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505A -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505A
KR20200094505A KR1020190012076A KR20190012076A KR20200094505A KR 20200094505 A KR20200094505 A KR 20200094505A KR 1020190012076 A KR1020190012076 A KR 1020190012076A KR 20190012076 A KR20190012076 A KR 20190012076A KR 20200094505 A KR20200094505 A KR 20200094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rethane
sealant
elastic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788B1 (ko
Inventor
최동석
최상국
윤현호
구성만
Original Assignee
최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석 filed Critical 최동석
Priority to KR102019001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7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은 기존 누수방지층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걷어내고 제1우레탄층, 실런트층, 메쉬층, 탄성층, 제2우레탄층 및 제3우레탄층을 형성함므로써 인장력, 탄성력 및 결합력을 증가시켜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도 크랙 또는 들뜸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우레탄 방수공법의 단점인 옥상줄눈, 옥상바닥에 굴곡이나 편차가 있는 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 크랙이 심한 곳, 난간대 벽면의 크랙부분에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성, 내구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에도 신축성이 장기간 유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므로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수층의 파손부분이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방근성, 방수성, 단열성, 내후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방수구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Leakage prevention structure and leakage prevention method for repairing leaks of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레탄 방수공법의 단점인 옥상줄눈, 옥상바닥에 굴곡이나 편차가 있는 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 크랙이 심한 곳, 난간대 벽면의 크랙부분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성, 내구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에도 신축성이 장기간 유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옥상 방수공법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각 시공방법마다 장단점이 있고 각 시공방법의 장점으로는 5년에서 10년 종도의 내구성을 가지나, 단점으로는 크랙에 의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누수가 발생하면, 재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며, 재시공시 기존의 불량인 상태를 제거한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 비용과 자재비 및 인건비가 발생된다.
대표적인 옥상 방수공법에는 칼라강판공법과 시트방수공법 및 우레탄방수공법 등이 있다.
상기의 칼라강판공법은 옥상을 칼라강판으로 덮는 공법으로 반영구적이나, 재료비 및 시공비가 가장 비싼 단점이 있고, 시공시 충격으로 인한 찌그러짐과 무거운 물건 적체, 옥상의 점검 등을 위한 출입에 따른 파손 또는 찌그러짐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면 옥상 바닥으로 누수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보수공사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의 시트방수공법은 내구성이 강하나 시트와 옥상 바닥의 온도차이로 인한 수축과 팽창에 의해 시트와 누름콘크리트 바닥 사이가 벌어지고, 벌어진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여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기존의 옥상 바닥이 삭아 부식되어 누수가 발생하고, 시트 또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에 의해 이음부위의 결함이 발생하며, 충격에 약한 것은 물론 누수 발생시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우레탄방수공법은 굴곡이 없는 평평한 곳은 한번 시공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단점은 옥상바닥의 줄눈 부분과 크랙이 심한 부분, 옥상 난간대의 조인트부분 및 모서리 부분과 굴곡이 있는 부분은 움직임과 지속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약 3년 후부터 우레탄이 뜨거나 찢어짐이 발생하고, 찢어진 부분으로 빗물이 들어와 누수가 발생한다.
