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361B1 -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 Google Patents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361B1
KR101002361B1 KR1020080046095A KR20080046095A KR101002361B1 KR 101002361 B1 KR101002361 B1 KR 101002361B1 KR 1020080046095 A KR1020080046095 A KR 1020080046095A KR 20080046095 A KR20080046095 A KR 20080046095A KR 101002361 B1 KR101002361 B1 KR 10100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layer
degassing
degassing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183A (ko
Inventor
오형창
서만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8004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36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된 탈기시트, 이 탈기시트의 상부에 도포된 프라이머를 개재해서 탈기시트의 상부에 형성된 방수층 및 이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수바닥면에 탈기트를 설치함으로써, 잠복수 및 공기 등에 의한 방수층의 들뜸과 파단을 방지하고, 방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방수구조의 방수품질을 향상시키고 하자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탈기시트, 방수, 구조, 옥상

Description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Waterproof structure using air vent sheet and waterproof method}
본 발명은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기시트를 이용해서 방수바닥면과 탈기시트 사이의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방수 시공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방수는, 아파트 건물, 상가 건물, 단독 주택 건물 등의 다양한 형태의 건물의 경우에 우수의 침투와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이나 지붕 등에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구조 및 시공법은 여러가지 형태로 개선되어,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학공업의 발달로 우수한 물성의 방수재료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공 현장에서의 선택 폭이 다양해 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수재료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이 개선되지 않아 방수공사에 대해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별도의 보수비용 및 보수기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방수구조의 파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팔트 방수,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 및 도막방수에 있어서, 우선 방수바닥면(1)을 청결하게 정리하고, 방수바닥면(1)의 상부에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고, 그 위에 방수층(2), 방수보호 모르터(3), 신축줄눈(7) 및 누름층(4)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방수바닥면(1)의 파라펫(parapet)에는 실런트(6)로 상단을 마감하고, 측면에 시멘트 모르터를 형성하고 그의 상부에 수성페인트(5)로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구조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대해 방수층(2)의 물성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렵고, 방수층(2)의 하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증기압에 의한 피로누적으로 인하여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또 누름층(4)으로 밀봉마감하는 방수구조이므로, 누름층(4)을 해체하여 보수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방수구조는 방수바닥면(1)과 방수층(2)이 밀착되는 구조로서 방수바닥면(1)에 존재하는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기체압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없는 구성이다.
따라서 방수바닥면(1)과 방수층(2) 사이에 존재하는 잠복수의 변화와 하부층에서 상승하는 기체압 등에 의해 방수층(2)이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두께가 얇아지고, 반복적인 수축과 팽창으로 인하여 방수층(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또한, 파라펫(parapet) 끝단의 방수층(2)이 완전하게 고정되지 못함으로 인해서 방수층(2)의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방수층(2)의 처진부분으로 물이 고이고, 그 물이 누수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방수층(2)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방수층(2)의 파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 방수구조인 경우에는 외부의 온도에 따라 온도변화가 상당하며, 누름층(4)이 있을 경우에는 방수층(2)의 온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누름층(4)에서는 방수바닥면(1) 보다 잠복수가 과다하게 존재하며 끓어 오르는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그로 인해 방수층(2)에 가해지는 피로도가 매우 높아져서 방수층(2)의 수명이 단축되고, 방수층(2)의 파괴현상이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방수바닥면에 탈기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잠복수 및 공기 등에 의한 방수층의 들뜸과 파단을 방지하고, 방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방수구조의 방수품질을 향상시키고 하자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수구조의 내부 및 외부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열에 의한 방수구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탈기시트를 배수구와 연통시켜 별도의 추가구성 없이 탈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방수바닥면의 측벽에 탈기시트와 방수층을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방수품질이 향상되고, 보호벽 및 물끊기 홈을 형성하여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방수바닥면의 배수면에 소정의 배수구배를 형성하고 배수구를 형성하여 우수나 오수 등의 침투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화단방수 및 주차장 바닥의 아스콘 포장방수에도 적용할 수 있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수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된 탈기시트; 상기 탈기시트의 상부에 도포된 프라이머를 개재해서 상기 탈기시트의 상부에 형성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수층과 누름층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거나 방수층과 누름층 사이에는 방수보호층이 형성되어 있고, 방수바닥면의 하부에는 단열재가 