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688B1 -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688B1
KR101168688B1 KR1020110119916A KR20110119916A KR101168688B1 KR 101168688 B1 KR101168688 B1 KR 101168688B1 KR 1020110119916 A KR1020110119916 A KR 1020110119916A KR 20110119916 A KR20110119916 A KR 20110119916A KR 101168688 B1 KR101168688 B1 KR 10116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waterproofing material
waterproof
conca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창
송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벤
송병창
주식회사 아키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벤, 송병창, 주식회사 아키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벤
Priority to KR102011011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688B1/ko
Priority to JP2014529607A priority patent/JP2014526623A/ja
Priority to PCT/KR2012/006903 priority patent/WO2013073765A1/ko
Priority to US14/348,915 priority patent/US2014024233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7Plastics thermo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사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구비한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층을 형성하여, 방수바탕의 균열이나 조인트의 거동에 의한 방수층의 파손을 방지 및 통기성을 구비하도록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노출 또는 비노출 방수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요철성형 방수재가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되, 상기 방수층은 요철성형 방수재를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고,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가 충전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을 형성하되,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 sheet or panel type waterproofing materials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의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재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에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충전 도포하여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건조, 또는 경화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구조물이 클 경우, 콘크리트를 분리 타설함에 따라 콘크리트 이음 타설 조인트(Cold Joint)가 생기거나, 또는 분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어서 설치할 경우, 구조물의 팽창에 의한 부딪힘을 해소하기 위해 신축줄눈(Expansion. Joint)를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부위는 구조물을 건조하고 난 다음에 가해지는 과도한 하중이나 온도변화 등에 의해 상하 진동거동, 또는 신축거동을 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 중, 지반에 매몰되어 사용되는 지하구조물의 지붕이나 외벽, 또는 지상 구조물의 지붕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수층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방수층의 내구성은 상기하고 있는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균열이나 이음 타설 조인트, 또는 신축줄눈의 거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며, 종래의 전면을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바탕에 방수재를 붙이는 방법(일반적으로는 전면접착 방수공법)의 경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위에서 발생하는 국부변형(또는 무절점 응력)에 의한 급격한 방수층의 단면감소나 응력 저하에 의해 방수층이 파손되는 결함이 빈번히 발생하여, 근래에는 방수층을 설치할 때 이러한 과거의 경험을 감안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균열이나 조인트 부위의 상부 방수층을 테이프(210) 등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방수 바탕과 띄우는 부분절연 방수공법을 사용하여 방수층의 파손결함 발생을 해소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균열이나 조인트 부위에서는 그 효과를 일부 발휘하기는 하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균열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균열이나 조인트 부위를 포함한 방수바탕 전면에 합성고분자계열이나 금속계열 또는 아스팔트 계열의 시트 상, 또는 판상의 방수 기반재를 부분적으로 접착제나 앵커 등 고정구를 사용하여 접착시켜 깐 다음, 그 위를 도막계열의 방수재를 연속 도포하여 방수층을 완성하는,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기반재(220)에 의존하여 방수바탕과 띄우는 부분접착 방수공법을 사용하여 방수층의 파손결함 발생을 해소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수공법은 상기 부분절연 방수공법보다는 훨씬 효과가 뛰어나나, 이질의 방수 기반재(220)와 도막 방수재(230)를 사용할 경우에는 방수 기반재와 도막 방수재의 접착계면이 탈락되거나, 물성 차이로 인하여 주름발생이나 파손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거나, 또는 전체(방수기반재+도막방수재 복합) 방수층 두께가 약 2 ~ 3mm 정도로 얇고, 또한 주로 연질의 고무계 방수재를 사용함에 따라 방수층 상부의 콘크리트 보호 누름층이나 지반층의 하중에 의해 방수층의 단면 두께가 현저히 감소되거나, 방수층이 하중에 눌려 방수바탕에 있는 돌기물에 의해 방수층이 뚫리는 등 방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는 구멍 뚫린 시트를 방수바탕에 깐 다음, 그 위를 도막 방수재 등을 도포하여 뚫린 구멍을 통하여 방수바탕과 접착시키는 점 붙임 방수공법 등도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상기 부분 접착 방수공법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합하면,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수공법들을 선택해서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발생한 균열이나 조인트 등에서 발생하는 거동에 대응하여 방수층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방수공법들을 사용하는 건설 구조물의 부위가 일반적으로 두께 1m 이상의 흙으로 덮이거나, 보도나 차도 조성을 위한 중량의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가 타설되거나, 또한 빈번한 사람의 보행이나 자동차의 주행 등에 따른 과도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하 구조물 슬래브 상부, 또는 중량의 콘크리트 등으로 보호 누름을 설치하는 지상 구조물의 옥상 슬래브, 또는 중량의 돌기가 있는 암반이나 흙이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측압) 지하구조물 외벽 부위가 되므로, 상기 공법들에 의한 방수층, 즉, 두께 약 2~3㎜ 정도로 얇고, 또한 연질의 고무질계열의 시트 또는 도막 방수재들을 사용하는 방수층들은 상기와 같은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방수층 두께의 감소와 구멍 뚫림 등, 기계적인 내구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방수층을 설치한 다음, 국부 압축에 따른, 또는 돌기가 있는 자갈 등 암반에 의한 방수층 파손 결함 방지를 목적으로 두께 약 10~20㎜ 