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635A - 오뚝이 차선규제봉 - Google Patents

오뚝이 차선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635A
KR20090043635A KR1020070109277A KR20070109277A KR20090043635A KR 20090043635 A KR20090043635 A KR 20090043635A KR 1020070109277 A KR1020070109277 A KR 1020070109277A KR 20070109277 A KR20070109277 A KR 20070109277A KR 20090043635 A KR20090043635 A KR 2009004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d
lane
fixed bas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희
Original Assignee
(유) 이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이티산업 filed Critical (유) 이티산업
Priority to KR102007010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635A/ko
Publication of KR2009004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뚝이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차량유도봉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 상에 차량유도봉을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에 비스듬히 치이거나 비스듬히 밟히는 경우 회전을 통해 그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 분산시켜 차선규제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롤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에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로상의 차량을 유도하는 한편 차선침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곳이나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구조로 성형되어지되 그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유도봉 결합공과 하부의 외주연 상에 일정간격으로 상하 관통 형성된 볼트결합공이 구비되어 도로면 상에 밀착 지지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고정베이스; 고정베이스의 성형시 유도봉 결합공 내측에 인서트 몰딩되어 고정되는 베어링; 베어링의 중심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되어지되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차량을 유도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차량유도봉; 및 고정베이스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켜 차량유도봉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차량유도봉, 차선규제봉, 도로, 차량 유도