설치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탈기시트는, 평판형태의 상부면과, 하방으로 소정간격 돌출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사이에 탈기면이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수바닥면에는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탈기시트는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수구와 탈기시트가 연통되는 연통부에는, 방수용 누름쇠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수바닥면의 둘레에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방수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벽면에 상기 탈기시트와 상기 방수층이 설치되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방수턱의 하부에는 물끊기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바닥면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수바닥면에 탈기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탈기시트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프라이머의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바닥면의 측벽에 보호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수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방수보호층을 설치하고 신축줄눈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수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신축줄눈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수바닥면의 준비단계는, 상기 방수바닥면에 복수의 배수구를 설 치하고, 상기 방수바닥면에 배수면이 배수구를 향해 소정의 배수구배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수면의 배수구배는 1/50∼1/100 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수바닥면에 탈기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잠복수 및 공기 등에 의한 방수층의 들뜸과 파단을 방지하고, 방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방수구조의 방수품질을 향상시키고 하자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방수구조의 내부 및 외부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열에 의한 방수구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기시트를 배수구와 연통시켜 별도의 추가구성 없이 탈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바닥면의 측벽에 탈기시트와 방수층을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방수품질이 향상되고, 보호벽 및 물끊기 홈을 형성하여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방수바닥면의 배수면에 소정의 배수구배를 형성하고 배수구를 형성하여 우수나 오수 등의 침투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화단방수 및 주차장 바닥의 아스콘 포장방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바닥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바닥면의 배수구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바닥면의 배수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내부 단열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외부 단열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모서리 보강 방수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는, 방수바닥면(10)의 상부에 탈기시트(20), 방수층(30) 및 누름층(5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방수바닥면(10)에 대한 외부의 방수역할을 하게 된다.
방수바닥면(10)은 통상의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지며, 배수구(11), 배수면(12), 측벽(13) 및 방수턱(14)으로 이루어진다. 배수구(11)는 방수바닥면(10)의 외곽둘레에 복수개 형성되고, 배수구(11)의 내부에는 건축구조물의 외부에 연통되는 배수관(70)이 설치되고, 배수구(11)의 상부에는 우수나 오수 등의 침투수의 배수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의 천공홀이 형성된 거름망(52)이 설치된다.
이러한 거름망(52)은 방수바닥면(10)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구성이므로, 콘크리트와 열팽창율이 유사한 회주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 거름망(52)의 외주에는 우수나 오수 등의 침투수의 배수를 위한 누름층용 홈통(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면(12)은 방수바닥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수구(11)를 향해 소정의 배수구배(α)로 형성되어 있다. 배수면(12)의 배수구배(α)로는 1/50보다 크면 배수면(12)의 경사가 심하여 공사에 어려움이 있고, 1/100보다 작으면 배수면(12)의 경사가 완만하여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원활한 배수를 위해 1/50∼1/1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적의 배수구배(α)로는 1/80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측벽(13)은 방수바닥면(10)의 외곽 둘레에 파라펫(parapet wall) 형태로 대략 수직으로 입설되고, 방수턱(14)은 측벽(13)의 상단에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 방수턱(14)의 하부에는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오목띠 형상의 물끊기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면(12)과 측벽(13)이 만나는 모서부에는 방수처리가 어려우므로, 삼각기둥형상의 모서리 면잡기 부재(5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서리 면잡기 부재(53) 상부에 탈기시트(20)와 방수층(30)을 설치한 후에는 스티로폼과 같은 모서리 완충재(54)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방수턱(14)의 하부에는 물끊기 홈(14a)이 형성되어 있어 있지만, 물끊기 홈(14a)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우수나 오수 등의 침투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 해 보호벽(5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기시트(20)는 PVC(polyvinyl chloride), 연질수지 등의 연질소재로 형성되며,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면(23)과, 하방에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다리부(22)와 상기 다리부(22) 사이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탈기면(21)이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탈기시트(20)는 배수구(11)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므로, 방수바닥면(1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가 상방으로 부상하지 않고 탈기면(21)을 개재해서 배수구(11)로 배출하게 된다.
특히, 배수구(11)와 탈기시트(20)가 연통되는 연통부의 하부에는, 하부 방수용 누름쇠(20a)가 설치되고, 연통부의 상부에는 상부 방수용 누름쇠(20b)가 설치되어 있다.