정도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완충재를 설치한 다음 보호누름 층을 설치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기도 하나, 이 경우에는 공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02-0087244(2002.11.2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8226(2009.01.1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8342(2009.01.0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59736(2011.08.22)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구비한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층을 형성하여, 방수바탕의 균열이나 조인트의 거동에 의한 방수층의 파손 방지 및 통기성을 구비하도록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구비한 요철성형 방수재와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일체로 하는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노출 및 비노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요철성형방수재 및 상단방수층의 이중으로 이루어진 방수층을 형성하여, 보호누름층이나 지반하중에 의한 방수층의 단면감소에 의한, 또는 돌기 암반의 국부압축이나 충격에 따른 노출 및 비노출 방수층의 내구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노출 또는 비노출 방수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요철성형 방수재가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되, 상기 방수층은 요철성형 방수재를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고,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가 충전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을 형성하되,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가진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시트상 또는 판상의 요철성형 방수재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방수공사 전에 반드시 필요한 사전작업, 예를 들어 표면 함수율 약 12%까지 콘크리트 구조체가 건조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이 즉시 방수공사를 실시할 수 있어 공사기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바탕청소나 바탕정리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역시 공사기간 단축과 공사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가 방수바탕 위와 점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어, 방수바탕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통하여 랜덤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 또는 다양한 크기의 역학적 거동,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쳐짐에 따른 휨 변형과 휨 응력, 균열이나 익스펜션 조인트(Expansion Joint), 또는 신축줄눈이나 맞댄 피씨(PC)판 틈새의 신축 변형과 신축응력이나 전단 응력과 전단 변형, 또는 장기간에 걸쳐 반복되는 상기 변형과 응력 거동이 발생하더라도 전체 방수층으로 전달하지 않고 역학적으로 자유롭게 대응하여 수밀한 방수층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철성형 방수재가 돌기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옥상 등과 같은 노출방수층의 형성 시, 또한, 바탕 콘크리트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기화팽창하더라도 돌기사이를 통하여 분산시켜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는 결함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통기노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어 있는 돌기 공간을 이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인접하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끼워 넣어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방수층으로 할 수 있어 수밀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의 빈공간과 상부를 압축강도가 뛰어난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로 충전 도포하여 국부 압축에 대응하는 내압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어 방수층 상부 하중에 대한 보강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 하부에 있는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여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빈 돌기 내부공간을 채울 시, 보다 용이하게 내부 공간 전부를 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핀이나 못, 앵커 등 고정구를 사용하여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방수바탕에 부분적으로 방수바탕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고정구는 에어리스 등과 같은 압축공기를 사용하면 더욱 간편하게 방수바탕에 고정할 수 있어 변형거동이 아주 큰 구조물에서도 변형 없이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성이 있는 접착제를 방수바탕에 도포하여 요철성형 방수재를 방수바탕에 붙일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어 변형거동이 아주 큰 구조물에서도 변형 없이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성을 가지고 점성거동을 하는 물흡수 팽윤반응성 도막 방수재를 사용하여 요철성형 방수재를 방수바탕에 점착성을 가지고 붙일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상부방수층과 요철성형 방수재가 파손되어 물이 방수층 하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유입된 물을 흡수하므로 보다 방수효과를 보강할 수 있는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면에 걸쳐 단위시트를 설치하거나, 또는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는, 또는 이들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매우 경제적일 뿐 아니라, 뛰어난 내압강도를 발휘하여 종래 방수층의 얇은 두께에 의해 발생되던 상부 하중에 의한 방수층의 단면감소나 방수층의 뚫림 현상등과 같은 문제점 대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두께, 돌기 높이와 돌기 간격, 또는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의 도포두께의 한정을 통해, 경제적 범위 내에서 최적의 방수층 성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이 요철성형 방수재와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로 이루어진 상단방수층의 이중으로 이루어져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노출 및 비노출 방수에 적용시 우수한 방수능력을 구비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도(전면접착 방수공법)
