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76B1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76B1
KR101627776B1 KR1020160017517A KR20160017517A KR101627776B1 KR 101627776 B1 KR101627776 B1 KR 101627776B1 KR 1020160017517 A KR1020160017517 A KR 1020160017517A KR 20160017517 A KR20160017517 A KR 20160017517A KR 101627776 B1 KR101627776 B1 KR 10162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sheet
sheet
water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수
Original Assignee
강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수 filed Critical 강판수
Priority to KR102016001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 외벽 특히, 건축물의 옥상에 부분 절연공법을 이용하여 복합방수시트를 설치하여 탈기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탈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의 균열에 의해 방수층이 파단 또는 들뜨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복합방수시트에 포함된 UV코팅방수시트층과 탑코트층에 의해 자외선 및 열차단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방수층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 절연공법을 사용하여 건축물 외벽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탈기층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들뜸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와, 단열방수시트, UV코팅방수시트층 및 부직포를 일체화시킨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을 높임으로써, 시공비뵤ㅇ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방수층의 파손부분이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 및 방근성, 방수성, 단열성, 내후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방수구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complex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 외벽 특히, 건축물의 옥상에 부분 절연공법을 이용하여 복합방수시트를 설치하여 탈기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탈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의 균열에 의해 방수층이 파단 또는 들뜨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복합방수시트에 포함된 UV코팅방수시트층과 탑코트층에 의해 자외선 및 열차단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방수층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되는 방수에 관한 기술은 시트방수, 도막방수 등이 있으며, 시트방수는 고무화아스팔트계 시트를 이용한 방수, 벤토나이트 시트 등을 이용한 방수가 있다.
상기 고무화아스팔트계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 콘크리트가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되면 그 외면에 부착되어 시공된 방수층은 그 여파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수층의 일부가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물이 침투하여 전체 방수층의 하부에 물이 번져 방수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는 벤토 알갱이가 물을 흡수하여 겔이 형성되는 것을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할 때에는 못 등으로 콘크리트에 타정하여 체결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방수층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벤토나이트 시트를 콘크리트 못 등으로 타정하여 방수층을 형성한 후 흙되메우기 등과 같은 추가공정을 진행할 때,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로 형성된 방수층은 흙이 메워지는 무게에 의하여 콘크리트 못으로 체결된 부분이 뜯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혹은 외벽면에 방수층을 시공한 부분이 태양열에너지 등을 받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분 등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가스는 방수층으로 인하여 외부로 탈기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팽창하게 된다.
상기 팽창하는 가스로 인하여 해당 위치의 방수층은 부풀어오르면서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의 하부에 탈기반을 설치하기도 하나, 상기 탈기반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이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대한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1613호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방수기재, 상기 방수기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보조기재를 포함하여 적층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기재는 부직포와 그 저면에 형성되는 고무재로 형성되되, 상기 부직포와 고무재 사이에는 비철금속호일도 합지가가능하며, 상기 보조기재는 보조 부직포, 이형지, 단열매트, 보조 비철금속호일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0150호는 고강도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고강도 장섬유 부직포층의 일 면에 형성되는 무용제 우레탄 방수층, 상기 고강도 장섬유 부직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되는 무기도막 방수층 및 상기 무기도막 방수층에 형성되는 상도 마감층을 포함하는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와 등록특허는 복합방수시트를 바닥 또는 바탕층에 접착하기 때문에 복합방수시트와 맞닿아 있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시 들뜸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들뜸현상이 발생된 부분에서 장력이 작용하여 파단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합방수시트가 바닥 또는 바탕층에 접착 즉,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고 이러한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곳곳에 탈기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부가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방수효율이 떨어지는 한편,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16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066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619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01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콘크리트의 균열 및 수증기의 증발로 인해 파단 및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와 자외선 및 열차단이 미약하여 방수층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복합방수시트에 UV코팅방수시트층을 형성하고, 건축물의 외벽에 부분 절연공법으로 시공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에도 영향을 받지않고, 수증기가 이동될 수 있는 탈기층을 형성하하여 오랫동안 방수층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벽체와 바닥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하도단계와 상기 하도단계 처리된 바닥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를 밀착시키고, 벽체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시트설치단계와 상기 시트설치단계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제1중도단계와 상기 중도단계 처리된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부에 연결시트를 부착하는 밀봉단계 및 상기 밀봉단계 처리된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상도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상기 상도단계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탑코트층을 도포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시트설치단계 처리된 벽체에 하나 이상의 탈기장치를 설치하는 탈기형성단계 및 상기 밀봉단계 처리된 연결시트의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제2중도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바닥에 밀착되고, 벽체에 부착되는 복합방수시트와 서로 이웃하는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부를 밀봉하기 위해 부착되는 연결시트와 연결시트가 부착된 복합방수시트의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논슬립 방수층과 논슬립 방수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탑코트층 및 복합방수시트의 하부에 유입부가 인입되고, 벽체에 부착설치되는 탈기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합방수시트는 바닥 또는 벽체에 밀착되거나 부착되는 탈기층과 탈기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방수시트와 단열방수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층과 제1부직포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UV코팅방수시트층 및 UV코팅방수시트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부직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는 부분 절연공법을 사용하여 건축물 외벽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탈기층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들뜸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와, 단열방수시트, UV코팅방수시트층 및 부직포를 일체화시킨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을 높임으로써, 시공비뵤ㅇ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방수층의 파손부분이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 및 방근성, 방수성, 단열성, 