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123B1 -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123B1
KR100189123B1 KR1019980044509A KR19980044509A KR100189123B1 KR 100189123 B1 KR100189123 B1 KR 100189123B1 KR 1019980044509 A KR1019980044509 A KR 1019980044509A KR 19980044509 A KR19980044509 A KR 19980044509A KR 100189123 B1 KR100189123 B1 KR 10018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portion
body portion
side plate
wha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Original Assignee
박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60009378U external-priority patent/KR970058505U/ko
Application filed by 박영우 filed Critical 박영우
Priority to KR101998004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발명은 항만의 부두에서 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위하여 출입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바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두의 바다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정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삽입공(16)이 뚫려서 바닥면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21)들에 끼워져 체결수단(20)으로 고정되는 차막이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플래스틱제로서 압축성형되어지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측판부(11a)(11b)와, 상기 측판부의 좌우측 단부에서 측판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마구리판부(12a)(12b)와, 상기 측판부와 마구리판부 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상판부(13)로 구성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몸체부(10)에 일체로 성형되는 격판부(14)들이 형성되어 격자형의 내부구조를 갖도록 경량화시킨 차막이블록과; 이 차막이블록들을 이용하여 황색의 단위블록(a)과 흑색의 단위블록(b)을 연속적으로 교대로 배열설치하여 자연적으로 안전위험표시의 색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본발명은 항만의 부두에서 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위하여 출입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바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두의 바다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은 얇은 철판을 재단 절곡하여 4각형 단면의 장방형 철제통을 제작하여 설치하여 지면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키고, 그 철제통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주입충진시켜 일정한 길이로 성형시킨 후, 그 외부에 방청 및 안전위험표시인 황색과 흑색의 페인트로 도색하여 마감하는 철제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합성블록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런데, 부두는 접안시설로서 선적 또는 하역작업중인 차량이나 작업자의 출입 및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항상 해수와 접하는 장소적 여건상, 상기의 종래기술에 의하여 차막이블록을 설치하게 되면 해수의 염분으로 인하여 철판이 급속히 부식됨으로 내구성이 저하되고, 철제통의 제작과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주입시키는 작업등 현장에서의 작업형태로 차막이블록의 품질이 불량하고, 또한 내충격성에 매우 약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자주 교체하거나 보수하여야 했다.
또한, 설치시 철물제작 및 현장콘크리트 충진 등 설치시공이 번거롭고 보수시에는 부분보수교체가 불가능하여 전체구간을 완전히 재설치하여야 하고, 콘크리트 현장타설로 인하여 설치기간도 길어지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차막이블록의 외면에 부식된 부분이나 녹물이 흘러서 외관이 아주 보기 싫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방청을 위한 도장을 실시하여야 하며, 방청을 하더라도 곧 녹이슬고 부식되어 부두 전체의 미관을 크게 해치는 최대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도색한 부분이 변색 내지 탈색되어 안전위험표시의 식별을 위한 고유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와, 또 보수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종래기술과 달리 여러 재질과 구조로 다양하게 만들어지는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어 알려져 있다.
즉,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6-91713호로 공개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플래스틱재 각형봉상체로 만들어지는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일정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삽입공(2)이 뚫려서 앵커볼트(3)에 체결수단(4)으로 고정시키는 차막이블록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은 그 몸체부(1) 내부가 채워지기 때문에 첫째, 단위무게가 무거워서 취급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재료가 많이 소요되므로 제작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종래기술들로서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공보 제90-6752호로 공개된 기술과, 도3a 및 도3b로 도시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50425호로 공개된 기술들에서 각각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각형봉상체로 만들어지며 일정위치마다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삽입공(5)이 뚫려서 앵커볼트(6)에 고정되는 몸체부(7)와, 상기 몸체부(7)의 외면상에 위험표시를 시각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마다 서로 다른 색깔로 도색한 표식부 또는 반사시트(8)와, 상기 몸체부(7)의 내부에 충전되는 채움재(9)로 구성되는 차막이블록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다른 기술도 상기와 같이 그 몸체부(7) 내부가 채워지기 때문에 첫째, 단위무게가 무거워서 취급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재료가 많이 들어가므로 제작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2a 내지 도3b에 도시된 차막이블록은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단위블록의 몸체부(7)의 외면상에 위험표시를 시각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마다 서로 다른 색깔로 도색한 표식부 또는 반사시트(8)가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위험지역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단위블록을 제작할 시 반사시트를 부착시켜야 하는 점에서 제작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단위블록을 제작하여 설치한 후에 별도의 도색하는 공정이 수반되고, 단위블록의 외면상에 일정간격마다 서로 다른 색깔로 