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657B1 -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657B1
KR101077657B1 KR1020100018032A KR20100018032A KR101077657B1 KR 101077657 B1 KR101077657 B1 KR 101077657B1 KR 1020100018032 A KR1020100018032 A KR 1020100018032A KR 20100018032 A KR20100018032 A KR 20100018032A KR 101077657 B1 KR101077657 B1 KR 10107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waterproof
waterproof layer
base surfa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418A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유)대광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광건설산업 filed Critical (유)대광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0001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6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45) 위로 물이 차는 경우 탈기장치(100)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해당 탈기장치(100)의 설치를 포함하는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기장치(100)는 시공대상이 되는 바탕면(41)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고정부(10)가 설치되는 바탕면(41)과 방수층(45) 사이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고정부(10)의 저면과 연통되고 고정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탈기공(25)이 형성된 탈기부(20)와, 방수층(45) 위로 물이 차면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탈기공(25)을 밀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플로트(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방법은 시공대상이 되는 바탕면(41)을 정리하는 바탕정리단계와, 그 위에 고정부(10)와 탈기부(20)를 설치하는 단계, 바탕면(41)에 방수시트(43)를 시공하기 위해 프라이머(42) 를 도포하는 단계, 방수시트(43)를 시공하여 1차 방수층(45)을 형성하는 단계, 방수시트(43) 위에 도막방수제(44)를 도포하여 2차 방수층(45)을 형성하는 단계, 그 위로 플로트(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Exhausting Device and Counstruction Method for Using the Exhaustin Device}
본 발명은 건축물의 탈기장치 및 탈기장치의 설치를 포함하는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방수시공의 바탕이 되는 면(이하 바탕면이라 한다)과 방수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탈기시킬 수 있고, 또한 빗물이 탈기장치에 설치된 탈기공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기장치와 상기 탈기장치의 설치를 포함하는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붕이 없이 평평한 형태의 슬라브로 유지되는 건물의 옥상 등에는 비나 눈에 의한 수분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작업을 한다.
그러나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탕면과 상기 바탕면에 이질재료로 설치되는 방수층은 시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 자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바탕면과 방수층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방수층의 들뜸현상 또는 결로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형 파이프 형상의 탈기장치를 방수층을 관통하도록 바탕면과 방수층사이에 설치하여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형성된 습기가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탈기장치는 폭우나 폭설시 건물의 옥상에서 물이 미처 배수되지 않아 수위가 탈기장치의 탈기공보다 높아지면 물이 파이프를 통해 역류하여 탈기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수분이 건물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탈기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탈기장치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방수층 위로 물이 차는 경우, 탈기장치의 탈기공의 높이보다 수위가 높아지기 전에 탈기공을 밀폐하여 탈기공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탈기장치 및 이러한 탈기장치를 설치하는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장치는 바탕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매립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 저면과 연통되어 상기 바탕면과 상기 방수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기공이 구비된 탈기부와 상기 탈기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탈기공을 밀폐할 수 있는 플로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방수층 위로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플로트가 부력에 의해 물에 뜨게 되고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플로트가 상기 탈기공을 막아 물이 탈기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플로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했을시 상기 탈기공을 밀폐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의 재질에 관계없이 물에 뜰 수 있도록 공동(空洞)부를 보함할 수 있다.