내후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방수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구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기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 외벽 특히, 건축물의 옥상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 또는 안착시키고, 상기 복합방수시트(100)의 상부에 미끄럼 방지 및 자외선 차단, 방수 성능을 가지는 도료를 도포하는 한편, 상기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형성된 탈기층(110)에 연결설치되는 탈기장치(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에 상기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시키지 않고 안착시켜 탈기층(110)을 형성하고, 탈기장치(30)를 설치함으로써,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벽에 균열이 발생하여도 본 발명의 방수구조에 균열,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탑코트층(600)에 의해 1차로 자외선을 차단한 후 UV코팅방수시트층(140)에 의해 2차로 자외선이 차단되어 자외선에 의한 시트의 파단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수구조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구조의 주요 구성인 상기 복합방수시트(100)를 시공전에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시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 외벽에 습기가 남아 있어도 시공이 가능하고, 건축물 외벽의 평활도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시 상기 복합방수시트(100)의 일부를 절단한 후 절단한 부분만을 재시공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미설명 부호 10은 콘크리트 즉, 건축물의 외벽인 벽체 또는 바닥을 지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복합방수시트(100)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벽체와 바닥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전처리단계(S10);와 상기 전처리단계(S1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하도단계(S20);와 상기 하도단계(S20) 처리된 바닥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100)를 밀착시키고, 벽체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시트설치단계(S30);와 상기 시트설치단계(S3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제1방수도료(200)를 도포하는 제1중도단계(S40);와 상기 중도단계(S40) 처리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에 연결시트(300)를 부착하는 밀봉단계(S50); 및 상기 밀봉단계(S50) 처리된 표면에 제2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상도단계(S60); 및 상기 상도단계(S6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탑코트층(600)을 도포하는 코팅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트설치단계(S30) 처리된 벽체에 하나 이상의 탈기장치(30)를 설치하는 탈기형성단계(S35);와 상기 밀봉단계(S50) 처리된 연결시트(300)의 표면에 방수도료(400)를 도포하는 제2중도단계(S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복합방수시트(100)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바닥에 밀착되고, 벽체에 부착되는 복합방수시트(100);와 서로 이웃하는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를 밀봉하기 위해 부착되는 연결시트(300);와 연결시트(300)가 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층(500);과 미끄럼방지층(500)의 상부에 도포되는 탑코트층(600); 및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유입부(32)가 인입되고, 벽체에 부착설치되는 탈기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합방수시트(100)는 바닥 또는 벽체에 밀착되거나 부착되는 탈기층(110);과 탈기층(110)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방수시트(120);와 단열방수시트(1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층(130);과 제1부직포층(130)의 상부에 부착되는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부직포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100)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방수구조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처리단계(S10)는
건축물의 외벽 즉,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로서, 하기의 하도단계(S20)에서 도포되는 프라이머(20)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의 표면에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고착될 수 있도록 이물질 또는 기 도포된 도료를 제거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어 바탕조정하며, 표면에 균열이 있거나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V커팅 연마한 후 실링제 등 충진제를 이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의 표면을 정리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처리단계(S10)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로 누수되는 일정크기 이상의 크랙부위에 V커팅 연마 후 실링제 등 충진제를 주입하여 마감하게 된다. 또한, 노후화된 면과 들뜬 부위는 이음매 및 굴곡이 없도록 기존바닥과 동일하게 평탄하도록 마감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전처리단계(S10)는 하기의 시트설치단계(S30)에서 설치되는 복합방수시트(100)가 건축물 바닥에 안착됨으로 바닥의 평활도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복합방수시트(100)와 건축물의 바닥과의 거리가 너무 들떠있는 경우 복합방수시트(100)의 파단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방수시트(1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탄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도단계(S20)는
상기 전처리단계(S10) 처리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표면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서, 기 도포된 도료 즉, 기 시공된 방수층을 제거한 후 프라이머(20)를 도포하여 1차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표면에 방수 및 방식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도단계(S20)에서 사용되는 프라이머(20)는 에폭시 수지계 프라이머로서, 일반적으로 각종 방수 및 방식 공사에 사용되는 접착제로 사용되어 피접착물, 특히 콘크리트 등에 폴리우레아 및 폴리우레탄을 도포하기 전에 시공된다.
즉, 본 발명의 하도단계(S20)에서 사용되는 프라이머(20)는 유기용제형 에폭시 프라이머 또는 수용성 에폭시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고, 특히, 건축물 외벽의 시공성을 높이고자 비가 온 후에도 시공이 가능한 수용성 에폭시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20)는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접착력이 없는 상태로 경화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경화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벽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는 흘러내리지 않고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도단계(S20)는 프라이머(20)를 도포 후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하도단계(S20) 이후에 건축물 벽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기 위한 프라이머가 다시 한번 도포될 때, 벽체에 남아 있는 수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건축물의 외벽 즉, 콘크리트층에 표면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하기 시트설치단계(S30)에서 건축물의 바닥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시키지 않고 안착시켜 탈기층(110)을 형성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도단계(S20)는 상기 전처리단계(S10) 처리된 벽체와 바닥의 표면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1하도단계(S22);와 상기 제1하도단계(S22) 처리된 벽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2하도단계(S24);로 구성되고, 제1,2하도단계(S22)(S24)에 사용되는 프라이머(20)는 동일한 에폭시 프라이머를 사용하되, 제1하도단계(S22)에 사용되는 프라이머(20)는 경화속도가 빠르도록 조절된 수용성 에폭시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제2하도단계(S24)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수용성 또는 유기용제형 에폭시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트설치단계(S30)는
상기 하도단계(S20) 처리된 바닥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100)를 밀착시키고, 벽체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벽체 표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2하도단계(S24)와 같이 벽체 표면에 접착제 역할을 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여도 무방하고, 벽체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고 복합방수시트(100)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여도 무방하며, 바닥 표면에는 프라이머(20)가 건조된 이후 복합방수시트(100)를 재단하여 깔아 안착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시트설치단계(S30)는 제1하도단계(S22) 처리된 바닥 표면에 미리 재단된 복합방수시트(100)를 깔아 안착시키고, 제2하도단계(S24) 처리된 벽체 표면에 미리 재단된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시킴으로써, 바닥 또는 벽체와의 저항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내후성, 화학성, 방균성 및 내구성, 특히 방수성 및 방근성이 향상된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트설치단계(S30)는 바닥 표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안착시키고, 벽체 표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시킨 후 바닥 표면의 복합방수시트(100)와 벽체 표면의 복합방수시트(100)와의 마감부분 즉, 연결부분은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될 연결시트(300)를 부착하고, 실링제 또는 이후에 설명될 방수도료(200)를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써,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방수도료(200)의 상부에 탑코트층(600)을 도포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시트설치단계(S30)에서 바닥 표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안착시킬 때, 복합방수시트(100)가 들뜨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설치단계(S30)를 구분하여 보면, 상기 제1하도단계(S22) 처리된 바닥에 복합방수시트(100)를 까는 제1시트설치단계(S32)와 상기 제2하도단계(S24) 처리된 벽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제2시트설치단계(S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100)는
