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873A -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873A
KR20020050873A KR1020000080057A KR20000080057A KR20020050873A KR 20020050873 A KR20020050873 A KR 20020050873A KR 1020000080057 A KR1020000080057 A KR 1020000080057A KR 20000080057 A KR20000080057 A KR 20000080057A KR 20020050873 A KR20020050873 A KR 20020050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ncrete
speed
speed bump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모
윤태양
Original Assignee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신현준
Priority to KR102000008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873A/ko
Publication of KR2002005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도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2)에 설치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2)의 상면에 볼록하게 설치된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도로(2)의 지면과 접하며 도로(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원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과속방지턱 본체(10, 10', 10")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10, 10', 10")의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40)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10, 10', 10")가 상기 도로(2)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 22)을 포함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Concrete filled steel road bump}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도로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이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내구성을 가지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과속방지턱의 파괴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2)의 폭방향으로 콘크리트로 구성된 반원기둥과 같은 과속방지턱(1)이 설치된다. 차량은 이런 과속방지턱(1)을 넘어가기 위해 속도를 늦추게 되며 그로 인해 과속방지턱(1)은 그 설치목적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런 콘크리트 과속방지턱(1)은 연성이 거의 없는 콘크리트의 특성상, 중량의 차량이 과속방지턱(1)을 넘게 되면 콘크리트 과속방지턱(1)의 자장자리 즉, 도로의 폭 양단부 쪽에 위치한 과속방지턱(1)의 양단부부터 차츰 파괴된다.
이런 과속방지턱(1)의 파편이 도로에 남아 있게 되면,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표준화 되지 않은 콘크리트 과속방지턱(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로(2)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양생기간동안 차량통제를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설치시에 이미 완공된 도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므로, 도로의 아스팔트와 콘크리트의 사이에 교착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도로에 설치함에 있어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간이 짧으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과속방지턱의 파괴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a)와, 과속방지턱 본체의 조립 사시도(b)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a)와, 과속방지턱 본체의 조립 사시도(b)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a)와, 과속방지턱 본체의 조립 사시도(b)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과속방지턱 2 : 도로
10, 10', 10" : 과속방지턱 본체 11, 11', 11" : 곡률판
13, 13' : 제 1 관통공 15, 15', 15" : 바닥판
18, 18', 18" : 제 2 관통공 20 : 앵커볼트
22 : 너트 30 : 측면판
32 : 타설용 관통공 50 : 미끄럼방지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상면에 볼록하게 설치된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도로의 지면과 접하며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원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과속방지턱 본체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의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가 상기 도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는 상기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원주를 가지도록 굽어 있는 곡률판과, 상기 곡률판의 굽어있는 양단부를 연결하는 바닥판과, 상기 곡률판과 바닥판에 의해 형성된 측면의 개방부를 폐쇄하며 상기콘크리트가 주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두 개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곡률판과 바닥판 및 측면판은 강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도로에 박혀된 앵커볼트로서,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충진된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가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의 바닥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가 고정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과속방지턱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1]
도면에서,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설치된 과속방지턱 본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원주로 굽어 있는 과속방지턱 본체(10)와, 과속방지턱 본체(10)를 도로(2)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20)를 포함한다.
과속방지턱 본체(10)는 도로(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원주로 굽어지며 과속방지턱 본체(10)를 넘어가는 차량의 바퀴와 접하는 곡률판(11)과, 이런 곡률판(11)의 굽은 전후단부에 용접 고정되며 도로(2)의 상면과 접하는 바닥판(15)및, 곡률판(11)과 바닥판(15)의 용접으로 측면에 형성된 개방구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곡률판(11)과 바닥판(15)의 측면에 용접되며 타설용 관통공(32)이 형성된 측면판(30)을 포함한다.
굽어 있는 곡률판(11)의 양단부 즉, 바닥판(15)과 접하는 부위의 근처에는 다수 개의 제 1 관통공(13)이 형성되며, 곡률판(11)의 상면에는 차량의 바퀴와 마찰을 높이기 위해 체크무늬 또는 곡률판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미끄럼방지부(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판(15)에는 곡률판(11)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 1 관통공(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관통공(18)이 형성된다. 이 때, 제 2 관통공(18)은 제 1 관통공(13)에 비해 그 직경이 작다.
