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98A -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98A
KR20200087498A KR1020190003851A KR20190003851A KR20200087498A KR 20200087498 A KR20200087498 A KR 20200087498A KR 1020190003851 A KR1020190003851 A KR 1020190003851A KR 20190003851 A KR20190003851 A KR 20190003851A KR 20200087498 A KR20200087498 A KR 2020008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tructure
finishing member
corner
flange por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74B1 (ko
Inventor
이승원
이회랑
Original Assignee
네오비엠(주)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비엠(주), 이승원 filed Critical 네오비엠(주)
Priority to KR102019000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E04D13/152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with ventilating means in soffits or fasc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 모서리에 커버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는 외벽 모서리의 상부면에 일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외벽 모서리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상부 플랜지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에
Figure pat00009
형태를 갖는 상부 보강부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보강부의 단부에 외벽 모서리의 수직면과 평행한 웹부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웹부의 단부에 외벽 모서리의 수직면과 맞대어지는 하부 플랜지부가 절곡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부의 하측과 웹부의 내측 및 하부 플랜지부의 상측 사이로 결로 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모서리 부분이 미려해져 보이도록 하는 가운데 동,하절기 발생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부분적인 부식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CORNER FINISHING MEMBER OF CONER FOR BUILDING STRUCTURES}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 구조물의 수평 모서리나 경사 모서리로부터 모서리 마감부재가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미관이 미려해지도록 하는 가운데 동,하절기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큰 부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수공사로는 시멘트와 모래에 방수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액체 방수, 고무 시트를 이용하는 시트 방수, 고분자 수지 용액으로 구조물 표면을 코팅하는 도막방수, 실란계 화합물을 희석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침투시켜 발수 성능을 나타내는 침투 방수 등으로 대별된다.
이들 중 건축 구조물의 옥상에는 비노출공법인 시트 방수와 도막 방수로 지하실, 옥상 등 건축 구조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게 되나, 공기가 길어지는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축 구조물의 표면에 직접 소정 두께를 갖는 방습지와 멤브레인이 덮혀지도록 하고, 멤브레인의 상부로 마감패널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는 가운데 방습과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건축 구조물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더 돌출되어지도록 구비된 부분에 결로현상으로 인해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주변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 구조물의 외벽은 공개특허공보 특2000-0006637호(2000.02.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접착몰탈을 이용하여 단열재가 부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보강용 메쉬를 댄 후 마감재를 바르는 과정을 통해 외벽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그 하부에 별도의 후레싱부재를 구비하여 단열재가 레벨링 없이 시공되어지는 가운데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결로현상이 발생될 경우 주변이 부식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특2000-0006637호(2000.02.07)
이 건 발명은 동,하절기 건축 구조물의 모서리에서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주변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얼룩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서리 부분이 미려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 모서리(OWC)에 커버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A)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A)는 외벽 모서리(OWC)의 상부면에 일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외벽 모서리(OWC)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상부 플랜지부(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10)의 외측 단부에
Figure pat00001
형태를 갖는 상부 보강부(11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보강부(110)의 단부에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평행한 웹부(12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웹부(120)의 단부에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맞대어지는 하부 플랜지부(130)가 절곡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부(10)의 하측과 웹부(120)의 내측 및 하부 플랜지부(130)의 상측 사이로 결로 공간부(1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부(10)는 수평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로 공간부(140)를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부(130)에는 다수개의 통기부(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부(10)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는 웹부(120)의 단부에서 외벽 모서리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는 웹부(120)의 단부에서 내측 상부를 향하는
Figure pat00002
형태로 절곡된 하부 보강부(131)의 상부에서 외벽 모서리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150)는 장홀(151)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150)는 장홀(151)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장홀(151)의 입구측에 통기 가이드(15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모서리 마감부재에 의하여 건축 구조물의 외벽 모서리가 커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모서리 부분이 미려해져 보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주변과 조화를 이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 마감부재의 단부가 2겹으로 이루어져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마감부재의 하부 내측으로 통기 가능한 결로 공간부가 확보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동,하절기 발생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마감부재의 모서리 내측에 수분이 잔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로 현상으로 인한 부분적인 부식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가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가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가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가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A)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 모서리 부분이 미려해지도록 하는 가운데 돌출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하절기 발생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축 구조물의 외벽 모서리(OWC)가 커버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A)는 박판형태를 갖는 금속패널이 절곡 및 절단된 것으로 외벽 모서리(OWC)의 상부면에 일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외벽 모서리(OWC)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부(10)가 수평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0)는 외측 단부에 상부 보강부(11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보강부(110)는 박판이
Figure pat00003
형태인 두겹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보강부(110)의 단부에는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평행한 웹부(120)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하향되게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웹부(120)의 단부에는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맞대어지는 하부 플랜지부(130)가 내측 즉, 외벽의 표면을 향하여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는 웹부(120)의 단부에서 외벽 모서리면을 향하여 직각되는 형태를 갖도록 절곡됨으로써, 후술하는 결로 공간부(1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0)의 하측과 웹부(120)의 내측 및 하부 플랜지부(130)의 상측 사이에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결로 공간부(14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결로 공간부(140)를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부(130)에는 다수개의 통기부(150)가 구비되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기부(150)는 장홀(151)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많은 량의 공기가 내,외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홀(151)의 입구측에 통기 가이드(152)가 구비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내부가 외부로 보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13)에 형성된 통기 가이드(152)는 장홀(151)과 분리된 형태를 갖는 것이 아니라 하부 플랜지(13)에 장홀(151)의 길이를 갖도록 절취라인이 형성되도록 한 후 절취라인의 일측 또는 타측을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가압되어지는 부분이 장홀(151)의 형태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1/4의 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내부가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웹부(120)에 근접된 곳은 통기 가이드(152)가
Figure pat00004
형태를 갖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외벽 모서리(OWC)측으로 근접된 곳은 통기 가이드(152)가
Figure pat00005
형태를 갖도록 하여 결로현상으로 인하여 결로 공간부(140)에서 발생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결로 공간부(140)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와 순환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만큼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가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상부 플랜지부(10)의 하부로 구비된 웹부(120)의 단부에 하부 플랜지부(130)가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맞대어지도록 직각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130)는 웹부(120)의 단부에서 내측 상부를 향하는 2겹의 형태를 갖도록 절곡된 하부 보강부(131)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보강부(131)의 상부에 외벽 모서리면을 향하여 직각되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보강부(131)는
Figure pat00006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별도로 패널을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장의 박판을 이용하여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가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웹부(12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 보강부(110)를 포함하는 상부 플랜지부(10)가 웹부(120)에 대하여 직각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부(10)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건축 구조물의 외벽 상부에 구비되는 지붕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0:상부 플랜지부 110:상부 보강부
120:웹부 130:하부 플랜지부
140:결로 공간부 150:통기부
151:장홀 152:통기 가이드

