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807B1 -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807B1
KR101336807B1 KR1020110024779A KR20110024779A KR101336807B1 KR 101336807 B1 KR101336807 B1 KR 101336807B1 KR 1020110024779 A KR1020110024779 A KR 1020110024779A KR 20110024779 A KR20110024779 A KR 20110024779A KR 101336807 B1 KR101336807 B1 KR 1013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waterproof
layer
base surface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213A (ko
Inventor
박연진
Original Assignee
박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진 filed Critical 박연진
Priority to KR102011002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8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노출방수에서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또는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에 자연환경이나 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시키거나 또는 발생하는 습기 또는 자유수를 외부로 탈기 및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을 구성하여, 상기 습기 또는 자유수에 의해 비노출방수의 방수효율성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자유수에 의해 건물의 단열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비노출 방수시공의 시공경쟁력을 강화하는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방수구조는 바탕면의 상면으로 방수층 및 누름콘크리트층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비노출 방수에 있어서, 상기 바탕면(1)과 방수층(3) 또는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마련되어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 또는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10)(1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non exposure waterproof and the waterproof method}
본 발명은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노출방수에서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또는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에 자연환경이나 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시키거나 또는 발생하는 습기 또는 자유수를 외부로 탈기 및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을 구성하여, 상기 습기 또는 자유수에 의해 비노출방수의 방수효율성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자유수에 의해 건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옥상층의 기존 공법을 보완하여 시공경쟁력을 강화하는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옥상구조의 신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슬래브, 지붕, 건축물의 지하실 또는 각종 유체 저장탱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방수력이 약하기 때문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스며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자체의 결합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에 따른 수분의 체적변화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통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누수되면 건축물의 기능이 상실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는 크게 침투성 방수공법과 피막식 방수공법이 있고, 침투성 방수공법은 방수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며, 피막식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을 대처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피막식 방수로는 불투수성 피막을 만드는 재료의 종류와 공법에 따라 아스팔트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 등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상기 피막식 방수공법에서 상기 아스팔트나 우레탄과 같은 방수층이 외부로 노출되느냐 또는 노출이 되지 않으냐에 따라 노출식과 비노출식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비노출식 방수구조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비노출식 방수구조는 바탕면(1)과 상기 바탕면(1)에 순차적으로 프라이머층(2)과, 방수층(3), 단열층(4), 누름콘크리트층(5, 또는 누름모르터) 및 미장층(또는 탑코팅층, 6)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의 끝단 수직벽인 파라펫(parapet,1a)에는 프라이머층(2) 및 방수층(3)이 일정높이 더 형성되어 있고, 또한 파라펫(1a)에 구성된 방수층(3)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미장의 효과를 가지도록 상기 파라펫(1a)과 바탕면(1) 사이에는 다수의 벽돌을 쌓아 미장처리 한다.
아울러, 상기 방수층(3)은 개량아스팔트시트나 우레탄을 이용하여 피막을 도포하는 것으로,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상기 개량아스팔트시트 및 우레탄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반대로 노출식 방수구조는 상기의 바탕면에 형성되는 방수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노출식 방수구조의 경우에는 바탕면에 구조물이 얹혀지지 않는 구조에 주로 사용되고, 비노출식은 물탱크와 같이 바탕면에 구조물이 얹혀질 때 주로 사용되는 방수구조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비노출식 방수구조에서는 바탕면(1)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방수층(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습기, 주로 빗물이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5)에 흡수됨에 따른 침투 또는 크랙부분으로의 침투가 이루어져도 상기 방수층(3)에 의해 더 이상의 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방수효과를 가진다.