탈기시트(20)의 상부면(23)에는 프라이머(32)가 도포된다. 프라이머(32)는 무극성자재의 표면이나 시멘트 등의 표면에서 시멘트나 흙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고, 추후 어떠한 접착제가 도포되더라도 시멘트의 경우 작게 부서지는 면만을 접착되고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포되는 것이다.
이러한 프라이머(32)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우레탄 프라이머를 사용하게 되며, 주제로는 우레탄(urethane)을 사용하며, 이때의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아스팔트(asphalt)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방수층(30)은 탈기시트(20)의 상부에 도포된 프라이머(32)를 개재해서 상기 탈기시트(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수층으로는 아스팔트를 사용한 아스팔트 방수층, 시멘트와 모르터 방수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액체 방수층, 고무아스팔트 시트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rer)계의 특수시트 등을 사용하는 시트 방수층, 수성 또는 유성의 액상 형태의 방수제를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도막 방수층,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사용하는 벤토나이트 방수층 등 다양한 형태의 방수층이 적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수층(30)은 멤브레인(membrane)으로써의 두께가 기본적으로 노출층인 경우에는 3㎜이상으로 형성되고, 비노출층인 경우에는 5㎜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바닥면(10)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13)의 내벽면에 탈기시트(20)와 방수층(30)이 설치되고. 이들의 상부에 고정부재(60)가 고정 설치되어 고정부재(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6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철물로서, 방수바닥면(10)의 측벽(13)에 당접하는 탈기면(61)과, "ㄷ"자 형상의 상부를 구성하는 지붕면(62)과, 전방으로 돌출된 차양대(63)와, 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67)가 요철형상의 고정플레이트(66)를 개재해서 결합되는 고정면(6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탈기면(61)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로 이루어진 탈기구(65)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면(62)의 상부에는 통기성 재료로 이루어진 부틸계 코킹(68)이 설치되어, 탈기시트(2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면서 고정부재(60)를 지 지하게 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기시트(20)의 상부에 도포된 프라이머(32)와 방수층(30) 사이의 모서리부에는 이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서리 보강 방수층(3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층(50)은 방수층(30)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압밀성과 잠복수의 끓어 오르는 현상의 최소화하고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수층(3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층(50)으로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누름층, 자갈깔기 보호층, 블록 누름층 등 다양한 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층(50) 대신에 화단층, 아스콘포장층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단열 방수구조인 경우에는 방수층(30)과 누름층(50) 사이에는 방수보호층(40)이 형성되어 있고, 방수바닥면(10)의 하부에는 내부 단열재(15)가 설치되어 있다. 방수보호층(40)으로는 보호모르터(mortar), 우레탄고무 보호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수보호층(40)의 상부에는 누름층(50)의 열변형을 보완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신출줄눈(5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단열 방수구조인 경우에는 방수층(30)과 누름층(50) 사이에 방수보호층(40) 대신에 외부 단열재(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열재(16)의 상부에는 누름층(50)의 열변형을 보완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신출줄눈(5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 단열재(15) 및 외부 단열재(16)로는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경질 우레탄 보온재, 광물섬유 보온재 등 다양한 재료를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배수구조와 마찬가지로, 방수바닥면(111)의 상부에 탈기시트(112)를 설치하고, 탈기시트(112)의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방수층의 상부에 방수보호층(113)을 형성하고, 방수보호층(113)의 상부에 누름층(114)을 형성한 배수구조이다.
또한, 방수바닥면(111)에 배수관(117)을 설치하고, 측벽에도 탈기시트(112)와 방수층을 형성하고 고정부재 및 코킹을 설치하며, 모서리부에 모서리 완충재(120)와 보호벽(14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로서, 누름층(114)의 상부에 내근층(115)을 설치하고, 보호벽(140)의 내측면에 자갈층(150)을 설치하고, 내근층(115)의 상부에 흙층(116)을 설치하므로, 방수구조 상부에 화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상부에 화단을 형성한 경우에도 배수구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배수구조와 마찬가지로, 방수바닥면(211)의 상부에 탈기시트(212)를 설치하고, 탈기시트(212)의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방수층의 상부에 누름층(213)을 형성한 배수구조이다.