도 2 는 종래 부분절연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종래 절연 방수공법(방수기반재)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성형 방수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 요철성형 방수재의 고정(고정구)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 요철성형 방수재의 고정(점착성 도막방수재)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 요철성형 방수재의 설치상태(겹침)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노출 방수층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노출 방수층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 실시예2 에 따른 시험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성형 방수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 요철성형 방수재의 고정(고정구)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 요철성형 방수재의 고정(점착성 도막방수재)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 요철성형 방수재의 설치상태(겹침)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요철성형 방수재(10)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12)는 내부(13)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 0.1㎜~3.0㎜의 구멍(14)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는 사이간격(L)이 1.0㎜~10.0㎜으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요철성형 방수재(10)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에틸(Ethyl)기를 가진,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프로필(Propyl)기를 가진,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에스테르(Ester)기를 가진,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우레탄(Urethane)기를 가진,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에폭시(Epoxy)기를 가진 열가소성 경질 또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께(t) 0.1㎜~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돌기(12)는 빈공간을 이루는 내부(13)내로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가 채워져 충전되며, 상기 구멍(14)은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의 충전시 돌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점 접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멍(14)은 직경 0.1㎜~3.0㎜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구멍의 직경은 돌기내로 충전되는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다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멍의 직경이 0.1㎜ 미만일 경우, 돌기 내부로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가 공기층 없이 채워지기 어렵고, 직경이 3.0㎜ 이상일 경우, 구멍을 통해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가 다량으로 빠져나가 방수층에 균열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돌기(12)에 대한 크기 한정은 내압강도, 균열저항성, 피로저항성 등등 방수층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범위를 벗어날 경우, 요철성형 방수재 및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로 이루어진 방수층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방수공법 및 옥상 통기노출 방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비노출 방수공법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노출 방수층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나 P.C(Pre-casting Concrete)판 등으로 건설되어지는 지하에 매립되는 지하 구조물의 지붕이나 외벽,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보호 누름을 하는 지상 구조물 지붕에서의 비노출 방수층에 있어서;
요철성형 방수재가 일체화된 방수층(60)과, 상기 방수층 위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보호누름층(30)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층(60)은 요철성형 방수재(10)를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고,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13)가 충전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2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에 대한 비노출 방수층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바탕면(100)에, 내부(13)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14)이 뚫려 있는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재(10)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10)의 돌기(12)를 이용하여 요철성형 방수재(10)를 길이나 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10)의 돌기 내부(13)를 충전하면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20)을 형성하는 상부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상부방수층(20)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10)와 일체화된 방수층(60)을 형성하는 양생단계;
상기 방수층(60) 위를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보호누름층(30)을 형성하는 보호누름층 형성단계를 통하여 역학적으로 강도 보강되고, 내구성과 경제성도 뛰어난 비노출용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치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바탕면(100)에 다수의 요철성형 방수재(10)를 배치시킨다.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단계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요철성형 방수재(10a)와 또다른 요철성형 방수재(10b)를 서로 겹침연결하는 단계로, 요철성형 방수재의 길이나 좌우 폭 방향으로 겹침 폭(W)을 10.0㎜~100.0㎜ 정도로 하여, 일측의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어 접착시켜 방수 바탕(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전면에 요철성형 방수재가 연속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겹침 폭(W)은 30.0㎜~100.0㎜ 정도로 하여, 일측의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어 접착시켜 방수 바탕(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전면에 요철성형 방수재가 연속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12) 하단에 형성된 구멍(14)을 이용하여 핀이나 못, 앵커 등과 같은 금속 고정구(40)로 방수 바탕(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위에 부분적으로 고정하거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또는 도막방수재(50)를 방수 바탕(콘크리트 구조물)위에 소정량 도포하면서 접착시키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막방수재는 끈적끈적한 점착성을 가지고 점성거동을 하는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이거나, 아크릴, 폴리비닐 등과 같은 물흡수 팽윤 반응성의 수지계 도막 방수재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물흡수 팽윤 반응성 수지계 도막 방수재를 사용한다.
상기 상부방수층 형성단계는 방수 바탕 위에 설치된 요철성형 방수재(10)에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소정두께로 도포하여, 소정두께를 구비하는 상부 방수층(20)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방수성이 있는 액상, 분체상의의 폴리머나 에폭시, 시멘트, 규사 또는 모래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이며, 상기 액상, 분체상의의 폴리머는 아크릴, EVA, SBS, SBR, 에폭시 중 선택된 하나이다.
