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94B1 - 합성수지재 거푸집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94B1
KR100724694B1 KR1020060071855A KR20060071855A KR100724694B1 KR 100724694 B1 KR100724694 B1 KR 100724694B1 KR 1020060071855 A KR1020060071855 A KR 1020060071855A KR 20060071855 A KR20060071855 A KR 20060071855A KR 100724694 B1 KR100724694 B1 KR 10072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rmwork
delete delete
cement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재
Original Assignee
나우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폼(주) filed Critical 나우폼(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리브살이 다수 개 구성되도록 사각의 틀체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접착 또는 나사로 체결고정되어 사용되거나 독립된 물품으로 사용가능한 미장 패널, 그리고 상기 본체를 고정하고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고정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거푸집을 제공하여 기존의 합판재나 알루미늄제, 철재 등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설치한 후 내부를 볼 수 없어 철근의 배근상태, 결속상태, 청소상태의 확인이 어려웠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와 표면의 편평도와 밀도를 높여 시멘트 표면도 합성수지표면과 동일한 편평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표면밀도의 향상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 그리고 철재질의 원형거푸집이나 알루미늄제의 거푸집에 비해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와 표면에 형성하는 슬릿홈이나 소 공에 의해 물이 즉시 빠지는 효과를 가지며 동절기 공사시 기존의 합판제나 철재의 경우 외기가 즉시 전달되나 본 발명의 내부의 공기가 단열역할을 하여 외기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아 한중공사용 거푸집으로 보다 유리한 효과와 공기와의 직접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멘트구조물의 수명연장 및 컬러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시멘트가 오랫동안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성분을 차단하게 되어 세집증후군을 방지하여 건강을 도모하고 천장 및 외장재로의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도록 하고자 개발한 것이다.
본체, 미장판넬, 걸림돌기, 리브살, 보강돌기

Description

합성수지재 거푸집{Plastic molding box}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거푸집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투명 거푸집의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3a부터 도3i는 본체가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본체를 보인것이다.
도 4a는 본체에 고정용 보강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체에 고정용 보강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체의 일면에 원형의 소 공이 형성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체의 일면에 슬릿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체의 일면에 사각의 소 공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10)가 교각과 같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
도 9는 본체를 두 장 붙여 사용할 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도 11은 미장 판넬의 다른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4 : 보강 돌기
15 : 걸림돌기 16 ; 상측단턱부
17 : 하측단턱부 20 : 공간부
30 : 리브살 31, 32 : 보강살
40 : 미장패널 42 : 보강돌기
43 : 걸림 돌기 50 : 고정틀
60 : 고정용 보강구 61 : 고정 공
70 : 소 공 71 : 슬릿홈
80 : 띠 81 : 체결구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판과 후면 그리고 그 사이가 보강살로 구성되는 거푸집, 또는 단일 면에 콘크리트 물에 고정할 수 있는 보강살을 구성한 거푸집을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재로 구성하여 콘크리트압을 견딜 수 있으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개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물을 타설할 때 거푸집이 콘크리트 물과 함께 고정되도록 하여 거푸집을 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한 것이다.
수경성의 시멘트를 기초로 사용하여 건설을 하는 방법을 1756년 영국의 존 스메턴이 발명하고 1820년에 영국에서 포트랜드 시멘트가 개발되어 현재가지 사용 되고 있다.
이 시멘트는 기본적으로는 SiO₂, Al₂O₃, Fe₂O₃, CaO, MgO, SO₃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여 원하는 강도나 경화시기, 유동성의 문제 등을 해결하고 있다.
이에 대한 화학반응식은 2(CaO)₂SiO₂+4H₂O → (CaO)₃(SiO₂)₂(H₂O)₃+Ca(OH)₂이다. 이 수화반응에서 수화열은 70℃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때의 pH는 12~13까지 올라가는 강알카리성이다. 이 강알카리는 철과 반응하여 pH 11 이상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철근의 표면에 부동태의 막을 형성한다. 부동태의 막은 산소의 접근을 차단하여 철근이 부식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다공성의 시멘트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산소의 차단은 매우 중요하다. 철근은 압축강도가 높은 시멘트가 가지고 있지 않은 인장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므로 철근의 부식은 건축물의 구조와 수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시멘트를 경화시켜 원하는 형상물을 얻기 위하여 액상의 시멘트 혼합물이 수화반응을 일으켜 경화될 때까지 일정한 형태를 만들어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이 양생과정은 짧게는 1일에서 일주일 가량 유지시켜 초기강도를 얻고 일반적으로는 28일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아울러 앞서 거론하였듯이 시멘트의 표면밀도가 높으면 높은 만큼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내부의 철근의 부식을 막는 효율도 높아진다.