바닥 또는 벽체 표면에 밀착되거나 부착되는 탈기층(110)과 탈기층(110)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방수시트(120)와 단열방수시트(1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층(130)과 제1부직포층(130)의 상부에 부착되는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UV코팅방수시트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부직포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탈기층(110), 단열방수시트(120), 제1부직포층(130),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제2부직포층(1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비용 절감 및 더욱 우수한 방수 및 탈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기층(110)은 복합방수시트(100)의 최하단 즉, 건축물의 바닥 표면과 밀착되거나, 건축물의 벽체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제1,2부직포층(130)(150)과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바닥 표면과 복합방수시트(100) 사이에 수분 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바닥 즉, 콘크리트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증발되면 탈기층(110)을 통해 이동되어 이후에 설명될 탈기장치(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탈기층(110)은 하부 또는 측면에서 흡수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콘크리트에서 상부 즉,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로 증발되는 수분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절연공법과 더불어 수분에 의해 복합방수시트(1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잔존해 있는 습기도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더욱 안정적인 방수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탈기층(1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젖어도 강도가 변하지 않고, 열에 강하며, 거의 물을 흡수하지 않아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수분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우레탄의 변형시 함께 변형되어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부가하여, 상기 탈기층(1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저귀, 행주 등과 같은 위행용품 분쇄물 30~50중량%;와 첨가물 5~15중량%;와 열가소성수지 30~50중량%; 및 일라이트 1~5중량%;의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생용품 분쇄물은 위생용품 분쇄물 100중량%에 대하여, 펄프 20~35중량%;와 SAM(Super Absorbent Meterial) 20~35중량%; 및 PP 및 PE 30~50중량%;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생용품은 대부분 1회용으로 제작되고,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 위생용품과 사용되어 버려지는 폐위생용품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불량위생용품은 소각 이외에 마땅한 처리방안이 없고,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분쇄작업 이전의 공정이 없다. 그러나 폐위생용품은 오물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분쇄작업 이전에 이물질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때의 공정은 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물을 사용하지 않고 건조한 상태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폐위생용품의 이물질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 중 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폐위생용품에 포함된 SAM이 물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억제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흡수억제처리는 일반적으로 스타취(starch) 계, 셀룰로스(cellulose) 계 또는 폴리아크릴산염(polyacrylic acid salt) 계,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계,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계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계 등의 합성수지계 등으로 구성되는 SAP의 흡수력을 억제시키는 흡수억제제 혼합물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흡수억제처리에서 이용되는 흡수억제제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흡수억제제 혼합물을 이용하나, 본 발명은 물과 간수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흡수억제제 혼합물 또는 물 70~90중량%와 염화칼슘 30~10중량%가 혼합된 흡수억제제를 이용하는 방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수억제제 혼합물 중, 물과 간수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흡수억제제는 간수가 SAM 중량의 수백 배의 흡수력을 갖는 SAM의 흡수력을 낮추어, 폐위생용품과 함께 혼합되는 물에 대한 SAM의 수분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간수의 염도는 적어도 20%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과 간수의 비율은 흡수억제제인 간수의 비율에 따른 흡수억제처리 시간의 조절에 따라 당업자가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다.
더불어 물과 염화칼슘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흡수억제제 혼합물은 고분자인 SAM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하여 물에 대한 용해성을 갖도록 하는 염화칼슘을 흡수억제제로 이용함으로써, 폐위생용품에 포함된 SAM이 일부 분해되도록 하여 흡수력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흡수억제제 혼합물에 포함되는 염화칼슘의 비율이 10중량% 미만이면 SAM에 대한 흡수억제력이 미약하여 SAM으로 인하여 흡수억제 처리시에 폐위생용품이 과도한 양의 물을 흡수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염화칼슘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과도한 양의 염화칼슘이 분쇄 후 분쇄물에 포함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물 70~90중량%와 염화칼슘 30~10중량%의 비율을 갖는 흡수억제제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흡수억제 처리 후에는 세척을 하는 세척처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폐위생용품에 묻어 있을 수 있는 고형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로서, 흡수가 억제된 SAM을 포함하는 폐위생용품에 물을 가하며 오물을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종래의 어떠한 세척처리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더불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세척처리는 흡수억제처리보다 먼저 수행하여도 무방하고, 세척처리를 흡수억제처리보다 먼저 처리하는 경우에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건조한 상태에서 처리함은 자명할 것이며, 불량 위생용품과 같이 고형의 오물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의 폐위생용품은 흡수억제 및 세척처리를 미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위생용품은 미세한 섬유재질 형태로 분쇄를 하여 유기용제나 발포제 없이 첨가물과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하여 용융 및 압출성형을 통해 탈기층(110)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포제는 대부분 재활용이 불가능한 환경 유해 물질인 석유화학 제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이러한 소재는 재생이 불가능하며 연소 시에 열에 의하여 유해물질이 용출하여 토양이나 수질을 오염시켜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조공정에서부터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인체에 해를 끼치는 유해한 화학적 성분이 다량 발생하며 시간이 지나도 제거되지 않아 작업자 및 사용자에게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위생용품 분쇄물에 포함되어 있는 SAM는 3차원 망상구조를 가지면서 다량의 친수기를 갖는 고분자로 물에 녹지 않고 다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며, 이러한 3차원 망상구조에 공간이 있기 때문에 형성되는 탈기층(11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도 비중이 작아지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SAM는 SAP(Super Absorbency Polymer), AGM(Absorbent Gel Material) 등으로도 불리우고, 친수성으로 그물형태의 망상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자신 무게의 약 1000배의 물을 흡수할 수 있고 물을 흡수하면 압력이 가해져도 물을 배출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펄프는 많은 양의 물을 빠르게 흡수하지만 일정양의 물을 흡수하게되면 약한 압력에 의해서도 물을 배출한다.