Claims (7)

  1. 건축 구조물의 외벽 모서리(OWC)에 커버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A)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A)는 외벽 모서리(OWC)의 상부면에 일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외벽 모서리(OWC)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상부 플랜지부(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10)의 외측 단부에
    Figure pat00007
    형태를 갖는 상부 보강부(11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보강부(110)의 단부에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평행한 웹부(12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웹부(120)의 단부에 외벽 모서리(OWC)의 수직면과 맞대어지는 하부 플랜지부(130)가 절곡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부(10)의 하측과 웹부(120)의 내측 및 하부 플랜지부(130)의 상측 사이로 결로 공간부(1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10)는 수평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로 공간부(140)를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부(130)에는 다수개의 통기부(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10)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는 웹부(120)의 단부에서 외벽 모서리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는 웹부(120)의 단부에서 내측 상부를 향하는
    Figure pat00008
    형태로 절곡된 하부 보강부(131)의 상부에서 외벽 모서리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150)는 장홀(151)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150)는 장홀(151)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장홀(151)의 입구측에 통기 가이드(15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KR1020190003851A 2019-01-11 2019-01-11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KR10220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51A KR102203874B1 (ko) 2019-01-11 2019-01-11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51A KR102203874B1 (ko) 2019-01-11 2019-01-11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98A true KR20200087498A (ko) 2020-07-21
KR102203874B1 KR102203874B1 (ko) 2021-01-15

Family

ID=7183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51A KR102203874B1 (ko) 2019-01-11 2019-01-11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81B1 (ko) * 2020-12-30 2021-07-23 (주)양지클레딩 금속지붕 단부 들뜸 방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37A (ko) 1999-08-20 2000-02-07 윤용성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JP3316132B2 (ja) * 1996-05-20 2002-08-19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板の接合具及び接合方法
JP3910756B2 (ja) * 1999-04-20 2007-04-25 ニチハ株式会社 建物土台部などのための化粧部材
KR101931738B1 (ko) * 2018-02-12 2018-12-24 네오비엠(주) 건축마감패널용 마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6132B2 (ja) * 1996-05-20 2002-08-19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板の接合具及び接合方法
JP3910756B2 (ja) * 1999-04-20 2007-04-25 ニチハ株式会社 建物土台部などのための化粧部材
KR20000006637A (ko) 1999-08-20 2000-02-07 윤용성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KR101931738B1 (ko) * 2018-02-12 2018-12-24 네오비엠(주) 건축마감패널용 마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81B1 (ko) * 2020-12-30 2021-07-23 (주)양지클레딩 금속지붕 단부 들뜸 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74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4196A1 (en)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US8584416B2 (en) Movement control screed
US10011990B2 (en) Laminated air circulation board
US9464429B2 (en) Waterproofing system for wet areas
US8833021B2 (en) Exterior wall decorative foam panel
JP2008127920A (ja) 基礎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87498A (ko)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KR102274045B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101684417B1 (ko) 조립식 주택용 조립 판재
JP4595693B2 (ja) 外壁パネル
JP6803609B2 (ja) 換気構造体
KR20150117016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가설건물시공방법
KR102060317B1 (ko)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JP2011174344A (ja) サイディングの防水構造
JPH0350188Y2 (ko)
JP5637701B2 (ja) 外装材の端部防水構造
JPS6350338Y2 (ko)
JPH0352364Y2 (ko)
JPH0454252Y2 (ko)
JPH0122846Y2 (ko)
JPH04293849A (ja) 建築用パネル
JP2022030355A (ja) 乾式壁材の横継ぎ部雨仕舞い構造
KR20230013579A (ko) 천장용 마감몰딩
JP2001140374A (ja) 外張断熱における複合断熱材パネルを用いた施工方法
JPH0356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