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476B1 -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476B1
KR100875476B1 KR1020080093940A KR20080093940A KR100875476B1 KR 100875476 B1 KR100875476 B1 KR 100875476B1 KR 1020080093940 A KR1020080093940 A KR 1020080093940A KR 20080093940 A KR20080093940 A KR 20080093940A KR 100875476 B1 KR100875476 B1 KR 10087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groove
waterproof
waterproof sheet
coating film
waterproof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주)한은이앤씨
이원우
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은이앤씨, 이원우, 정철수 filed Critical (주)한은이앤씨
Priority to KR102008009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93Materials im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의 일면에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약 5cm 정도 작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를 구비하여, 건설 구조물의 옥상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층에 상기 방수시트의 폭보다 5 내지 7㎝ 작은 간격으로 커팅홈을 형성하고, 상기 커팅홈 사이에 방수시트를 덮은 상태에서 커팅홈의 폭보다 넓은 부직포부분을 90°로 아래로 꺾어 커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커팅홈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과 동시에 방수시트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온의 변화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건설구조물의 신축변형에 옥상 구배층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표층의 균열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이 견고하게 대응케 하여 방수시트의 분리현상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가 도막 방수재에 의해 커팅홈에 견고하게 결착되어 방수시트 연결부위의 들뜸 및 분리현상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더불어 하자발생시 방수시트가 설치된 격자구획별 보수가 가능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보수공사시 철거하여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의 양을 대폭 감소시켜 환경보존에 기여함은 물론, 시공의 간소화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과 공사기간 단축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이 재현되게 한다.
방수, 방수시트, 커팅홈, 삽입홈, 공기연통관, 통기관, 도막방수재 연결부, 도막 방수층

Description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A WATER PROOF EXECU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구조물의 옥상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방지를 위해 그 상부에 시공되는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의 일면에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약 5cm 정도 작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를 구비하여, 건설구조물의 옥상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표층에 상기 방수시트의 폭보다 5 내지 7cm 정도 작은 간격으로 커팅홈을 형성하고, 상기 커팅홈 사이에 방수시트를 덮고 커팅홈 보다 넓은 부직포부분을 90°로 아래로 꺾어 커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커팅홈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과 동시에 방수시트 상부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후의 변화로 인한 건설구조물의 표층의 균일이나 파손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 연결부위의 분리현상을 억제하여, 방수층은 물론 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하고, 작업 공정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또는 빌딩 등과 같은 건설구조물은 콘크리트와 철근 등으로 조성되고 그 내·외부에 각종 내외장재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의 옥상이나 슬라브에는 그 표면에 직접 방수재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층을 형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수층은 기온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수축, 팽창의 반복에 의해 구조체는 물론 상기 방수층까지 균열되어 누수가 발생하였고, 방수층의 균열된 부위를 통해 우수가 구조물의 내부로 침투하여 구조물 전체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막방수재를 구조물의 상부에 직접 도포하지 않고 방수시트를 별도 제작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펴서 깐 다음 상기 방수시트의 연결부위를 도박방수재로 접합하고, 방수시트 상부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복합방수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합방수공법은 구조체의 변형에 원활하게 대응하는 기능이 부족하여 기온변화로 인한 구조물의 균열이나 파손이 생길 경우 방수시트의 연결부위에서 구조물과 방수시트가 들뜨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찢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 연결부위의 하자로 인하여 우수가 침투할 경우 인접한 방수시트의 표면접착력도 조기에 저하되어 방수시트 전체가 