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91A -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991A
KR20210097991A KR1020200011656A KR20200011656A KR20210097991A KR 20210097991 A KR20210097991 A KR 20210097991A KR 1020200011656 A KR1020200011656 A KR 1020200011656A KR 20200011656 A KR20200011656 A KR 20200011656A KR 20210097991 A KR20210097991 A KR 2021009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peed bump
speed
along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149B1 (ko
Inventor
노영숙
이은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1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내측으로 만곡진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만곡 단위모듈이 주행방향 및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도로의 양측면 및 도로의 중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과속방지턱;을 포함하며, 만곡 단위모듈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양단이 서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Speeding previntion system having side type speed bump}
본 발명은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도로의 측면 또는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속방지턱(speed bump)은 도로 위에 운행되는 차량이 과속하지 못하도록 도로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공공시설물로서, 일반적으로 주거 환경이나 보행자 보호를 위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과속방지턱의 널리 알려진 종래의 시공법으로는 일정 구간의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 되도록 만곡형상으로 시공되고 있다.
과속방지턱을 시공을 할 때에 과속방지턱 규정에 맞게 시공을 해야 하지만, 객관적 시공의 어려움으로 인해 규정에 맞게 시공을 하지 못하여, 돌출 높이가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어 차체의 손상 및 차체 충격에 의해 과속방지턱이 쉽게 손상되고 있다. 또한, 돌출 높이가 기준보다 낮게 형성되어 과속방지턱의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콘크리트 방지턱의 경우 시공 후 장소를 옮길 수 없으며, 방지턱의 부식과 파손으로 인해 사공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 민식이법(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관련법 개정법률안)으로 인해서, 스쿨존에 대한 신호등 및 과속단속 강화와 더불어 차별화된 과속방지턱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50873호, 2002년 6월 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도로의 측면 또는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은 도로의 내측으로 만곡진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만곡 단위모듈이 주행방향 및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도로의 양측면 및 도로의 중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과속방지턱;을 포함하며, 만곡 단위모듈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양단이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만곡 단위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는 양단이 끼움결합 또는 주먹장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만곡 단위모듈은 도로의 인도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는 단위모듈의 높이가 내측에 위치하는 단위모듈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도로의 폭방향 내측으로 다단의 편경사를 형성하여 미끄러짐과 과속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과속방지턱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압전소자를 구비하며, 압전소자는 압전소자를 통해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에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조명의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만곡 단위모듈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로 폭의 양측으로 각각 하방향으로 다단 경사형성 되어 제1 과속방지턱과 제2 과속방지턱을 형성하고, 제1 과속방지턱과 제2 과속방지턱이 서로 맞닿아 제일 내측에 위치하는 상측면에 태양광 모듈이 배치되어 차량의 진행시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태양광 모듈을 통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며,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 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에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 및 조명의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은 통학로 및 횡단보도 규정속도를 지키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갓길에 주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로와 차량을 분리시켜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 또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충전하여 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공용전력의 공급없이 조명 또는 경광등을 점멸시킬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를 통해 보행 및 차량의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정지 및 보행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도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측면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의 상세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중앙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중앙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은 과속방지턱(110), 압전소자(120), 태양광패널(130), 초음파센서(140), 배터리(150), 조명(160), 경광등(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과속방지턱(110)은 도로의 내측으로 만곡진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만곡 단위모듈(111)이 주행방향 및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도로의 양측면 및 도로의 중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와 다르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도로의 양측면에 설치되거나,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만곡 단위모듈(111)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만곡 단위모듈(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진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여 맞닿는 종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는 양단이 끼움결합 또는 주먹장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주먹장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만곡 단위모듈(111)은 일단은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타단은 그 돌출부에 대응되는 끼움홈(113)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만곡 단위모듈(111)은 곡선반경은 대략적은 9.5 m ~ 11m 이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곡선반경의 범위는 도로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만곡 단위모듈(111)은 서로 결합되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만곡 단위모듈(111)이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결합하여 형성된다. 