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295B1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6295B1 KR101616295B1 KR1020150188489A KR20150188489A KR101616295B1 KR 101616295 B1 KR101616295 B1 KR 101616295B1 KR 1020150188489 A KR1020150188489 A KR 1020150188489A KR 20150188489 A KR20150188489 A KR 20150188489A KR 101616295 B1 KR101616295 B1 KR 101616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
- film
- waterproofing
- composite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면서 그 바닥면 혹은 벽면에 방수층을 형성할 때에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신축 혹은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하고, 방수층 내측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탈기되도록 함으로써, 내부가스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복합방수시트는 부직포의 저면에 부틸고무인 고무재가 적층된 방수기재와, 상기 방수기재의 저면에 상기 고무재로 부착된 보조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조기재로 구성되고, 상기 방수기재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가 연장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시공되는 방수층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방수에 관한 기술을 살펴보면, 시트방수, 도막방수가 있으며, 시트방수는 고무화아스팔트계 시트를 이용한 방수, 벤토나이트 시트를 이용한 방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화아스팔트계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 콘크리트가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되면, 그 외면에 시공된 방수층은 그 여파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수층이 어느 한 곳이라도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물이 침투하여 전체 방수층의 하부에 물이 번져 방수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 시트는 벤토 알갱이가 물을 흡수하여 겔이 형성되는 것을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할 때에는 못 등으로 콘크리트에 타정하여 체결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방수층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벤토나이트 시트를 콘크리트 못 등으로 타정하여 방수층을 형성한 후, 흙되메우기 등과 같은 추가공정을 진행할 때,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로 형성된 방수층은 흙이 메워지는 무게에 의하여 콘크리트 못으로 체결된 부분이 뜯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혹은 외벽면에 방수층을 시공한 부분이 태양열에너지 등을 받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분 등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가스는 방수층으로 인하여 외부로 탈기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팽창하게 된다.
상기 팽창하는 가스로 인하여 해당 위치의 방수층은 부풀어오르면서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의 하부에 탈기반을 설치하기도 하나, 상기 탈기반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를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신축성과 내마모성 등을 크게 향상시켜, 방수층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사용하되, 통기필름, 에어몰드를 이용하여, 방수층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수층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방수기재; 상기 방수기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보조기재; 를 포함하여 적층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기재는, 부직포와 그 저면에 형성되는 고무재로 형성되되, 상기 부직포와 고무재 사이에는 비철금속호일도 합지가능하며, 상기 보조기재는, 보조 부직포, 이형지, 단열매트, 보조 비철금속호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매트는, 일정 두께의 가교발포제로만 부착되거나 혹은 보조 비철금속호일의 저면에 일정 두께의 가교발포제가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교발포제의 저면에는 보완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보완부재는 보완 부직포 혹은 보완 비철금속호일로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교발포제의 하부에는 엠보싱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통기부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보완부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대각선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기재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가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기재의 부직포와 보조기재는 고무재로 부착되되, 부틸고무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교발포제는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에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한 다음, 상기 부착된 복합방수시트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도방수층의 상면에 보강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보강필름의 상측에는 보호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콘크리트의 측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를 부착하여, 상기 바닥면에 인접한 수직벽면의 중도방수층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포된 프라이머의 상면에 에어몰드의 일측이 삽입연결된 통기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상기 통기필름을 제외한 프라이머의 상면에는 기초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상기 통기필름과 기초 도막방수제의 상면에는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한 다음, 상기 복합방수시트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필름과 복합방수시트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몰드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길이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서 하측이 개방되게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의 좌우양측에 끼움체결되는 통로부와,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이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몰드 일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으로 인하여 통기필름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의 일측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부의 측면에 통기공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돌부의 측면에도 내측 통기공을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몰드의 일측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통기필름의 측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연결되고, 상기 에어몰드의 타측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인접하는 수직벽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몰드의 타측 상부에는 후두를 설치하되, 에어몰드의 타측 상부가 후두의 내부에 내재되도록 하여, 가스의 탈기와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두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캡 형태로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에어몰드의 타측 상부가 내재가능하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고정판의 