즉,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방수성이 있는 아크릴, EVA, SBS, SBR, 에폭시 등과 같은 액상, 분체상의 폴리머와 시멘트, 규사 또는 모래를 소정의 비율, 즉, P(폴리머)/C(시멘트)비를 중량비로 0.5~10%로 하여 혼합된 시멘트 : 규사 또는 모래비를 1 : 0.5~3로 하여 혼합하여 만든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요철성형 방수재 위로 흘려 부어 붓이나 로울러, 또는 흙손으로 펼쳐 바르거나, 또는 스프레이 분사하여 소정 두께의 방수층이 되도록 도포한다.
이때,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요철성형 방수재 돌기의 내부 빈공간내로 충전됨과 동시에, 요철성형 방수재 평판부로부터 소정두께를 구비하도록 도포 양생된다.
또한,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하부 끝단에 형성된 직경 0.1㎜~3.0㎜의 구멍에 의해, 돌기 내부의 빈공간내로 공기층의 형성없이, 또한 과다한 유출없이 채워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요철성형 방수재와 접착력이 좋아 일체화된 방수층 형성이 용이하고, 균열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소정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어 요철성형 방수재의 변형에 어느 정도 추종할 수 있고, 또한 돌기내부를 충전한 다음 국부압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다. 특히, 수밀한 표면은 상부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 보강할 경우, 별도의 바탕정리 없이 도막 방수층에 핀홀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양생단계는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에 의해 요철성형 방수재(10) 위로 도포되어 형성된 상부방수층(20)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10)와 상부방수층(20)을 일체화함으로써, 방수층(60)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은 요철성형 방수재(10)와 상부방수층(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생단계 후, 그 위를 우레탄 등과 같은 액상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고무아스팔트 등과 같은 시트상의 방수재를 깔아 방수보강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생단계 후, 그 위를 단열보강을 위해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단열재를 까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누름층 형성단계는 방수층(60) 위를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P.C(Pre-casting Concrete)판이나 블록을 올려 보호누름층(3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의 구축에 있어 필수적인 균열이나 조인트 등에서 발생하는 거동으로 인한, 또한 지속적으로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상부나 외벽, 또는 콘크리트 등의 보호 누름층이 있는 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상부 등과 같은 장소에서 보다 내구성이 있고 경제성도 있는 비노출용 방수공법을 완성함에 있어, 종래의 방수공법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점, 특히 방수층 상부에 가해지는 과도한 하중에 대해 저항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옥상 통기노출 방수층 시공방법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노출 방수층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 옥상의 통기노출 방수층 및 방수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바탕면(100)에, 내부(13)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14)이 뚫려 있는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재(10)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10)의 돌기(12)를 이용하여 요철성형 방수재(10)를 길이나 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10)의 돌기 내부(13)를 충전하면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20)을 형성하는 상부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상부방수층(20)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10)와 일체화된 방수층(60)을 형성하는 양생단계;
상기 방수층(60) 위에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거나,시트상의 방수재를 깔아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70)을 형성하는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70) 위에 표면보호재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80)을 형성하는 표면보호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단계는 요철성형 방수재(10)의 길이나 좌우 폭 방향으로 겹침 폭(W)을 10.0㎜~100.0㎜ 정도로 하여, 일측의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서로 맞대도록 설치된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내로, 소정폭을 구비한 또다른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끼워넣어 상호 연결한 다음,
방수 바탕면(110)에 함유된 수분의 기화 팽창압을 수직벽면(110)으로부터 해소하기 위해 요철성형 방수재를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굽히어, 수직벽면(110)에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구조물 옥상의 통기노출 방수층 및 방수공법에 있어서; 먼저, 하부에 내부가 비어 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의 돌기를 가진 연질이나 경질수지, 또는 금속판 등으로 만들어지는 시트상 또는 판상의 방수재를 겹쳐깔거나, 펼쳐 깔거나, 또는 핀이나 철물등의 고정구,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방수바탕에 붙여 깔고,