즉, 본 발명의 탈기층(110)은 펄프와 SAM를 혼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수분이 많은 여름철에는 콘크리트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흡수하여 점차적으로 증발시킴으로써, 복합방수시트(100)의 파단 또는 들뜸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위생용품 분쇄물의 펄프는 일반적으로 위생용품에 구성되어 있는 천연펄프이고, 목재나 그 밖의 섬유 식물에서 기계적, 화학적 또는 그 중간 방법에 의하여 얻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집합체로서, 순간적으로 물의 흡수력이 빠르고, 통기성이 좋아 물의 증발력이 우수하여 SAM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가 위생용품을 분쇄하지 않고 천연펄프와 SAM를 직접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탈기층(110)에 포함되는 위생용품 분쇄물의 비율이 30중량% 미만이면 펄프 및 SAM의 조성비가 미약하여 열가소성수지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최종 성형되는 탈기층(110)의 수분흡수력 및 치수변화율 등이 증가하며, 50중량%를 초과하면 탈기층(110)의 두께와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30~50 중량%의 비율을 갖는 위생용품 분쇄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기층(110)은 일라이트 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1000메쉬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 형태의 일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일라이트는 자체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특징과 특정방사성물질에 대한 흡착 및 분해 능력이 뛰어난 특징과 각종 중금속 및 유독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하는 특징과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의 정균작용을 하여 살균 및 악취제거에 탁월한 특징과 축열 및 단열 기능이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뛰어난 열안정성을 갖는 특징 및 탄성이 좋고 덩어리지지않아 부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즉, 일라이트 분말을 혼합하여 제작한 탈기층(110)은 적정수분유지, 보습작용 및 각종 중금속과 유기물질, 독성물질을 흡착분해하는 효과 등이 뛰어나 콘크리트와 복합방수시트(100)의 사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실현된다.
이때, 탈기층(110)에 포함되는 일라이트의 비율이 1중량% 미만이면 조성비가 미약하여 보습작용, 각종 중금속과 유기물질, 독성물질을 흡착분해하는 효과 등이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비율이 미약하여 탈기층(110)의 수분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1~5중량%의 비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첨가물은
왁스, 가소제, 식용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5~15중량%가 첨가되는 것으로서, 왁스는 PE(polyehylene) 왁스, PP(polypropylen) 왁스, 아마이드(amids) 왁스, Derurex 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탈기층(110)이 고형의 상태에서 매끄러움 정도가 우수하고, 그 결과 단열방수시트(120)를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왁스는 제조비용을 절감하기위해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PE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PE 왁스 또는 Derurex 왁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소제는 DOP(dioct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OA(dioctyl adipate), TOTM(trioctyl trimellitate), TCP(tricresyl phosph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PE, PP 및 열가소성수지에 유연성 및 탄성을 주어 성형하기 쉽도록 하는 성질을 갖아, 우수한 내열성, 내휘발성, 안정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도록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식용류는 점결조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와 펄프의 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분무방식으로 첨가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균등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하거나 실린더의 원주를 등분한 지점에 나선방향으로 균등 분배 분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폐식용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물의 비율이 5중량% 미만이면 표면의 매끄러움 정도가 떨어지고, 성형의 어려움, 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15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비율이 미약하여 탈기층(110)의 수분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5~15중량%의 비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poly vinyl chloride) 수지, 폴리스티렌(PS:polystyrene) 수지,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수지,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위생용품 분쇄물의 PE 및 PP에 더 추가되어 탈기층(110)의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열가소성수지는 위생용품 분쇄물에 포함되어 있는 PE 및 PP와 동일한 폴리에틸렌(PE) 수지와 폴리프로필렌(PP)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위생용품 분쇄물의 PE 및 PP와 이질감을 줄여 혼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탈기층(110)에 포함되는 열가소성수지의 비율이 30중량% 미만이면 위생용품 분쇄물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어 탈기층(110)의 두께와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반대로 위생용품 분쇄물의 비율이 저하되어 펄프 및 SAM의 조성비가 미약하기 때문에 최종 성형되는 탈기층(110)의 수분흡수력이 저하되고, 치수변화율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30~50중량%의 비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탈기층(110)은 위생용품 분쇄물의 조성물과 첨가물, 열가소성수지 및 일라이트의 조성물을 혼합하였을 때, 펄프 9~17중량%, SAM 9~17중량%, 열가소성수지 46~46중량%, 첨가물 5~15중량%, 일라이트 1~5중량%로 최종 조성비가 완성된다. 즉, 위생용품 분쇄물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펄프와 SAM을 투입할 때는 이와 같은 조성비로 제작을 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상기 탈기층(110)의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르게 설명하면, 단열방수시트(120)의 하부에 탈기층(110)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폴리우레탄을 주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우레탄 시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내수성, 광택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납(Pb)과 같은 중금속 및 유기용제(Xylene, 신너 등)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용제형 도료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는 무용제 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용제 우레탄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형 반응 경화형 방수제로서,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폴리올(branched polyether-polyester polyol), 충전제(filler), 희석제(diluent), 레벨링제(levelling agent), 제습제(humidity scavenger), 소포제(air release), 자외선 차단제(ultraviolet shielding)를 포함하는 주제와,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경화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우레탄을 주제로하기 때문에 탄성에 의해 복합방수시트(100)가 벽체 또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부착 또는 안착되어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하고, 특히, 우레탄이 시트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우레탄을 주제로하며, 고무화 아스팔트 등과 혼용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고무화 아스팔트에 의해 더욱 우수한 방습, 방진 및 방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방수시트(120)의 두께는 1.9~2.1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9mm 미만으로 형성되면 탈기층(110)과 이후에 설명될 제1부직포층(130),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제2부직포층(150) 각각의 두께가 두꺼워져 효율적인 방습, 방진, 방수, 방식 기능이 제공되지 못할 수 있고, 2.1m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탈기층(110), 제1부직포층(130),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제2부직포층(15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탈기성능 및 자외선 차단 효과 등이 미미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부직포층(130)은 단열방수시트(120)의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탈기층(110)과 마찬가지로 단열방수시트(120)에 부착되어 시공시 잔존해 있는 수분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될 UV코팅방수시트층(140)과 단열방수시트(120)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부직포층(130)은 탈기층(11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져 젖어도 강도가 변하지 않고, 열에 강하며, 거의 물을 흡수하지 않아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수분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우레탄의 변형시 함께 변형되기 때문에 파단이 일어나지 않고, 단열방수시트(120)와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결합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UV코팅방수시트층(140)은 제1부직포층(130)의 상부에 부착되어 단열방수시트(120)와 결합됨으로써, 이후에 설명될 탑코트층(600)과 더불어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성, 방수성, 방근성, 내열성, 난연성, 내화학성 및 내후성 등의 물성을 단열방수시트(120)와 함께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UV코팅방수시트층(14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V시트를 상기 단열방수시트(120)에 열압착시켜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상하부에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층을 가지도록 형성하거나, UV와 EVA를 혼합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 단열방수시트(120)와 결합시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두께는 