한편, 곡률판(11)과 바닥판(15) 및 측면판(30)을 용접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 측면판(30) 중에서 한 측면판을 지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곡률판(11)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 1 관통공(13)에 그 직경과 동일한 막대(도면에 도시안됨)를 바닥판(15)에 접한 상태가 되도록 삽입시키고, 상부를 향해 위치한 다른 측면판의 타설용 관통공(32)을 통해 콘크리트(40)를 타설한다. 그리고, 콘크리트(40)가 양생되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막대를 제거한다. 그러면, 막대에 의해 제 1 관통공(13)과 제 2 관통공(18)은 개방된 상태로 곡률판(11)과 바닥판(15) 및 측면판(30)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40)가 충진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과속방지턱 본체(10)는 도로(2)에 설치된다.
한편, 앵커볼트(20)는 완공된 도로(2)의 상면에 구멍을 뚫은 후에앵커볼트(20)를 설치한다. 이런 앵커볼트(20)는 바닥판(15)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8)에 삽입된다. 바닥판(15)의 제 2 관통공(18)을 관통하여 콘크리트(40)의 내부에 위치한 앵커볼트(20)의 단부에는 곡률판(11)의 제 1 관통공(13)을 통해 삽입된 와셔와 너트(22)가 체결되어 앵커볼트(20)에 과속방지턱 본체(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제 1 관통공(13)의 직경이 제 2 관통공(18)의 직경보다 큰 이유는 제 1 관통공(13)을 통해 삽입된 너트(22)를 앵커볼트(20)에 체결시키기 위한 회전공구가 제 1 관통공(13)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 1 관통공(13)의 직경이 제 2 관통공(18)의 직경보다 크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의 설치관계 및 해체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콘크리트(40)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본체(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2)에 앵커볼트(20)를 설치하기 위해 도로(2)의 상면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0)를 설치한다. 이 때, 설치된 앵커볼트(20)는 바닥판(15)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8)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도로(2)의 상면에 설치된 앵커볼트(20)는 과속방지턱 본체(10)의 바닥판(15)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8)에 삽입된다. 그리고, 곡률판(11)의 제 1 관통공(13)을 통해 앵커볼트(20)의 단부에 와셔를 끼우고 앵커볼트(20)의 단부에 너트(22)를 체결하면, 과속방지턱 본체(10)가 앵커볼트(20)에 의해 고정되어 도로에 설치된다.
이렇게 결합된 과속방지턱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너트(22)를 풀고 와셔와 과속방지턱 본체(10)를 앵커볼트(20)로부터 분리하여 해체한다.
[실시예 2]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설치된 과속방지턱 본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를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에 실시예 1에서 곡률판(11)의 제 1 관통공(13)과 바닥판(15)의 제 2 관통공(18)이 2열로 형성된 것을 곡률판(11')과 바닥판(15')의 중심부에 폭방향으로 1열로 형성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과속방지턱 본체(10')의 곡률판(11')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 1 관통공(13')은 도로(2)의 길이방향에 대한 폭방향 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판(15')에는 곡률판(11')의 제 1 관통공(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1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제 2 관통공(1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곡률판(11')과 바닥판(15') 및 측면판(30)의 용접 고정된 상태의 과속방지턱 본체(1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40)가 충진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로(2)에 설치된 앵커볼트(20)에 과속방지턱 본체는 체결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해체된다.
[실시예 3]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설치된 과속방지턱 본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실시예 3을 실시예 2와 비교하였을 때에, 실시예 3에서의 곡률판(11")에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제 1 관통공(13')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과, 도로(2)에 설치된 앵커볼트(20)에 과속방지턱 본체(10")가 체결되지 않고 단순 거치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과속방지턱 본체(10")의 곡률판(11")은 도로(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원주로 굽어지며,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곡률판(11")의 양단부, 즉, 도로(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제 2 관통공(18")이 형성된 바닥판(15")이 용접 고정되며, 곡률판(11")과 바닥판(15")의 양측면에는 측면판(30)이 용접 고정된다.
