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799Y1 - 무늬 거푸집 - Google Patents

무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799Y1
KR200229799Y1 KR2020010002813U KR20010002813U KR200229799Y1 KR 200229799 Y1 KR200229799 Y1 KR 200229799Y1 KR 2020010002813 U KR2020010002813 U KR 2020010002813U KR 20010002813 U KR20010002813 U KR 20010002813U KR 200229799 Y1 KR200229799 Y1 KR 200229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ttern
concrete
panel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정윤택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택,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정윤택
Priority to KR2020010002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799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면 상에 소정 무늬를 형성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양생 후 벽면으로부터 쉽게 탈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무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무늬 거푸집은, 어느 일측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경화층과, 상기 경화층 상에 형성되는 이형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늬 거푸집{resinous form with pattern}
본 고안은 축대나 옹벽의 표면, 건조물의 내·외벽면, 지하차도의 방음벽면과 같은 콘크리트 벽면 상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양생 후 벽면으로부터 쉽게 탈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무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의 기초공사시, 철근이나 H-빔 등으로 구축한 철골 구조체의 둘레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거푸집 사이의 빈 공간에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등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양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거푸집은 주로 각목이나 합판 등의 목재 또는 철판을 조립하거나 용접하여 제작하지만, PVC 등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은 콘크리트 벽면과 접하는 표면이 대부분 평활하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미장공사를 실시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거푸집은 상당히 중량이기 때문에, 취급(운반, 설치, 탈형 등)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폴리스티렌을 발포 성형한 무늬 거푸집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타설된 콘크리트 속의 모래 입자나 작은 돌맹이 등이 상기 거푸집의 무른 표면을 파고든 상태로 양생되기 때문에, 거푸집을 콘크리트 벽면에서 탈형할 때 깨끗하게 탈형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도1 참조).
즉, 탈형 중에 부서진 상기 거푸집(10) 표면 상의 볼록부(11) 일부분이 콘크리트 벽면 상의 오목부에 달라 붙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무늬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벽면에 부착된 거푸집 재료를 작업자가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소정 패턴이 형성된 합성수지제 패널의 표면에 경화층과 이형부를 순서대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패널을 콘크리트 벽면에서 쉽게 탈형할 수 있도록 한 무늬 거푸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무늬 거푸집의 종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무늬 거푸집의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무늬 거푸집, 110...볼록부(凸部),
130...오목부(凹部), 200...이형부,
300...경화층, 400...패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늬 거푸집은, 어느 일측 표면상에패턴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경화층과, 상기 경화층 상에 형성되는 이형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화층에 의해 거푸집의 표면이 단단해지므로 모래 입자나 작은 돌맹이 등이 거푸집의 표면을 파고 들어 가는 일이 거의 없어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벽면에서 쉽게 탈형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경화층에 의해 거푸집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1회용으로 제작된 것이지만 2-3회 정도는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형부의 윤활(이형)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거푸집의 탈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방수작용에 의해 거푸집 내부로의 수분침투가 억제되게 된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 거푸집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라는 용어는, 예를 들면 시멘트 페이스트나 몰탈처럼 시멘트가 포함되어 있는 유동 가능한 혼합물인 것으로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늬 거푸집(100)은, 일정 패턴이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패널(400) 표면상에 경화층(300)과 이형부(200)가 상기의 순서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은, 다수의 볼록부(110)와 오목부(130)로 이루어지며, 이 패턴은 상기 패널(400)의 발포 성형과정에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의 구성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이다.
도시된 경화층(300)은, 예를 들면 발포 성형한 패널(400) 표면에 편면접착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또는 열입(熱入)에 의해 상기 패널 표면을 경화시키므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정 패턴이 가공되어 있는 발포 성형기용 몰드의 내면에, 예를 들면 시트 형태의 PSP(poly styrene paper)를 설치하여, 상기 몰드 내에 투입되는 팰릿의 발포체와 상기 PSP가 발포 과정 중에 일체적으로 접합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형부(200)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계열의 내수성 도료나 오일, 또는 박리제를 상기 경화층 상에 붓질이나 스프레이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무늬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을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거푸집 상에 상기 경화층(300)이 형성된 패널(400)을 고정시킨 후, 상기 경화층 상에 오일이나 내수성 도료 등을 균일 도포하여 이형부(200)를 형성한다.
이어서, 콘크리트 타설이 요구되는 영역 부근에, 예를 들면 철골 구조체의 둘레나 옹벽이 설치될 사면 주위에, 상술한 거푸집 조립체를 설치한 다음, 이들 조립체에 의해서 구획되어진 내부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대개의 경우,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던 모래 입자나 세골재가 거푸집의 표면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파고 들어가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거푸집 표면에는 경화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모래 입자 등이 표면을 파고 들지는 못하게 된다.
타설 후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서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으면, 양생된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상기 조립체를 탈형하는데, 이때 상기 조립체를 한꺼번에 탈형할 수도 있고 또는 통상 구조의 거푸집을 먼저 분리한 다음, 본 실시예의 무늬 거푸집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떼어 낼 수도 있다.
이 때, 콘크리트 벽면과 경화층(300) 사이에 개재된 이형부는 이형작용(윤활작용)을 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거푸집의 탈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무늬 거푸집에 의하면, 합성수지제의 패널 표면상에 형성된 경화층(300)에 의해서 상기 거푸집(100)의 표면이 단단해지게 되어, 모래 입자나 작은 돌맹이 등이 거푸집의 표면을 파고 들어 가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늬 거푸집을 콘크리트 벽면에서 쉽게 탈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층에 의해 무늬 거푸집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2-3회 정도는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층 상에 형성된 이형부는 콘크리트 벽면과 거푸집 표면 사이에서 윤활(이형)작용을 하기 때문에 거푸집의 탈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방수작용에 의해서 거푸집 내부로 수분 침투가 방지된다.