0.9~1.1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9mm 미만으로 형성되면 단열방수시트(1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져 방수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나, 이후에 설명될 탑코트층(600)의 파손시 자외선에 의한 단열기능을 상실하거나 부식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1.1m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단열방수시트(1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방수, 방근, 방식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2부직포층(150)은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설명될 제1중도단계(S40)에서 도포되는 방수도료(200)가 효율적으로 함침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상부의 방수, 방식성을 증대시키고, 이후에 설명될 연결시트(300) 및 상도단계(S60)시 도포되는 방수도료가 균일하고 매끈하게 도포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부직포층(150)은 탈기층(110) 및 제1부직포층(13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져 강도가 강하고, 열에 강하며, 시공시 발생되는 수분의 건조를 빠르게 유도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에 의해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르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부직포층(150)의 두께는 탈기층(110)과 제1부직포층(130)과 함께 0.1~0.2mm로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단열방수시트(120) 및 UV코팅방수시트층(140)과 함께 약 3mm 즉,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100)의 두께가 약 3mm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에 균일하게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100)의 두께가 약 2.5mm로 형성되면 방수층이 너무 얇게 형성되어 방수, 방근, 방식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복합방수시트(100)의 두께가 약 3.5mm로 형성되면 방수층이 너무 두꺼워 방수, 방근, 방식효과는 증대될 수 있으나 기대 이상의 효과 증대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자제비용이 소요되어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트설치단계(S30)는 탈기층(110), 단열방수시트(120), 제1부직포층(130),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제2부직포층(150)이 일체로 구성되어 시공시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또는 안착시키는 공법 즉, 부분 절연공법을 시행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의 균열에 의해 본 발명의 방수구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건축물 외벽 즉, 콘크리트에 흡수된 수분이 상부로 증발되어도 본 발명의 방수구조의 하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케 하여 방수구조를 오랜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탈기형성단계(S35)는
상기 시트설치단계(S30) 처리된 벽체에 하나 이상의 탈기장치(30)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바닥에 밀착 즉, 안착되어 설치된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 즉, 탈기층(110)에 유입부(32)가 인입되고, 벽체에 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에 부착설치되는 탈기장치(30)가 복수 개 설치되어 시공중에 발생한 수분 또는 건축물의 외벽이 외부의 습기를 흡수하였다가 상부로 증발되는 수분이 본 발명의 방수구조 즉, 복합방수시트(100)의 탈기층(110)을 통하여 벽체방향으로 이동되면 탈기장치(30)의 유입부(32)로 수분이 인입된 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기장치(30)는 부식에 강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적인 형상이 "ㄴ" 형태로 이루어지되,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 즉, 탈기층(110)에 인입되는 유입부(32);와 유입부(32)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출부(34); 및 배출부(34)의 상부에 이격되어 벽체에 설치되는 커버(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부(32)는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자연스럽게 인입되어 복합방수시트(100)의 들뜸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3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34)는 상부에 부착되는 매쉬망(3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입부(32)는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자연스럽게 인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32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2a)은 건축물 외벽에 형성된 배수로의 방향에 따라 형성되도록 하며, 복수 개의 유입구(32b)와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배출부(34)는 유입부(32)의 이동통로와 대응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연결설치되고, 상부에 배출구(34b)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4b)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망 또는 부직포 등의 매쉬망(34a)이 배출구(34b)의 상부에 부착된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34) 즉, 배출구(34b)의 상부에는 이격되어 설치되되, 배출구(34b)의 상부로 강우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36)가 더 설치되고, 상기 커버(36)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중도단계(S40)는
상기 시트설치단계(S30) 처리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표면에 방수도료(200)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설명될 연결시트(300)를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에 부착하여 밀봉하기 전에 복합방수시트(100)의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부직포층(150)과 상기 이음부에 함침되어 단열, 방수, 방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중도단계(S40)의 방수도료(200)는 연결시트(300)가 부착되기 전에 도포되어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의 수밀성을 향샹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이후에 설명될 상도단계(S60)에서 도포되는 방수도료 즉, 미끄럼방지층(500)이 균일하고 매끈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방수도료(200)는 유기용제형 우레탄계 또는 무용제형 우레탄계 방수도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고,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친환경적이고, 내수성, 광택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무용제형 우레탄계 방수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방수도료(200)는 무용제형 우레탄계 방수도료외에도 단열·방수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는데, 상기 단열·방수 조성물은 물 5~10중량%;와 아크릴계 공중합체수지 28~30중량%;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수지 40~50중량%;와 폴리머분말 5~10중량%;와 소포제 1~3중량%;와 경화제 2~4중량%;와 유동화제 2~4중량%;와 팽창진공무기질세라믹 분말 펄라이트 2~4중량% 및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수지 5~7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단열·방수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제2부직포층(150)에 충분히 함침될 수 있도록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방수 조성물은 종래에 쓰이는 일반적인 단열·방수 도료보다 인체에 무해하고, 단열성, 방수성,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후성 등의 물성이 향상된 조성물로서 강화섬유시트의 표면에 도포되어 더욱 뛰어난 단열 및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열·방수 조성물은
물 5~10중량%;와 아크릴계 공중합체수지 28~30중량%;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수지 40~50중량%;와 폴리머분말 5~10중량%;와 소포제 1~3중량%;와 경화제 2~4중량%;와 유동화제 2~4중량%;와 팽창진공무기질세라믹 분말 펄라이트 2~4중량% 및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수지 5~7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로서, 수용성 접착제 수지와 우수한 강도로 접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포 후 상온에서 강인한 도막을 얻을 수 있으며, 방수성,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광택, 광택보유성, 색상 및 보색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틸렌성 불포화기, 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실란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수성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또는 실리콘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 수지를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메타아크릴 에스터 모노머(Methacrylic ester monomer)와 아크릴 에스터 모노머(Acrylic ester monomer)와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 및 비닐톨루엔 모노머(Vinyltoluene monomer)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타아크릴 에스터 모노머만을 공중합체 시키게 되면 너무 딱딱하고 취약(脆弱)하여 불점착성을 갖으나 내약품성과 강도면에서는 우수한 특성이 있고, 아크릴 에스터 모노머만을 공중합체 시키게 되면 유연성이 풍부하고 굴곡성이 좋고 소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며, 스티렌, 비닐톨루엔 모노머만을 사용하면 딱딱하고 경도가 높아 취약하며 황변 하기가 쉽지만 투명도, 광택 등이 개량될 수 있기 때문에 두종류 이상을 공중합시켜 각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가 28중량% 미만으로 기능성 도료에 포함되면, 1차 중도단계(S30) 처리된 강화섬유시트와의 접착력이 떨어지므로 28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단열·방수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28중량%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공중합체 수지는
Figure 112016015009118-pat00001