구조물과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특허 10-0806253(건설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커팅홈을 형성하고, 상기 커팅홈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삽입홈을 "+"자 형태가 되게 일정 깊이로 형성하여 공기연통관의 양단이 각각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격자구획별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커팅홈 사이에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덮은 상태에서, 소정 면적당 필요한 수의 탈기공을 설치하고, 상기 커팅홈에 우레탄을 충진함과 동시에 방수시트 상부 전체에 우레탄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다시 착색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된 특허 10-0806253은 방수시트의 연결부위에 커팅홈을 형성하고 방수시트 가장자리 부분을 구조물 표면에 접착을 한 다음 커팅홈에 우레탄을 충진함과 동시에 방수시트 상부에 우레탄을 도포하고 있는데, 상기의 시공공법은 기온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표층 파손을 예방하고 그에 따른 방수시트 연결부위의 들뜸 및 분리현상은 감소할 수 있으나, 방수시트 자체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방수시트 연결부위가 들뜨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은 완전히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직포의 일면에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약 5cm 정도 작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를 구비하여, 건설구조물의 옥상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표층에 상기 방수시트의 폭보다 5 내지 7cm 정도 작은 간격으로 커팅홈을 형성하고, 상기 커팅홈 사이에 방수시트를 덮고 커팅홈의 폭보다 넓은 부직포부분을 90°로 아래로 꺾어 커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커팅홈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과 동시에 상기 방수시트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온의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변형 뿐만 아니라 방수층 자체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방수시트 연결부위의 균열에 대한 대응력을 극대화시켜 방수층은 물론 구조체의 수명을 장구히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 공정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의 단축함과 동시에 하자발생시 방수시트가 설치된 격자구획별 보수가 가능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보수공사시 철거하여 처리해야하는 폐기물의 양을 대폭 감소시켜 환경보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구조물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구조물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공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약 5cm 정도 작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30)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의 표층에 콘크리트 커터기를 이용하여 방수시트(30)의 폭보다 5 내지 7cm정도 작게 구획을 나누어 일정깊이의 커팅홈(10)을 커팅하는 제 1단계(S1)와; 상기 제 1단계(S1)에 의해 형성된 커팅홈(10)과 커팅홈(10)을 따라 구조물의 면에 일정 폭으로 프라이머(P)를 도포하는 제 2단계(S2)와; 상기 제 2단계(S2)에서 도포한 프라이머(P)가 건조된 후, 상기 방수시트(30)를 커팅홈(10) 사이의 중앙에 편 다음 커팅홈(10) 사이 폭보다 넓은 부직포 부분을 90°로 아래로 꺾어 커팅홈(10)에 삽입하고 상기 방수시트(30)와 이웃하는 방수시트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커팅홈(10)에 삽입한 후 인접한 두 방수시트의 부직포가 접한 틈으로 필러(F)를 끼워 눌러 커팅홈(10) 하단까지 삽입하여 방수시트(30)를 고정하는 제 3단계와(S3); 제 3단계(S3)에서 방수시트(30)의 부직포 부분과 필러(F)가 삽입된 상기 커팅홈(10)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과 동시에 커팅홈(10)을 따라 방수시트(30) 상부에 도막 방수재를 일정 폭으로 도포하여 도막방수재 연결부(40)을 형성하는 제 4단계(S4)와; 상기 제 4단계(S4)에서 도포하지 않은 방수시트의 잔여 부분에 도막 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50)을 형성하는 제 5단계(S5)와; 제 5단계(S5)에서 형성된 방수층(50) 상부에 착색 보호재를 도포하거나 보호모르타르 타설, PE필름 깔기, 발포스폰지 부착 등으로 방수보호층(60)을 형성하는 제 6단계(S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방수시트가 도막 방수재에 의해 커팅홈에 견고하게 결착되어 방수시트 연결부위의 들뜸 및 분리현상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더불어 하자발생시 방수시트가 설치된 격자구획별 보수가 가능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우수하며,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방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수공사시 철거하여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의 양을 대폭 감소시켜 환경보존에 기여함은 물론, 시공의 간소화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과 공사기간 단축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이 재현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의 일면에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약 5cm 정도 작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를 구비하여, 건설 구조물의 옥상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층에 상기 방수시트의 