시멘트는 오랜 수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성화문제가 대두 된다.
시멘트의 중성화는 종래에는 대기 중의 공기의 영향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산 업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인한 대기 중의 산성물질이 빗물과 함께 지상으로 내리는 산성비에 의하여 급속히 진행된다.
이러한 시멘트의 중성화는 Ca(OH)₂+CO₂→ CaCO₃+H₂O가 되는 화학식을 가지게 되는데 직접적으로 콘크리트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탄산가스가 반응한 만큼 시멘트의 중량은 늘어나게 되고 미세한 균열이 생겨 외부의 충격에 약해지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중성화에 의하여 시멘트의 산도가 떨어지게 된다. 즉, pH 11 이하로 되면 철근의 부동태의 막이 제 구실을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철의 부식이 진행되고 부식이 진행되면서 철은 부피가 약 2.5배로 늘어나게 되며, 늘어난 부피만큼 시멘트를 밀어내어 시멘트의 균열이 생기게 된다. 더욱 넓은 면적에서 산소와 접촉하는 철재의 부식속도는 더욱 빨리 진행되며, 이러한 결과로 건축물의 수명은 짧아지게 된다.
때문에 시멘트를 양생시키는 과정이나 품질은 중요한 변수이다. 타설시의 구멍이나 드러난 철근은 아주 치명적일 수 있고, 나아가 철근에 이물질이 없도록 시멘트와 잘 결착되면서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막아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 시멘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 강도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멘트의 타설 및 양생까지를 유지하여 주는 다양한 도구들을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라 하며, 상기의 거푸집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초기에는 나무판재를 양쪽으로 엮은 마루귀틀식에서 발전하여 최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유로폼이다. 종전의 마루귀틀식은 목재를 일일이 제작하여 다양하게 사용하였으나, 유로폼은 규격품으로 생산이 되며 호 환성과 조립의 장점이 있어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건축물들은 대체로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공동주택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갱폼이라하여 유로폼을 다수 개 엮어 하나의 묶은 틀로 된 수십 미터가 되는 맞춤형의 것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작업의 수월성과 공기의 단축 등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거푸집이 발전하여 handset form, flying form, climbing form, 교량에 사용하는 이동식 거푸집(traveling form), slip form등의 거푸집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터널공사에서는 슬라이딩폼을 사용하기도 하고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이름지어진 병형된 형태의 거푸집들이 사용되고 있다.
토목공사에서도 거푸집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교량의 기초의 시공에는 철재의 원형거푸집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거푸집을 좀더 분석하여 보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로폼은 철재의 틀에 합판을 덧대어 사용한다. 이 합판은 약 10여 회의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사용도중에 판재인 이유로 물을 흡수하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 후에는 폐기처리되거나 현장에서 불태워지는 경우가 많으며, 재활용률은 상당히 낮다.
철재의 거푸집인 유로폼이 무게가 무거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보완하고자 알루미늄제의 제품도 사용이 되는데 가격은 비싸나 작업성은 훨씬 높아 점차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천장 공사(slab)나 토목현장 등에서는 단순히 합판판재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반복사용횟수는 10여 회에서 끝난다. 멍에와 장선을 적절히 배 치하면서 동바리로 버티어지는 슬랩 공사에서 합판은 기존의 유로폼의 합판과 마찬가지로 사용횟수가 적어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기물과 이의 처리도 점차 문제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현장에서 땔감용도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합판을 접착하는 페놀계의 합성수지는 대기오염을 가중시켜 원칙적으로는 일반소각을 금지하고 있다.
노출콘크리트라 하여 마감된 시멘트 면이 외장재역할을 하는데 사용하는 단순 합판재는 표면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1-2회사용 후 일반용도로 전환된다.
교량의 기초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분리되며, 습식공법은 물막이 공사가 불가능하여 수중용 거푸집을 철재로 만들어 수중에서 타설 작업이 이루어지며, 건식공법에서는 건기에 물막이 공사를 하여 철재의 거푸집이나 원형거푸집을 만들어 공사를 한 후 물에 의한 화학적 변화인 중성화와 홍수나 조류 등의 출입으로 인한 물리적 파손인 쇄굴을 발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거푸집을 해체하지 않고 방치하여 수명연장을 꾀하기도 한다. 방치된 철재로 수년간은 시멘트의 파손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철이 녹슬면서 발생 되는 환경적인 문제, 그리고 1년에 약 0.9mm정도씩 부식이 진행된다는 보고를 볼 때 그다지 효과적 이지는 못하다.