외측면에 좌우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좌우너비에 상당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그 사이공간에 본체부가 수직으로 끼움체결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본체부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부가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양 지지편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방수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에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방수시트의 신축성을 높임으로써, 양생과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이 일어나는 콘크리트의 외형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하부에 가교발포제를 형성하되, 상기 가교발포제의 하부에는 다수의 엠보싱 형태로 형성된 통기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에서 발생하여 팽창하는 가스가 용이하게 통기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되, 콘크리트 상부와 복합방수시트의 하부 사이에는 통기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필름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기가능한 에어몰드를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복합방수시트의 통기부와 통기필름, 에어몰드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일정 길이의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통기필름에 연결되고, 타측은 방수층의 외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에어몰드의 일측에는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기필름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탈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기본 예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단열매트 예시도,
도 8 내지 11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매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의 예시도,
도 12는 도 1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3은 도 8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완충재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후두와 에어몰드의 결합구성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몰드의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단열매트 예시도,
도 8 내지 11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매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의 예시도,
도 12는 도 1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3은 도 8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완충재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후두와 에어몰드의 결합구성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몰드의 상세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해결수단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는,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방수기재(100)와, 상기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적층식으로 부착되는 보조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기재는 방수기재(100)를 보조하고, 복합방수시트(A)의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성, 통기성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기재(100)는 부직포(110)와 그 저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일정 두께로 적층되는 고무재(120)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이때, 상기 고무재(120)는 접착성이 있는 부틸고무로 형성하여, 방수기재(100)를 구성하는 부직포(110)와 그 하측에 형성되는 보조기재를 접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110)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로서, 1평방미터당 80 내지 120그램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틸고무는 1 내지 2mm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는 그 내부에 고무재(120)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재(120)의 소수성으로 인한 방수기능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고무재(120)의 신축성 및 탄성으로 인하여 복합방수시트(A)의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무재(120)의 접착성으로 인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상기 부직포(110)와 보조기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에서, 상기 고무재(120)는 방수기능도 제공하면서 신축기능, 접착기능도 함께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방수시트(A)의 방수기재(100)에는 비철금속호일(130)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비철금속호일(130)은 부직포(110)와 부틸고무로 형성되는 고무재(120) 사이에 형성하여, 외부의 열 및 빛에너지가 콘크리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반사시켜 줌으로써, 외부의 복사열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되는 방수층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철금속호일(130)은, 알루미늄호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수기재(100)의 저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기재가 적층식으로 부착되는데, 상기 보조기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복합방수시트(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부직포(210), 이형지(220), 단열매트(23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보조 비철금속호일(231)만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조 부직포(210)는 1평방미터당 30 내지 50그램의 것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열매트(230)는 보조 비철금속호일(231)과 가교발포제(232)로 형성하되, 보완부재(233)로서 보완 부직포(234)와 보완 비철금속호일(235)을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열매트(230)는 일정 두께의 가교발포제(232)의 상면에는 보조 비철금속호일(231)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보조 비철금속호일(231)의 상면이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형성하며, 이때에도 방수기재(100)를 구성하는 부직포(110)의 저면은 상기 보조 비철금속호일(231)의 상면과 접착성있는 고무재(120)로써 접착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 비철금속호일(231)과 가교발포제(232)는 복수개의 압축롤러 사이에 열을 가하면서 압축하는 열융착법으로써 일체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기재의 가교발포제(232) 저면에는 보완부재(233)로써 보완 비철금속호일(235)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도 상기 보조기재인 단열매트(230)는 열융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기재인 단열매트(230)를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적층식으로 일체형성하여 복합방수시트(A)를 형성하고, 이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시공하게 되면, 상기 단열매트(230)는 외부의 열 및 빛에너지가 콘크리트로 가해지는 것을 반사시켜주게 되며, 온도변화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열매트(230)를 구성하는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는 오목한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하면서 