또한, 겨울철 및 여름철 콘크리트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하여 우레탄층의 갈라짐이 더욱 커지고 옥상 줄눈 속의 빗물 유입으로 줄눈안의 부자재가 빗물을 먹어 온도 차이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의해 부푸는 현상과 갈라짐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이 있다.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에 대한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1613호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방수기재, 상기 방수기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보조기재를 포함하여 적층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기재는 부직포와 그 저면에 형성되는 고무재로 형성되되, 상기 부직포와 고무재 사이에는 비철금속호일도 합지가 가능하며, 상기 보조기재는 보조 부직포, 이형지, 단열매트, 보조 비철금속호일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0150호는 고강도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고강도 장섬유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무용제 우레탄 방수층, 상기 고강도 장섬유 부직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되는 무기도막 방수층 및 상기 무기도막 방수층에 형성되는 상도 마감층을 포함하는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와 등록특허는 복합방수시트를 바닥 또는 바닥층에 접착하기 때문에 복합방수시트와 맞닿아 있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들뜸 현상이 발생된 부분에서 장력이 작용하여 파단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합방수시트가 바닥 또는 바닥층에 접착 즉,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고 이러한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곳곳에 탈기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부가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방수효율이 떨어지는 한편,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7776호(2016.06.07.(공고))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는 바닥에 밀착되고, 벽체에 부착되는 복합방수시트와; 바닥에 밀착된 복합방수시트의 하부에 유입부가 인입되고, 벽체에 부착된 복합방수시트에 부착설치되는 복수 개의 탈기장치와; 서로 이웃하는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부를 밀봉하기 위해 부착되는 연결시트와; 연결시트가 부착된 복합방수시트의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층; 및 미끄럼방지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탑코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방수시트는 바닥에 밀착되거나, 벽체에 부착되는 탈기층과; 탈기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방수시트와; 단열방수시트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부직포층과; 제1부직포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UV코팅방수시트층; 및 UV코팅방수시트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부직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기층과 제1,2부직포층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방수시트는 무용제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시트는 하부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부에 부직포층이 형성되는 우레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단열방수시트, UV코팅방수시트층 및 부직포를 일체화시킨 복합방수시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기존의 방수시트와 같이 들뜸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7776호(2016.06.07.(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레탄 방수공법의 단점인 옥상줄눈, 옥상바닥에 굴곡이나 편차가 있는 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 크랙이 심한 곳, 난간대 벽면의 크랙부분에 제1우레탄층, 실런트층, 메쉬층, 탄성층, 제2우레탄층 및 제3우레탄층으로 형성되는 누수방지구조를 적용하므로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방수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에도 신축성이 장기간 유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랙과 찢어짐이 발생한 곳만을 부분적으로 보수하여 옥상 전체를 우레탄으로 다시 시공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고, 인장력과 탄성력을 증가시켜 굴곡과 편차가 많은 부분에도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 누수방지층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걷어내고 콘크리트층의 내부로 침투되게 도포하여 실런트층과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한 접착성의 액체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우레탄층과; 접착성을 가지며 제1우레탄층과 제2우레탄층 사이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제1우레탄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실런트층과; 실런트층과 결합하여 인장력,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실런트층에 흡수되게 설치되는 메쉬층과; 탄성력과 인장력을 증대하기 위해 실란트와 제2우레탄층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실런트층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층과; 제1우레탄층과 탄성층에 흡수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제1우레탄층과 탄성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우레탄층; 및 제2우레탄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는 제3우레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런트층, 메쉬층 및 탄성층은, 서로 결속이 이루어져 인장력, 탄성력이 형성되어 온도에 의한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하여 갈라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성층은, 탄성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섬유는 실런트층의 실런트와 제2우레탄층의 우레탄이 내부로 침투되면서 상호 접착되어 고무밴드화되어 인장력 및 