교각기둥 등은 원형거푸집으로 시공하고 저수조나 오폐수 처리장 등의 토목공사도 철재 거푸집을 주로 사용한다.
천장공사는 일반합판을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시공 후 별도로 내장재공사를 하여 마감한다.
이렇게 다양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에서 현재까지도 문제가 되는 것은 내부가 보이지 않은 문제와 강알카리성의 시멘트가 이들 거푸집을 변형 시키거나 수명을 단축 시킨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거푸집은 불투명체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써, 거푸집에 의해 타설되는 시멘트가 보이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타설시에 진동을 주어도 철근이 많이 들어간 보는 탈 형 후 철근으로 인한 흐름성의 저하로 빈 곳이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일반적인 건축물에서도 양생 후 거푸집을 탈형하면 시멘트가 군데군데 충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채워지지 않은 공간부에는 작업자가 시멘트를 이용하여 이어치기를 수행하여 빈 곳을 메워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거푸집을 탈형후 충진되지 않은 빈 곳을 이어치기 하여 메워 줄 경우 그만큼 강도가 약해지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음은 물론, 방수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하여 시멘트를 묽게 하여 시공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멘트를 묽게 하여 시정할 경우 일정량 이상의 물이 들어가면 유동성은 확보가 되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은 시멘트의 품질에 영향을 주게 되며 이것은 앞서 설명한 시멘트의 중성화, 이로 인한 철근의 부식, 양생 후 보수로 인한 강도의 저하, 이로 인한 구조의 약화 등의 문제를 수반한다.
최근의 시멘트는 작업의 효율성과 한중공사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예전과는 달리 발달 된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고 이들 유동화제 등의 화학물질들 은 시멘트의 양생 전에 배출되어야 하며, 그대로 있을 경우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이들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거푸집과 시멘트 사이에 천이나 유리섬유, 심지어는 레이저를 이용한 슬릿을 형성하여 과량의 유리수를 배출하기도 한다. 이들 투수거푸집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고품질의 건축물에서는 중요한 문제해결 사항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시멘트 물의 중성화나 교량기초 등의 쇄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 건축물들은 외부에 수성의 페인트를 칠하여 수명의 연장을 꾀하고 있다. 시멘트의 특성상 무기물인 이유로 인하여 유성페인트는 시멘트와의 접착성이 떨어져 수명이 짧다. 때문에 acryl을 주원료로 한 수성페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급 빌딩 등은 대리석이나 알루미늄, 합성수지패널 등으로 2차 마감을 하여 미려함과 건축물 수명의 연장을 꾀하고 있다.
교각이나 각종 토목구조물은 산성비나 공기와의 접촉을 줄이려 실리콘계의 발수제 등으로 코팅을 하여 시멘트를 보호하고 있으나 자외선의 영향과 기술적인 문제로 인하여 코팅제의 수명은 짧아 수시로 보수를 하여주어야 한다.