또한, 방수바닥면(211)에 배수관(217)을 설치하고, 배수관(217)의 상부에 트렌치(216; trench)를 설치하고, 방수바닥면(211)의 측벽에는 고정부재(230)을 개재해서 탈기시트와 방수층을 고정하고, 보호벽(220)을 설치한 후에 누름층(213)의 상부에는 아스콘 포장층(214)을 설치하고, 아스콘 포장층(214)의 상부 일측에 바퀴 정지대(215)를 설치하므로, 방수구조의 상부에 주차장용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상부에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한 경우에도 배수구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수방법은 방수바닥면(10)을 준비하는 단계(S11)와, 이 방수바닥면(10)에 탈기시트(20)를 설치하는 단계(S12)와, 탈기시트(20)의 상부에 프라이머(32)를 도포하는 단계(S13)와, 도포된 프라이머(32)의 상부에 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14)와, 방수층(30)의 상부에 누름층(50)을 형성하는 단계(S16) 및 방수바닥면(10)의 측벽(13)에 보호벽(56)을 설치하는 단계(S17)를 포함한다.
방수바닥면(10)을 준비하는 단계(S11)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방수 바닥면(10) 둘레에 복수의 배수구(11)를 형성하고, 방수바닥면(10)에 배수구(11)를 향한 배수면(12)이 소정의 배수구배(α)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배수면(12)의 배수구배(α)는 1/50보다 크면 배수면(12)의 경사가 심하여 공사에 어려움이 있고, 1/100보다 작으면 배수면(12)의 경사가 완만하여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원활한 배수를 위해 1/50∼1/1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적의 배수구배(α)로는 1/80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바닥면(10)의 외곽 둘레에 파라펫(parapet wall) 형태의 측벽(13)을 입설하고, 측벽(13)의 상부에 방수턱(14)을 내측으로 돌출형성하고, 방수턱(14)의 하부에 물끊기 홈(1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바닥면(10)에 탈기시트(20)를 설치하는 단계(S12)는, 이와 같이 준비된 방수바닥면(10)의 상부에 탈기면(21)이 하면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탈기시트(20)를 설치한다.
탈기시트(20)의 상부에 프라이머(32)를 도포하는 단계(S13)는, 탈기시트(20)의 상부면(23)에 소정의 두께로 예를 들면, 약 3㎜의 두께로 프라이머(32)를 도포하여 탈기시트(20)와 방수층(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도포된 프라이머(32)의 상부에 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14)는, 프라이머(32)의 상부에 다양한 소재의 방수층(30)을 형성하여 방수바닥면(10)의 외부를 방수하게 된다.
방수층(30)의 상부에 누름층(50)을 형성하는 단계(S16)는, 방수층(30)의 상부에서 가압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수층(30)의 상부 에 다양한 소재의 누름층(50)을 형성한다.
방수바닥면(10)의 측벽(13)에 보호벽(56)을 설치하는 단계(S17)는, 측벽(13)에 설치된 방수층(30)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측벽(13)의 내부에 보호벽(56)을 형성한다.