상기 방수재가 맞댄 부분의 양측 돌기내에 또다른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끼워 넣어 맞대어진 양측의 시트상 또는 판상의 방수층을 상호 연결한 다음,
수직벽면에 근접된 요철성형 방수재를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굽혀 수직벽면에 상단부를 고정핀이나 철물등의 고정구로 고정하여, 방수 바탕면에 함유된 수분의 기화 팽창압을 수직벽면으로부터 해소하고,
옥상 바탕면과 수직벽면에 걸쳐 연속되게 설치한 방수층의 돌기 내부가 충전되도록, 또는 상기 시트 표면으로 소정 두께가 될 수 있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충전, 또는 도포한 다음,
그 위를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이 있는 액상의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고, 마지막으로 열이나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공지의 표면 보호재를 도포하여 마감함으로써, 통기성을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위에 기재된 비노출 방수층과 동일한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이다. 즉,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방수성이 있는 액상, 분체상의의 폴리머, 시멘트, 규사 또는 모래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열가소성 플라스틱계)의 두께와 돌기 높이 및 돌기 내부에 대한, 수용성 폴리머 혼입방수재의 채움정도가 내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해,
돌기 공간표면 내경이 5㎜인 것을 대표 시험체로 하여, 두께가 각각 0.1㎜, 0.5㎜, 1.0㎜이고 돌기 높이가 각각 5.0㎜, 10.0㎜인 요철성형 방수재를 각 규격 별로 길이와 폭이 각각 30㎝×30㎝가 되도록 6set(1set 4장)를 잘라낸 다음, 그 중 1장(plain)을 제외한 나머지 3장에 아크릴계 수용성 폴리머 혼합방수재를 돌기 내부공간만을 채우거나, 또는 공간을 전부 채우고 요철성형 방수재 위로부터 두께(t)가 각각 2.0㎜, 5.0㎜가 되도록 도포하여 양생시킨 것을 시험체로 하여, 강철재 내압판(30㎝×30㎝)을 설치한 최대하중 500ton의 압축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10㎜/min의 속도로 시험체를 가압하여 압력계가 0.1Ton?f, 0.5Ton?f, 1.0Ton?f, 5.0Ton?f, 10.0Ton?f, 50.0Ton?f, 75.0Ton?f, 100.0Ton?f를 나타낼 때, 가압을 일시 멈추고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변형량(돌기높이 눌림변형량, ㎜)을 측정한 다음, 다시 가압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돌기 공간 사이간격이 각각 1.0㎜, 5.0㎜, 10.0㎜인 시험체별로 각각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1] 내지 [표3]과 같다.
[표1] - 돌기 공간 사이간격 1.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1

[표2] - 돌기 공간 사이간격 5.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2

[표3] - 돌기 공간 사이간격 10.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2031998153-pat00003

상기 [표1] 내지 [표3]의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아크릴계 수용성 폴리머 혼합방수재의 채움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높은 가압하중하에서 요철성형 방수재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용성 폴리머 혼합방수재가 채움되지 않은 plain과 대비할 경우, 그 채움정도에 따라 변형량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수용성 폴리머 혼입방수재의 채움정도의 증가에 따라 내압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두께와 돌기높이 및 돌기 내부에 대하여,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의 채우는 정도가 균열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해,
먼저 두께 약 10㎝가 되도록, 또한, 폭이 100㎝, 길이가 50㎝가 되도록 제작한 틀(거푸집) 2개와, 두께 약 10㎝, 폭이 100㎝, 길이가 100㎝가 되도록 제작한 틀 1개를 만들고, 상기 3개의 틀에 현재 건설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배합인, 즉, 28일 재령 압축강도가 210kg/㎠이 되도록 배합 설계한 콘크리트(레미콘)를 부어 넣어 콘크리트를 만들어 이중, 두께 약 10㎝, 폭이 100㎝, 길이가 50㎝의 콘크리트 성형판 2개를 KS F 4934에서 정하고 있는 인장시험과 인장피로 시험이 가능하도록 만든 시험장치 위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맞대어 올려놓은 다음(시험체 전체 길이 100cm),
상기 실시예1에서와 같이, 돌기 공간표면 내경이 5㎜인 시험체를 대표시험체로 하여, 돌기 공간사이 간격이 1.0㎜(원추형 돌기 끝 부분 사이 간격 6.0㎜), 5.0㎜(원추형 돌기 끝 부분 사이 간격 10.0㎜), 10.0㎜(원추형 돌기 끝 부분 사이 간격 15.0㎜), 두께가 각각 0.1㎜, 0.5㎜, 1.0㎜이고 돌기 높이가 각각 5.0㎜, 10.0㎜인 요철성형 방수재를 각 규격 별로 길이와 폭이 각각 100㎝×100㎝가 되도록 6set(1set 4장)를 잘라낸 다음, 그 중 1장(plain)을 제외한 나머지 3장에 아크릴계 수용성 폴리머 혼입방수재를 돌기 내부공간만을 채우거나, 또는 공간을 전부 채우고 요철성형 방수재 위로부터 두께(T)가 각각 2.0㎜, 5.0㎜가 되도록 도포하여 양생시킨 것을 시험체로 하여, 상기 맞댄 콘크리트 판 이음부 위에 올려놓고,
도 10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를 상기 두께 약 10㎝, 폭이 100㎝, 길이가 100㎝가 되도록 제작한 콘크리트(중량 약 240㎏f/㎡)를 올려놓은 시험체를 만들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정한 시험체 콘크리트의 맞댄 틈새의 폭이 각각 0.5㎜, 1.0㎜, 2.0㎜, 5.0㎜ 및 10.0㎜가 될 수 있도록 시험장치를 전동 가동하여 순간 인장변형 시험을 실시하여 요철이 있는 성형 방수재의 길이 방향으로의 하부 콘크리트의 맞댄 틈새 직 상부에서 가장 인접한 원추형 돌기 끝과의 사이 간격, 즉, 도 10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돌기 끝 부분 사이 간격(C1)으로부터의 변화량(C2)을 측정하는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4] 내지 [표6]과 같다.