Description

오뚝이 차선규제봉{The load lane regulation bar}
본 발명은 차선을 규제하는 오뚝이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의 차량을 유도하는 한편 차선침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곳이나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도로의 중앙 또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오뚝이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운반수단은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그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보유대수로는 우리의 경우도 이미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으나 인구수에 비례하여 자동차 사고는 세계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다. 특히, 도로의 대부분이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지 않은 우리의 도로사정에서 운전자들은 항시 사고의 위험을 안고 주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차선규제봉이라 함은 중앙선임을 표시해 주는 표시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차선규제봉은 도로상의 차량을 유도하는 한편 차선침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곳이나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위험구간을 예고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선규제봉은 통상 도로의 양측을 분리하는 도로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설치되어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차선규제봉은 낭떨어지 지역이나 급커브 지역의 도로변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위험구간을 예고함으로써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차선규제봉은 소정의 공사 구간이나 위험 구간, 유턴(U-Turn) 방지구간, 낭떨어지 구간 및 급커브(Curve) 구간과 같은 차량의 유도 및 차량 통제가 필요한 지역의 도로 중앙선 및 도로변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미리 도로 상태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차량이 원활히 소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의 대체 방안으로써 중앙선임을 표시해 주는 차선규제봉은 전체가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에 치이거나 깔리게 되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제품의 차선규제봉은 차량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가 쉬워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뿐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도로의 중앙 또는 도로변에 설치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에 치이는 경우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게 되어 보다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차량의 바퀴에 비스듬히 밟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곧장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안된 것으로, 차량유도봉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 상에 차량유도봉을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에 비스듬히 치이거나 비스듬히 밟히는 경우 회전을 통해 그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 분산시켜 차선규제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오뚝이 차선규제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유도하는 차량유도봉과 차량유도봉을 도로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를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의 재질로 중실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은 도로상의 차량을 유도하는 한편 차선침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곳이나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 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구조로 성형되어지되 그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유도봉 결합공과 하부의 외주연 상에 일정간격으로 상하 관통 형성된 볼트결합공이 구비되어 도로면 상에 밀착 지지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고정베이스; 고정베이스의 성형시 유도봉 결합공 내측에 인서트 몰딩되어 고정되는 베어링; 베어링의 중심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되어지되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차량을 유도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차량유도봉; 및 고정베이스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켜 차량유도봉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차량유도봉은 고정베이스의 유도봉 결합공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일정길이로 직립 성형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유도봉 몸체; 및 유도봉 몸체의 하부 외주면 상에 베어링의 내경에 대응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베어링의 내경에 안착되어 유도봉 몸체가 베어링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베어링 안착 결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고정베이스의 상부로 노출된 차량유도봉 하부 외주면 상에는 차량의 충격시 차량유도봉의 구부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름 형태의 주름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차량유도봉의 유도봉 몸체 상부에는 상하의 일정간격으로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반사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은 고정베이스의 볼트결합공의 내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와셔; 및 와셔의 중심과 볼트결합공을 통해 관통하여 도로면에 결합되어 고정베이스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유도봉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유도봉은 성형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에 형광물질을 함유시킨 상태로 성형하여 야간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유도봉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 상에 차량유도봉을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에 비스듬히 치이거나 비스듬히 밟히는 경우 회전을 통해 그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 분산시켜 차선규제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차량을 유도하는 차량유도봉과 차량유도봉을 도로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를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의 재질로 중실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차량유도봉과 차량유도봉을 도로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 및 차량유도봉을 고정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어링으로 이루어진 차선규제봉의 차량유도봉과 고정베이스를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의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차선규제봉의 교체와 같은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차량유도봉과 차량유도봉을 도로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베이스의 재질을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으로 제조하여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선규제봉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의 구부러짐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의 구부러짐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은 도로 상의 차량을 유도하기 위한 구간, 차선침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구간,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구간의 도로면에 설치되어 노면표시를 보조함은 물론,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은 하 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구조로 성형되어지되 도로면 상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베이스(110), 고정베이스(110)의 성형시 중심의 내측면에 인서트 몰딩되어 고정되는 베어링(120), 베어링(120)의 중심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되어지되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차량을 유도하는 차량유도봉(130) 및 고정베이스(110)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켜 차량유도봉(130)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110), 베어링(120), 차량유도봉(130) 및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은 고정베이스(110)의 인서트 몰딩된 베어링(120) 상에 차량유도봉(130)의 하단부가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에 의해 차량유도봉(130)이 결합된 고정베이스(110)가 도로면 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차선규제봉(100)을 구성하는 고정베이스(110)와 차량유동(130)은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특성상 그 탄성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도 그 즉시 복원된다. 