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32U -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32U
KR20100005332U KR2020080015233U KR20080015233U KR20100005332U KR 20100005332 U KR20100005332 U KR 20100005332U KR 2020080015233 U KR2020080015233 U KR 2020080015233U KR 20080015233 U KR20080015233 U KR 20080015233U KR 20100005332 U KR20100005332 U KR 20100005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waterproof
waterproof she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222Y1 (ko
Inventor
박창훈
박준기
박홍기
Original Assignee
박창훈
박준기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훈, 박준기, 박홍기 filed Critical 박창훈
Priority to KR2020080015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22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도막 방수제 도포 및 양생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에어 포켓 또는 핀 홀로 인한 방수 하자를 사전에 예방하고, 방수층의 인열, 인장 성능을 강화하며 방수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PET 소재로 만들어진 제1필름층; 직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제1섬유층; 및 LDPE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제1접착필름층을 포함하는 복합 방수 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Composite waterproof sheet and waterp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막 방수제 도포 및 양생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에어 포켓(air pocket) 또는 핀 홀(pin hole)로 인한 방수 하자를 사전에 예방하고, 방수층의 인열, 인장 성능을 강화하며 방수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큰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방수 공법으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아스팔트 방수 공법, 시트 방수 공법 및 도막 방수 공법 등이 있다.
아스팔트 방수 공법은 사용 역사가 길고, 널리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공사 경험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시공현장에서 아스팔트를 가열 및 용융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 시의 역한 냄새가 발생되고, 화기를 취급함에 따른 화재 위험이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에서는 온도차이로 인해 아스팔트 방수제 도막의 자체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시트 방수 공법은 합성고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1.0∼3.0㎜의 두께와 100∼200㎝의 폭을 갖는 시트로 제조하여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상온시공이 가능하며, 기후 및 오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부위의 방수시공이 어렵고, 시트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꾀할 수 없어 누수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분 보수가 어렵고 접착제 중의 용제의 휘발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증발에 따른 수증기압에 의해 방수층에 에어 포켓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수층에 에어 포켓이 발생하게 되면 낮과 밤,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되어 도막이 파손되고, 그 결과 방수성능을 상실하게 된다.
최근에 개발된 도막 방수 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아크릴방수, 클로로프렌방수, 우레탄방수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작업현장에서 아크릴, 클로로프렌, 우레탄 등을 액상으로 도포한 후, 화학반응 또는 용제의 휘발에 따라 방수도막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방수제를 액상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복잡한 부위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음매 없는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방수제 층간 및 방수 면과의 접착력이 좋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 현장에서 액상으로 도포되어 흐름성이 좋기 때문에, 바닥면의 굴곡으로 인해 도막두께가 불균일해지며, 또한 구조체 표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돌출 부위는 도막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다. 또한, 바닥 면에 전면 밀착하는 공법이므로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콘크리트 수분증발로 인해 시트 방수 공법에서와 같은 부풀음이 발생되어 방수성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특히 시트 방수 공법과 도막 방수 공법에서 발생하는 에어 포켓은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 외에 표면콘크리트의 핀 홀 또는 몰탈부의 박리 등에 의해 밀봉된 공기층의 팽창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밀착공법에 의한 방수 공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막 방수제 도포 및 양생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에어 포켓 또는 핀 홀로 인한 방수 하자를 사전에 예방하고, 방수층의 인열, 인장 성능을 강화하며 방수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PET 소재로 만들어진 제1필름층;
직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제1섬유층; 및
LDPE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제1접착필름층을 포함하는 복합 방수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필름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섬유층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2섬유층과,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섬유층을 접합하는 제2접착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바탕 콘크리트층, 프라이머층, 도막 방수제층, 복합 방수시트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PET 소재로 만들어진 제1필름층;
직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제1섬유층; 및
LDPE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제1접착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섬유층은 상기 도막 방수제층과 맞닿아 도막 방수제를 흡수 및 함침한 상태로 경화되는 방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합 방수 시트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는 제2도막 방수제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상기 제1필름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섬유층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2섬유층과,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섬유층을 접합하는 제2접착필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섬유층은 상기 제2도막 방수제와 맞닿아 도막 방수제를 흡수 및 함침한 상태로 경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도막 방수제 도포 및 양생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에어 포켓 또는 핀 홀로 인한 방수 하자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복합 방수 시트로 방수층의 인열, 인장 성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방수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10)는 제1필름층(13), 제1접착필름층(12) 및 제1섬유층(11)을 포함하고, 전체 두께는 0.2mm 내지 0.5mm이다.