도 2는 종래의 비노출식 방수구조의 열화(劣化)현상을 보인 참고사진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비노출식 방수구조에서는 누름 콘크리트층(5)을 통해 침투된 빗물들이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5)과 방수층(3) 사이에 침투된 물이 고인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렇게 고인 빗물(이하, '자유수'라 통칭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5)과 방수층(3) 사이를 들뜨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5)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에 위치한 자유수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소멸보다는 계속적인 추가로 그 량이 증가되고, 또한 건축물에는 진동이나 주변환경에 의해 거동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건축물의 거동에 의해 상기 방수층(3) 및 바탕면(1)이 손상 또는 일부 파손되고, 이를 통해 상기 문제가 발생된 부위를 통해 상기 자유수가 스며드는 누수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누름 콘크리트층(5)과 방수층(3) 사이의 자유수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5) 및 바탕면(1)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또한 누수 발생의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시간 즉, 통상 3~5년 이내에 전체적으로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 유지보수의 비용추가와 같은 제반경비 및 비노출식 방수시공의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방수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사이에 발생된 자유수는 외부온도 차이에 의해 결빙과 해빙을 반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건축물의 단열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노출방수에서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또는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에 자연환경이나 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시키거나 또는 발생한 자유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을 구성하여, 상기 자유수에 의해 비노출방수의 방수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단열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비노출 방수시공의 시공경쟁력을 강화하는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는 바탕면과 방수층 또는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사이에 마련되어 콘크리트의 습윤에 대한 통기성 부여 및 자유수의 배수 또는 건조시키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기 및 배수관은 외주연에 내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기공;을 더 포함하고, 탈기 및 배수관은 바탕면에 개방단부가 위치되도록 반원 또는 유선형이면서 양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일정폭을 가지는 받침판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에는 접착제 또는 접합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기 및 배수관은 복수로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탈기 및 배수관이 교차되는 교차지점에는 이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배기커넥터;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기 및 배수관의 내측에는 방수층 또는 누름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이물질이 상기 탈기 및 배수관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삽입되는 침투방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침투방지재는 콘크리트 타설시 배기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자유수와 프레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막기 위한 유연성 심재로 강성 원형파이프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기 및 배수관은 내측면은 연질로 이루어지고; 외측은 경질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탕면에 형성된 배수로에 마련되고 외주연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탈기 및 배수관이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된 소켓; 및 상기 소켓의 상단에 배수캡;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안의 비노출 방수방법은 바탕면에 생성된 레이턴스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를 통해 방수층이 형성된 상단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설치하는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 및 상기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를 통해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이 설치된 방수층의 상단에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누름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 타설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안의 비노출 방수방법은 바탕면에 생성된 레이턴스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설치하는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 상기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를 통해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이 설치된 바탕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및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방수층에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누름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 타설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안의 비노출 방수방법은 바탕면에 생성된 레이턴스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설치하는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 상기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를 통해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이 설치된 바탕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를 통해 방수층이 형성된 상단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설치하는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 및 상기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를 통해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이 설치된 방수층의 상단에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누름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 타설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비노출 방수에서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또는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에 자연환경이나 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시키거나 또는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탈기 및 배수관의 끝단을 파라펫으로 인출시켜 외부공기가 자유롭게 소통되도록 하여, 상기 자유수에 의해 비노출 방수의 방수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옥상층 비노출 방수공법의 신공법을 제안하여 시공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노출 방수구조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비노출 방수구조의 열화현상을 보인 참고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성된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연결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탈기 및 배수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성된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탈기 및 배수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기 및 배수관이 구성되는 비노출 방수시공방법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노출 방수구조는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 또는 방수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사이에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시켜 상기 바탕면 또는 누름 콘크리트층의 내구성 향상과 방수층의 열화(劣化)가 최소화되도록 외부공기의 소통을 가능하도록 탈기 및 배수관을 구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수구조는 피막식 및 도막식 또는 이들을 조합한 복합방수공법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노출 및 노출방수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비노출방수에 적용할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성된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비노출 방수구조는 외부조건에 의해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10)을 구성한다.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도 3의 확대 사시도에서와 같이 중공관이며,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공(12)은 자유수가 내측으로 침투되거나 또는 외부 공기가 소통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자유수의 건조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바탕면(1)에 방수층(3)을 형성한 후 상기 방수층(3)에 다수의 탈기 및 배수관(10)을 배열시키며 끝단은 상기 바탕면(1)의 파라펫(1a)에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수직으로 세운다.
