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133A - 차도경계블럭 - Google Patents

차도경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133A
KR20170071133A KR1020150179115A KR20150179115A KR20170071133A KR 20170071133 A KR20170071133 A KR 20170071133A KR 1020150179115 A KR1020150179115 A KR 1020150179115A KR 20150179115 A KR20150179115 A KR 20150179115A KR 20170071133 A KR20170071133 A KR 2017007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road
block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609B1 (ko
Inventor
박세진
이준표
Original Assignee
(주)한국카스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카스토퍼 filed Critical (주)한국카스토퍼
Priority to KR102015017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6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삽입공이 배열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 리브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와, 중앙부 상부 및 전·후면으로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 양측으로 형성된 장착홈을 포함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홈부에 장착되는 표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럭몸체 양측 상단부에 빛을 발광하는 유리알 리블렉터로 구성된 발광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야간 운행 시에, 차도경계블럭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몸체 양측 하단부에 리프팅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차도경계블럭을 시공선으로 운반하여 설치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몸체 정면 및 배면 하부에 다수개의 배수공간을 배열형성함으로써, 도로, 부두, 항만 등에 배수가 원활히 이뤄져, 물고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하고를 방지할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도경계블럭{BOUNDARY BLOCK OF ROAD}
본 발명은 차도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도경계블럭 양측면 및 하부에 리프팅홈을 형성하고, 상부에 빛을 발광하는 배광장치를 장착하고, 정면 및 배면에 상호 대응하게 다수개 배열형성된 배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운전자가 차도경계블럭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도로, 항만, 부두 등에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뤄짐으로, 물고임 현상에 의해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도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블록은 도로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나누고,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주차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차턱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로경계블록은 상면 또는 측면에 반사판을 구비하여서 야간에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어 차량이 도로의 경계 및 주차범위 등을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로경계블록의 상면에는 봉상으로 이루어진 도로 안전봉을 설치하여서 도로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도로 안전봉 사이를 연결하여서 도로 안전 휀스를 형성하여 보행자들이 함부로 넘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경계블럭은 경계턱, 중앙분리(차선)턱, 항만부두추락방지(차막이)턱, 안전지대 진입방지턱 등으로 쓰인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고중량의 경계석(화강함, 콘크리트, 재생비닐차막이 등)에는 리프팅할 수 있는 홈이 없기 때문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들이"L"자 형상의 철재집게(1)를 사용하여 2인 1조로 운반하고, 시공선에 맞추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해야 함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시달리고, 시공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기존의 모든 턱들은 배수구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배가 주어지는 차로의 분리대 경우에, 낮은 방향으로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물이 고이게 됨으로서, 교행차량 및 통행, 후행차량의 안전운행을 해칠수 있으며, 건널목, 교차로, 보도 등의 보행자들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항만, 부두의 차막이 턱의 경우는 밀물에 차막이 턱이 잠김 다음, 썰물에 물이 빠지는 것을 차막이 턱이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20-0220510 "차막이용 블록"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면으로 걸림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차도경계블럭을 시공선으로 이동하여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양측 상단부에 배광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저면으로 다수개의 배구공간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함으로써, 도로, 항만, 부두 등에 물이 원활히 배수할 수 있어, 각종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차도경계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삽입공이 배열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 리브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와, 중앙부 상부 및 전·후면으로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 양측으로 형성된 장착홈을 포함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홈부에 장착되는 표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 양측 상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배광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광장치는 유리알 리플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광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되는 각도는 7°~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 정면 및 배면 하부에 배열형성되는 