폭보다 5 내지 7cm 작은 간격으로 커팅홈을 형성하고, 상기 커팅홈 사이에 방수시트를 덮은 상태에서 커팅홈의 폭보다 넓은 부직포부분을 90°로 아래로 꺾어 커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커팅홈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과 동시에 방수시트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온의 변화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건설 구조물의 신축변형에 방수층이 원활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건설구조물의 옥상 구배층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표층의 균열이나 파손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방수구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시공공정을 도시해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팅홈에 의한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은 제 1단계 ∼ 제5단계(S1 ∼ S5)로 크게 분류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방수시트(30)를 준비하여야 하는바, 본 발명에 사용될 방수시트는 일측은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발포스폰지, 다른 일측은 부직포로 구성되고, 부직포의 폭은 1.2m ∼ 1.6m정도이며 다른 측의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발포스폰지 보다 양측으로 각각 5cm정도 넓게 형성하되, 롤 형태로 감아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방수시트(30)는 일측은 부직포, 다른 일측은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부직포는 소정의 인장 강도는 지니면서 커팅 홈(10)에 부드럽게 90°로 아래로 꺾이면서 삽입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무게는 100 ∼ 150g/㎡정도가 적당하며 그 폭은 일측에 접착되는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발포스폰지 등의 폭보다 양측으로 5cm정도 넓은 것을 사용하여 방수시트(30)를 커팅홈(10) 사이에 덮었을 때 양측으로 각각 2.5 ∼ 3cm정도가 커팅홈(10)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부직포부분이 커팅홈(10)에 꺾여 삽입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준비된 방수시트(30)로 시공되는 본 발명 방수공법의 제 1단계(S10)는 건설구조물의 옥상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표층(G)에 커팅홈(1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커터기를 이용하여 방수시트(30)의 부직포 부분 폭보다 5 ∼ 7㎝ 정도 작은 폭으로 3㎝ 정도 깊이의 커팅홈(10)을 형성하고 커팅시 발생한 분진은 진공청소기 등으로 처리를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커팅홈(10)은 구조물 표층 전체에 약 5 ∼ 8mm정도의 폭과 약 3cm정도의 깊이로 방수시트의 규격을 고려하여 격자형태가 되도록 형성하게 되며, 후공정으로 상기 커팅홈(10) 내부에 방수시트(30)의 부직포 부분이 끼워지고 다시 액상의 도막 방수재가 스며들어 경화됨으로써 분리배치되는 방수시트(30)를 하나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결착되도록 하여 기온변화에 따른 구조체의 수축 및 팽창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 자체의 신축에 의한 상기 방수시 트(30)의 연결부위 들뜸이나 균열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는 상기 제 1단계(S1)에서 형성된 커팅홈(10)과 커팅홈(10)을 따라 구조물의 표면에 일정 폭으로 후공정으로 도포될 도막 방수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P)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팅홈(10)을 따라 구조물의 표면에 폭 20㎝ 정도의 롤러를 사용하여 프라이머(P)를 도포하여 커팅홈(10)에도 프라이머(P)가 흘러들어가서 피막을 형성하되, 커팅홈(10)과 인접하는 콘크리트 표면에도 프라이머(P)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3단계(S3)는 상기 제 2단계(S2)에서 도포한 프라이머(P)가 건조된 후 상기 구조물 상면 전체에 방수시트(30)를 펴서 깔고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수시트(30)를 커팅홈(1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즉, 방수시트(30)를 폈을 때 상기 커팅홈(10) 밖으로 돌출되는 방수시트의 부직포부분의 길이가 양측이 각각 약 2.5 ∼ 3cm정도로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커팅홈(10) 밖으로 돌출된 부직포 부분은 도구를 이용하여 90°로 아래로 꺾어 커팅홈(10)에 삽입한 후, 상기 방수시트(30)와 이웃하는 방수시트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커팅홈(10)에 삽입하고 상기 두 방수시트의 부직포부분이 90°로 아래로 꺾이면서 접한 틈으로 직경 5mm정도의 필러(F)를 끼워 눌러 커팅홈(10) 하단까지 삽입하여 방수시트가 고정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단계(S4)는 도막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하여 분리 배치되는 방수시트(30)를 일체화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커팅홈(10)에 견고하게 결착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접한 두 방수시트의 부직포 부분과 필러(F)가 삽입되어 있는 커팅홈(10)을 따라 상기 방수시트(30)의 상부에 폭이 약 20cm정도의 롤러를 이용하여 도막방수재를 수회 도포하여 커팅홈(10)에 도막 방수재가 충진됨과 동시에 커팅홈(10)에 인접된 방수시트(30) 연결부위의 부직포부분에 일정 두께로 함침되도록 하여 "┳"자 형태의 도막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배치된 방수시트(30)가 하나로 연결되고 커팅홈(10)에 결착되어 견고한 방수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며, 중간에 기포가 생기거나 도막 방수재가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밀실하게 시공하면 된다.