전체 면적에 걸쳐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특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팽창하여 해당 부분의 방수층을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해당 부분의 방수층이 찢어지는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교발포제(232)는 폴리에틸렌을 발포형성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는 1mm 이상의 깊이로써 대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엠보싱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통기부(236)의 하부에는 보완 부직포(234)를 부착함으로써, 엠보싱 형태로 인한 오목한 내부 공간은 유지되도록 하면서, 프라이머(20)와 기초 도막방수제(70)가 도포되는 콘크리트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는 1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외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방수층을 형성하고자하는 곳은, 일정 면적의 바닥면(10)과 그 외둘레에 수직벽면(11)이 형성된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닥면(10)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부위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복합방수시트(A)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도방수층(30)의 상면에 보강필름(40)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40)의 상측에 보호콘크리트(50)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콘크리트(50)의 측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60)를 부착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의 중도방수층(3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
상기 복합방수시트(A)는 부직포(110)의 저면에 부틸고무인 고무재(120)가 적층된 방수기재(100)와, 상기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상기 고무재(120)로 부착된 보조 부직포(210)로 이루어진 보조기재로 구성되고, 상기 방수기재(100)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111)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는 프라이머(20)의 상면에 에어몰드(90)의 일측이 삽입연결된 통기필름(80)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상기 통기필름(80)을 제외한 프라이머(20)의 상면에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하고, 상기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며, 상기 통기필름(80)과 복합방수시트(A)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는 프라이머(20)를 도포하고, 이어서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한 후, 상기 도포된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는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과 수직벽면(11)이 만나는 코너부에는 코너실링(21)을 미리 형성한 후에, 상기 프라이머(20)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은 일정 두께, 면적, 형태로 형성된 복합방수시트(A)의 각 측면이 서로 맞닿게 나란히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맞닿는 측면 사이의 갭(gap)을 커버하여 완벽한 방수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복합방수시트(A)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직포(110)를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한 덮개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111)가 각 복합방수시트(A)의 측면 사이의 갭(gap)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11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를 형성할 때에, 방수기재(100)를 구성하는 부직포(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970mm의 너비로 형성하고, 상기 방수기재(100)의 부직포(110)는 1000mm의 너비로 형성하여,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에 30mm가 돌출형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복합방수시트(A) 측면 사이의 틈을 덮개부(111)로써 덮은 후, 상기 덮개부(111)는 보강 테이프와 보강 씰로써, 그 커버링(covering)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상기와 같은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에는,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중도방수층(30)은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우레탄수지와 규사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그 상면에 탑코트(Top-coat)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향상되고 단열성이 우수하며, 내부 가스의 통기도 용이한 복합방수시트(A)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시공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방수층의 손상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는 탈기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복합방수시트(A)를 구성하는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오목한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를 형성하더라도 외부의 강한 열 및 빛에너지에 의한 복사열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과다하게 팽창을 하게 되면, 결국 방수층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서 들뜨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상기와 같은 복합방수시트(A)를 시공한 방수층에 통기필름(80)과 에어몰드(90)를 추가로 형성하여 해소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기 관련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한 방수층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는 수직벽면(11)이 인접하는 구성으로 형성된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바닥면(10)의 방수층에 통기필름(80)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통기필름(80)은 일정 길이와 너비로 형성된 필름 형태로서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필름에는 다수의 통기를 위한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구성과 관련하여, 상기 통기필름(80)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어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통기필름(80)을 프라이머(20)가 도포된 콘크리트 바닥면(10)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할 때에 길이방향의 전후 양측은 상기 바닥면(10)에 인접하는 수직벽면(11)까지 이르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의 전후 양측이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에 이르기까지 시공되는 통기필름(80)의 일측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된 파이프 형태의 에어몰드(9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에어몰드(90)의 연결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후 시공되는 방수층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의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삽입되어 통기필름(80)에 흐르는 가스가 상기 에어몰드(9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통기필름(80)과 에어몰드(90)를 설치한 후, 상기 바닥면(10)에 도포된 프라이머(20)의 상면에는 기초 도막방수제(70)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게 되는데,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는 통기필름(80)에는 도포하지 아니한다.
