급구
16c: 빛 토출구
20: 엑시트 슬로프
30: 공간부
40: 서브 슬로프
50: 베이스 플레이트
60: 반사부재
70: 미끄럼 방지 돌기
80: 정보 안내 요소
90: 넛지효과 유발 요소
100: 엔트리 바디
200: 결합 요소
210: 결합 돌기
220: 결합구
300: 앵커볼트
M: 몰타르
Claims (17)
-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적어도 하나의 차선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경로를 형성하는 엔트리 슬로프와, 차량의 진출경로를 형성하는 엑시트 슬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소형 차량 윤간거리 미만의 폭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각심이 고취되도록 하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 보다 작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엑시트 슬로프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기준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전단 보다 후단이 더 높게 형성되되, 상면에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면이 올록볼록한 전후방 종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의 폭 보다 좁은 윤간거리를 가지는 차량 또는 3륜이하의 전동장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서브 슬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슬로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엔트리 슬로프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면이 엑시트 슬로프의 상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는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제1 엔트리 슬로프와 제2 엔트리 슬로프의 하단을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과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는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운전자에게 구역특성을 인지시키기 위한 이미지 또는 문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경로의 추종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넛지효과 유발 이미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에는 차량에서 조사되는 빛의 입사경로와 다른 경로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각각 개별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5 항에 있어서,
도로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슬로프와 엑시트 슬로프를 포함하여 정의되는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몰타르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몰타르가 채워지는 채움공간;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주입구와 채움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통로; 및
상기 채움공간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도로에 설치된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과속방지시설 바디가 도로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를 통해서 몰타르가 주입되면, 상기 몰타르가 상기 채움공간 및 상기 앵커볼트와 삽입홈의 사이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645A KR102348222B1 (ko) | 2020-05-15 | 2020-05-15 |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645A KR102348222B1 (ko) | 2020-05-15 | 2020-05-15 |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1238A true KR20210141238A (ko) | 2021-11-23 |
KR102348222B1 KR102348222B1 (ko) | 2022-01-10 |
Family
ID=7869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8645A KR102348222B1 (ko) | 2020-05-15 | 2020-05-15 |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82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3697A (ko) * | 2021-12-20 | 2023-06-27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5347A (ko) | 2000-09-28 | 2002-04-04 | 강승구 | 과속 방지턱 |
KR20020050873A (ko) * | 2000-12-22 | 2002-06-28 | 신현준 |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
JP3122792U (ja) * | 2005-09-21 | 2006-06-29 | 和雄 村中 | 車用減速兼進入防止バリア(障害物) |
KR20070067580A (ko) * | 2005-12-24 | 2007-06-28 | 문봉철 |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984019B1 (ko) * | 2009-09-25 | 2010-09-28 |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 조립식 횡단보도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9100920D0 (sv) * | 1991-03-27 | 1991-03-27 | Astra Ab | New active compounds |
-
2020
- 2020-05-15 KR KR1020200058645A patent/KR102348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5347A (ko) | 2000-09-28 | 2002-04-04 | 강승구 | 과속 방지턱 |
KR20020050873A (ko) * | 2000-12-22 | 2002-06-28 | 신현준 |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
JP3122792U (ja) * | 2005-09-21 | 2006-06-29 | 和雄 村中 | 車用減速兼進入防止バリア(障害物) |
KR20070067580A (ko) * | 2005-12-24 | 2007-06-28 | 문봉철 |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984019B1 (ko) * | 2009-09-25 | 2010-09-28 |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 조립식 횡단보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3697A (ko) * | 2021-12-20 | 2023-06-27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8222B1 (ko) | 2022-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8222B1 (ko) |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 |
KR200488416Y1 (ko) | 차선표지병 | |
KR20090043635A (ko) | 오뚝이 차선규제봉 | |
KR100466101B1 (ko) |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 |
KR101213075B1 (ko) |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 |
KR100961607B1 (ko) | 조립식 차선규제봉 | |
KR100703957B1 (ko) | 착시현상을 이용한 가상 과속방지턱 | |
KR20110085711A (ko) |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 |
KR200498452Y1 (ko) | 가드레일용 안전발판 조립체 | |
KR102556956B1 (ko) | 운행차선을 안내하는 매립형 차선지시등 | |
KR200163760Y1 (ko) |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 |
KR200364650Y1 (ko) | 역주행방지장치 | |
KR200374521Y1 (ko) | 철도 건널목의 바리케이드장치 | |
KR200268035Y1 (ko) | 개량형 중앙분리대 | |
CN210458841U (zh) | 一种侧石 | |
KR102563624B1 (ko) |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2002212912A (ja) | 道路用縁石 | |
KR100728119B1 (ko) | 도로의 중앙분리대 | |
KR200180163Y1 (ko) | 도로표지병 | |
KR200201560Y1 (ko) |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 |
KR950000601Y1 (ko) | 차량의 주행이탈방지를 위한 안전블럭 | |
KR200313293Y1 (ko) |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 |
KR101251423B1 (ko) | 도로 표지병용 반사판 | |
KR100377339B1 (ko) | 도로표지병 | |
KR200269783Y1 (ko) | 도로의 중앙분리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