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01Y1 -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 Google Patents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801Y1
KR200262801Y1 KR2020010032600U KR20010032600U KR200262801Y1 KR 200262801 Y1 KR200262801 Y1 KR 200262801Y1 KR 2020010032600 U KR2020010032600 U KR 2020010032600U KR 20010032600 U KR20010032600 U KR 20010032600U KR 200262801 Y1 KR200262801 Y1 KR 200262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undary block
block
parking
suppor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2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801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도와 차도 사이의 경계블록의 측면에 차량이 경사 주차를 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의 안전한 주차를 유도하기 위한 보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도(2)의 측면 경계블록(3)에 인접한 차도(1)에 차량(5)의 경사주차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블록(10)에 있어서,
상기 차도(1)로부터 경계블록(3)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의 각도로 차량(5)이 진입하도록 차량(5)의 진입 방향으로 상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며, 표면에는 차량(5)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부(12)가 형성된 경사부(11)와, 상기 경사부(11)의 전방에는 경사부(11)와 평행하고 전단이 후단보다 높은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요설되어 차량(5)의 양측 앞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 안착부(13)와; 상기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방에는 전단이 경계블록(3)의 높이와 일치하며 상부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평탄부(14)와; 상기 평탄부(14)의 배면에 부착되어 경계블록(3)과의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16)와; 상기 평탄부(14) 하부의 저면에 경계블록(3)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차도(1)에 접촉되는 제1지지각(15a)과; 상기 경사부(11)에 차량(5)이 진입시 접촉하는 부분의 하부 저면을 포함하도록 좌우로 비대칭되게 형성되어 차도(1)에 접촉되는 제2 및 제3지지각(15b, 15c)과; 상기 제2지지각(15b)과 제3지지각(15c)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8)와; 상기 제1지지각(15a)과 제2, 제3지지각(15b, 15c)의 사이의 저면에 경계블록(3)과 평행하게 형성된 배수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SUPPORTING BLOCK FOR INCLINED PARKING ON RODE}
본 고안은 차량의 경사주차를 보조하기 위한 주차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와 차도 사이의 경계블록의 측면에 차량이 경사 주차를 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의 안전한 주차를 유도함과 동시에 주차공간을 일정하게 제한함으로써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나 보차도에 차량을 주차하는 방법으로 일렬주차, 직각주차 및 경사주차의 방법이 있는데, 이중 경사주차가 운전자에게는 가장 용이한 주차방법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2) 측의 차도(1)에 일렬로 주차선(4)을 그어 놓아 차량(5)의 일렬주차를 유도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2)를 연장한 후 콘크리크의 주차 보조물(6)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경사주차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렬주차를 위한 주차선(4)만을 이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측면의 경계블록(3)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주차를 하게 되므로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 차량(5)과 경계블록(3)의 충돌로 인하여차량(5) 및 경계블록(3)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충돌사고를 피하기 위한 운전자는 주차선(4)을 이탈하여 주차하게 되므로 주차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특히, 주차공간이 열악한 우리 나라의 도로 실정상 경계블록(3)과 인접한 차도(1)에 차량(5)을 일렬로 주차하는 경우, 차량(5)을 주차시키기 위하여 전진과 후진을 여러 번 반복하여야 하므로 도로 주변의 교통 정체의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의 주차 보조물(6)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차량(5)의 앞범퍼와 주차 보조물(6)과의 충돌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주차 보조물(6)은 차도(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므로 설치 및 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었다.