즉, 차량유도봉(130)을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차량유도봉(130)이 충격의 방향으로 쓰러져도 그 즉시 일어나게 되어 차선규제봉(100)으로써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차량유도봉(130)의 소재가 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은 부러지지 않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극심한 기후변화에도 잘 견디는 소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베이스(110)는 도면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그 상부로 차량유도봉(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정베이스(1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구조로 성형되어지되 그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유도봉 결합공(112)과 하부의 외주연 상에 일정간격으로 상하 관통 형성된 볼트결합공(114)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베이스(1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넓은 형태로 이루어져 도로면 상에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된다. 이때, 고정베이스(110)의 재질은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고정베이스(110)의 재질을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조하는 것은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특징인 부러지지 않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에 깔리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선규제봉(100)을 구성하는 베어링(120)은 후술하는 차량유도봉(130)을 고정베이스(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베어링(12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110)의 성형시 유도봉 결합공(112) 내측에 인서트 몰딩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베어링(120)은 고정베이스(110)의 유도봉 결합공(112) 내측에 인서트 몰딩된 상태로 고정베이스(110)와 함께 성형되어진다. 이처럼 베어링(120)은 고정베이스(110)의 유도봉 결합공(112) 내측에 인서트 몰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충격에도 고정베이스(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차선규제봉(100)을 구성하는 차량유도봉(130)은 그 하단부가 베어 링(120)의 내경에 결합되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차량유도봉(130)은 고정베이스(110)의 유도봉 결합공(112)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일정길이로 직립 성형된 유도봉 몸체(132) 및 유도봉 몸체(132)의 하부 외주면 상에 베어링(120)의 내경에 대응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베어링(120)의 내경에 안착 결합되어 유도봉 몸체(132)가 베어링(120)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베어링 안착 결합면(13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유도봉(130)의 유도봉 몸체(132)는 고정베이스(110)의 유도봉 결합공(112)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유도봉 몸체(132)의 하단부에는 베어링(1230)의 내경에 대응하는 베어링 안착 결합면(134)이 형성되어 이 베어링 안착 결합면(134)을 통해 차량유도봉(130)의 하단부가 베어링(120)의 내경에 결합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분리시키기 않는 한 차량유도봉(130)은 베어링(1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유도봉(130)을 베어링 안착 결합면(134)을 통해 고정베이스(110) 상의 베어링(120)에 결합하게 되면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시 차량유도봉(130)은 베어링(120)의 작용에 의해 회전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즉, 차량유동봉(130)이 차량에 비스듬히 치이거나 비스듬히 밟히는 경우 베어링(120)에 의한 회전을 통해 그 충격이 보다 용이하게 완화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유도봉(130) 역시 고정베이스(110)와 마찬가지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성형된 차량유도봉(130)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재질의 특성상 그 탄성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도 그 즉시 복원된다. 이때, 차량유도봉(130)의 소재가 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은 부러지지 않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극심한 기후변화에도 잘 견디는 소재이다.
따라서,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차량유도봉(130)이 충격의 방향으로 쓰러져도 그 즉시 일어나게 되어 차선규제봉(100)으로써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즉,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차량유도봉(130)은 그 탄성력이 매우 우수하여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그 즉시 탄성력을 통해 원형으로 복원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유도봉(130) 하부측인 고정베이스(110)의 상부로 노출된 유도봉 몸체(132) 하부 외주면 상에는 차량의 충격시 차량유도봉(130)의 구부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름 형태의 주름부(136)가 더 형성된다. 물론, 차량유도봉(130)의 재질이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유도봉(130)의 모든 부위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할 수 있은 당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주름부(134)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차량유도봉(130)의 구부러짐이 발생시 그 주름부(136)의 구부러짐이 다른 부위에 비해 보다 원활하게 구부러지므로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시 차량유도봉(130)은 주름부(136)의 구부러짐이 다른 부위에 비해 더 많이 구부러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유도봉(130)의 구성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외에도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이나 곡선도록의 인식이 용이 하도록 하는 반사지(138)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지(138)는 차량유도봉(130)의 유도봉 몸체(132) 상부에는 상하의 일정간격으로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반사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을 구성하는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은 고정베이스(110)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유도봉(130)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은 고정베이스(110)의 볼트결합공(114)의 내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와셔(142) 및 와셔(142)의 중심과 볼트결합공(114)을 통해 관통하여 도로면에 결합되어 고정베이스(110)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유도봉(130)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볼트(1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의 구성에서 고정볼트(140)의 체결시 와셔(142)를 통해 고정볼트(140)를 고정베이스(110)의 볼트결합공(114)에 체결함으로써 차량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풀리지 않게 된다. 물론, 차선규제봉(100)의 관리차원에서 고정베이스(110)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고정베이스(110)를 도로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40)를 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을 구성하는 차량유도봉(130)은 성형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에 형광물질을 함유시킨 상태로 성형하여 야간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차량유도봉(130)의 성형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에 형광물질을 함유시킨 상태로 성형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앞서 설명한 반사지를 구성하지 않아도 차선의 시인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가 있 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은 소정의 공사 구간이나 위험 구간, 유턴(U-Turn) 방지구간, 낭떨어지 구간 및 급커브(Curve) 구간과 같은 차량의 유도 및 차량 통제가 필요한 지역의 도로 중앙선 및 도로변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미리 도로 상태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차선규제봉(100)은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의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보다 용이하다. 또한, 차량유도봉(130)을 고정베이스(110)의 유도봉 결합공(112) 상에 인서트 몰딩된 베어링(120) 상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교체소요 발생시 차량유도봉(1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의 구부러짐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의 구부러짐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차선규제봉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선규제봉 110. 고정베이스
120. 베어링 130. 차량유도봉
140. 고정볼트