교각기초가 파손될 경우 보수공사가 진행되는데 물속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높은 비용과 기존의 시멘트와의 결착력 등에서 완전한 방법은 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거푸집이 가지는 결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최대한 가벼우면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거푸집을 제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멘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의 거푸집을 내부가 투시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투명체로 제작 성형시켜 줌으로써, 상기 거푸집 내에 시멘트를 타설시 시멘트가 충진되지 않는 부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충진되지 않은 부분이 없이 시멘트를 충진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이 시멘트 물에 결합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리성이 우수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를 압출 또는 사출로 제조하게 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압출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평판의 판재가 아닌 내부를 지탱하여 강도를 줄 수 있도록 보강재가 구성되어야 하는 데 용도에 따라서는 보강 리브가 판재의 외면으로 돌출되거나 양 판재의 사이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판재의 외면으로 리브를 돌출 구성할 경우 리브는 최 끝단이 리브살 보다 굵게 걸림부를 구성함으로써 굵게 구성된 부분이 콘크리트 물에 물리어 거푸집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외장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데 그 예로 원형이나 화살표 모양 또는 사각이나 마름모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중 콘크리트 물과 접하는 면에 리부살과 리브살 사이의 공간부와 연통시켜 시멘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면판과 외면판중 어느 한쪽 판에 유리수 및 물만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미세한 크기의 구멍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면판과 외면판에 소정 크기의 개방부를 갖추어주고, 상기 개방부에 못이 박힐 수 있도록 하는 우렌탄이나 고무 재질의 탄성재가 갖추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거푸집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인 투명 거푸집의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10은 미장 패널을 부착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투명한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소재 또는 반투명이나 불투명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20)를 구성하고 상기 공간부(20)에 리브살(30)이 다수 개 구성되도록 사각의 틀체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접착 또는 나사로 체결고정되어 사용되거나 독립된 물품으로 사용가능한 미장 패널(40);
그리고 상기 본체(10)를 고정하고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고정틀(50)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압출로 구성하게 되는 데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으로 압출성형할 경우 거푸집의 외부에서 본체를 통해 내부에 충진되는 시멘트 물의 충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콘크리트 물이 접하는 일면(11)만 평면을 유지하면 되고 콘크리트 물이 접하지 않는 다른 면(12)은 평면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 실시 예들이 도 3에 명시되어 있는데 각 실시 예들을 설명하면
도 3a는 사각의 본체(10)내의 공간부(20)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의 리브살(30)을 구성하고 리브살(30)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에 횡으로 재차 보강살(31)을 구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b는 사각의 본체(10)내의 공간부(20)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의 리브살(30)을 구성하고 리브살(30)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에 횡으로 재차 보강살(31)을 구성하여 공간부를 2등분 한 다음 2등분 된 공간부에 재차 대각선으로 보강살(32)을 구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c는 사각의 본체(10) 내부에 구성되는 리브살(30)이 중앙을 수직의 리브살(30)로 구성하고 중앙에서 점차 멀어질수록 경사각이 더 커지는 리브살(30)이 되도록 구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일면에 보강 돌기(14)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 돌기(14)의 끝 부분에 보강돌기 보다 굵은 원형 또는 사각이나 삼각과 같은 걸림 돌기(15)를 구성하여 본체(10)를 콘크리트 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 구성은 원형의 교각을 설치할 때 본체(10)를 교각의 원호 면에 맞도록 굴곡 시켜야 하는데 원호 면으로 굴곡 할 경우 리브살(30)이 경사각이 있기 때문에 굴곡 후에 교각의 중심을 향하게 되어 충분히 보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d는 사각의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두 개의 본체(101)(102)로 분리 구성하여 접착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 물에 접하는 본체(101)는 평판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의 본체(102)는 반복된 형태로 절곡 시켜 이들을 서로 접착하여 본체를 구성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두 개의 본체(101)(102)중 절곡 되는 본체(102)는 도면에서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형태만을 표현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의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3e는 본체(10)를 평판의 본체에 리브살(30)을 구성하고 리브살(30) 내측으로 보강살(31)을 구성한 구조를 보인 것이며,
도 3f는 본체(10)의 일 면(12)에 다수개의 개방부(13)를 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g는 본체(10)의 일 면(12)에 보강 돌기(14)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 돌기(14)의 끝 부분에 보강 돌기 보다 굵은 원형 또는 사각이나 삼각과 같은 걸림 돌기(15)를 구성하여 본체(10)를 콘크리트 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h는 본체(10)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가능하도록 상측단턱부(16)와 하측단턱부(17)를 구성하여 본체(10)만으로 거푸집을 구성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i는 본체(10)의 다른면(12)의 가장자리에 고정틀(50)의 폭만큼의 후렌지(18)를 구성하여 상기 후렌지(18)에 의해 고정틀(50)이 콘크리트물에 접하지 않고 본체(10)가 서로 맞닿게 함으로서 콘크리트물에 선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인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거푸집 본체(10)를 고정틀(50)에 고정할 때 본체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본체(10)에 고정용 보강구(60)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구(60)는 중앙에 고정 공(61)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고무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재질을 고무로 한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며 반듯이 단면도와 같은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보강구(60)의 역할은 본체의 두 깨가 얇고 합성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본체(10)를 고정틀(50)에 고정할 때 본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순히 보강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듯이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이며 본체(10)의 공간부(20)에 공간부(20)의 내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보강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도 5와 도 6 그리고 도 7은 콘크리트 물에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보인 것으로 본체(10)의 일면(11)에 다수개의 소 공(70)을 형성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슬릿홈(71)을 형성하여 소 공(70)을 통해 본체(10)의 공간부(20)를 통해 배출하거나 슬릿홈(71)을 따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소 공(70)의 크기는 물을 통과하되 콘크리트 물은 배출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10)를 이용하여 교각과 같은 원기둥을 설치할 때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본체(10)를 교각과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10)를 원호면 과 같은 형태로 구성한 다음 이들을 서로 조립하여 거푸집을 형성 한다.