또한 이러한 주차 보조물(6)은 차도(1)에 고정되는 구조물이므로, 도로 여건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어 그 효율성이 상당히 낮으며, 주차 보조물(6)에 의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차량의 경사주차를 위하여 전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블록을 차도와 비스듬히 설치하고, 차량의 전면 범퍼와 경계블록과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조블록의 상부에 차량의 앞 타이어 양측이 안착되는 부분을 구비함과 동시에 경계블록 측면의 차도의 배수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저면에 배수 공간을 구비하는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차량이 일렬주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경사주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에 차량이 경사주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에 경사주차된 상태를 도 4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도 2 : 보도
3 : 경계블록 5 : 차량
10 : 보조블록 11 : 경사부
12 : 돌기부 13 : 타이어 안착부
14 : 평탄부 15a : 제1지지각
15b : 제2지지각 15c : 제3지지각
16 : 완충부재 17 : 배수부
18 : 보강리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은, 보도(2)의 측면 경계블록(3)에 인접한 차도(1)에 차량(5)의 경사주차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블록(10)에 있어서,
상기 차도(1)로부터 경계블록(3)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의 각도로 차량(5)이 진입하도록 차량(5)의 진입 방향으로 상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며, 표면에는 차량(5)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부(12)가 형성된 경사부(11)와, 상기 경사부(11)의 전방에는 경사부(11)와 평행하고 전단이 후단보다 높은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요설되어 차량(5)의 양측 앞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 안착부(13)와; 상기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방에는 전단이 경계블록(3)의 높이와 일치하며 상부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평탄부(14)와; 상기 평탄부(14)의 배면에 부착되어 경계블록(3)과의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16)와; 상기 평탄부(14) 하부의 저면에 경계블록(3)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차도(1)에 접촉되는 제1지지각(15a)과; 상기 경사부(11)에 차량(5)이 진입시 접촉하는 부분의 하부 저면을 포함하도록 좌우로 비대칭되게 형성되어 차도(1)에 접촉되는 제2 및 제3지지각(15b, 15c)과; 상기 제2지지각(15b)과 제3지지각(15c)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8)와; 상기 제1지지각(15a)과 제2, 제3지지각(15b, 15c)의 사이의 저면에 경계블록(3)과 평행하게 형성된 배수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에 차량이 경사주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에 경사주차된 상태를 도 4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의 저면도이다.
도면 중에서 1은 차도, 2는 보도, 3은 경계블록, 5는 차량, 10은 보조블록, 11은 경사부, 12는 돌기부, 13은 타이어 안착부, 14는 평탄부, 15a 내지 15c는 제1 내지 제3지지각, 16은 완충부재, 17은 배수부, 18은 보강리브이다.
본 고안에 의한 경사주차용 보조블록(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2)의 측면 경계블록(3)에 인접한 차도(1)로부터 경계블록(3)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차량(5)이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만약, 보조블록(10)이 경계블록(3)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30° 미만으로 설치되면 진입하는 차량(5)이 한번에 보조블록(10)상에 주차하기 곤란하고 보조블록(10)이 인근 차선과 근접되어 차량(5)의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며, 60°를 초과하여 설치되면 차량(5)의 진입은 용이하나 그 만큼 주차공간의 여유가 없게 되어 비효율적이므로 30° 내지 60°의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5)의 앞타이어는 경사부(11)를 통과하여 경사부(13) 전방에 형성된 타이어 안착부(13)에 안착되는데, 이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방으로 경계블록(3) 사이에 직각삼각형 형태의 평탄부(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경사부(11)는 차량(5)의 진입 방향으로 상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11)의 표면에는 차량(5)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부(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12)는 보조블록(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되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마찰계수가 큰 고무 재질로 돌출되게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1)의 전방에 형성된 타이어 안착부(13)는 경사부(11)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되, 전단이 후단보다 높은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요설되어 경사부(11)로 진입한 차량(5)의 양측 앞타이어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단이 후단보다 높게 형성된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게 한 이유는, 진입하는 차량(5)이 타이어 안착부(13)를 그대로 통과하여 보도(2)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이어 안착부(13)에 안착된 차량(5)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도 후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주차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평탄부(14)는 상기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방에 전단의 높이와 경계블록(3)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부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보조블록(10)과 경계블록(3)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평탄부(14)는 타이어 안착부(13)와 접하는 부분을 경계블록(3)과 접하는 부분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단과 후단의 높이 차를 크게 하여 차량(5)의 앞타이어가 경계블록(3)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평탄부(14)의 배면에는 진입하는 차량(5)의 운동량에 의하여 보조블록(10)이 경계블록(3)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16)가 부착되고, 이와 같이 구성된 완충부재(16)가 경계블록(3)의 정면과 접촉되도록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10)이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보조블록(10)은 타이어 안착부(13)에 차량(5)의 앞타이어 2개가 안착되고, 차량(5)의 뒷타이어 2개는 차도(1)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조블록(10)으로 차량(5)의 하중 일부가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차량(5)의 하중 일부를 보조블록(1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블록(10)의 저면에는 차도(1)와 접촉되는 제1 내지 제3지지각(15a 내지 15c)가 형성된다.