도색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도색될 부분에 대한 라인긋기등 도색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막이블록이 설치완료되고 난 이후 시간이 오래 경과되면 도색이 벗겨져서 다시 도색해야 함으로써 도색작업에 수반되는 유지관리비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위블록의 용어는 플래스틱 또는 폐플래스틱을 용융시켜 안료 등으로 혼합된 혼합조성물로 공장에서 유압프레스에 의하여 압축성형시켜 제조되어진 몸체부가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차막이블록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목적은 녹이 슬거나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좋고, 그 내부구조가 공간부를 구획하는 격자형의 구조를 갖는 플래스틱제의 공장제품으로 제작하여 경량화시킴으로써 운반설치등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줄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한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막이블록의 몸체부를 이루는 소요재료를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재료비등 제작설치비와, 파손교체시 유지보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켜 주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막이블록에 위험표시를 알려주는 표식부를 형성함에 있어 단위블록별로 몸체부 자체가 동일한 색깔로 간편하게 공장제품으로 성형됨으로써 별도의 도색공정을 수반하지 아니하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위블록을 관통하는 앵커볼트삽입공을 타원형의 구조로 성형시킴으로써 현장에서의 설치시공상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하여 주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차막이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다른 차막이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3a 및 도3b는 종래의 또다른 차막이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4는 본발명의 차막이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발명의 차막이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횡단면도
도7은 본발명의 차막이블록이 앵커볼트로 고정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8a 및 도8b는 본발명 차막이블록이 부두가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부 11a,11b:측판부 12a,12b:마구리판부
13:상판부 14:격판부 15:공간부
16:삽입공 17:단턱홈 20:체결수단
21:앵커볼트 22:와셔 23:너트
30:마개 40:바닥콘크리트
a:황색의 단위블록 b:흑색의 단위블록
이하,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정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삽입공(16)이 뚫려서 바닥면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21)들에 끼워져 체결수단(20)으로 고정되는 차막이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플래스틱제로서 압축성형되어지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측판부(11a)(11b)와, 상기 측판부(11a)(11b)의 좌우측 단부에서 측판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마구리판부(12a)(12b)와, 상기 측판부와 마구리판부 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상판부(13)로 구성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5)에는 일정간격으로 몸체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격판부(14)들이 형성되어 격자형의 내부구조를 갖는 경량의 차막이블록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형의 내부구조를 갖는 차막이블록은 몸체부(10)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깔로 공장에서 성형제작되어 단위블록들을 교대로 설치시 안전위험의 색상표시가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도색작업이 필요없으며, 또 앵커볼트삽입공(16)은 타원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설치시공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발명의 차막이블록은 플래스틱제로 압축성형되어진 공장제품으로써, 몸체부(10)가 동일한 색깔로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부(15)는 격판부(14)에 의해 구획되는 격자형의 내부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경량제품으로 단위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안전위험표시가 필요없는 차막이시설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실시예는 도4 내지 도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정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삽입공(16)이 뚫려서 바닥면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21)들에 끼워져 체결수단(20)으로 고정되는 차막이 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플래스틱제로서 압축성형되어지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측판부(11a)(11b)와, 상기 측판부의 좌우측 단부에서 측판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마구리판부(12a)(12b)와, 상기 측판부와 마구리판부 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상판부(13)로 구성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5)에는 일정간격으로 몸체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격판부(14)들이 형성되어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도록 경량화시킨 것을 그 구성요소들로 가진다는 점에서 본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는 도4 내지 도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15)를 형성하며 하부가 트여진 길다란 직육면체형상의 단위블록으로 압축성형되어진다.
이 단위블록은 플래스틱 또는 폐플래스틱 재질이 주로 사용되는 공장제품으로써 플래스틱 또는 폐플래스틱에 석분·카본 및 안료 등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가열상태에서 유압프레스로 압축성형시킨 것으로서, 강도가 크고 신축 및 팽창을 흡수하여 변형이 거의 없는 제품이다.
또한, 단위블록의 몸체부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깔이 나타나도록 겔상태의 플래스틱재에 안료를 넣어 혼합하여 통째로 성형되므로 별도의 도색공정이나, 설치후 재도색을 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설치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상기에서 몸체부에 대한 색상은 겉에서부터 속 내부까지 선택적으로 제조공정의 공정단계에서 성형시킬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몸체부(10)는 측판부(11a)(11b), 마구리판부(12a)(12b), 상판부(13) 및 격판부(14)로 대별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공간부(15)를 형성시킨다.
상기 측판부(11a)(11b)는 도4 및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대향하면서 전후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지는 구조부이다.