이후 거푸집의 외면을 강철로 이루어진 띠(80)를 감아 체결구(81)를 사용하여 체결하면 간단하게 다양한 형태의 기둥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형상을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하는가에 따라 본체(10)가 콘크리트 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체를 시공 후 콘크리트 물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본체(앞서 설명한 형상중에 도 3g에서 설명한 본체)를 사용하게 되면 본체(10)가 콘크리트 물의 외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공기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교각으로 사용할 경우 수면을 떠내려오는 나무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교각을 보호하고 도색이 자유로워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바닷물인 경우 염분으로부터 교각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강한 압력을 받는 걸설현장에서 거푸집으로 사용할 때의 예로서 본체(10)를 서로 리브살(30)의 위치가 서로 직교 되게 두 장의 본체(10)를 붙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붙이는 방법으로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접착제(90)를 사용하거나 나사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체(10)의 외면에 다양한 형태로 성형 되는 미장 패널(40)을 부착하여 시공 후 미장 패널(40)이 콘크리트 물에 고정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물이 공기와 접하는 것을 막고 또한 미장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와 미장 패널은 양면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접착제 그리고 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미장 패널(40)의 다양한 형상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미장 패널(40)은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면(41)에 콘크리트 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 돌기(42)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 돌기(42)의 끝 부분에 보강 돌기(42)보다 굵은 원형 또는 사각이나 삼각과 같은 걸림 돌기(43)를 구성한 것이다.
그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미장 패널(40)은 단독으로도 사용가능하나 주로 본체(10)에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여 사용된다.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고정틀(5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를 고정틀(50)에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콘크리트 물의 외면에 미장 패널(40)을 고정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하여 미장 패널(40)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 고정틀(50)(현재 고정틀은 폼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것을 사용함)을 고정할 때와 같이 고정하여 고정틀(5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여 거푸집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물을 주입하면 콘크리트 물이 현재 공기층이 없도록 잘 주입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되며 콘크리트 물에서 발생하는 물은 본체(10)에 형성한 구조 즉, 소공(70)일 경우는 소 공(70)을 통해 공간부(20)로 배출되고 슬릿홈(71)일 경우 슬릿홈(71)을 통해 하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미장 패널(40)을 콘크리트 물에 부착되도록 하고자할 경우 본체(10)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물을 주입하게 되면 콘크리트 물이 굳으면서 보강 돌기(42)가 콘크리트 물에 내장되게 되며 걸림 돌기(43)에 의해 미장 패널(40)은 벽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체(10)를 콘크리트 물에 고정하는 다른 예로서 본체(10)에 보울트(82)와 너트(83)를 체결하면 보울트(82)의 나사산에 콘크리트 물이 채워져 본체(10)를 콘크리트 물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형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은 사용용도에 맞도록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압출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생산하여 사용용도에 맞는 길이로 절단 사용하여 사용되며 거푸집용도로 사용하는 본 발명은 시멘트가 무기물이고 합성수지는 유기물인 이유로 인하여 화학반응이 없고 박리 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합판의 경우 틈새로 시멘트가 침투하여 박리가 불안정하고 표면 일부가 탈형시 떨어져 나오게 되어 비표면적이 늘어나고 늘어난 만큼 공기와의 접촉면적도 늘어나게 되며 늘어나는 표면적은 대기속의 탄산가스나 산성비와 닿는 면적이 넓어 그만큼 중성화가 될 확률이 높아지나 일체화되거나 단독으로 매립되는 본 발명은 그 자체가 공기나 물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내부로 공기의 이동 자체가 불가능하여져 중성화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합성수지 자체가 유성 페인팅이 유리하여 다양한 컬러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Nylon, PC(Poly carbonate)를 비롯하여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PVC(Polyvinylchloride), 아크릴이라 불리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S(Polystylene),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SAN, ABS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Epoxy, Uretane, Phenol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 및 사출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합판재나 알루미늄제, 철재 등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설치한 후 내부를 볼 수 없어 철근의 배근상태, 결속상태, 청소상태의 확인 이 어려웠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 즉 내부가 보이는 장점으로 타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미 타설된 곳은 물리적으로 충진이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며 60cm간격으로 일률적으로 행해지는 진동작업도 타설이 된 곳은 별도의 진동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미 타설되어 충진이 부실한 곳은 대체수단을 동원하여 확실하게 충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의 편평도와 밀도가 높아 시멘트 표면도 합성수지표면과 동일한 편평도를 가지게 되어 표면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철재질의 원형거푸집이나 알루미늄제의 거푸집에 비해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표면에 형성하는 슬릿홈이나 소 공에 의해 물이 즉시 빠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동절기 공사시 기존의 합판제나 철재의 경우 외기가 즉시 전달되나 본 발명의 내부의 공기가 단열역할을 하여 외기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아 한중공사용 거푸집으로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공기와의 직접접촉을 방지하여 시멘트구조물의 수명연장 및 컬러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시멘트가 오랫동안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성분을 차단하게 되어 세집증후군을 방지하여 건강을 도모하고 천장 및 외장재로의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교각의 경우 쇄굴현상이 발생되어 심한경우 철골만 남게 되는 데 본 발명은 본체가 교각의 쇄굴 현상을 막게 되어 교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리브살이 다수 개 구성되도록 사각의 틀체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접착 또는 나사로 체결고정되어 사용되거나 독립된 물품으로 사용가능한 미장 패널;