탄성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옥상 바닥, 줄눈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과 벽면 크랙 부분을 포함하는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형성된 기존 누수방지층을 걷어내어 콘크리트층이 보이도록 한 후 건조 및 청소하는 전처리단계(S10)와;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콘크리트층의 바닥에 침투되도록 100mm 넓이로 접착성을 갖는 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제1우레탄층형성단계(S20)와; 제1우레탄층이 형성된 부분에 보수제를 이용하여 보수한 후 접착성을 갖는 실런트를 제1우레탄층의 상부에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는 실런트층형성단계(S30)와; 실런트가 도포된 넓이와 두께보다 작은 넓이와 두께로 형성된 와이어메쉬를 실런트의 내부로 흡수되게 설치하는 메쉬층형성단계(S40)와; 와이어메쉬가 실런트의 내부로 흡수되게 설치된 상부에 탄성섬유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접착이 이루어지지는 탄성층형성단계(S50)와; 실런트, 와이어메쉬, 탄성섬유가 서로 결속되면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는 제1양생단계(S60)과; 제1양생 후 탄성섬유의 상부에 우레탄을 제1우레탄층과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여 탄성섬유가 우레탄을 흡수하여 결속되도록 하는 제2우레탄층형성단계(S70)와; 탄성섬유의 상부에 도포된 우레탄이 상온에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는 제2양생단계(S80)와; 미관을 위하여 보수작업이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옥상 전체에 우레탄을 도포하는 제3우레탄층형성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레탄 방수공법의 단점인 옥상줄눈, 옥상바닥에 굴곡이나 편차가 있는 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 크랙이 심한 곳, 난간대 벽면의 크랙부분에 제1우레탄층, 실런트층, 메쉬층, 탄성층, 제2우레탄층 및 제3우레탄층으로 형성되는 누수방지구조를 적용하므로서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성, 내구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에도 신축성이 장기간 유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수층의 파손부분이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방근성, 방수성, 단열성, 내후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방수구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메쉬와 탄성섬유에 의해 크랙과 찢어짐이 발생한 곳만을 부분적으로 보수하여 옥상 전체를 우레탄으로 다시 시공을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메쉬와 탄성섬유에 의해 인장력과 탄성력을 증가시켜 굴곡과 편차가 많은 부분에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를 계단식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은 기존 누수방지층(2)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걷어내고 제1우레탄층(10), 실런트층(20), 메쉬층(30), 탄성층(40), 제2우레탄층(50) 및 제3우레탄층(60)을 형성함므로써 인장력, 탄성력 및 결합력을 증가시켜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도 크랙 또는 들뜸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상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누수방지층(2)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걷어내고 콘크리트층(1)의 내부로 침투되게 도포하여 실런트층(20)과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한 접착성의 액체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우레탄층(10)과; 접착성을 가지며 제1우레탄층(10)과 제2우레탄층(50) 사이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제1우레탄층(10)의 상부에 도포되는 실런트층(20)과; 실런트층(20)과 결합하여 인장력,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실런트층(20)에 설치되는 메쉬층(30)과; 탄성력과 인장력을 증대하기 위해 실런트와 제2우레탄층(50)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실런트층(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층(40)과; 제1우레탄층(10)과 탄성층(40)에 흡수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제1우레탄층(10)과 탄성층(4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우레탄층(50); 및 제2우레탄층(50)의 상부에 도포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는 제3우레탄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를 첨부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를 계단식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는 기존 누수방지층(2)에 크랙이 발생한 부분의 상부에 제1우레탄층(10), 실런트층(20), 메쉬층(30), 탄성층(40), 제2우레탄층(50) 및 제3우레탄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우레탄층(10)은 기존 누수방지층(2)에 보수가 필요한 크랙, 줄눈, 난간대 모서리, 조인트 및 난간대 벽면 부분의 상부에 도포되는 기존 누수방지층(2)을 걷어낸 그 하부의 콘크리트층(1)의 내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가지며 액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우레탄층(10)의 도포는 스프레이 또는 붓 등을 이용하여 1mm에서 3mm 사이로 두께를 형성하고,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약 100mm의 폭으로 도포한다.
상기 실런트층(Sealant)(20)은 기밀, 수밀의 기능 외에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하여 완화하기 위한 고무상의 물질로 접착성을 가지며 제1우레탄층(10)과 제2우레탄층(50) 사이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실런트층(20)은 메쉬층(30)이 잠길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갖는 액상이 2mm에서 5mm 사이의 두께를 형성하고, 폭은 100mm로 이루어지도록 스프레이 또는 붓 등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상기 메쉬층(30)은 약 1mm ~ 2mm 정도 두께의 금속재질로된 와이어메쉬(31)로 이루어져 실런트층(20)의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메쉬(31)는 경사 또는 위사로 채택되어 평직되는 망으로 구성됨으로써 고르게 펼쳐진 실런트가 구멍으로 유입되어 콘트리트와 철근이 결속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어 인장력과 결합력이 증가된다.