그 형상은 대략적으로 평면기준으로 타원의 반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곡 단위모듈(111)의 돌출부(112)와 끼움홈(113)가 도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끼움결합이 연속해서 결합됨으로써 도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만곡 단위모듈(111)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곡 단위모듈(111)이 폭방향을 따라 연결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측면에 측면돌출부(114)와 측면돌출구(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호 형상으로 결합된 만곡 단위모듈(111)이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될 때에 이웃하는 만곡 단위모듈(111)과 측면돌출부(113)와 측면돌출구(114)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폭방향 연결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만곡 단위모듈(111)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에 앵커(미표시)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만곡 단위모듈(111)을 통해 결합되는 과속방지턱(110)은 대략적으로 그 폭(W)이 0.9 ~ 1.1m 이내로 형성되면서 편경사를 2%로 형성하고, 그 연장(L)은 10 ~ 11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속방지턱(110)의 폭(m)이 0.9m 미만으로 형성되면, 편경사가 커지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할 때에, 차량의 하면이 바닥면에 부딪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1.1m 이상으로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편경사가 완만해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과속방지턱(1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과속방지턱(110)의 효과를 저하된다. 또한, 그 연장(L)이 10m 미만으로 형성되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종구배가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에게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11m 이상으로 형성되면, 만곡 단위모듈(111)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만곡 단위모듈(111)이 서로 결합될 때에, 도로의 인도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는 만곡 단위모듈(111a)의 높이가 내측에 위치하는 만곡 단위모듈(111n)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곡 단위모듈(111)이 폭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면 도로의 폭방향으로 계단과 같은 다단의 편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계단과 같은 다단은 소정의 요철효과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대시켜 마찰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진동이 전달되어 과속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편도 2차로 이상의 도로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로의 중앙에서 도로 폭의 양측으로 각각 하방향으로 다단 경사형성 되는 제1 과속방지턱(110a)과 제2 과속방지턱(110b)이 서로 결합하여 과속방지턱(1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의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과속방지턱(110)이 형성되면, 주행중에 차선을 바뀌면서 과속방지턱(110)을 피하면서 운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과속방지턱(110)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제1 과속방지턱(110a)과 제2 과속방지턱(110b)이 결합될 때에, 접촉면이 도 4와 같이 일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단차형성(111a)된다. 이를 통해, 단차형성되는 제1 과속방지턱(110a)의 일단에 제2 과속방지턱(110b)의 일단이 주먹장 결합되고, 단차형성되는 제2 과속방지턱(110b)의 타단에 제1 과속방지턱(110a)의 타단이 주먹장 결합된다. 과속방지턱(110)은 전체적으로 접촉면적(IF)이 굴절되도록 형성되어 제1 과속방지턱(110a)과 제2 과속방지턱(110b)이 전체적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차량이 진행할 때에 진행방향을 따라 제1 과속방지턱(110a)과 제2 과속방지턱(110b)의 결합면 간에 슬라이딩이 발상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제1 과속방지턱(110a)과 제2 과속방지턱(110b)이 도로면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압전소자(120)는 만곡 단위모듈(111)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압전소자(120)는 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현상)를 지닌 소자, 즉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압전소자(120)는 만곡 단위모듈(111)을 따라 복수로 매설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에 따라 전달되는 압력을 통해서 변형이나 변형력이 형성되면서, 전력을 생산하고, 이렇게 생성된 전력은 미리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배터리(15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전력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명(160) 또는 경광등(170)을 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용전력의 공급없이 조명(160) 또는 경광등(170)을 점멸시킴으로써 환경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각 압전소자(120)의 작동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복수의 압전소자(120)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압전소자(120)의 점검 및 교체를 요청하는 알람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130)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제1 과속방지턱(110a)과 제2 과속방지턱(110b)이 서로 맞닿아 서로 이웃하여 차량의 진입이 제한될 수 있는 만곡 단위모듈(11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태양광패널(130)이 배치되면, 차량의 진행시 태양광 모듈(130)이 차량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광 모듈(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13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전력은 미리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배터리(15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전력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명(160) 또는 경광등(170)을 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용전력의 공급없이 조명(160) 또는 경광등(170)을 점멸시킴으로써 환경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각 압전소자(130)의 작동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복수의 태양광 모듈(130) 중에서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태양광 모듈(130)의 점검 및 교체를 요청하는 알람을 형성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140)는 과속방지턱(110)의 진입 전에 도로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센서(140)는 과속방지턱(110)으로 진입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를 센싱하게 된다. 