구조가 반복 구성되는 선형 방향족 폴리머 또는 상기 구조를 기본 구조체로 하는 공중합체 수지로서, 용융점이 대략 343℃를 갖아, 본 발명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이 화재에 잘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합성수지에 비하여 용융점이 높기 때문에 난연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이 별도의 난연재를 더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 또한 발휘하고, 방향족 폴리머의 특성에 기인하여 단열·방수 조성물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는 40~50중량%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가 4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의 내열성, 난연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 향상이 다소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분말은
아크릴 폴리머와 우레탄 폴리머와 실리콘 폴리머('규소 폴리머'라고도 불린다.)와 불소 폴리머 및 레진 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시멘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국부적 보수가 요구되어지는 곳에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폴리머 분말을 단열·방수 조성물에 분말의 형태로 포함되어 사용하게 되면 내구성, 중성화 방지, 화재 등 열에 의한 노후화, 각종 화학성분 등에 의한 침식에 강한 특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들 폴리머 분말의 특징을 살펴보면, 실리콘 폴리머와 레진 폴리머는 윤기가 좋고 고경도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성분과 융합시 고내구성을 갖고, 불소 폴리머는 쉽게 오염이 되지 않는 방오성능과 발유성능이 우수한 성질을 갖으며, 아크릴 폴리머와 우레탄 폴리머는 윤기가 좋고 도장 표면의 평탄화의 효과가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
아울러 폴리머 분말이 5중량%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폴리머 분말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의 내구성 등의 물성 향상이 다소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의 물성 향상이 다소 미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동화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기물이나 리그닌 술포네이트계, 술포네이트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계 및 술포네이트 멜라민-포름알데히드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점도가 우수한 멜라민계 유동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동화제는 2~4중량%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동화제가 2중량% 미만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분산이 미미하여 혼합이 어려울 수 있고, 4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접착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2~4중량%의 조성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팽창진공무기질세라믹분말 펄라이트는
단열·방수제 조성물에 2~4중량%의 조성비로 포함된다. 이는 단열·방수제 조성물에 단열, 차열성능을 부가하고, 내열성, 난연성이 뛰어난 물성 향상과 경량화, 열안전성, 유동성, 수축방지 등에 효과적인 동시에 발수, 광촉매, 향균, 강도증가 등의 특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펄라이트는 용암(화산용암)이나 마그마가 지표의 호수로 흘러들어 급격한 냉각에 의해 형성된 화산암의 일종으로서, 화산지대에서 채취한 펄라이트 원석(정석)을 1,000~1,300℃로 소성팽창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천연 무기재료 펄라이트라 통징하며, 이러한 소성 팽창 가공을 통해 이루어진 수많은 기공들로 인하여 우수한 경량성, 단열성, 배수성 등의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펄라이트는 형상이 불규칙하고 분쇄를 통한 생산방식으로, 코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팽창진공무기질세라믹분말 펄라이트는 중공의 밀폐구조로서 일반 펄라이트보다 단중이 적어 경량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구형의 형상으로 표면이 밀폐구조이며 일반 펄라이트보에 비해 흡수율이 낮아 원료의 손실이 적고 물성의 변화없이 충분한 증량효과를 얻어 보다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팽창진공무기질세라믹분말 펄라이트는 무기 세라믹소재로서 고온에서 특수 열처리되어 중성의 순수 무기질로 불활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등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백색도가 우수하며, 특히 표면처리 시 백색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충전제로 사용시 원재료의 색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구형의 무방향성 필러로서 종횡비가 1:1에 가까워 외부 압력시 힘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강도가 향상되며 구상에 따른 분산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적용 소재 특성에 맞게 표면처리가 가능하여 원재료와 혼합시에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쉽게 일체화가 된다.
즉, 본 발명의 단열·방수 조성물에 상기 팽창진공무기질세라믹분말 펄라이트를 이용하여 종래의 단열·방수 조성물에 비해 뛰어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고, 아울러 2중량% 미만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종래의 단열·방수 조성물보다 띄어난 물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4중량% 초과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접착력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2~4중량%의 조성비로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일반적으로 '테프론'이라 알려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수지로서, 대략 26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장시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화재에 잘 타지않는 난연성이 우수하며, 화학적인 결합이 매우 안정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을 갖는 오염물질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에 상기의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파우더 상태)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고, 고체 상태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평균 입자 크기와 동일한 범위 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단열·방수 조성물에 포함된 5~7중량% 내의 조성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가 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기능성 도료의 내열성, 난연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 향상이 다소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7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물성 향상은 더욱 우수해지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단열·방수 조성물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열·방수 조성물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증점제 또는 안료 등과 같은 일반적인 첨가물을 단열·방수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의 조성비로 첨가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밀봉단계(S50)는
상기 중도단계(S40) 처리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에 연결시트(300)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단열방수시트(120)와 같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부착성능을 가지고, 두께가 0.2~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결시트(300)는 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해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의간격이 넓어져도 이음부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이후에 설명될 상도단계(S60) 및 코팅단계(S70)에서 도포되는 방수도료 및 탑코트층(600)이 복합방수시트(100)의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시트(300)는 하부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부에 부직포층(320)이 형성되는 우레탄층(3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표면의 제2부직포층(150)과 유사한 표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밀봉단계(S50)는 연결시트(300)의 표면에 방수도료(400)를 도포하는 제2중도단계(S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연결시트(300)를 부착한 후 제1중도단계(S40)에서 사용된 방수도료(200)를 연결시트(300)의 표면에 한번더 도포함으로써, 제1중도단게(S40)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연결시트(300)의 표면에서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도단계(S60)는
상기 밀봉단계(S50) 처리된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제2중도단계(S55)까지 처리된 표면에 다시 한번 제1,2중도단계(S40)(S55)에서 사용된 방수도료(200)(400)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도단계(S60)는 연결시트(300)의 상부에 도포된 방수도료(400)의 상부까지 다시 한번 방수도료를 도포하여 본 발명의 방수구조의 상부면이 평활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일반적인 바닥, 벽체 마감시공방법의 상도공정과 동일하게 방수성을 가지는 종래의 코팅제 또는 발수코팅제를 첨가하여 상도층의 방수성 및 내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상기 코팅제와 발수코팅제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상도 단계(S60)에서 도포되는 방수도료는 도포되어 방수 및 방식 등의 기능과 함께 미끄럼방지층(50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코팅단계(S70)는
상기 상도단계(S6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탑코트층(600)을 도포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UV코팅방수시트층(140)과 더불어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수구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코트층(60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진공체를 함유한 열반사 코팅액의 도포 및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라믹 진공체는 일예로 알루미늄 실리게이트(Alumino Silicate)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열용 첨가제의 세라믹 파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2~3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중공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대략 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탑코트층(600)은 상도단계(S6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도포 후 경화되어 세라믹 피막이 형성되어 태양의 자외선을 주로 반사시킴으로서, 복사열이 건축물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방수구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다.