상기 실런트와 와이어메쉬(31)의 결속에 의해 온도 차이로 인한 수축, 팽창시 갈라짐과 터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콘크리트층(1) 면의 굴곡에 따른 편차가 심하여도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층(40)은 실런트와 우레탄이 결합하여 탄성력과 인장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실런트층(20)과 제2우레탄층(5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섬유(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탄성력 및 인장력의 증대는 실런트와 우레탄이 면조직(또는 섬유조직)의 내부로 유입되어 서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실런트와 우레탄에 의해 면조직(또는 섬유조직)이 고무밴드화되어 탄성력을 증대시켜 온도에 의한 수축과 팽창시 갈라지거나 터짐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층(40)은 실런트층(2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실런트와 탄성섬유(41)와의 결속이 용이하도록 압력을 가하여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우레탄층(50)은 상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실런트층(20)과 탄성층(40)을 보호함과 동시에 실런트층(20)과 제3우레탄층(60)의 결속을 증대시킨다.
상기 제2우레탄층(50)은 제1우레탄층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로 우레탄이 도포된다. 또한, 제2우레탄층(50)은 제1우레탄층(1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런트, 와이어메쉬(31) 및 탄성섬유(41)의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우레탄층(60)은 이음매없이 도막 형성이 가능하도록 처음 도포한 제2우레탄층(50)과 기존 누수방지층(2)을 포함하여 방수구조가 형성된 전체에 도포한다.
상기와 같이 제3우레탄층(60)은 제2우레탄층(50)을 포함하는 기존 누수방지층(2)을 포함하여 방수구조가 형성된 전체에 도포함으로써 제2우레탄층(50) 및 기존 누수방지층(2)과의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은 옥상 바닥, 줄눈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과 벽면 크랙 부분을 포함하는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형성된 기존 누수방지층(2)을 걷어내어 콘크리트층(1)이 보이도록 한 후 건조 및 청소하는 전처리단계(S10)와;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콘크리트층(1)의 바닥에 침투되도록 100mm 넓이로 접착성을 갖는 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제1우레탄층형성단계(S20)와; 제1우레탄층(10)이 형성된 부분에 보수제를 이용하여 보수한 후 접착성을 갖는 실런트를 제1우레탄층(10)의 상부에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는 실런트층형성단계(S30)와; 실런트가 도포된 넓이와 두께보다 작은 넓이와 두께로 형성된 와이어메쉬(31)를 실런트의 내부로 흡수되게 설치하는 메쉬층형성단계(S40)와; 와이어메쉬(31)가 실런트의 내부로 흡수되게 설치된 상부에 탄성섬유(4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접착이 이루어지지는 탄성층형성단계(S50)와; 실런트, 와이어메쉬(31), 탄성섬유(41)가 서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는 제1양생단계(S60)과; 제1양생단계(S60) 후 탄성섬유(41)의 상부에 우레탄을 제1우레탄층(10)과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여 탄성섬유밴드(41)가 우레탄을 흡수해 결속되도록 하는 제2우레탄층형성단계(S70)와; 탄성섬유(41) 상부에 도포된 우레탄이 양생되도록 상온에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는 제2양생단계(S80)와; 미관을 위하여 보수작업이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옥상 전체에 우레탄을 도포하는 제3우레탄층형성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바닥의 크랙난 부분, 줄눈 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 벽면 크랙이 있는지 확인하여 기존 누수방지층(2)에서 들뜬 부분 또는 찢겨진 부분, 크랙 등이 발생한 부분을 걷어내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층(1)이 들어나게 한 후 건조 및 청소하는 전처리작업(S10)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누수가 발생한 부분의 넒이보다 100mm 이상 넓게 우레탄을 도포하여 제1우레탄층(10)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층(1)의 내부로 침투되도록 형성(S20)한다.