즉, 통기필름(80)이 부착된 부분은 제외하고, 프라이머(20)의 상면에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할 때에는 상기 통기필름(80)의 둘레부로부터 20mm 이격시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부착되고, 도포되는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는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복합방수시트(A) 또한 통기필름(80)과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 상면에 부착할 때에는 통기필름(80)이 부착된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합방수시트(A)를 통기필름(8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할 때에는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나란하게 부착하되, 각 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갭(gap)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방수시트(A)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부(111)로 덮음으로써 방수처리가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덮개부(111)는 보강 테이프와 보강 씰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그 커버링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되, 그 사이에는 통기필름(80)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필름(80)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기가능한 에어몰드(90)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통기필름(80)과 에어몰드(90)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탈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구성하는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한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 또한 가스를 수용하고 원활하게 흐르게 하므로, 상기 통기부(236)와 함께 통기필름(80), 에어몰드(90)를 통한 방수층 내부의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탈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통기필름(80)의 일측단에 연결설치되는 에어몰드(9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몰드(9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길이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91)와, 상기 바닥부(91)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서 하측이 개방되게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바닥부(91)의 좌우양측에 끼움체결되는 통로부(92)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 혹은 통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에어몰드(90)는 비철금속이나 플라스틱, 보다 구체적으로는 PVC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바닥부(91), 통로부(92)의 두께는 1 내지 2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부(91)의 너비는 23mm, 절곡된 통로부(92)의 높이는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에 일정 길이로 삽입연결되어, 통기필름(80)에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9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탈기되는 것인데, 상기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의 일측단의 측면에서 200mm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기필름(80)의 측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연결되는 에어몰드 일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9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94)으로 인하여 통기필름(80)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90)의 일측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수층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는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탈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통기공(94)은 에어몰드(90)의 일측에 형성하되, 상기 에어몰드(90)를 구성하는 통로부(92)의 측면에 형성하여 통기필름(80)을 흐르는 가스가 상기 에어몰드(9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닥부(91)와 통로부(92)를 체결하여 에어몰드(90)를 형성할 때에, 상기 바닥부(91)에는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 체결돌부(93)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통로부(92)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이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통로부(92)의 측면에 통기공(94)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돌부(93)에도 내측 통기공(95)을 형성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에어몰드(90) 일측의 내부에 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에어몰드(90)를 직각으로 절곡형성하여, 일측은 통기필름(80)에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형성하고, 에어몰드(90)의 타측은 방수층의 외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은 바닥면(10)에 인접하는 수직벽면(11)의 일정 높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경우, 가스의 탈기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에는 하부에 개구부(90a-2)가 형성된 캡 형태의 후두(90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두(90a)를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가스가 탈기되는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단을 덮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에 후두(90a)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에어몰드(90)의 타측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90a)의 개방된 하부의 개구부(90a-2)를 통하여 에어몰드(90)의 타측에서 탈기되는 가스가 배출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후두(90a)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후두(90a)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90a-1)과; 하부에 개구부(90a-2)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캡 형태로서 상기 고정판(90a-1)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가 내재가능하도록 하는 본체부(90a-3)와; 