부가하여, 상기 탑코트층(600)은 세라믹 진공체를 함유한 열반사 코팅액을 도포 및 경화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코팅액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주 기능이 자외선 차단 및 열반사를 70~90%가능한 코팅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건축물 바닥에 밀착 즉, 안착되고, 벽체에 부착되는 복합방수시트(100)와 서로 이웃하는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를 밀봉하기 우해 부착되는 연결시트(300)와 연결시트(300)가 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층(500)과 미끄럼방지층(500)의 상부에 도포되는 탑코트층(600) 및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유입부(32)가 인입되고, 벽체에 부착설치되는 탈기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 구조는 부분 절연공법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 바닥과 복합방수시트(100)층 사이에 탈기층(110)을 형성함으로써, 건축물 바닥 즉, 건축물 외벽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탈기층(1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방수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 구조는 단열방수시트(120)와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부직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시공이 단순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방수층의 파손 발생시 필요한 곳의 복합방수시트(100)만을 절단하여 보수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방수시트(100)는 일체화 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절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대한 변화에 따른 파단 또는 들뜸현상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결시트(300)를 부착하기 전에 방수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더욱 방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탑코트층(600)과 복합방수시트(100)의 UV코팅방수시트층(140)에 의해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오랫동안 방수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탑코트층(600)과 방수도료에 의해 방근성이 형성되어 있지만 단열방수시트(120)와 UV코팅방수시트층(140)에 의해 더욱더 방근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중도단계(S40)와 상도단계(S60)에서 미끄럼방지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더욱더 견고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방수구조의 성능을 표로 나타내었다.
1. 시공할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의 상태 점검 후 작업 면적을 산출하고, 복합방수시트(100)의 양을 조정한다.
2. 시공할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의 표면을 'V'커팅 전용핸드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커팅처리하고, 주입공법이나 탄성처리 마감 등 향후 누수 및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노후화된 면과 들뜬부위는 함마드릴을 사용하여 파취 및 청소마감을 한 후 기존 바닥과 동일하게 평탄하게 하되, 기존 배수로가 이용될 수 있도록 평탄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접착력 증대와 들뜸 방지를 위해 연마 후 고압세척기를 사용하여 마감한다.
3. 시공할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의 표면에 방수 및 접착력 증대를 위해 로울러 및 에어리스 등을 사용하여 프라이머(20)를 도포하고 일정시간 접착력이 사라질때까지 건조시키고, 벽체에는 다시한번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4.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건축물의 벽체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여 설치하고, 건축물의 바닥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100)를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안착시켜 설치한 후 면적에 따른 탈기장치(30)를 복수 개 설치한다.
5.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와 건축물의 바닥에 안착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연결부분을 견고하고 연결시트 또는 보강매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방수도료를 이용하여 실링처리하여 수밀성을 확보한다.
6.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에 설치된 복합방수시트(100)의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여 이음부 및 복합방수시트(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를 충분히 함침시켜 방수 처리하고 건조시킨다.
7.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에 연결시트(300)를 견고하게 부착하고 연결시트(300)의 상부에 다시한번 방수도료를 도포하여 실링처리함으로써 이음부에 대한 수밀성을 확보하고 건조시킨다.