상기 제1필름층(13)은 고분자 소재의 필름 중에서 강도, 내충격 강도,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고 수증기나 기체의 투과율이 적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필름층은 온도 변화에 따른 열변형율이 작아서 -6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열변형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상기 제1접착필름층(12)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만들어진다. LDPE 소재는 내충격성, 내저온 취화성, 유연성, 가공성, 필름의 투명성, 내화학성, 내수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소재이다. 상기 제1접착필름층은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섬유층(11)은 폴리에틸렌(PE) 직포, 장섬유 폴리에틸렌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 직포는 물과 수증기에 대한 차단성이 밀도가 높을수록 좋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폴리에틸렌 직포는 우수한 열접착성을 가지면서 내한성이 좋고 전기 특성이 좋아 온도 사용범위가 넓다. 또한, 폴리에틸렌 직포는 시트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격자로 짜져 횡종단으로 우수한 인장 및 인열강도를 갖는다.
상기 장섬유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가볍고 질기며 내화학성이 있고, 방수가 되며, 정전기나 린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경우에도, 변형이 없어 내후성이 우수하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또한 ??리프로필렌 부직포는 고온에서 내열성이 좋으며 어떠한 부산물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제1섬유층의 밀도는 40g/m2 내지 90g/m2의 범위가 적당 하다. 밀도가 40g/m2에 미달할 경우에는 물이나 수증기에 대한 차단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밀도가 90g/m2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가 두꺼워져서 도막 방수재에 대한 흡수 및 함침이 부분적으로만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1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1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바탕 콘크리트층(40), 프라이머층(70), 제1도막 방수제층(30), 복합 방수 시트(10) 및 보호층(50, 6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방수구조의 시공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바탕 콘크리트층의 표면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야 한다. 바탕 콘크리트의 표면은 충분히 건조되어야 하고, 평평하면서 들뜸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콘크리트를 친 후 양생(물이 상승하는 현상)에 따라 내부의 미세한 물질이 부상하여 콘크리트가 경화한 뒤, 표면에 형성되는 흰빛의 얇은 막인 레이턴스(laitance)가 생기는데, 이 성분의 대부분은 시멘트의 미립분이지만, 부착력이 약하고 수밀성(水密性)도 나쁘기 때문에 방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레이턴스를 제거해야 한다. 바탕의 구배는 통상 1/100 내지 1/50의 구배를 이루어 물고임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바닥 콘크리트층의 표면의 정리가 위와 같이 완료되면 방수할 부위를 깨끗이 청소한다.
그 다음으로는 프라이머층을 0.3kg/m2 내지 0.4 kg/m2 정도로 도포한다. 프라이머를 도포할 때에는 솔, 롤러 또는 고무 주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고, 통상 4시간 내지 6시간에 걸쳐 완전히 건조시킨다.
그 다음, 도막 방수제를 1.0mm 내지 1.5mm 정도로 도포한다. KS F 3211 (2004) 기준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고, 롤러 또는 고무 주걱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그 다음 상기 도막 방수제와 복합 방수 시트의 제1섬유층이 맞닿도록 복합방수 시트를 부착한다. 부착할 때에는 물흐름 방향에 따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며 시공한다. 복합 방수 시트는 단부가 서로 중첩(overlap)되도록 부착한다. 수직부나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평면과 수직면 코너 부위에 시트간 절단 시공 시에는 수직벽 쪽으로 20cm 이상 올려붙인다. 수직벽면 윗부분까지 시트를 붙이지 않을 때에는 수직벽면의 최소 30cm 높이에 전연장을 따라 가로 세로 3cm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시트를 삽입한 후 압착 및 씰링 한다.