배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리프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럭몸체 양측 상단부에 빛을 발광하는 유리알 리블렉터로 구성된 발광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야간 운행 시에, 차도경계블럭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몸체 양측 하단부에 리프팅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차도경계블럭을 시공선으로 운반하여 설치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몸체 정면 및 배면 하부에 다수개의 배수공간을 배열형성함으로써, 도로, 부두, 항만 등에 배수가 원활이 이뤄져, 물고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하고를 방지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계블럭의 문제점을 도시한 작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도경계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도경계블럭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도경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도경계블럭의 배수공간(16)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도경계블럭이 중앙선에 설치되어,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면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삽입공(11)이 배열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 리브(12a)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부(12)와, 중앙부 상부 및 전·후면으로 형성된 홈부(13) 및 상기 홈부(13) 양측으로 형성된 장착홈(14)을 포함하는 블럭몸체(10)와, 상기 블럭몸체(10) 홈부(13)에 장착되는 표시부재(2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럭몸체(10)는 소정이 크기와 높이를 가지고 있고,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무게가 가볍고, 일정한 탄성력을 가진 재생용 플라스틱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 깨지거나 파손되는 일이 적어, 유지보수에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블럭몸체(10)의 구조는 중앙 상면으로 삽입공(1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삽입공(11)이 상호 대칭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리브(12a)가 연결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중앙 상부 및 전·후 면에는 안전표시 등의 다양한 이니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비된 표시부재(20)가 설치되기 위해 형성된 홈부(13) 및 상기 홈부(13) 양측 정면으로 장착홈(14)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14)에, 도로경계석의 식별력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는 안전하게 보행가능하게 하여,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반사판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10) 양측 상단부에 경사면(15)을 7°~10°로 형성한 다음, 상기 경사면(15)에 배광장치(30)를 설치하는데,
상기 배광장치(30)는 빛을 내부에 흡수해 저장하고 방출·발광하는 성질을 지닌 안료로 형성된 유리알 리블렉터로, 운전자가 야간 주행시에, 육안으로 차도경계블럭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10) 정면 및 배면 하부에 다수개의 배수공간(16)을 형성하는데,
상기와 같이 배수공간(16)을 형성함은 도로 등에서 배수가 원활하지 않음으로, 물이 고이게 되어, 교행차량 및 동행, 후행차량 미끄러져 각종 교통사고를 야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건널목, 교차로, 보도 등의 보행자들이 받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항만, 부두, 추락방지턱, 차선분리 경계턱을 띄움없이 연속연결 시공할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배수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배수구가 없는 항만, 부두의 차막이 턱의 경우에 밀물과 썰물 작용에 따라, 차막이 턱에 물이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배수되지 않음으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블럭몸체(10) 양측 하단부에 리프팅홈(17)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경계블럭을 기구 또는 기계의 도움없이 시공선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도경계블럭 설치과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로중앙분리, 각종 경계부분, 항만 및 부두의 추락방지턱, 안전지대 진입방지턱, 주차장 정지턱 등, 차도경계블럭을 설치하고자 시공선을 표시한 위치에, 햄머드릴 등으로 바닥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블로우건을 이용하여 구멍 속의 잔재물을 제거한 후, 상기 블럭몸체(10)의 삽입공(11)과 상기 구멍을 맞춘 상태에서, 스크류앵커를 삽입, 조인 다음, 상기 블럭몸체(10)의 삽입공(11) 상부에 마개를 끼우고 제품을 세척 후 마감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도경계블럭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분리경계턱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차도경계블럭이 연속 연결되어 시공할 경우, 집중 호우 등에 의해 물이 도로 상면에 고일 시에, 본 발명의 블럭몸체(10) 정면 및 배면 하부에 배열형성된 배수공간(16)으로 물이 이동한 다음, 신속하게 도로와 보도 사이에 설치된 배수구로 배수되어, 물이 도로에 고임으로 발생하는 각종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굴곡진 도로를 야간 운행시에,
운전자가 차도경계블럭에 측면으로 설치된 배광장치(30)의 발광으로 1차적으로 먼 거리에서 식별한 다음, 2차적으로 차도경계블럭 정면에 다수개 설치된 반사판을 인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통행이 이뤄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블럭몸체(10)를 재생용 플라스틱재로 사용함으로써, 자원절약 및 폐자재의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방지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블럭몸체(10)의 양측면으로, 리프팅홈(17)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차도경계블럭을 시공선으로 이동하여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양측 상단부에 배광장치(30)를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저면으로 다수개의 배수공간(16)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함으로써, 도로, 항만, 부두 등에 물이 원활히 배수할 수 있어, 각종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블럭몸체
11: 삽입공
12: 공간부
12a: 리브
13: 홈부
14: 장착홈
15: 경사면
16: 배수공간
17: 리프팅홈
20: 표시부재
30: 발광장치