8. 상기 방수도료의 상부에 다시한번 방수도료를 도포하여 균일하게 상부면이 평탄화되도록 하고, 충분히 건조시키며, 건조된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탑코트층(600)을 형성하고 충분히 건조시켜 마감한다.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방수구조의 신장률과 신축성상 및 인장성능 등의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6015009118-pat00002
[결과]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인장강도, 신장률 등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수구조는 균열대응성, 습기저항성, 수밀성, 시공성, 자외선차단, 열차단, 단열 등의 기능에서도 종래의 우레탄 방수나 수용성 방수에 비교하였을 때 우수하였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콘크리트 20 : 프라이머
30 : 탈기장치 32 : 유입부
32a : 경사면 32b : 유입구
34 : 배출부 34a : 매쉬망
34b : 배출구 36 : 커버
100 : 복합방수시트 110 : 탈기층
120 : 단열방수시트 130 : 제1부직포층
140 : UV코팅방수시트층 150 : 제2부직포층
200, 400 : 방수도료 300 : 연결시트
310 : 우레탄층 320 : 부직포층
500 : 미끄럼방지층 600 : 탑코트층

Claims (7)

  1. 벽체와 바닥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전처리단계(S10);와
    상기 전처리단계(S10) 처리된 벽체와 바닥의 표면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1하도단계(S22)와 상기 제1하도단계(S22) 처리된 벽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2하도단계(S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도단계(S20);와
    상기 제1하도단계(S22) 처리된 바닥에 복합방수시트(100)를 까는 제1시트설치단계(S32)와 상기 제2하도단계(S24) 처리된 벽체에 복합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제2시트설치단계(S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설치단계(S30);와
    상기 시트설치단계(S30) 처리된 벽체에 하나 이상의 탈기장치(30)를 설치하는 탈기형성단계(S35);와
    상기 시트설치단계(S3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방수도료(200)를 도포하는 제1중도단계(S40);와
    상기 중도단계(S40) 처리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에 연결시트(300)를 부착하는 밀봉단계(S50);와
    상기 밀봉단계(S50) 처리된 연결시트(300)의 표면에 방수도료(400)를 도포하는 제2중도단계(S55);와
    상기 밀봉단계(S50) 처리된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상도단계(S60); 및
    상기 상도단계(S60)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탑코트층(600)을 도포하는 코팅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방수시트(100)는
    바닥에 밀착되거나, 벽체에 부착되는 탈기층(110);과
    탈기층(110)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방수시트(120);와
    단열방수시트(1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층(130);과
    제1부직포층(130)의 상부에 부착되는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부직포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기층(110)과 제1,2부직포층(130)(150)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무용제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시트(300)는 하부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부에 부직포층(320)이 형성되는 우레탄층(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바닥에 밀착되고, 벽체에 부착되는 복합방수시트(100);와
    바닥에 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의 하부에 유입부(32)가 인입되고, 벽체에 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에 부착설치되는 복수 개의 탈기장치(30);와
    서로 이웃하는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를 밀봉하기 위해 부착되는 연결시트(300);와
    연결시트(300)가 부착된 복합방수시트(100)의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층(500); 및
    미끄럼방지층(500)의 상부에 도포되는 탑코트층(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방수시트(100)는
    바닥에 밀착되거나, 벽체에 부착되는 탈기층(110);과
    탈기층(110)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방수시트(120);와
    단열방수시트(1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층(130);과
    제1부직포층(130)의 상부에 부착되는 UV코팅방수시트층(140); 및
    UV코팅방수시트층(1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부직포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기층(110)과 제1,2부직포층(130)(150)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방수시트(120)는 무용제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시트(300)는 하부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부에 부직포층(320)이 형성되는 우레탄층(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6. 삭제
  7. 삭제
KR1020160017517A 2016-02-16 2016-02-16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62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17A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2-16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17A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2-16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776B1 true KR101627776B1 (ko) 2016-06-07

Family

ID=5619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17A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2-16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13B1 (ko) * 2017-01-17 2017-11-02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차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방수공법
KR101856491B1 (ko) * 2017-10-31 2018-05-10 (주)노루페인트 친환경 기능성 우레탄 방수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886041B1 (ko) * 2017-12-01 2018-08-07 장용호 우레탄복합시트와 폴리우레아가 일체화된 복합방수공법
KR20180107582A (ko) 2017-03-22 2018-10-02 탑아트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KR102141416B1 (ko)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20200094505A (ko) 2019-01-30 2020-08-07 최동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KR102271100B1 (ko) * 2020-11-06 2021-06-30 유재형 합성수지계 방수시트 및 도막 방수재의 접착력 개선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226A (ko) * 2003-06-11 2004-12-17 이대우 노출형 방수 시공방법
KR100924760B1 (ko) * 2009-04-28 2009-11-05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Pvc 복합방수시트와 그 제작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방법과 복합방수공법
KR101280879B1 (ko) * 2012-09-27 2013-07-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 섬유시트와 비노출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361966B1 (ko) 2012-02-23 2014-02-25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시트공법
KR101490150B1 (ko) 2013-05-10 2015-02-06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
KR20150101613A (ko) 2014-02-27 2015-09-04 송정환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60006648A (ko) 2015-12-29 2016-01-19 송정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226A (ko) * 2003-06-11 2004-12-17 이대우 노출형 방수 시공방법
KR100924760B1 (ko) * 2009-04-28 2009-11-05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Pvc 복합방수시트와 그 제작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방법과 복합방수공법
KR101361966B1 (ko) 2012-02-23 2014-02-25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시트공법
KR101280879B1 (ko) * 2012-09-27 2013-07-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 섬유시트와 비노출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490150B1 (ko) 2013-05-10 2015-02-06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
KR20150101613A (ko) 2014-02-27 2015-09-04 송정환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60006648A (ko) 2015-12-29 2016-01-19 송정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13B1 (ko) * 2017-01-17 2017-11-02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차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방수공법
KR20180107582A (ko) 2017-03-22 2018-10-02 탑아트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KR101856491B1 (ko) * 2017-10-31 2018-05-10 (주)노루페인트 친환경 기능성 우레탄 방수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886041B1 (ko) * 2017-12-01 2018-08-07 장용호 우레탄복합시트와 폴리우레아가 일체화된 복합방수공법
KR20200094505A (ko) 2019-01-30 2020-08-07 최동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KR102141416B1 (ko)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2271100B1 (ko) * 2020-11-06 2021-06-30 유재형 합성수지계 방수시트 및 도막 방수재의 접착력 개선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776B1 (ko)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2224342B1 (ko)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53028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US20140234563A1 (en) Peelable Coating
KR101690138B1 (ko) 멀티 합성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공법
CN103717394A (zh) 用于反射太阳辐射的防水涂层体系和用于形成该涂层体系中的白色装饰反射层的水性涂料
WO2012103298A2 (en)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biobased materials
KR101168246B1 (ko) 기능성 도료
KR10096361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식 시공방법
KR1024021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방지 및 에너지 절감 도장방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JP6917505B2 (ja) 被膜形成方法
KR101170353B1 (ko) 수용성 수지계열 방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공법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1197732B1 (ko)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KR102214479B1 (ko) 수용성 단열 탄성 방수제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570896B1 (ko)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방수도장방법
KR10187225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마감용 마감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마감 시공 방법
KR100973984B1 (ko) 실리콘계 침투성 흡수방지제와 실리콘변성아크릴계투명도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표면처리방법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20130050463A (ko) 건축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마감 시공방법
KR102558070B1 (ko) 친환경 우레아를 이용한 고인장성 및 공기단축 도장방법
SK6472Y1 (sk) A sandwich damp-proofing and method of its applications
KR102470660B1 (ko) 건물의 외벽에 대한 보수보강 및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