Claims (6)

  1. 도로상의 차량을 유도하는 한편 차선침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곳이나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구조로 성형되어지되 그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유도봉 결합공과 하부의 외주연 상에 일정간격으로 상하 관통 형성된 볼트결합공이 구비되어 도로면 상에 밀착 지지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고정베이스;상기 고정베이스의 성형시 상기 유도봉 결합공 내측에 인서트 몰딩되어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중심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되어지되 동일 또는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차량을 유도하는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차량유도봉; 및
    상기 고정베이스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켜 상기 차량유도봉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유도봉은 상기 고정베이스의 유도봉 결합공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일정길이로 직립 성형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유도봉 몸체; 및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 외주면 상에 상기 베어링의 내경에 대응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베어링의 내경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상기 베어링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베어링 안착 결합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차량유도봉 하부 외주면 상에는 차량의 충격시 상기 차량유도봉의 구부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름 형태의 주름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유도봉의 유도봉 몸체 상부에는 상하의 일정간격으로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반사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베이스의 볼트결합공의 내측 상부면에 안착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의 중심과 볼트결합공을 통해 관통하여 도로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베이스를 도로면 상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유도봉이 도로면 상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유도봉은 성형시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 에 형광물질을 함유시킨 상태로 성형하여 야간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KR1020070109277A 2007-10-30 2007-10-30 오뚝이 차선규제봉 KR2009004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77A KR20090043635A (ko) 2007-10-30 2007-10-30 오뚝이 차선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77A KR20090043635A (ko) 2007-10-30 2007-10-30 오뚝이 차선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35A true KR20090043635A (ko) 2009-05-07

Family

ID=4085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277A KR20090043635A (ko) 2007-10-30 2007-10-30 오뚝이 차선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63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12A2 (ko) * 2009-08-07 2011-02-10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101235314B1 (ko) * 2012-10-25 2013-02-20 중앙항업(주)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KR20200013509A (ko) * 2018-07-30 2020-02-07 황선호 가드 펜스 및 가드 펜스용 스프링 완충장치
KR102310695B1 (ko) * 2020-06-04 2021-10-08 주식회사 가람매트 Eva 소재의 입간판
IT202100029411A1 (it) * 2021-11-22 2023-05-22 Massimiliano Puzzilli Dissuasore intelligente di sosta e fermat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12A2 (ko) * 2009-08-07 2011-02-10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WO2011016612A3 (ko) * 2009-08-07 2011-03-31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101043438B1 (ko) * 2009-08-07 2011-06-22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101235314B1 (ko) * 2012-10-25 2013-02-20 중앙항업(주)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KR20200013509A (ko) * 2018-07-30 2020-02-07 황선호 가드 펜스 및 가드 펜스용 스프링 완충장치
KR102310695B1 (ko) * 2020-06-04 2021-10-08 주식회사 가람매트 Eva 소재의 입간판
IT202100029411A1 (it) * 2021-11-22 2023-05-22 Massimiliano Puzzilli Dissuasore intelligente di sosta e ferm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552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200391872Y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20090043635A (ko) 오뚝이 차선규제봉
KR200390565Y1 (ko) 차단봉이 장착된 차선 규제블럭
KR102071829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0941502B1 (ko) 차선규제봉
KR200442405Y1 (ko) 차선규제봉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101397673B1 (ko) 차선 규제봉
KR100961607B1 (ko) 조립식 차선규제봉
KR101948308B1 (ko)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KR200432648Y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KR200430471Y1 (ko) 사슬을 장착한 차선규제 가이드박스
KR20200144421A (ko) 다발형 차선 규제봉 및 보강 구조물
KR20130128629A (ko) 오뚝이 차선 규제봉 및 이를 이용한 오뚝이 차선 규제 구조물
KR102311804B1 (ko) 차선규제봉
KR20090012319U (ko) 배리어 펜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펜스
KR101284051B1 (ko) 회전식 완충부재가 구비된 차선규제봉
KR102456665B1 (ko)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KR101839694B1 (ko) 횡방향 하중에 대한 회전 유도 수단을 구비한 도로 기둥 구조물
KR101000414B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KR200453431Y1 (ko) 도로 표지병
KR200425378Y1 (ko) 열주식 중앙분리대용 하부 무단횡단방지대
ES2217898B1 (es) Guardarrail flex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