제어부(180)는 초음파센서(140)를 통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차량의 진입이 확인되면, 과속방지턱(110)이 위치하는 곳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광등(170)을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경광등(170)을 통해 전방에 과속방지턱(110)이 있음을 인지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제한속도에 맞도록 주행속도를 감소시켜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은 전술한 특징을 통해서, 통학로 및 횡단보도 규정속도를 지키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갓길에 주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로와 차량을 분리시켜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 또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충전하여 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공용전력의 공급없이 조명 또는 경광등을 점멸시킬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를 통해 보행 및 차량의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정지 및 보행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과속방지턱 120 : 압전소자
130 : 태양광패널 140 : 초음파센서
150 : 배터리 160 : 조명
170 : 경광등 180 : 제어부

Claims (5)

  1.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의 내측으로 만곡진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만곡 단위모듈이 주행방향 및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도로의 양측면 및 도로의 중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과속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 단위모듈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양단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단위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는 양단이 끼움결합 또는 주먹장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단위모듈은,
    상기 도로의 인도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는 단위모듈의 높이가 내측에 위치하는 단위모듈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도로의 폭방향 내측으로 다단의 편경사를 형성하여 미끄러짐과 과속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에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조명의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단위모듈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로 폭의 양측으로 각각 하방향으로 다단 경사형성 되어 제1 과속방지턱과 제2 과속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과속방지턱과 상기 제2 과속방지턱이 서로 맞닿아 제일 내측에 위치하는 상측면에 태양광 모듈이 배치되어 차량의 진행시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을 통해 태양광 발전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태양광 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에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조명의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KR1020200011656A 2020-01-31 2020-01-31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KR10229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56A KR102297149B1 (ko) 2020-01-31 2020-01-31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56A KR102297149B1 (ko) 2020-01-31 2020-01-31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91A true KR20210097991A (ko) 2021-08-10
KR102297149B1 KR102297149B1 (ko) 2021-09-03

Family

ID=7731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656A KR102297149B1 (ko) 2020-01-31 2020-01-31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1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873A (ko)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JP2005061182A (ja) * 2003-08-11 2005-03-10 Shingo Kizai Kk 組合せ設置型道路ハンプ
KR20080089919A (ko) * 2007-04-03 2008-10-08 세다주식회사 스쿨존 또는 저속존과 같은 과속방지구간에 설치되는과속방지턱의 배치구조
KR20150091722A (ko) * 2014-02-03 2015-08-12 석 영 정 요잉 과속방지턱
KR20180113686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덕동산업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873A (ko)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합성 과속방지턱
JP2005061182A (ja) * 2003-08-11 2005-03-10 Shingo Kizai Kk 組合せ設置型道路ハンプ
KR20080089919A (ko) * 2007-04-03 2008-10-08 세다주식회사 스쿨존 또는 저속존과 같은 과속방지구간에 설치되는과속방지턱의 배치구조
KR20150091722A (ko) * 2014-02-03 2015-08-12 석 영 정 요잉 과속방지턱
KR20180113686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덕동산업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149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565Y1 (ko) 차단봉이 장착된 차선 규제블럭
CN204959655U (zh) 一种可调节的道路护栏
KR20060085852A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1101921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방호울타리 및 가드지주
KR101061957B1 (ko) 풍력발전을 이용한 안전운전 장치 및 방법
KR102297149B1 (ko) 사이드형 과속방지턱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과속방지 시스템
KR20100093683A (ko) 수평과 경사지 주행가능한 브이 가이드 파이프 레일 운행 시스템
KR101915574B1 (ko)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102106637B1 (ko) 스마트 방지턱
JP2007126937A (ja) ハンプ装置
KR20150111489A (ko) 도로용 방호책
KR101185602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28826A (ko) 과속방지턱
KR100961714B1 (ko) 과속방지장치
KR200466847Y1 (ko) 중앙분리블록
KR101000414B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KR101133280B1 (ko) 도로 난간용 포스트
KR20170071133A (ko) 차도경계블럭
KR101132004B1 (ko) 압전소자가 적용된 교통사고 예방장치
JP2020071754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CN110689743A (zh) 一种应用于道路上的故障检测与应急处理系统和方法
CN217758425U (zh) 一种城市规划道路用减速带
KR20160092119A (ko) 보행자 건널목 인식등
KR102209137B1 (ko) 미니방지턱
KR20130084805A (ko) Led모듈이 구비된 요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