한편, 상기 도막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 후, 구조물 표면의 특성 및 현장여건에 따라 방수층을 부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바, 도포하지 않은 방수시트(30)의 상부에 도막 방수재를 1.5㎜ ~ 2.5㎜의 두께로 도포하여 도막방수층(50)을 형성하여 일층 향상된 방수효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 5단계(S5)는 제 4단계(S4)에서 형성된 방수구조를 자외선이나 보행자, 외부 하중 등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수보호층(6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바, 보행자의 왕래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막 방수재가 완전히 경화된 후 상부에 자외선 차단용 도료나 안료를 소정 두께로 도포를 하고, 보행자가 많거나 방수층의 손상이 우려되는 곳이라면 보호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흙을 복토하는 경우 PE필름을 깔거나 1 ∼ 2㎝정도 두께의 발포스폰지를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정을 갖는 본 발명에서, 방수시트 하부의 습기나 공기를 외기와 연통되게 하여 방수시트의 사용연한을 연장할 수 있는바, 이는 상기 제 1단계(S1)에 의해 형성된 커팅홈(10)과 직각형태인 "+" 형태가 되도록 삽입홈(20)을 형성하고 그 속에 공기연통관(70)을 설치한 후, 방수시트(30)를 깔고 방수시트를"+" 형태로 절단하여 탈기공(80)의 하단을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방수시트 하부와 외기가 연통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의 공정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이 자명한 사실이라 하겠다.
상기 공정은 소형 핸드커터기를 이용하여 격자형태로 형성된 커팅홈(10)의 소정 위치에 커팅홈(10)과 직각방향으로 폭은 약 5mm정도, 깊이는 대략 3 ∼ 5cm정도의 삽입홈(2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20) 내에 직경 5㎜정도의 고무호스를 일정 길이로 자른 공기연통관(70)을 양 끝단이 상향되게 즉, 완만한 "U"자 형태가 되도록 삽입홈(20)의 바닥까지 밀착되게 눌러 끼운 후 그 위를 모르타르나 실리콘 또는 저점도 도막 방수재 등으로 채워서 주변 바닥과 수평하게 처리하면 되며, 방수 시트(30)를 배치한 후 방수시트(30)를 절단하여 약 100㎡당 1개의 탈기공을 설치하게 되는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어 구조체 상부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절취홈과 탈기공(80)이 접하는 연결부분을 유리섬유로 보강하여 수밀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건설구조물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구조물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방수공법으로써, 일측은 자외선에 강하고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등이 강하여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방수성능을 지니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다른 일측은 부직포이면서 그 폭이 상기 합성고무나 합성수지부분의 폭보다 양측으로 각각 5cm정도 넓게 하여 두 재료를 일체화시킨 방수시트를 준비하여, 상기 구조물의 표층에 콘크리트 커터기를 이용하여 일정 깊이의 커팅홈(10)을 격자형태가 되도록 형성하는 제 1단계(S1)와; 상기 제 1단계에서 형성된 커팅홈(10)과 상기 커팅홈(10)을 따라 20㎝정도의 폭으로 구조물의 표면에 도막 방수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P)를 도포하는 제 2단계(S2)와; 상기 제 2단계(S2)에서 도포한 프라이머(P)가 건조된 후, 상기 프라이머(P) 상부에 동일한 폭으로 도막 방수재(U)를 도포하는 제 3단계(S3)와, 상기 제 3단계(S3)에서 도포한 도막 방수재(U)의 경화가 시작되기 전 상기 커팅홈(10) 사이에 방수시트(30)를 합성섬유나 합성고무부분이 상부, 부직포부분이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커팅홈(10) 밖으로 돌출된 부직포부분을 양측 각각 2.5 ∼ 3cm정도로 동일하게 펴서 덮은 다음, 상기 도막 방수재가 도포된 위치의 방수시트(30) 부분을 위에서 