상기 마구리판부(12a)(12b)는 상기 측판부의 좌,우측단부에 각기 배치되어 측판부(11a)(11b)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부이다.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구리판부(12a)(12b)들이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며, 또한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구리판부(12a)(12b)들의 어느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구리판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도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설치할 경우에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에 각각 설치하여 마무리를 하기 위한 단위블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상판부(13)는 도4 내지 도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부(11a)(11b)와 마구리판부(12a)(12b)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것들에 일체로 연결되어 덮개의 기능을 갖는 구조부로서, 소정위치에 각각 앵커볼트(21)에 끼워지는 앵커볼트삽입공(16)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 앵커볼트삽입공(16)의 상부로 마개(30)가 끼워지는 단턱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볼트삽입공(16)은 길이방향으로 약간 길쭉한 타원형의 장공으로 뚫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위블록의 설치시 바닥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21)의 돌출부에 단위블록의 앵커볼트삽입공(16)을 끼움에 있어, 앵커볼트(21)의 고정위치에 대하여 현장에서의 약간의 허용오차를 감안한 것으로 단위블록들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앵커볼트삽입공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관통되는 부분은 후술되는 격판부와 일체로 성형되어진다.
또한, 상기 단턱홈(17)은 와셔(22)와 너트(23)로 앵커볼트(21)에 고정시켜 단위블록을 결합시킨 후, 외부로부터 해수 등의 침투 등을 막고, 미관을 도모하기 위해서 마개(30)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격판부(14)는 도4 내지 도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부(15)를 일정간격으로 구획하여 격자형태의 내부구조를 형성하게 하도록 몸체부(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부로서, 격판부(14)의 상부변이 상판부(13)에 일체로 성형되고, 전후측변은 측판부(11a)(11b)에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부착된다.
이러한 격판부(14)들은 몸체부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보강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므로 구조적으로 단위블록의 자체강도를 증대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본발명 단위블록의 제작방법은 일정한 색깔을 띠는 안료를 겔상태의 플래스틱에 넣어 혼합하여 가열상태에서 유압프레스에 의하여 성형하게 되며, 성형되어진 단위블록은 그 구조형태가 2개의 종류와, 그 색상은 황색의 단위블록과 흑색의 단위블록으로 2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단위블록들로 제작되어진다.
따라서, 본발명의 단위블록은 안료를 겔상태의 플래스틱에 첨가한 혼합조성 가열한 상태에서 통째로 성형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도색공정 및 설치후 도색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단위블록은 설치시 서로 대비되는 색깔이 표출되도록 즉, 황색과 흑색의 단위블록들을 서로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설치하게 되면 위험표시를 알려주는 표식부가 자연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위험표시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단위블록을 성형한 후에 일정간격으로 라인긋기를 하여 이에 맞추어 도색작업을 해야 하고, 또한 설치후 도색이 벗겨지면 다시 도색을 해주어야 하는 유지관리비가 소요되는 종래의 것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발명의 단위블록의 설치시공방법은 도7 내지 도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두가의 가장자리 바닥콘크리트면에 단위블록들을 일정길이로 배열하되, 양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블록은 양측마구리면이 수직으로 이루어진 단위블록을 배열하고, 이에 연속하여 양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단위블록은 일측면이 경사진 단위블록을 배열하여, 바닥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에 고정설치하는 차막이설치공법에 있어서, 몸체부(10) 전체가 동일한 색깔로 성형되고 그 내부는 격판부(14)에 의하여 격자형구조를 갖는 플래스틱제 단위블록들을 배열하되, 황색의 단위블록(a)과 흑색의 단위블록(b)을 연속적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자연적으로 안전위험표시의 색상이 표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도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부의 앵커볼트삽입공(16)을 바닥콘크리트에 고정된 앵커볼트(21)에 끼워 와셔(22) 및 너트(23)로 고정시키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별 다를 바가 없으나, 본발명에서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텐레스제의 앵커볼트(21)를 사용하여 상기의 단위블록들을 바닥콘크리트(40)에 고정시키게 되며, 그후 앵커볼트삽입공(16)의 상부에 마개(30)를 수밀하게 끼워서 해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황색의 단위블록(a)과 흑색의 단위블록(b)을 교대로 연속하여 조립고정시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8a 및 도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두가의 가장자리 바닥콘크리트에 일직선상으로 차막이블록들이 설치되어 교대로 서로 대비되는 색깔이 나타남으로써 안전위험표시의 색상이 자연적으로 표출되어 위험표시로서의 식별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몸체부(10)의 내부 공간부(15)가 격판부(14)에 의하여 격자형의 내부구조로 형성되고, 또한 몸체부(10)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깔의 단위블록으로서 공장에서 플래스틱제의 경량제품으로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첫째, 녹이 슬거나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좋고, 공장제품으로써 품질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경량이기 때문에 운반설치등 취급이 용이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단위블록의 