상기 제1우레탄층(10)을 형성한 상태에서 크랙 등에 대하여 보수재를 이용해 보수를 한 후 접착성을 갖는 실런트를 제1우레탄층(10)과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여 실런트층(20)을 형성(S30)한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층(20)은 와이어메쉬(31)가 액상의 실런트에 함침될 수 있도록 적어도 2m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와이어메쉬(31)는 도포되는 실런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실런트를 제1우레탄층(10)에 도포한 상태에서 와이어메쉬(31)를 그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콘트리트와 철근이 결속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 인장력과 결합력이 증대되게 실런트층(20)에 메쉬층(30)을 형성(S40)한다.
상기 실런트층(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와이어메쉬(31)는 상부에서 가압이 이루어지고, 가압에 의해 와이어메쉬(31)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 실런트가 유입되어 결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런트층(20)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31)는 실런트가 도포된 넓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데, 예를 들어 실런트가 100mm의 넓이로 도포되었다면 와이어메쉬(31)는 70mm로 형성하여 실런트에 함침되도록 한다.
상기 실런트에 와이어메쉬(31)를 함침시킨 상태에서 실런트층(20)의 상부에 탄성섬유(41)를 설치하여 탄성층 형성단계(S50)를 실시한다. 상기 탄성섬유(4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를 강합하여 실런트가 면조직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섬유(41)를 이용하여 탄성층(40)을 형성한 상태에서 1차로 양생되게 하는 제1양생단계(S60)을 실시하며, 이때 적어도 20시간 이상을 양생하여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층(40)의 탄성섬유(41)의 상부에 우레탄을 도포하여 제2우레탄층(50)을 형성하는 제2우레탄층 형성단계(S70)를 실시한다.
상기 탄성섬유(41)의 상부로 우레탄이 도포되면, 실런트층(20)의 실런트와 제2우레탄층(50)의 우레탄이 탄성섬유(41)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런트와 제2우레탄층(50)의 우레탄이 내부로 침투되면서 상호 접착이 이루어져 탄성섬유(41)가 고무밴드화 되어 인장력 및 탄성력을 갖게 된다.
상기 고무밴드화 된 탄성섬유(41)는 온도의 차이로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도 실런트와 제2우레탄층(50)의 우레탄에 의해 인장력과 탄성력이 생성되어 갈라짐 또는 터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2우레탄층(50)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2양생단계(S80)을 거치는데, 이때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여 견고하게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양생단계(S80)을 행한 상태에서 보수작업이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여 기존 누수방지층 전체에 우레탄을 도포하여 보수작업이 이루어진 부분과 구별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미관이 수려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레탄 방수공법의 단점인 옥상줄눈, 옥상바닥에 굴곡이나 편차가 있는 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 크랙이 심한 곳, 난간대 벽면 크랙 부분에 제1우레탄층(10), 실런트층(20), 메쉬층(30), 탄성층(40), 제2우레탄층(50) 및 제3우레탄층(60)으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구조를 적용하므로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성, 내구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에도 신축성이 장기간 유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수층의 파손부분이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방근성, 방수성, 단열성, 내후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방수구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메쉬(31)와 탄성섬유(41)에 의해 크랙과 찢어짐이 발생한 곳만을 부분적으로 보수하여 옥상 전체를 우레탄으로 다시 시공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메쉬(31)와 탄성섬유(41)에 의해 인장력과 탄성력을 증가시켜 굴곡과 편차가 많은 부분에도 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콘크리트층 2: 기존 누수방지층
10: 제1우레탄층 20: 실런트층
30: 메쉬층 31: 와이어메쉬
40: 탄성층 41: 탄성섬유
50: 제2우레탄층 60: 제3우레탄층

Claims (4)

  1. 건축물에서 발생된 기존 누수방지층(2)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걷어내고 콘크리트층(1)의 내부로 침투되게 도포하여 실런트층과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한 접착성의 액체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우레탄층(10)과;
    접착성을 가지며 제1우레탄층(10)과 제2우레탄층(50) 사이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제1우레탄층(10)의 상부에 도포되는 실런트층(20)과;
    실런트층(20)과 결합하여 인장력,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실런트층(20)에 설치되는 메쉬층(30)과;
    실런트와 우레탄이 결합하여 탄성력과 인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실런트층(20)과 제2우레탄층(5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층(40)과;
    제1우레탄층(10)과 탄성층(40)에 흡수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제1우레탄층(10)과 탄성층(4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우레탄층(50); 및