상기 고정판(90a-1)의 외측면에 좌우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부(90a-3)의 좌우너비에 상당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그 사이공간에는 본체부(90a-3)가 수직으로 끼움체결되는 지지편(90a-4); 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두(90a)를 구성하는 고정판(90a-1), 본체부(90a-3), 지지편(90a-4)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판(90a-1)은 가로 및 세로가 각 100mm, 두께 1.5 내지 2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 지지편(90a-4)은 볼트 혹은 용접으로 고정판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후두(90a)의 고정판(90a-1)을 에어몰드(90) 타측의 상부가 위치하는 수직벽면(11)에 설치하되, 고정판(90a-1)의 외측면에 형성된 양 지지편(90a-4)의 사이공간에 에어몰드(90) 타측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가 내재된 양 지지편(90a-4)의 사이공간에 본체부(90a-3)를 하향 삽입하되, 상기 본체부(90a-3)의 내부에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가 내재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90a-3)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부(90a-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양 지지편(90a-4)의 사이공간에 하향 삽입되는 본체부(90a-3)가 양 지지편(90a-4)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는 본체부(90a-3)의 내부 길이의 60%에 상당하는 높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몰드(90)의 타측에서 탈기되는 가스가 막히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탈기되어 하부의 개방된 개구부(90a-2)를 통하여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본체부(90a-3)의 상부는 막혀있어 외부의 이물질이 에어몰드(90)의 타측 내부에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방수층을 시공하면서 그 내측에 통기필름(80)도 설치하고, 상기 통기필림(80)의 일측에는 방수층의 외측과 연결되는 에어몰드(9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수층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수층의 외측에 위치하는 에어몰드(90) 타측 상부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후두(90a)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에어몰드(90)의 내부, 나아가 방수층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스의 탈기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수층의 상면에는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중도방수층(30)은 통상적으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거나, 추가로 상기 보강필름(40)과 보호콘크리트(50)를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강필름(40)은 LLDPE 방수필름(저밀도 폴리에틸렌 방수필름)을 사용하여 방수층의 탄성과 인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LLDPE 방수필름은 적어도 0.5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도방수층(30) 중에서, 도막방수제는 바닥면(10)에 형성된 방수층의 상면은 물론이고, 상기 바닥면(10)과 인접하는 수직벽면(11)에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도막방수제를 도포한 다음에는, 추가로 보강필름(40)과 보호콘크리트(50)를 차례대로 시공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보강필름(40)과 보호콘크리트(50)는 수직벽면(11)에는 시공하지 아니하고 바닥면(10)의 상측 방향으로만 적층식으로 시공한다.
이때, 상기 보호콘크리트(50)의 측면과 수직벽면(11)에 형성된 도막방수제의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6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콘크리트(50)가 양생과정이나,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때에 상기 보호완충재(60)로 인하여 수직벽면(11)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도막방수제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호완충재(60)는 쿠션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교발포제나 스티로폼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적어도 20 내지 3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 복합방수시트
10 : 바닥면 11 : 수직벽면
20 : 프라이머 21 : 코너실링
30 : 중도방수층 40 : 보강필름
50 : 보호콘크리트 60 : 보호완충재
70 : 기초 도막방수제 80 : 통기필름
90 : 에어몰드
91 : 바닥부 92 : 통로부
93 : 체결돌부 94 : 통기공
95 : 내측 통기공
90a : 후두
90a-1 : 고정판 90a-2 : 개구부
90a-3 : 본체부 90a-4 : 지지편
90a-5 : 걸림부
100 : 방수기재
110 : 부직포 111 : 덮개부
120 : 고무재 130 : 비철금속호일
210 : 보조 부직포 220 : 이형지
230 : 단열매트 231 : 보조 비철금속호일
232 : 가교발포제 233 : 보완부재
234 : 보완 부직포 235 : 보완 비철금속호일
236 : 통기부
10 : 바닥면 11 : 수직벽면
20 : 프라이머 21 : 코너실링
30 : 중도방수층 40 : 보강필름
50 : 보호콘크리트 60 : 보호완충재
70 : 기초 도막방수제 80 : 통기필름
90 : 에어몰드
91 : 바닥부 92 : 통로부
93 : 체결돌부 94 : 통기공
95 : 내측 통기공
90a : 후두
90a-1 : 고정판 90a-2 : 개구부
90a-3 : 본체부 90a-4 : 지지편
90a-5 : 걸림부
100 : 방수기재
110 : 부직포 111 : 덮개부
120 : 고무재 130 : 비철금속호일
210 : 보조 부직포 220 : 이형지
230 : 단열매트 231 : 보조 비철금속호일
232 : 가교발포제 233 : 보완부재
234 : 보완 부직포 235 : 보완 비철금속호일
236 : 통기부
Claims (3)
- 콘크리트 바닥면(10)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부위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복합방수시트(A)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도방수층(30)의 상면에 보강필름(40)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40)의 상측에 보호콘크리트(50)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콘크리트(50)의 측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60)를 부착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의 중도방수층(3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