몸체부를 이루는 소요재료를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재료비등 제작설치비와, 안전위험 표식부를 형성하는 별도의 도색공정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후 파손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했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파손부분의 단위블록만을 교체하면 되고, 또한 몸체부 자체가 색상을 표출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후 안전위험표식부에 대한 도색작업이 필요없어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 또한 단위블록별로 위험표시를 알려주는 표식부를 형성함에 있어 몸체부가 동일한 색깔로 형성되어 황색의 단위블록과 흑색의 단위블록을 교대로 연속하여 조립설치하게 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안전위험표시의 색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단위블록을 관통하는 앵커볼트삽입공을 타원형의 구조로 성형시킴으로써 앵커볼트에 끼울 시, 현장에서의 설치시공상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기타 부수적으로 본발명의 단위블록의 몸체부를 폐비닐등을 재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정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21) 삽입공(16)이 뚫려서 바닥면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21)들에 끼워져 와셔(22) 및 너트(23)의 체결수단(20)으로 고정되는 차막이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플래스틱제로서 압축성형되어지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측판부(11a)(11b)와, 상기 측판부의 좌우측 단부에서 측판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마구리판부(12a)(12b)와, 상기 측판부와 마구리판부 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상판부(13)로 구성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몸체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격판부(14)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전체가 동일한 색깔로 표출되도록 플래스틱과 안료의 혼합조성물로 성형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3. 부두가의 가장자리 바닥콘크리트면에 플래스틱제의 단위블록들을 일정길이로 배열하되 양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블록은 양측마구리면이 수직으로 이루어진 단위블록을 배열하고, 이에 연속하여 양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단위블록은 일측면이 경사진 단위블록을 배열하여 바닥에 매설고정된 앵커볼트에 고정설치하는 차막이설치방법에 있어서,
    몸체부(10) 전체가 동일한 색깔로 성형되고 그 내부는 격판부(14)에 의하여 격자형구조를 갖는 플래스틱제 단위블록들을 배열하되, 황색의 단위블록(a)과 흑색의 단위블록(b)을 연속적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자연적으로 안전위험표시의 색상이 표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 블록의 설치방법.
KR1019980044509A 1996-04-26 1998-10-23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10018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509A KR100189123B1 (ko) 1996-04-26 1998-10-23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378U KR970058505U (ko) 1996-04-26 1996-04-26 항만의 부두용 프라스틱재 차막이 시설
KR1019980044509A KR100189123B1 (ko) 1996-04-26 1998-10-23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378U Division KR970058505U (ko) 1996-04-26 1996-04-26 항만의 부두용 프라스틱재 차막이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9123B1 true KR100189123B1 (ko) 1999-06-01

Family

ID=2663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509A KR100189123B1 (ko) 1996-04-26 1998-10-23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609B1 (ko) * 2015-12-15 2017-11-15 (주)한국카스토퍼 차도경계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609B1 (ko) * 2015-12-15 2017-11-15 (주)한국카스토퍼 차도경계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921A (en) Seawall
US200400260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reinforced plastic panel
CA2486904C (en) Cable rack for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US200500027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k support or composite piling
US5590497A (en) Circular or generally circular prestressed concrete tank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NL8006152A (nl) Werkwijze voor het beschermen van de oppervlakken van betonnen bouwwerken en afdichtelement voor het uitvoeren van die werkwijze.
KR100189123B1 (ko) 격자형 내부구조를 갖는 항만부두용 차막이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100724694B1 (ko) 합성수지재 거푸집
US5746538A (en) Concrete barrier having a plastic cladding
KR101097164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US20040013901A1 (en) Seawall panel with inner layer
US20060010819A1 (en) Retaining wall with plastic coated wooden panels
JP6631105B2 (ja) 防護層を有する鋼製部材及び基礎構造物
KR100662236B1 (ko) 기둥형 구조물의 보강벨트
KR200332000Y1 (ko) 조립식 에프알피 거푸집
KR20210001055U (ko) 카 스토퍼
KR20150124232A (ko) 항만용 frp 차막이
KR100517654B1 (ko) 차막이 경계블럭과 그 설치방법
JPH0139781Y2 (ko)
JPH0213556Y2 (ko)
CN219010942U (zh) 一种伸缩缝底板
DE102010037171A1 (de) Medienbehälter aus faserverstärktem Ebenlaminat
CN215758592U (zh) 一种道路桥梁裂缝加固结构
CN210886906U (zh) 一种桥墩水中固化防腐片材
KR101670627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