Claims (6)

  1. 상면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삽입공(11)이 배열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 리브(12a)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부(12)와, 중앙부 상부 및 전·후면으로 형성된 홈부(13) 및 상기 홈부(13) 양측으로 형성된 장착홈(14)을 포함하는 블럭몸체(10)와,
    상기 블럭몸체(10)의 홈부(13)에 장착되는 표시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경계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10) 양측 상단부에 경사면(15)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5)에 배광장치(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도경계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장치(30)는 유리알 리플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경계블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장치(30)가 경사면(15)에 설치되는 각도는 7°~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경계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10) 정면 및 배면 하부에 배열형성되는 배수공간(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경계블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10)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리프팅홈(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경계블럭.
KR1020150179115A 2015-12-15 2015-12-15 차도경계블럭 KR10178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115A KR101787609B1 (ko) 2015-12-15 2015-12-15 차도경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115A KR101787609B1 (ko) 2015-12-15 2015-12-15 차도경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33A true KR20170071133A (ko) 2017-06-23
KR101787609B1 KR101787609B1 (ko) 2017-11-15

Family

ID=5928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115A KR101787609B1 (ko) 2015-12-15 2015-12-15 차도경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92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서진 반사표시부가 설치된 주차블록
KR20220103210A (ko) * 2019-12-18 2022-07-21 쓰리 스미쓰 그룹 리미티드 경계 장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123B1 (ko) * 1996-04-26 1999-06-01 박영우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200222337Y1 (ko) * 2000-09-04 2001-05-02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신속배수형 곡선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48797Y1 (ko) * 2004-02-03 2004-05-03 김정석 주차 블록
JP2006274627A (ja) * 2005-03-29 2006-10-12 Sekisui Jushi Co Ltd 道路用合成樹脂製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92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서진 반사표시부가 설치된 주차블록
KR20220103210A (ko) * 2019-12-18 2022-07-21 쓰리 스미쓰 그룹 리미티드 경계 장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609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32B2 (en) Automatic lighting system of the transversal marking for crossing of the pedestrian walkways
KR101787609B1 (ko) 차도경계블럭
KR20120120549A (ko) 횡단 보도 안전 장치
KR20110131633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113265918B (zh) 一种融合盲道的无障碍城市道路交叉口
EP3138962B1 (en) Modular separator of bicycle lanes
KR100843306B1 (ko)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US2841059A (en) Traffic safety bars
KR200387387Y1 (ko) 도로 경계석
AU2018229146A1 (en) Delineator post and delineator post assembly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20120071726A (ko) 도로용 경계석
KR20060035554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51164Y1 (ko) 습지지역 도로의 빗물튀김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구조
KR100705705B1 (ko) 도로 경계석
KR101014603B1 (ko) 교량 연석부의 열화방지 커버와 이 설치방법
KR20110085169A (ko)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led 볼라드
KR200393596Y1 (ko) 도로 경계석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100202458B1 (ko) 자전거전용도로시스템 및 자전거전용도로 구축용블록
KR200147831Y1 (ko)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차단장치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KR200391852Y1 (ko) 조립식 횡단보도
CN213681893U (zh) 一种防撞伤隔离墩套
KR20130128629A (ko) 오뚝이 차선 규제봉 및 이를 이용한 오뚝이 차선 규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