즉, 도 7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부(14) 하부의 저면에는 경계블록(3)과 배면이 접촉되도록 제1지지각(15a)을 경계블록(3)과 평행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경사부(11) 하부의 저면에는 차량(5)이 진입시 경사부(11)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5)의 앞타이어와 접촉하는 경사부(11) 하부 저면을 포함하도록 좌우로 비대칭되게 제2 및 제3지지각(15b, 15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대칭되게 형성된 제2 및 제3지지각(15b, 15c) 사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8)를 방사형으로 설치하여 보조블록(10)에 가해지는 차량(5)의 하중을 분산시킨다.
한편, 경계블록(3)과 차도(1)의 사이에는 보도(2)와 차도(1)로 내리는 우수가 배수되도록 상부에 덮게가 안착된 집수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집수구를 통한 우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배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각(15a)과 제2, 제3지지각(15b, 15c) 사이의 저면에는 경계블록(3)과 평행하게 배수부(17)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보조블록(10)은 보도(2)와 경계블록(3)상에 설치된 가로수 등의 시설물(미도시)에 따라서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시설물이 없는 경우 다수개의 보조블록(10)을 직렬로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보조블록(10) 사이에는 연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보조블록(10)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블록(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보조블록(10)은 경계블록(3)에 평탄부(14) 배면에 부착된 완충부재(16)가 접하게 함으로써 설치가 완성되며, 가장자리의 차선으로 주행하는 차량(5)이 비어 있는 보조블록(10)의 경사부(11)로 진입시 경사면(11)에 부착된 돌기부(12)에 의하여 미끄러짐 없이 올라서게 된다.
다음으로 차량(5)이 경사부(11)를 통과하여 앞타이어 양측이 타이어 안착부(13)에 안착되면 전진이 멈추게 되고, 액셀레이터를 밟지 않는 이상 차량(5)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도 후진이 되지 않게 되나 안전상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금으로써 경사주차가 종료하게 된다.
또한 보조블록(10)으로부터 경사주차된 차량(5)을 빼는 경우에도 진입된 상태 그대로 후진한 후 차도를 따라 직진함으로써 보조블록(10)으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블록(10)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의 일렬주차 후 전후방의 차량(5)이 부주의하게 주차함으로써 주차공간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은 자연 해소된다.