아울러,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끝단은 끝단부의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지 않도록 절곡시킴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외부의 이물질 가령 기온차에 의해 생성된 물이나 먼지 등이 상부로 향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끝단 개방부로 통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내부관은 연질로 이루어지고, 외부관은 경질성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4와 같이,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끝단은 파라펫(1a)에 조적된 벽돌을 통과하여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목적 및 설치위치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바탕면(1)에는 면적 및 사용처에 따라 복수의 배수로(7)가 구성되고, 상기 배수로(7)에는 상기 배수로(7)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배수캡(8, 또는 '걸름망'이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바탕면(1)에 배수로(7)가 형성된 경우의 방수구조를 살펴보면,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탈기 및 배수관(10)을 형성하고,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일단이 상기 배수로(7)에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타단은 바탕면(1)의 파라펫(1a)에 구성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발생하는 자유수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을 통해 소통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상기 자유수를 건조시켜 줌에 따라 상기 자유수에 의한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의 들뜸 방지 및 상기 자유수에 의한 단열효율성의 저하를 예방한다.
한편, 장마철과 같이 집중으로 내린 비에 의해 빗물이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5)에 침투되어 방수층(3)에 자유수 발생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자유수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배기공(12)을 통해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내측에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된 자유수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7)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결국,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존재하는 자유수의 량을 현격하게 줄여주고, 또한 이렇게 줄어든 자유수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외부공기의 소통으로 건조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구성된 탈기 및 배수관(10)을 통해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잔존하던 자유수를 건조시켜줌에 따라 상기 자유수에 의해 발생하였던 문제점이 해결되는 비노출 방수의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연결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마련된 탈기 및 배수관(10)은 격자형태로 교차되게 구성하며,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들의 교차부위에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들이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기커넥터(20)가 구성된다.
상기 배기커넥터(20)는 중공형상으로 내측이 빈 관 형태이며, 방향을 달리하는 교차부위에 마련되는 탈기 및 배수관(10) 각각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커넥터(20)에는 탈기 및 배수관(10)과 같이 다수의 배기공(12)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격자 형태로 다수의 탈기 및 배수관(10) 및 이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배기커넥터(20)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을 통한 자유수의 수집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배수로(7)를 통한 자유수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잔존하는 자유수의 빠른 건조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제3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수구조는 방수층(3)을 중심으로 상기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및 상기 방수층(3)과 바탕면(1) 사이 각각에 탈기 및 배수관(10)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 교차하는 교차지점에는 이들의 탈기 및 배수관(10)이 상호 연통되도록 배기커넥터(20)가 구성된다.
(제4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탈기 및 배수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의 탈기 및 배수관(10a)은 반원형으로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이고 양 끝단부에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받침판(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14)에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a)을 바탕면(1) 또는 방수층(3)에 고정되도록 접착제 또는 접합제(putty)가 침투되어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고정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공(16)에 못이나 피스와 같은 고정철물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8과 같이, 상기의 탈기 및 배수관(10a)은 바탕면(1)과 방수층(3) 또는 방수층(3)과 누름콘크리트층(5)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바탕면(1)과 방수층(3) 사이에 구성된 탈기 및 배수관(1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층(3)과 누름콘크리트층(5) 사이에 구성되는 탈기 및 배수관(10a)은 하단이 개방된 상태이면서 외주연에 다수의 배기공(12)이 형성된 것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탕면(1)과 방수층(3) 사이에 설치된 탈기 및 배수관(10a)은 상기 바탕면(1)의 하방 즉,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기온차이 또는 기타 이유에 의해 바탕면(1)에 생성되는 습기 또는 자유수를 수집 또는 건조시키기 위함으로 배기공(12)의 구성이 불필요한 것이다.
또한, 방수층(3)과 누름콘크리트층(5) 사이에 설치되는 탈기 및 배수관(10a)은 상기 누름 콘트리트층(5)에서 침투되는 습기 또는 자유수가 배기공(12)을 통해 수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배기공(12)이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은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a)을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반원형의 탈기 및 배수관(10a) 또는 원형의 탈기 및 배수관(10)을 병행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와 같이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a)을 격자형태로 배열한 후 교차하는 지점에 상호 연통하도록 배기커넥터(2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배기커넥터(20)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a)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교차지점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5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성된 비노출 방수구조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 내지 제4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수로(7)에는 상기 바탕면(1)이나 방수층(3) 또는 이들의 상방에 설치된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끝단이 연결되는 연결관(32)이 형성된 소켓(30)이 더 구성된다.
