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60Y1 -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 Google Patents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60Y1
KR200201560Y1 KR2020000015844U KR20000015844U KR200201560Y1 KR 200201560 Y1 KR200201560 Y1 KR 200201560Y1 KR 2020000015844 U KR2020000015844 U KR 2020000015844U KR 20000015844 U KR20000015844 U KR 20000015844U KR 200201560 Y1 KR200201560 Y1 KR 200201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x
cover bottle
bottle
ro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성일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일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일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교통안전 시설물인 중앙선용 가이드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추돌로 인한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가이드박스의 상부에 도로 표지병을 설치하여 표지병이 아스팔트 속으로 파묻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공형 몸체(10)의 양측으로 고정부재(2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 중앙에 반사체(30)가 구비된 표지병(4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0)내에는 하단에서 상면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50)(60)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Study-type guide box for central road line}
본 고안은 도로교통안전 시설물인 중앙선용 가이드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추돌로 인한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가이드박스의 상부에 도로 표지병을 설치하여 표지병이 아스팔트 속으로 파묻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선용 가이드박스는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박스는 주행중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중앙선 침범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한편 도로 표지병은 야간운행시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선형을 인지토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는 몸체의 내부가 속이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차량이 추돌할 경우 아무 힘이 없이 쉽게 주저 앉아 차량의 중앙선 침범 방지에 아무런 효과를 얻을수 없으며 오히려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표지병은 도로의 표면에 직접 시공하였기 때문에 도로상의 흙,먼지 및 기타 이물질 등이 표지병의 반사체를 가리게 되어 충분한 반사성능을 유지할 수 없으며, 또한 여름철 도로표면의 온도상승 및 대형 화물차량의 표지병 상단 통과등 여러 원인으로 표지병이 아스팔트 속으로 파묻혀 본연의 기능인 안전운전 유도를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도로의 흉물로 둔갑되어 많은 국가예산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가이드박스와 도로 표지병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각각 별도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추돌로 인한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가이드박스의 상부에 도로 표지병을 설치하여 표지병이 아스팔트 속으로 파묻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공형으로 성형된 몸체, 상기 몸체내의 하단에서 상면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표지병, 상기 표지병의 양측에 부착되어 시선을 유도하는 반사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몸체를 도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4의 B - B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몸체 20 : 고정부재
30 : 반사체 40 : 표지병
50,60 : 보강리브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공형 몸체(10)의 양측으로 고정부재(2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 중앙에 반사체(30)가 구비된 표지병(4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0)내에는 하단에서 상면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50)(60)를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일반 P.P가 아니 특수 P.P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10)의 양측에는 몸체(10)를 도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작시 표지병(4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표지병(40)의 양측면에는 야간운행시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선형을 인지시켜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반사체(30)가 부착된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의 면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50)(60)가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보강리브(50)는 몸체(10)의 중앙 양측 4개소에 형성되고, 보강리브(60)는 몸체(10)의 전,후방 14개소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몸체(10)내에 다수개의 보강리브(50)(60)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10)의 강성이 증대되기 때문에, 설치후 차량의 추돌시 몸체가 파손되지 않아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가지 못하므로 대형사고의 예방은 물론 우천시 및 겨울철의 빙판길에서 차량의 미끄럼사고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종래 표지병은 아스팔트의 침하로 도로 속으로 파묻혀 표지병의 기능을 상실하였으나, 본 고안은 제품설치 바닥 면적이 넓어 도로의 침하가 발생하지 않아 이에 따른 기능 상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표지병(40)이 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로상의 흙 및 기타 이물질이 반사체(30)에 쌓이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반사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작시 몸체(10)와 표지병(40)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원가절감은 물론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몸체(10)와 표지병(40)이 충격 등에 의해 탈락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는 설치후 차량의 추돌시 몸체가 파손되지 않아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사고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가이드박스의 상부에 도로 표지병이 일체로 형성되어 표지병이 아스팔트 속으로 파묻히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안전운전 유도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운전을 도모하여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수 있고 많은 국가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중공형 몸체(10)의 양측으로 고정부재(2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 중앙에 반사체(30)가 구비된 표지병(4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0)내에는 하단에서 상면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50)(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KR2020000015844U 2000-06-03 2000-06-03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KR200201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44U KR200201560Y1 (ko) 2000-06-03 2000-06-03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44U KR200201560Y1 (ko) 2000-06-03 2000-06-03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60Y1 true KR200201560Y1 (ko) 2000-11-01

Family

ID=1965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844U KR200201560Y1 (ko) 2000-06-03 2000-06-03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314A (ko) * 2004-12-10 2004-12-31 이광성 차선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314A (ko) * 2004-12-10 2004-12-31 이광성 차선 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565Y1 (ko) 차단봉이 장착된 차선 규제블럭
KR200201560Y1 (ko)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KR100961607B1 (ko) 조립식 차선규제봉
JPH0124183Y2 (ko)
KR200220468Y1 (ko) 횡단보도용 안전표시등
KR200432648Y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CN210458841U (zh) 一种侧石
KR200208084Y1 (ko) 분리형 과속 방지턱
KR200416781Y1 (ko) 우천시 및 야간에 차선의 식별력이 뛰어난 포장도로의 구조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JP2002212912A (ja) 道路用縁石
JP7458954B2 (ja) 車止め
KR200180163Y1 (ko) 도로표지병
KR200389104Y1 (ko) 차량의 충격 방지용 경계석
KR200262801Y1 (ko)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KR100377339B1 (ko) 도로표지병
KR200211502Y1 (ko) 도로 경계석
KR200346161Y1 (ko) 터널 경계석용 안전표지
KR200217640Y1 (ko) 도로 경계석
KR200269783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102042634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401523Y1 (ko) 도로용 표지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