상기 복합방수시트(A)는 부직포(110)의 저면에 부틸고무인 고무재(120)가 적층된 방수기재(100)와, 상기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상기 고무재(120)로 부착된 보조 부직포(210)로 이루어진 보조기재로 구성되고, 상기 방수기재(100)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111)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는 프라이머(20)의 상면에 에어몰드(90)의 일측이 삽입연결된 통기필름(80)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상기 통기필름(80)을 제외한 프라이머(20)의 상면에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하고, 상기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며, 상기 통기필름(80)과 복합방수시트(A)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몰드(90)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길이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91)와, 상기 바닥부(91)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서 하측이 개방되게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바닥부(91)의 좌우양측에 끼움체결되는 통로부(92)와, 상기 바닥부(91)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로부(92)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이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돌부(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몰드(90) 일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9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93)으로 인하여 통기필름(80)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90)의 일측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8489A KR101616295B1 (ko) | 2015-12-29 | 2015-12-29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8489A KR101616295B1 (ko) | 2015-12-29 | 2015-12-29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3115A Division KR20150101613A (ko) | 2014-02-27 | 2014-02-27 |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648A KR20160006648A (ko) | 2016-01-19 |
KR101616295B1 true KR101616295B1 (ko) | 2016-04-28 |
Family
ID=5530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8489A KR101616295B1 (ko) | 2015-12-29 | 2015-12-29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62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3083B1 (ko) | 2021-09-30 | 2022-07-19 | 차재훈 | 방수모듈과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7776B1 (ko) | 2016-02-16 | 2016-06-07 | 강판수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
KR20170104172A (ko) * | 2016-03-07 | 2017-09-15 | 정은숙 |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
KR101653366B1 (ko) | 2016-03-30 | 2016-09-01 | (주)지에프시알엔디 | 현장 포설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111Y1 (ko) | 2004-06-26 | 2004-11-17 | 삼창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건조 시스템 |
KR101168688B1 (ko) | 2011-11-17 | 2012-07-30 | 주식회사 아키벤 |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904B1 (ko) | 2007-06-01 | 2007-09-21 | 홍사광 | 건축물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보강 구조물 |
KR200459511Y1 (ko) * | 2009-06-03 | 2012-03-28 |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KR20150101613A (ko) * | 2014-02-27 | 2015-09-04 | 송정환 |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
2015
- 2015-12-29 KR KR1020150188489A patent/KR1016162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111Y1 (ko) | 2004-06-26 | 2004-11-17 | 삼창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건조 시스템 |
KR101168688B1 (ko) | 2011-11-17 | 2012-07-30 | 주식회사 아키벤 |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3083B1 (ko) | 2021-09-30 | 2022-07-19 | 차재훈 | 방수모듈과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648A (ko) | 2016-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6295B1 (ko)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
US11486192B2 (en) | Window sill flashing | |
US8572917B2 (en) | Underlayment with improved drainage | |
US8635828B2 (en) | Composite insulating building panel and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building panels | |
CN103069086B (zh) | 多层声学板 | |
KR20150101613A (ko) |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
US11865905B2 (en) | Multi-panel removable roof | |
JP6004519B2 (ja) | コンクリート養生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構築方法 | |
US10309106B2 (en) | Insulation ti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
KR101173410B1 (ko) |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 |
JP5189326B2 (ja) | 外断熱用複合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目地構造 | |
KR200362797Y1 (ko) | 발포층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 |
KR102039151B1 (ko) |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5652754B2 (ja) | 防水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3666695B2 (ja) | 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使用した蓄熱槽 | |
GB2151981A (en) | Preformed barrier | |
GB2571619A (en) |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20200087498A (ko) |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 |
JP6516141B2 (ja) | 固定具およびシート防水構造 | |
JP2007218022A (ja) | 型枠兼用外断熱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外断熱通気工法 | |
JP4618701B2 (ja) | 排水構造物、断熱排水構造物及びコンクリート地下構造物の断熱排水壁の構築方法 | |
JP7088648B2 (ja) | 断熱構造、および断熱構造の施工方法 | |
KR20070041261A (ko) | 다층바닥시스템 | |
CA2597206C (en) | Underlayment with improved drainage | |
KR100941322B1 (ko) | 방수벽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