Claims (1)

  1. 어느 일측 표면상에 패턴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경화층과;
    상기 경화층 상에 형성되는 이형부로 이루어지는 무늬 거푸집.
KR2020010002813U 2001-02-06 2001-02-06 무늬 거푸집 KR200229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13U KR200229799Y1 (ko) 2001-02-06 2001-02-06 무늬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13U KR200229799Y1 (ko) 2001-02-06 2001-02-06 무늬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799Y1 true KR200229799Y1 (ko) 2001-07-19

Family

ID=7306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13U KR200229799Y1 (ko) 2001-02-06 2001-02-06 무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7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19B1 (ko) * 2005-11-23 2007-05-09 강희복 건축구조물의 외벽문양 시공방법.
KR20190028049A (ko) 2017-09-08 2019-03-18 한국자재산업 주식회사 무늬형성 노출 콘크리트용 무늬 몰드체, 이의 제작 방법 및 무늬 몰드체를 이용한 무늬형성 노출 콘크리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19B1 (ko) * 2005-11-23 2007-05-09 강희복 건축구조물의 외벽문양 시공방법.
KR20190028049A (ko) 2017-09-08 2019-03-18 한국자재산업 주식회사 무늬형성 노출 콘크리트용 무늬 몰드체, 이의 제작 방법 및 무늬 몰드체를 이용한 무늬형성 노출 콘크리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7677B (fi) Isolerad vaegg
KR100843974B1 (ko) 콘크리트 표면을 라이닝 하는 거푸집과 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및 콘크리트 표면 라이닝 방법
KR200229799Y1 (ko) 무늬 거푸집
JP3197235B2 (ja) プレキャスト埋設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724694B1 (ko) 합성수지재 거푸집
KR102571283B1 (ko) 수조용 타일과 그 제조방법
KR200407350Y1 (ko) 건축물 외장재 및 이의 시공구조
KR100465936B1 (ko) 문양거푸집과 그 문양거푸집의 시공방법
JP3439436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嵩上げ工法
JPH0216685B2 (ko)
KR100459613B1 (ko) 후조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을 설치하기 위한코어벽체의 연속화 시공 방법
KR200360445Y1 (ko) 건축용 단열재
JPH0227503B2 (ko)
JP2911080B2 (ja) コンクリート打込み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JPH1181889A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継手用ボルトボックスへの注入材の充填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法
KR200247942Y1 (ko) 건설용 장식판
KR100447994B1 (ko) 건설용 장식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또는 건축물 외벽의시공방법
JPS587872Y2 (ja) モルタル下地板
JPH11217931A (ja) 発泡断熱型枠
JP3079016B2 (ja) 溝模様付コンクリート部材の成形方法及び溝模様形成具
JPH05171723A (ja) 型枠・内装下地兼用断熱材パネルと型枠・内装下地兼用断熱材パネルの施工方法
JPH05285912A (ja) 弾性表層材と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298629B1 (ko) 건축물의 계단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팅 마감재
JPS61183562A (ja) 補強リブ付水平スラブ形成型枠脱型方法
KR200267861Y1 (ko) 콘크리트 균열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