또한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라고 하더라도 단 한 번만에 주차보조요원의 지시 없이도 차량(5)을 안전하게 경사주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보조블록(10)을 구성하는 타이어 안착부(13)에 주차상태와 주차시간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갓길 유료주차를 위한 시설에 응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배수부(17)에 의하여 차도(1)와 도보(2)에 내리는 우수가 차도(1) 가장자리의 집수구(미도시)로 배수되는데 있어 전혀 지장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을 사용하면 운전자가 경사부를 통하여 서서히 진입하게 되면 앞타이어 양쪽이 타이어 안착부에 안착됨을 감지하고 정위치에 차량을 정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앞범퍼와 경계블록의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 차량이 주차보조요원의 안내 없이도 자연적으로 정렬됨으로써 주차공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편, 본 고안의 보조블록은 경량 제작이 가능하므로 인력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여 주변 여건의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보도(2)의 측면 경계블록(3)에 인접한 차도(1)에 차량(5)의 경사주차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블록(10)에 있어서,
    상기 차도(1)로부터 경계블록(3)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의 각도로 차량(5)이 진입하도록 차량(5)의 진입 방향으로 상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며, 표면에는 차량(5)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부(12)가 형성된 경사부(11)와, 상기 경사부(11)의 전방에는 경사부(11)와 평행하고 전단이 후단보다 높은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요설되어 차량(5)의 양측 앞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 안착부(13)와; 상기 타이어 안착부(13)의 전방에는 전단이 경계블록(3)의 높이와 일치하며 상부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평탄부(14)와; 상기 평탄부(14)의 배면에 부착되어 경계블록(3)과의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16)와; 상기 평탄부(14) 하부의 저면에 경계블록(3)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차도(1)에 접촉되는 제1지지각(15a)과; 상기 경사부(11)에 차량(5)이 진입시 접촉하는 부분의 하부 저면을 포함하도록 좌우로 비대칭되게 형성되어 차도(1)에 접촉되는 제2 및 제3지지각(15b, 15c)과; 상기 제2지지각(15b)과 제3지지각(15c)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8)와; 상기 제1지지각(15a)과 제2, 제3지지각(15b, 15c)의 사이의 저면에 경계블록(3)과 평행하게 형성된 배수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KR2020010032600U 2001-10-25 2001-10-25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KR200262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00U KR200262801Y1 (ko) 2001-10-25 2001-10-25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00U KR200262801Y1 (ko) 2001-10-25 2001-10-25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801Y1 true KR200262801Y1 (ko) 2002-03-18

Family

ID=7307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600U KR200262801Y1 (ko) 2001-10-25 2001-10-25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8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97B1 (ko) 2010-12-29 2012-12-03 노수완 주차 보조 장치
KR101687498B1 (ko) * 2015-11-10 2016-12-16 김광중 카스토퍼 일체형 주차블럭
KR20190019264A (ko) * 2017-08-17 2019-02-27 박세만 공간 확장 주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97B1 (ko) 2010-12-29 2012-12-03 노수완 주차 보조 장치
KR101687498B1 (ko) * 2015-11-10 2016-12-16 김광중 카스토퍼 일체형 주차블럭
KR20190019264A (ko) * 2017-08-17 2019-02-27 박세만 공간 확장 주차 시스템
KR102047999B1 (ko) * 2017-08-17 2019-11-22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공간 확장 주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565Y1 (ko) 차단봉이 장착된 차선 규제블럭
KR200262801Y1 (ko)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KR100742516B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KR200488416Y1 (ko) 차선표지병
US20110164922A1 (en) Roadway marker and reflector guard
CN1125280A (zh) 轨道及导向轮分别在高速公路和汽车上的应用及其构造
US2129503A (en) Traffic guide
JPH0124183Y2 (ko)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20090026235A (ko) 차선 규제 블록
KR101130852B1 (ko) 볼록형 버스전용차로
KR20190002700U (ko) 차선표지병
JP2018044380A (ja) 縁石、境界ブロック、及び道路構造
KR100512712B1 (ko) 빗길 수막현상을 최소화시킨 배수구조와 안전운행지시표시구가 내설된 도로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229384Y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101000414B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KR100454707B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200217640Y1 (ko) 도로 경계석
JP2007314140A (ja) 駐輪用ブロック
CN210458841U (zh) 一种侧石
CN210886984U (zh) 一种用于城市社区道路出入口坡道的减速装置
JP3903262B2 (ja) 屋外駐車場
KR200201560Y1 (ko)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KR200208084Y1 (ko) 분리형 과속 방지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