물론, 상기 소켓(30)의 상단에는 배수캡(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30)의 연결관(32)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설치되는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구조 즉, 일자형으로 구성되느냐 또는 격자형으로 구성되느냐에 따라 상기 연결관(32)의 개수를 달리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끝단부는 상기 연결관(32)의 외주연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결관(32)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목적 및 설치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6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탈기 및 배수관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 내지 제5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기 및 배수관(10)의 내측에는 침투방지재(40)가 구성된다.
상기 침투방지재(40)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을 바탕면(1) 또는 방수층(3)에 설치한 후 상기 방수층(3) 도포 또는 누름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제거한다.
아울러, 상기 침투방지재(40)는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자유수와 프레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막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 심재로 강성 원형 또는 반원형(유선형) 파이프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시공방법)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기 및 배수관이 구성되는 비노출 방수시공방법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탕면 정리단계(S10)는 바탕면에 생성된 레이턴스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이는 바탕면(10)에 생성된 레이턴스나 이물질을 고압수 분출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또한 상기 바탕면(1)의 상단에 파인 홈 등을 메워 평탄하도록 한다.
프라이머 도포단계(S20)는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S10)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이는 정리된 바탕면(1)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 가능한 공정이다.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S30)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0)를 통해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1)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1)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10)(10a)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 또는 접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철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원형의 탈기 및 배수관(10)의 경우에는 하단부에 접착제 또는 접합제(putty)나 고정철물의 경우 'U'형 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반원형 배기관(10a)은 받침판(14)에 형성된 고정공(16)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에는 침투방지재(40)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방수층 형성단계(S40)는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이 설치된 바탕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는 바탕면(1)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방수시트를 포설한다.
물론, 도막 방수재 및 방수시트를 복합적으로 시공할 수 도 있는 것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한다.
아울러, 방수층(3)을 형성한 후 바탕면(1)에 설치된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침투방지재(40)를 제거한다.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S50)는 탈기 및 배수관에서 침투방지재를 제거한 상태의 방수층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는 위에서 설명된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S30)와 동일한 공정이 수행됨으로 이를 참조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누름 콘크리트 타설단계(S60)는 상기 탈기 및 배수관 설치단계(S50)를 통해 방수층의 상면에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서, 이는 내측에 침투방지재(40)가 삽입된 복수의 탈기 및 배수관(10)(10a)이 설치된 방수층(3)에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아울러, 타설된 누름 콘크리트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고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줄눈 커팅을 시행한다.