    제2우레탄층(50)의 상부에 도포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는 제3우레탄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층(20), 메쉬층(30) 및 탄성층(40)은,
    서로 결속이 이루어져 인장력, 탄성력이 생성되어 온도 차이로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해 갈라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40)은,
    탄성섬유(41)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섬유(41)는 실런트층(20)의 실런트와 제2우레탄층(50)의 우레탄이 내부로 침투되면서 상호 접착되어 고무밴드화되어 인장력 및 탄성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4. 옥상 바닥, 줄눈부분, 난간대의 조인트 및 모서리 부분과 벽면 크랙 부분을 포함하는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기존 누수방지층(2)을 걷어내어 콘크리트층(1)이 보이도록 한 후 건조 및 청소하는 전처리단계(S10)와;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콘크리트층(1) 바닥에 침투되도록 100mm 넓이로 접착성을 갖는 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제1우레탄층형성단계(S20)와;
    제1우레탄층(10)이 형성된 부분에 보수제를 이용하여 보수한 후 접착성을 갖는 실런트를 제1우레탄층(10)의 상부에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는 실런트층형성단계(S30)와;
    실런트가 도포된 넓이와 두께보다 작은 넓이와 두께로 형성된 와이어메쉬(31)를 실런트의 내부로 흡수되게 설치하는 메쉬층형성단계(S40)와;
    와이어메쉬(31)가 실런트의 내부로 흡수되게 설치된 상부에 탄성섬유(4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접착이 이루어지지는 탄성층형성단계(S50)와;
    실런트, 와이어메쉬(31), 탄성섬유(41)가 서로 결속되면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는 제1양생단계(S60)과;
    제1양생단계(S60) 후 탄성섬유(41)의 상부에 우레탄을 제1우레탄층(10)과 동일한 넓이로 도포하여 탄성섬유(41)가 우레탄을 흡수하여 결속되도록 하는 제2우레탄층형성단계(S70)와;
    탄성섬유(41) 상부에 도포된 우레탄이 양생되도록 상온에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0시간 이상 양생하는 제2양생단계(S80)와;
    미관을 위하여 보수작업이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옥상 전체에 우레탄을 도포하는 제3우레탄층형성단계(S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방법.
KR1020190012076A 2019-01-30 2019-01-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KR10227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76A KR102273788B1 (ko) 2019-01-30 2019-01-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76A KR102273788B1 (ko) 2019-01-30 2019-01-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505A true KR20200094505A (ko) 2020-08-07
KR102273788B1 KR102273788B1 (ko) 2021-07-06

Family

ID=7204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076A KR102273788B1 (ko) 2019-01-30 2019-01-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7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931B1 (ko) * 2012-11-12 2013-07-16 조우림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6-07 강판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180109361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931B1 (ko) * 2012-11-12 2013-07-16 조우림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6-07 강판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180109361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788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67014B1 (ko)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US20100196658A1 (en) Layer composite as a support for ceramic, stone or similar coverings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0593460B1 (ko)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102410842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또는 구조물 외부용 방수시트
KR101128760B1 (ko) 풍압에 의한 파열을 방지하는 노출 지붕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200451710Y1 (ko) 복합 박스형 패널 방수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379669B1 (ko) 단열방수패널 설치용 방수바탕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열방수층 시공방법
KR20200094505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KR100956884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24341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0638990B1 (ko) 시트방수 구조 및 방수공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KR101039239B1 (ko)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20180042604A (ko) 옥상 구조물의 복합 방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056548B1 (ko) 통기완충형 복합시트부를 포함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이의 방수시공방법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