또한, 방수층(30)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방수층(30)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보호층(40)을 설치하고, 방수보호층(40)의 상부에 누름층(50)의 열팽창을 보완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신축줄눈(55)을 설치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수방법은 방수바닥면(10)을 준비하는 단계(S21)와, 이 방수바닥면(10)에 탈기시트(20)를 설치하는 단계(S22)와, 탈기시트(20)의 상부에 프라이머(32)를 도포하는 단계(S23)와, 도포된 프라이머(32)의 상부에 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4)와, 방수층(30)을 형성한 후에 방수층(30)의 상부에 단열재(16)를 설치하고, 단열재(16)의 상부에 신축줄눈(55)을 설치하는 단계(S25)와, 방수층(30)의 상부에 누름층(50)을 형성하는 단계(S26) 및 방수바닥면(10)의 측벽(13)에 보호벽(56)을 설치하는 단계(S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서 방수보호층(40) 대신에 외부 단열재(16)를 설치하는 구성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외부 단열재(16)는 방수층(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수구조에 대한 외부 단열을 위한 것이고, 신축줄눈(55)은 단열재(16)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누름층(50)의 열팽창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방수구조의 파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바닥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바닥면의 배수구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바닥면의 배수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내부 단열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외부 단열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모서리 보강 방수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배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수바닥면 20: 탈기시트
30: 방수층 40: 방수보호층
50: 누름층 60: 고정부재

Claims (14)

  1. 방수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된 탈기시트;
    상기 탈기시트의 상부에 도포된 프라이머를 개재해서 상기 탈기시트의 상부에 형성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바닥면의 둘레에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방수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벽면에 상기 탈기시트와 상기 방수층이 설치되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방수바닥면의 측벽에 당접하는 탈기면과, "ㄷ"자 형상의 상부를 구성하는 지붕면과, 전방으로 돌출된 차양대와, 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가 요철형상의 고정플레이트를 개재해서 결합되는 고정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기면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로 이루어진 탈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과 상기 누름층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과 상기 누름층 사이에는 방수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바닥면의 하부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시트는, 평판형태의 상부면과, 하방으로 소정간격 돌출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사이에 탈기면이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바닥면에는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탈기시트는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와 상기 탈기시트가 연통되는 연통부에는, 방수용 누름쇠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턱의 하부에는 물끊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10. 제1항에 기재된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의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방법으로서,
    방수바닥면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수바닥면에 탈기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탈기시트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프라이머의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바닥면의 측벽에 탈기시트와 방수층을 고정하고 보호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방수보호층을 설치하고 신축줄눈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신축줄눈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바닥면의 준비단계는, 상기 방수바닥면에 복수의 배수구를 설치하고, 상기 방수바닥면에 배수면이 배수구를 향해 소정의 배수구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면의 배수구배는 1/5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20080046095A 2008-05-19 2008-05-19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100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95A KR101002361B1 (ko) 2008-05-19 2008-05-19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95A KR101002361B1 (ko) 2008-05-19 2008-05-19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83A KR20090120183A (ko) 2009-11-24
KR101002361B1 true KR101002361B1 (ko) 2010-12-17

Family

ID=4160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095A KR101002361B1 (ko) 2008-05-19 2008-05-19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3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07B1 (ko) 2011-03-21 2013-12-04 박연진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1466644B1 (ko) * 2014-01-16 2014-11-28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KR101538992B1 (ko) * 2014-11-06 2015-07-23 임윤숙 수밀용기를 이용한 단열과 방수가 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
KR101841190B1 (ko) 2017-09-08 2018-03-22 문정오 탈기로를 갖는 방수구조물 및 그 형성방법
KR101946423B1 (ko) 2018-10-11 2019-02-11 박진형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0256B (zh) * 2017-02-08 2022-07-29 深圳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材料找坡之倒置屋面水落口结构
CN115142482B (zh) * 2022-07-04 2024-02-13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地下室后期抗浮加固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805A (ja) * 1999-08-05 2001-02-20 Mitsubishi Kagaku Form Plastic Kk 屋上断熱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805A (ja) * 1999-08-05 2001-02-20 Mitsubishi Kagaku Form Plastic Kk 屋上断熱防水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07B1 (ko) 2011-03-21 2013-12-04 박연진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1466644B1 (ko) * 2014-01-16 2014-11-28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KR101538992B1 (ko) * 2014-11-06 2015-07-23 임윤숙 수밀용기를 이용한 단열과 방수가 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
KR101841190B1 (ko) 2017-09-08 2018-03-22 문정오 탈기로를 갖는 방수구조물 및 그 형성방법
KR101946423B1 (ko) 2018-10-11 2019-02-11 박진형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83A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0629782B1 (ko)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101135473B1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JP7202434B2 (ja) フロアフレーム
KR101502476B1 (ko) 건물 옥상의 방수구조
KR200187661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CN214531538U (zh) 高层屋顶保温结构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KR200420547Y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1077657B1 (ko)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CN110761496A (zh) 防水屋顶及屋面防水方法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2345216B1 (ko) 비노출식 스틸 방수자재 및 그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구조체
EP2781665B1 (en) Drainage assembly, coupling part, end part, kit and method for the placement thereof
KR200405173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연결부재
KR20050120222A (ko) 발포층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CN211257578U (zh) 防水屋顶
KR102136395B1 (ko) 단열성을 구비한 이중방수구조
KR102201208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용 루프드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