[표4] - 인접 돌기 사이간격 6.0㎜(돌기 공간 사이간격 1.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4

[표5] - 인접 돌기 사이간격 10.0㎜(돌기 공간 사이간격 5.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5

[표6] - 인접 돌기 사이간격 15.0㎜(돌기 공간사이간격 10.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6
상기 [표4] 내지 [표6]의 시험 결과에서와 같이, 돌기 끝 부분 사이간격(돌기 공간 사이간격)이 좁을수록, 또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두께(t)가 두터울수록, 또는 돌기높이가 낮을수록, 또는 아크릴계 수용성 폴리머 혼입방수재로 돌기 내부공간을 전부 채우고 요철성형 방수재 위로부터 두께(T)가 두터울수록 균열 저항성이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균열 폭이 10.0㎜ 이상으로 크더라도 요철성형 플라스틱계 방수재의 변형은 약 4.0㎜ 이내를 나타내며, 이는 바탕 콘크리트 면과 돌기 끝 부분이 점으로 접합하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두께와 돌기높이 및 돌기 내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 혼입방수재의 채우는 정도가 균열에 의해 발생하는 신축거동에 따른 피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2에 의한 시험을 끝낸 다음, 하부 콘크리트의 맞댄 틈새의 폭이 각각 5분 간격으로 0.0㎜~0.5㎜, 0.0㎜~1.0㎜, 0.0㎜~2.0㎜, 0.0㎜~5.0㎜ 및 0.0㎜~10.0㎜ 폭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시험장치를 전동 가동하여 각각 2,000회 반복 인장변형(피로) 시험을 실시하여 요철이 있는 성형 방수재가 파단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한 경우, 시험을 멈추고 반복한 횟수를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7] 내지 [표9]와 같다.
[표7] - 인접 돌기 사이간격 6.0㎜(돌기 공간 사이간격 1.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7

[표8] - 인접 돌기 사이간격 10.0㎜(돌기 공간 사이간격 5.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8
[표9] - 인접 돌기 사이간격 15.0㎜(돌기 공간사이간격 10.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09
상기 [표7] 내지 [표9]의 시험 결과에서와 같이, 전체 시험체에서 아무런 결함이 발생하지 않아, 수축균열이나, 콘크리트 신축줄눈, 또는 팽창 줄눈 등 콘크리트 바탕에 발생한 틈새가 외기 온도나 각종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반복 거동에 따른 신축응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실시예2에서와 같이 바탕 콘크리트 면과 돌기 끝 부분이 점으로 접합하고 있어 이 부분에서 변형이나 응력을 전부 완화시켜 주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4
겹침부 수밀성에 대하여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음하여 방수층을 만들 경우의 연속성과 겹쳐 이음에 따른 내수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돌기 공간표면 내경이 5㎜, 인접하는 돌기 공간사이 간격이 1.0㎜, 요철성형 방수재의 두께가 각각 0.1㎜, 0.5㎜, 1.0㎜, 돌기 높이가 5.0㎜인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부분을 각각 1개(겹침 폭 3.5㎜), 2개(겹침 폭 9.5㎜), 3개(겹침 폭 10.5㎜), 4개(겹침 폭 21.5㎜), 5개(겹침 폭 27.5㎜) 및 10개(겹침 폭 57.5㎜)를 각각 겹친 길이와 폭이 각각 30㎝×30㎝가 되도록 자른 것의 겹침부를 아크릴계 수용성 폴리머 혼입방수재를 돌기 내부공간만을 채워 양생시킨 시험체를, 가(수)압이 가능하고 누수여부 확인이 가능한 강철제의 시험 수조용기에 넣고, 가장자리 주변을 실링재로 실링하여 두껑을 덮은 다음, 1bar(약 1.02㎏f/㎠)와, 5bar(약 5.1㎏f/㎠)의 압력을 24시간 지속하여 가하면서 누수여부를 확인하고, 누수되었을 경우에는 시험을 중단하고 가압 시간을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0]과 [표11]같다.