그 다음 담수 테스트를 실시한다. 방수 보호층 시공 전에 방수 시공된 부위의 모든 드레인을 막고 물을 75mm 깊이로 채운 후 최소 24시간 관찰하여 누수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누수가 발견되면 물을 배수하고 건조 시킨 후 보수하며, 보수가 완료되면 다시 드레인을 막고 위와 같은 순서로 담수 테스트를 재실시한다. 누수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보수 및 담수 테스트를 반복한다.
담수 테스트 실시 결과 누수가 발견되지 않으면 그 위에 보호층을 시공한다. 보호층은, 방수층 보호재(50), 보호 몰탈, 누름 콘크리트(60)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1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에서 복합 방수 시트의 제1섬유층은 도막 방수제와 접하게 되는데, 이때 도막 방수제를 흡수/함침하는 작용을 하여 수밀도가 높은 방수층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필름층만을 도막 방수제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필름층의 우수한 기계적 특징에 의해 방수구조가 보강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거의 필연적으로 도박 방수제와 필름층 사이에 에어 포켓이 생겨서 방수구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와 같이 도막 방수제를 흡수/함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가 필름층과 일체로 결합되어 도막 방수제와 접하는 면이 직포 또는 부직포가 되게 하는 경우에는 필름층을 사용하여 기계적 특성을 보강하는 장점과 함께 에어 포켓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20)는 제1필름층(23), 제1접착필름층(22), 제2접착필름층(24), 제1섬유층(21) 및 제2섬유층(25)을 포함하고, 전체 두께는 0.3mm 내지 1.0mm이다.
상기 제1필름층(23)은 PET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실시예1의 제1필름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접착필름층(22)은 LDPE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실시예1의 제1접착필름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2접착필름층(23)은 LDPE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1접착필름층이 제1필름층과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유사하게, 제1필름층과 제2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섬유층(21) 및 상기 제2섬유층(25)은 폴리에틸렌(PE) 직포 또는 장섬유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실시예1에서의 제1섬유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2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2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바탕 콘크리트층(40), 프라이머층(70), 제1 도막 방수제층(30), 복합 방수 시트(20), 제2 도막 방수제층(35) 및 보호층(50, 6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방수구조의 시공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바탕 콘크리트층의 표면을 정리하고 깨끗이 청소한다. 그 다음으로는 프라이머층을 0.3kg/m2 내지 0.4 kg/m2 정도로 도포하고, 그 위에 도막 방수제를 1.0mm 내지 1.5mm 정도로 도포하여 제1도막 방수제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1도막 방수제 실시예2의 복합 방수 시트의 제1 또는 제2섬유층이 맞닿도록 복합 방수 시트를 부착한다. 그 다음으로는 도막 방수제를 1.0mm 내지 1.5mm 정도로 도포 하여 제2도막 방수제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도막 방수제는 각각 실시예2의 복합 방수 시트의 전후면의 제1 및 제2 섬유층과 각각 맞닿게 되는데, 제1 및 제2 섬유층의 직포 또는 부직포가 도막 방수제를 흡수/함침하여 수밀도가 높은 방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 다음 담수 테스트를 실시하고, 담수 테스트 실시 결과 누수가 발견되지 않으면 그 위에 보호층을 시공한다. 보호층은, 방수층 보호재, 보호 몰탈, 누름 콘크리트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방수층 보호재(50)와 누름 콘크리트(60)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2에서는 상하부에 모두 섬유층이 배치되어 각각 도막 방수제를 흡수/함침하여 중심재로서의 역할을 해주고 수밀도를 높여 방수층 형성에 기여한다.