상기 줄눈 커팅은 온도차에 의해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이 신축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공정은 사용위치 및 조건에 따라 줄눈 폭의 조정 및 생략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의 하방에 마련된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내측에서 침투방지재(40)를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바탕면 3: 방수층
5: 누름 콘크리트층 10,10a: 탈기 및 배수관
12: 배기공 14: 받침판
16: 고정공 20: 배기커넥터
22: 삽입공 30: 소켓
32: 연결관 40: 침투방지재

Claims (10)

  1. 바탕면의 상면으로 방수층 및 누름콘크리트층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방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바탕면(1)과 방수층(3) 또는 방수층(3)과 누름 콘크리트층(5) 사이에 마련되어 발생하는 자유수를 건조 또는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탈기 및 배수관(10)(10a)을 포함하고;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a)은, 바탕면(1)에 개방단부가 위치되도록 반원 또는 유선형이면서 양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일정폭을 가지는 받침판(14)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14)에는 접착제 또는 접합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중공관이면서 외주연에 내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기공(12)이 형성되며;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은 바탕면(1) 또는 방수층(3)의 상단에 배열시킨 후, 끝단을 상기 바탕면(1)의 파라펫(1a)에 일정높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공법.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은 복수로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이 교차되는 교차지점에는 이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22)이 형성된 배기커넥터(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공법.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내측에는
    방수층(3) 또는 누름 콘크리트층(5)을 형성할 때 이물질이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삽입되는 침투방지재(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공법.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탈기 및 배수관(10)(10a)은
    내측면은 연질로 이루어지고;
    외측은 경질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공법.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바탕면(1)에 형성된 배수로(7)에 마련되고 외주연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탈기 및 배수관(10)(10a)이 연결되는 연결관(32)이 형성된 소켓(30); 및
    상기 소켓(30)의 상단에 배수캡(8);
    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공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24779A 2011-03-21 2011-03-21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13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79A KR101336807B1 (ko) 2011-03-21 2011-03-21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79A KR101336807B1 (ko) 2011-03-21 2011-03-21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13A KR20120107213A (ko) 2012-10-02
KR101336807B1 true KR101336807B1 (ko) 2013-12-04

Family

ID=4727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79A KR101336807B1 (ko) 2011-03-21 2011-03-21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484A (ko)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76B1 (ko) * 2013-08-29 2015-03-13 디씨텍건설주식회사 건물 옥상의 방수구조
KR101606867B1 (ko) * 2015-08-18 2016-03-28 (주)펜테크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KR101654616B1 (ko) * 2016-04-20 2016-09-0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그룹케이 건축공사 옥상단열 및 방수구조
CN107574921A (zh) * 2017-10-23 2018-01-12 华北水利水电大学 地下建筑外墙防排水构造及其施工方法
CN108797753A (zh) * 2018-06-19 2018-11-13 上海三彩科技发展有限公司 用排水板与排水管封闭联接成为防排水体系的方法
KR102049494B1 (ko) * 2018-06-29 2019-11-27 최동석 절개를 통한 옥상 누수 방지구조 및 누수 방지공법
KR102093137B1 (ko) * 2019-07-19 2020-03-25 윤정욱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74A (ko) * 1998-12-16 2000-07-05 원국희 보수 방수시공방법
JP2001049805A (ja) 1999-08-05 2001-02-20 Mitsubishi Kagaku Form Plastic Kk 屋上断熱防水構造
JP2002173942A (ja) 2000-12-06 2002-06-21 Maeda Corp 地盤流動化対策工法
KR101002361B1 (ko) 2008-05-19 2010-12-1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74A (ko) * 1998-12-16 2000-07-05 원국희 보수 방수시공방법
JP2001049805A (ja) 1999-08-05 2001-02-20 Mitsubishi Kagaku Form Plastic Kk 屋上断熱防水構造
JP2002173942A (ja) 2000-12-06 2002-06-21 Maeda Corp 地盤流動化対策工法
KR101002361B1 (ko) 2008-05-19 2010-12-1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484A (ko)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20230125161A (ko) 2021-06-08 2023-08-29 왕미정 옥상 방수공법
KR102572019B1 (ko) * 2021-06-08 2023-08-31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13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US10202737B2 (en) Free-flowing waterproofing system
US5845456A (en) Basement waterproofing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CN106320616B (zh) 一种保温屋面排气管道系统及施工方法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1135473B1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KR101243270B1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CN113404170A (zh) 预制外墙与现浇楼板接缝处的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502476B1 (ko) 건물 옥상의 방수구조
KR101219690B1 (ko)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20170125633A (ko) 배수구가 구비된 옥상의 방수 및 단열 보호재 시공공법
KR102461838B1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JP2011149243A (ja) 防水層の膨れ防止工法及び膨れ防止構造
KR101606867B1 (ko)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CN204531214U (zh) 一种屋面透气孔构造
KR100939087B1 (ko) 누수를 신속처리할 수 있는 지하주차장의 상부 슬라브 구조
KR102649480B1 (ko) 빗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및 침투수의 배출과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건물 옥상 모서리용 배출 제거 유닛 및 그 배출 제거 유닛을 이용한 옥상 모서리 주위 보수 방법
CN215518920U (zh) 一种地下底板渗漏维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