이런 형상의 과속방지턱 본체(10")의 양 측면판(30) 중에서 일 측면판을 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바닥판(15")의 제 2 관통공(18")의 직경과 동일한 막대를 제 2 관통공(18")에 삽입한다. 그런 후에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타 측면판의 타설용 관통공(32)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에 제 2 관통공(18")에 삽입된 막대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과속방지턱 본체(10")는 도로(2)에 설치된 앵커볼트(20)에 안착되는데, 제 2 관통공(18")의 간격으로 설치된 앵커볼트(20)의 단부가 과속방지턱 본체(10")의 제 2 관통공(18")에 삽입되도록 안착한다. 따라서, 콘크리트(40)가 충진된 중량의 과속방지턱 본체(10")는 그 내부로 삽입된 앵커볼트(20)에 의해 상부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과속방지턱 본체(10")를 도로(2)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는 과속방지턱 본체(10")를 도로(2)로부터 들어올리기만 하면 해체된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의 과속방지턱 본체는 강재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의 강재를 과속방지턱으로 사용하더라도 콘크리트의 우수한 압축강도에 의해 중량의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넘어가더라도 과속방지턱 본체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있어 과속방지턱을 넘어가는 차량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파괴되더라도 그 파편이 과속방지턱 본체 내부에 존재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과속방지턱 파편이 도로에 노출되어 있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은 도로에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시간이 짧아 설치하는 동안 차량통제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상면에 볼록하게 설치된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도로의 지면과 접하며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원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과속방지턱 본체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의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가 상기 도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는 상기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원주를 가지도록 굽어 있는 곡률판과, 상기 곡률판의 굽어있는 양단부를 연결하는 바닥판과, 상기 곡률판과 바닥판에 의해 형성된 측면의 개방부를 폐쇄하며 상기 콘크리트가 주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두 개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곡률판과 바닥판 및 측면판은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도로에 박혀된 앵커볼트로서,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충진된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의 바닥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과속방지턱 본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KR1020000080057A 2000-12-22 2000-12-22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KR20020050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057A KR20020050873A (ko) 2000-12-22 2000-12-22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057A KR20020050873A (ko) 2000-12-22 2000-12-22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873A true KR20020050873A (ko) 2002-06-28

Family

ID=2768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057A KR20020050873A (ko) 2000-12-22 2000-12-22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8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191B1 (ko) * 2012-04-26 2014-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20210097991A (ko) 2020-01-31 2021-08-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KR20210141238A (ko) * 2020-05-15 2021-11-23 대한민국(경찰청장)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191B1 (ko) * 2012-04-26 2014-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20210097991A (ko) 2020-01-31 2021-08-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KR20210141238A (ko) * 2020-05-15 2021-11-23 대한민국(경찰청장)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09B1 (ko) 차량 진입규제 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KR20020050873A (ko)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KR101286048B1 (ko)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방법
JP4113095B2 (ja) 側溝蓋
AU2011213821A1 (en) A barrier element and a barrier assembly
JP7080495B2 (ja) 車止め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JP7471703B1 (ja) 車止めポール装置
JP4053033B2 (ja) ブロック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830119B1 (ko) 기초 콘크리트부와 교각기둥의 연결구조
JP2660183B2 (ja) 道路等の防護柵構造物の改修方法
JPH0892923A (ja) ガードフェンス
KR200175505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KR20020050871A (ko) 강재 과속방지턱
KR200453629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200175483Y1 (ko)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200317919Y1 (ko) 교량 상판 방호벽용 보강 구조물
KR200351432Y1 (ko) 날개형 보도 블록
KR200433386Y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KR200313288Y1 (ko) 도로의 2중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228525Y1 (ko) 진동을방지한교량의철구조물스틸박스
KR101091544B1 (ko) 방호 울타리
KR200228288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JP4882895B2 (ja) コンクリート支柱基礎の補強方法
KR20100129806A (ko)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