실시예1과 달리 실시예2에서는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시트가 도막 방수재의 중간에 포함되어 도막 방수제의 기계적인 특성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양측면에서 도막 방수제와 접하게 되는 복합 방수 시트의 양면에 각각 도막 방수제를 흡수/함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배치하여 에어 포켓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막 방수제를 함침한 직포 또는 부직포는 도막 방수제가 경화되면 도막 방수제와 완전 일체화되어 도막 방수제층의 기계적 강도의 보강을 돕고 제1 및 제2도막 방수제층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실시예1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하면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트의 상하부에 도막 방수제층이 형성된 구조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에 위치하는 도막 방수제층과 시트의 제1섬유층이 맞닿도록 하고, 위쪽의 필름층 상에 접착제층을 도포한 후에 제2도막 방수제층을 형성하면 필름층과 도막 방수제층이 접하는 부분에서 에어 포켓이나 핀 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1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2의 복합 방수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복합 방수 시트 11, 21, 25: 섬유층
12, 22, 24: 접착필름층 13, 23: 제1필름층
30, 35: 도막 방수제층 40: 바탕 콘크리트
50: 방수층 보호재 60: 누름 콘크리트
70: 프라이머

Claims (4)

  1. PET 소재로 만들어진 제1필름층;
    직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제1섬유층; 및
    LDPE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제1접착필름층을 포함하는 복합 방수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섬유층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2섬유층과,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섬유층을 접합하는 제2접착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복합 방수 시트.
  3. 바탕 콘크리트층, 프라이머층, 도막 방수제, 복합 방수시트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PET 소재로 만들어진 제1필름층;
    직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제1섬유층; 및
    LDPE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1섬유층을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제1접착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섬유층은 상기 도막 방수제 맞닿아 도막 방수제를 흡수 및 함침한 상태로 경화되는 방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방수 시트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는 제2도막 방수제가 더 배치되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상기 제1필름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섬유층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2섬유층과,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섬유층을 접합하는 제2접착필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섬유층은 상기 제2도막 방수제 맞닿아 도막 방수제를 흡수 및 함침한 상태로 경화되는 방수구조.
KR2020080015233U 2008-11-14 2008-11-14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200455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33U KR200455222Y1 (ko) 2008-11-14 2008-11-14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33U KR200455222Y1 (ko) 2008-11-14 2008-11-14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32U true KR20100005332U (ko) 2010-05-25
KR200455222Y1 KR200455222Y1 (ko) 2011-08-24

Family

ID=4445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233U KR200455222Y1 (ko) 2008-11-14 2008-11-14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2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50B1 (ko) * 2011-03-10 2013-06-11 주식회사 동경케미칼 신발 방수중창
KR101457804B1 (ko) * 2013-06-13 2014-11-04 윤윤모 토목용 다층 복합 방수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51B1 (ko) * 2012-12-21 2013-06-17 주식회사 아이디에프 이앤씨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256108B1 (ko) * 2013-01-09 2013-05-02 주식회사 큐맥스 교면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399B2 (ja) 1999-09-17 2005-04-27 東洋紡績株式会社 塗膜防水工事用下張り緩衝材及びそれを用いる防水工法
JP2003103704A (ja) 2001-09-28 2003-04-09 Asahi Rubber Kk 絶縁層付き複合防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335643B2 (ja) * 2003-11-10 2009-09-30 筒中シート防水株式会社 防水施工用絶縁シートおよびシート防水断熱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50B1 (ko) * 2011-03-10 2013-06-11 주식회사 동경케미칼 신발 방수중창
KR101457804B1 (ko) * 2013-06-13 2014-11-04 윤윤모 토목용 다층 복합 방수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222Y1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254B1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2781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KR100804677B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JP2007198119A (ja) コンクリート水路目地部遮水構造および遮水工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1479531B1 (ko)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462163B1 (ko) 패드형 방수시트
KR102277939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10432B1 (ko)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200441911Y1 (ko) 방수층 보호재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KR101028953B1 (ko) 표면 처리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식 방수 처리 공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방수 구조와 그 조성물
KR200247450Y1 (ko) 패드형 단열방수시트
KR100776241B1 (ko) 방수시트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