    그리고 상기 본체를 고정하고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고정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용 보강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거푸집.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소공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거푸집.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슬릿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거푸집.
  20. 삭제
  21. 삭제
  22. 제17항에 있어서,
    본체의 다른면 가장자리에 후렌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거푸집.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60071855A 2006-04-04 2006-07-31 합성수지재 거푸집 KR100724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338 2006-04-04
KR20060030338 2006-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694B1 true KR100724694B1 (ko) 2007-06-04

Family

ID=3835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855A KR100724694B1 (ko) 2006-04-04 2006-07-31 합성수지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6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80B1 (ko) * 2007-10-02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패널형 거푸집
KR101206644B1 (ko) * 2012-06-19 2012-11-29 진형장 난연 부착력강화 파형 하이텐션 판넬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CN114319120A (zh) * 2021-12-29 2022-04-12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智能模板系统及方法
KR102452646B1 (ko)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KR102452652B1 (ko)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09A (ko) * 2001-06-22 2003-01-03 김기영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4030A (ko) * 2002-03-11 2003-09-19 김형기 건축시공을 위한 거푸집 단위부재 및 그 판재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09A (ko) * 2001-06-22 2003-01-03 김기영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4030A (ko) * 2002-03-11 2003-09-19 김형기 건축시공을 위한 거푸집 단위부재 및 그 판재의 제조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74030
2003009950000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80B1 (ko) * 2007-10-02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패널형 거푸집
KR101206644B1 (ko) * 2012-06-19 2012-11-29 진형장 난연 부착력강화 파형 하이텐션 판넬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CN114319120A (zh) * 2021-12-29 2022-04-12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智能模板系统及方法
CN114319120B (zh) * 2021-12-29 2024-04-16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智能模板系统及方法
KR102452646B1 (ko)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KR102452652B1 (ko)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74B1 (ko) 콘크리트 표면을 라이닝 하는 거푸집과 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및 콘크리트 표면 라이닝 방법
KR100724694B1 (ko) 합성수지재 거푸집
CN103827415A (zh) 隔热混凝土模板和其使用方法
JP5972592B2 (ja) 補強構造
Levitt Precast concrete: materials, manufacture, properties and usage
US6164615A (en) Corrosion resistant machine foundation
KR100512119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1168688B1 (ko)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40076516A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KR101097164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KR20060102413A (ko)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보수/보강방법
KR100310016B1 (ko) 섬유보강 에폭시 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CN111894294A (zh) 一种地下室外墙后浇带的保护结构
KR2002864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JP4759683B1 (ja) 既設コンクリート製u字溝を補強又は再活用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構造体
KR200386862Y1 (ko)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KR1003341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패널
KR20070096428A (ko) 돌기홈을 가진 시멘트보호용 압출제조 투명 패널
KR200235892Y1 (ko) 섬유강화플라스틱과 철근골재를 이용한 합성거푸집 구조
WO2004035956A1 (en) Block fabrica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193612Y1 (ko) 투명 거푸집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교각 우물통 시공, 보수, 보강구조
KR200229799Y1 (ko) 무늬 거푸집
KR102493103B1 (ko)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균열 예방을 위한 타일시공
CN214143515U (zh) 节段式超高性能混凝土修补陡坡泄水建筑物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