눌러 도막 방수재가 부직포 위로 스며들어 합성섬유나 합성고무 부분과 일체로 접착되게 하고 커팅홈(10) 밖으로 돌출된 부직포 부분을 커팅홈(10)에 꺾어 삽입하는 제 4단계(S4)와, 상기 커팅홈(10)과 방수시트(30) 연결부위의 부직포 부분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침하여 방수시트(30)의 합성섬유나 합성고무부분과 동일한 높이로 처리하여 도막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하는 제 5단계(S5)와; 상기 도막 방수재가 완전 경화된 후 그 상부에 자외선에 강한 도료나 안료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거나 자외선에 강하고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등을 지닌 폭 7 ∼ 10cm정도의 합성수지 테이프를 접착하여 도막 방수재의 방수 보호층(60)을 형성하는 제 6단계(S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수구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팅홈 20 : 삽입홈
30 : 방수시트 40 : 도막방수재 연결부
50 : 도막 방수층 60 : 방수 보호층
70 : 공기연통관 80 : 탈기공
S1 ~ S6 : 제 1단계 ~ 제 6단계

Claims (5)

  1. 건설구조물의 옥상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공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합성고무나 합성수지를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5cm 정도 작도록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30)를 준비하여,
    방수해야 할 구조물의 표층에 상기 방수시트(30)의 부직포 부분의 폭보다 5 내지 7cm 정도 작게 격자구획을 나누어 일정깊이의 커팅홈(10)을 커팅하는 제 1단계(S1)와;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형성된 커팅홈(10) 및 커팅홈(10)과 인접된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P)를 도포하는 제 2단계(S2)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도포한 프라이머(P)가 건조된 후, 커팅홈(10) 사이의 중앙에 방수시트(30)를 편 다음 커팅홈(10) 밖으로 돌출된 부직포 부분을 도구를 이용하여 커팅홈(10) 내에 삽입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방수시트(30)의 측면에 이웃하도록 방수시트(30)를 편 다음 부직포를 커팅홈(10) 속에 삽입한 후, 상기 커팅홈(10)에 필러(F)를 눌러 끼워 방수시트(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 3단계(S3)와;
    제 3단계(S3)에서 형성된 커팅홈(10)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과 동시에 커팅홈(10)을 따라 방수시트(30) 상부에 일정 폭으로 도포하여 도막 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하는 제 4단계(S4)와;
    상기 제 4단계에 의해 형성된 방수구조의 상부에 방수보호층(60)을 형성하는 제 5단계(S5);를 포함하여 격자구획별 커팅홈을 형성하여 방수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홈(10)의 소정위치에 커터기를 이용하여 " + " 자 형태가 되도록 일정깊이의 삽입홈(20)을 형성하고, 삽입홈(20)에 일정길이의 공기연통관(70)을 삽입하되, 절곡된 중앙부분에 모르타르나 씰링재 혹은 저점도 도막 방수재를 충진하여 견고하게 고정·설치하고, 일정면적당 탈기공(80)을 설치하여 방수시트(30) 하부의 공기를 외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방수시트(30)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방수재의 충진은 도막 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한 후, 도막 방수재가 도포되지 않은 방수시트(30)의 잔여부분에 도막 방수재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도막방수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보호층(60)은 자외선 차단용 도료나 안료를 소정두께로 도포하여 착색보호층을 형성하거나 보호모르타르 타설, PE필름 깔기, 방수 보호판 부착 중 어느 하나로 방수 보호층(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구조물 방수공법.