[표10] 1bar, 인접 돌기 사이간격 6.0㎜(돌기 공간 사이간격 1.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10

[표11] 5bar, 인접 돌기 사이간격 6.0㎜(돌기 공간 사이간격 1.0㎜)에 의한 시험
Figure 112011090794566-pat00011
위의 [표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체의 두께가 0.5㎜ 이상, 인접 돌기 사이간격이 6.0㎜에서 누수가 발생하였으나 다른 시험체에서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고, 또한 위의 [표11]에서는 시험체의 두께에 관계없이 겹침 돌기개수가 4개 까지는 겹침 틈새를 경유하여 누수 되었으나, 5개(겹침 폭 27.5㎜)이상부터는 시험이 끝날 때까지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다.
즉, 실제 적용 시에는 수압이 5bar(약 5.1㎏f/㎠)이상 작용이 예상되는 부위(일반적으로는 지하 깊이 약 50M 이상)에서는 최소 5개 이상, 겹침 폭으로는 약 30.0㎜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5
돌기 하부에 구멍뚫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께가 0.1㎜, 돌기 공간표면 내경이 5㎜, 인접하는 돌기 공간사이 간격이 1.0㎜, 돌기 높이가 6.0㎜인 요철성형 플라스틱계 방수재의 돌기 끝 부분을 직경 0.1㎜, 0.5㎜, 1.0㎜, 1.5㎜, 2.0㎜, 3.0㎜의 구멍을 각각 뚫은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를 수용성 아크릴계 폴리머 혼입방수재, 또는 액상의 우레탄계 도막 방수재를 흘려 부어 공간을 채우는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비교를 위해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요철성형 방수재를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상기 방수재를 흘려 부었으며, 그 결과를 [표12]에 나타내었다.
[표12]
Figure 112011090794566-pat00012
위의 [표12]에서와 같이, 구멍의 직경이 3.0㎜ 이상이 되면 수용성 아크릴계 폴리머 혼입방수재의 경우, 경화과정 중에 일부의 수용성 아크릴계 폴리머가 구멍으로 빠져 나가고, 구멍의 직경이 3.0㎜ 이상이 되면 다량의 수용성 아크릴계 폴리머가 구멍으로 빠져 나가 경화된 모르타르 방수재에 균열이 발생되고, 경화시간이 긴 액상의 우레탄계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도 약 50% 정도의 방수재가 빠져나가 공간을 채우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직경 1.0㎜의 구멍의 경우에는 수용성 아크릴계 폴리머 혼입방수재는 공간 전부를 채울 수는 없었으나, 경화 방수층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반면에 액상의 우레탄계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공간전부를 채울 수 있었고, 구멍직경 0.0㎜ 의 경우에는 돌기 공간 하부와 방수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수용성 아크릴계 폴리머 혼입방수재와 액상의 우레탄계 도막 방수재는 공간을 전부 채울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요철성형 방수재 (11) : 평판부
(12) : 돌기 (13) : 내부
(14) : 구멍 (20) : 상부방수층
(30) : 보호누름층 (40) : 고정구
(50) : 접착제 또는 도막방수재 (60) : 방수층
(70) :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 (80) : 표면보호층
(100)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바탕면
(110) : 수직벽면

Claims (11)

  1.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D) 0.1㎜~3.0㎜의 구멍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는 사이간격(L)이 1.0㎜~10.0㎜를 유지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에틸(Ethyl)기, 프로필(Propyl)기, 에스테르(Ester)기, 우레탄(Urethane)기, 에폭시(Epoxy)기 중 선택된 하나를 구비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t) 0.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
  4.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노출 방수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바탕면에, 요철성형 방수재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이용하여 요철성형 방수재를 길이나 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를 충전하면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을 형성하는 상부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상부방수층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와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양생단계;
    상기 방수층 위를 보호누름층을 형성하는 보호누름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D) 0.1㎜~3.0㎜의 구멍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5. 콘크리트 구조물의 통기노출 방수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바탕면에, 요철성형 방수재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이용하여 요철성형 방수재를 길이나 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 내부를 충전하면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층(20)을 형성하는 상부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상부방수층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와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양생단계;
    상기 방수층 위에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거나, 시트상의 방수재를 깔아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도막 또는 시트방수층 위에 표면보호재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표면보호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D) 0.1㎜~3.0㎜의 구멍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단계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길이나 좌우 폭 방향으로 겹침 폭(W)을 10.0㎜~100.0㎜ 정도로 하여, 일측의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서로 맞대도록 설치된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내로, 소정폭을 구비한 또다른 요철성형 방수재의 돌기를 끼워넣어 상호 연결한 다음,
    방수 바탕면에 함유된 수분의 기화 팽창압을 수직벽면으로부터 해소하기 위해 요철성형 방수재를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굽히어, 수직벽면에 상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는 방수성이 있는 액상의 폴리머/시멘트 비를 중량비로 0.5~10%로 하여 혼합된 시멘트와 규사 또는 모래가 1 : 0.5~3 의 중량비로 하여 혼합하여 만든 폴리머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폴리머는 아크릴, EVA, SBS, SBR, 에폭시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는 사이간격(L)이 1.0㎜~10.0㎜를 유지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요철성형 방수재는 에틸(Ethyl)기, 프로필(Propyl)기, 에스테르(Ester)기, 우레탄(Urethane)기, 에폭시(Epoxy)기 중 선택된 하나를 구비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t) 0.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10.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수층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와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를 우레탄 등과 같은 액상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고무아스팔트 등과 같은 시트상의 방수재를 깔아 방수보강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사용한 방수공법.