  5. 건설구조물의 옥상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공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측에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부직포의 폭보다 양 끝단이 각각 약 5㎝ 정도 좁게 일체화시킨 롤 형태의 방수시트(30)를 준비하여,
    방수해야 할 구조물의 표층에 콘크리트 커터기를 이용하여 격자형태가 되도록 일정 깊이의 커팅홈(10)을 형성하는 제 1단계(S1)와;
    상기 제 1단계에서 형성된 커팅홈(10) 및 커팅홈(10)과 인접된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P)를 도포하는 제 2단계(S2)와;
    상기 제 2단계(S20)에서 도포한 프라이머(P)가 건조된 후, 상기 프라이머 상부에 동일한 폭으로 도막 방수재(U)를 도포하는 제 3단계(S3)와;
    상기 커팅홈(10) 사이에 합성섬유 혹은 합성고무 부분이 상부로 향하도록 방수시트(30)를 덮은 후 도막 방수재(U)가 부직포 위로 스며들어 합성섬유 혹은 합성고무부분과 일체로 접착되도록 도막 방수재(U)가 도포된 부분을 누르고, 커팅 홈(10) 밖으로 돌출된 부직포 부분을 커팅홈(10)에 꺾어 삽입하는 제 4단계(S4)와;
    상기 커팅홈(10)과 방수시트(30) 연결부위의 부직포 부분에 도막 방수재를 충진·함침하여 방수시트(30)의 합성섬유나 합성고무 부분과 동일한 높이로 처리함으로써 도막방수재 연결부(40)를 형성하는 제 5단계(S5)와;
    상기 제 5단계에서의 도막방수재 연결부(40)가 완전 경화된 후 그 상부에 자외선에 강한 도료나 안료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거나 자외선에 강하고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등을 지닌 일정 폭의 합성수지 테이프를 접착하여 도막방수재 연결부(40)의 보호층(60)을 형성하는 제 6단계(S6);를 포함하여 격자구획별 커팅홈을 형성하여 방수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0080093940A 2008-09-25 2008-09-25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87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940A KR100875476B1 (ko) 2008-09-25 2008-09-25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940A KR100875476B1 (ko) 2008-09-25 2008-09-25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476B1 true KR100875476B1 (ko) 2008-12-22

Family

ID=4037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940A KR100875476B1 (ko) 2008-09-25 2008-09-25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4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305B1 (ko) 2011-08-23 2013-04-18 이원우 건설 구조물의 방수 공법
CN105089210A (zh) * 2015-08-24 2015-11-25 唐山德生防水股份有限公司 双层防水双层排水双层保温屋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386570A (zh) * 2015-12-11 2016-03-09 唐山德生防水股份有限公司 一种会呼吸的保温屋面结构及施工方法
KR101654781B1 (ko) * 2015-07-29 2016-09-06 주식회사 홈그린시스템 구조물의 습기 배출 유도 방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0098A (ko) * 2018-11-01 2020-05-11 (주)경유건설 벽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253B1 (ko) 2007-10-29 2008-02-22 (주)한은이앤씨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253B1 (ko) 2007-10-29 2008-02-22 (주)한은이앤씨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305B1 (ko) 2011-08-23 2013-04-18 이원우 건설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1654781B1 (ko) * 2015-07-29 2016-09-06 주식회사 홈그린시스템 구조물의 습기 배출 유도 방수 시스템 및 방법
CN105089210A (zh) * 2015-08-24 2015-11-25 唐山德生防水股份有限公司 双层防水双层排水双层保温屋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386570A (zh) * 2015-12-11 2016-03-09 唐山德生防水股份有限公司 一种会呼吸的保温屋面结构及施工方法
KR20200050098A (ko) * 2018-11-01 2020-05-11 (주)경유건설 벽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KR102171312B1 (ko) * 2018-11-01 2020-10-30 (주)경유건설 벽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368711B1 (ko)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JP2012122317A (ja) 床面の防水方法、防水シート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CN110735499A (zh) 一种女儿墙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TW200523438A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0737619B1 (ko) 건설 구조물의 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707284B1 (ko) 방수 시공 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101244437B1 (ko) 고탄성 방수필름과 나노세라믹 도료를 이용한 방수보수공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0330989B1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6662B1 (ko) 이중단열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및 그 방법
KR100552454B1 (ko)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1173410B1 (ko)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1256305B1 (ko) 건설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1381766B1 (ko) 차열층이 형성된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아스팔트 전용특수도료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