  11.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수층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방수재와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를 단열보강을 위해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단열재를 까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110119916A 2011-11-17 2011-11-17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16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16A KR101168688B1 (ko) 2011-11-17 2011-11-17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2014529607A JP2014526623A (ja) 2011-11-17 2012-08-29 内部が空いている突起を有する防水用凹凸成形防水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工法
PCT/KR2012/006903 WO2013073765A1 (ko) 2011-11-17 2012-08-29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패널과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14/348,915 US20140242330A1 (en) 2011-11-17 2012-08-29 Irregularly formed waterproof panel having hollow protrusion for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 constructio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16A KR101168688B1 (ko) 2011-11-17 2011-11-17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688B1 true KR101168688B1 (ko) 2012-07-30

Family

ID=4671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16A KR101168688B1 (ko) 2011-11-17 2011-11-17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6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792A (zh) * 2012-10-16 2013-01-09 唐山德生防水材料有限公司 基础筏板挡土墙转角结构防水处理施工方法
KR101479531B1 (ko) * 2014-04-28 2015-01-07 송병창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KR101522196B1 (ko) * 2014-09-16 2015-05-22 성일기계공업 (주)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재 시공방법
KR20160006648A (ko) * 2015-12-29 2016-01-19 송정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9914623A (zh) * 2019-03-25 2019-06-21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变形缝防水构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951A (en) 1989-06-26 1990-09-18 Sealed Air Corporation Laminated sheet for protecting underground vertical walls
JP2000129709A (ja) 1998-10-28 2000-05-09 Toda Constr Co Ltd 湧水処理工法、湧水処理パネル及び湧水処理構造
KR100969552B1 (ko) 2010-02-26 2010-07-12 정의숙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951A (en) 1989-06-26 1990-09-18 Sealed Air Corporation Laminated sheet for protecting underground vertical walls
JP2000129709A (ja) 1998-10-28 2000-05-09 Toda Constr Co Ltd 湧水処理工法、湧水処理パネル及び湧水処理構造
KR100969552B1 (ko) 2010-02-26 2010-07-12 정의숙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792A (zh) * 2012-10-16 2013-01-09 唐山德生防水材料有限公司 基础筏板挡土墙转角结构防水处理施工方法
KR101479531B1 (ko) * 2014-04-28 2015-01-07 송병창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KR101522196B1 (ko) * 2014-09-16 2015-05-22 성일기계공업 (주)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재 시공방법
KR20160006648A (ko) * 2015-12-29 2016-01-19 송정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16295B1 (ko) 2015-12-29 2016-04-28 송정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9914623A (zh) * 2019-03-25 2019-06-21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变形缝防水构造
CN109914623B (zh) * 2019-03-25 2023-12-1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变形缝防水构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26623A (ja) 内部が空いている突起を有する防水用凹凸成形防水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工法
KR101168688B1 (ko)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7842043B (zh) 一种变形缝的柔性防水结构以及制造方法
CN104594387A (zh) 改进的后浇带超前止水施工方法
KR101368711B1 (ko)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101479531B1 (ko)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00000246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및그의 시공방법
KR20060085447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44766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CN107345406B (zh) 一种用于管廊变形缝防水密封的方法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1146314B1 (ko) 돌기가 있는 단열방수패널과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재를 이용한 통기단열방수공법
KR101743401B1 (ko) 잔갈라짐 또는 거동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합성고무계 방수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CN108868186B (zh) 一种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KR101198110B1 (ko)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 및 탄성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입체형 복합 점접착 방수공법
KR101438727B1 (ko)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KR20100005332U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
KR101195591B1 (ko)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방수시공 방법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