상기 탈기부는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서 상승한 습기가 상기 탈기공으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기관과 상기 탈기관을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탈기관의 상측에 결합되고, 저면에 탈기관을 통해 나온 습기가 배출되는 상기 탈기공이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탈기관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탈기관은 측면에 소정 길이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플로트가 부력에 의해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탈기공을 향해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 저면과 바탕면 사이에서 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저면이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기부는 측면에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탈기공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방법은, 방수 시공할 바탕기재의 바탕정리를 하는 단계, 상기 바탕기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저면과 연통되어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기공이 구비된 탈기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탈기장치의 고정부 및 탈기부가 설치된 바탕기재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기재 전면에 방수시트를 시공하여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방수층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이음매없이 일체화된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방수층 위로 돌출된 상기 탈기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탈기공을 밀폐할 수 있는 플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기부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및 이물질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캡을 탈기부 상측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는 보강 메쉬가 더 포함되는 것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제는 폴리우레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기장치에 따르면 폭우 또는 폭설 등으로 인하여 옥상 등에 물이 차더라도 탈기장치 내에 구비된 플로트가 부력에 의해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여 탈기공을 밀폐하므로 탈기공으로 물이 역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수층 외부의 물이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방수층의 들뜸현상을 방지하고, 건물 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및 이물질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탈기관을 보호할 수 있어 탈기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효과를 갖는 탈기장치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의 습기 배출과 빗물 역류방지를 통해 방수층의 들뜸현상 또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가 물에 평상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가 물에 잠겼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의 단면도;
도 8은 탈기장치의 설치를 포함하는 방수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100)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100)는 탈기장치(100)를 방수시공의 대상이 되는 바탕면(4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0), 고정부(10) 저면에서 올라온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탈기부(20) 및 방수층(45) 위로 물이 차면 물 위에 떠서 탈기부(20)에 설치된 탈기공(25)을 막는 플로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별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부(10)가 설치된 바탕면(41) 위로는 방수층(45)이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바탕면(41)과 상기 방수층(45) 사이에 매립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0)에는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결합공(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볼트, 너트, 와셔 또는 못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부(10)를 바탕면(4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의 저면에서 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고정부(10)의 저면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고정부(10)의 저면이 요철면(12)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를 확보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부(1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탈기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저면을 통해 올라온 습기를 방수층(45)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탈기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에서 올라온 습기를 배출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기관(21), 상기 탈기관(21)을 통해 나온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탈기공(25), 상기 탈기관(21)을 보호하는 캡(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기관(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의 저면과 연통되고, 상기 고정부(10)의 상측에 돌출형성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0)로부터 올라온 습기를 상기 탈기공(25)으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기관(21)의 소정 높이의 측면에는 천공부(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기관(21)은 상기 고정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나사 결합 또는 후크 결합 등에 의한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탈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부위를 통한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해 결합부위에 고무팩킹 등의 실링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탈기관(21)이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기부(20)는 상기 탈기관(21)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캡(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24)은 탈기관(21)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탈기관(21)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24)의 상단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이거나 일정한 곡률을 갖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기관(21)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탈기부(20)에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올라온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탈기공(25)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기공(25)은 상기 캡(24)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캡(24) 내부에서는 상기 탈기관(21)의 측면에 형성된 천공부(22)와 캡(24)에 형성된 탈기공(25)이 연통되도록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탈기공(25)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기공(25)은 상기 캡(24)의 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층(45) 시공 시 상기 고정부(10) 및 탈기관(21)을 바탕면(41)에 설치한 후 방수층(45)을 시공하는 시공 공정 상,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이 넓은 캡(24)이 탈기관(21)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 방수층(45) 시공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캡(24)은 방수층(45) 시공 이후에 탈기관(21)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 또는 후크결합 등에 의한 탈착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캡(24)이 탈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탈기장치(100) 설치 이후 외부의 충격 등으로 캡(24)이 손상되면 캡(24)만 따로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탈기장치(100)의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장점도 있다. 다만 캡(24)과 탈기관(21)의 결합부위로 외부에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위를 통한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해 결합부위에 고무팩킹 등의 실링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캡(24)과 상기 탈기관(21)이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0)와 탈기부(20)로 이루어진 탈기장치(100)의 경우, 바탕면과 방수층(45)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탈기장치(100)를 보호할 수는 있다. 그러나 폭설이나 폭우 등으로 인해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수층(45) 위로 물이 차는 경우, 그 수위가 상기 탈기공(25)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상기 탈기공(25), 탈기관(21), 고정부(10)를 통해 방수층(45)과 바탕면(41) 사이로 물이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수층(45) 위로 물이 차더라도 탈기공(25)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되면 탈기공(25)을 차폐하는 플로트(30)를 더 포함하는 탈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로트(30)는 상기 탈기관(21)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탈기관(21) 주위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30)는 부력에 의해 물에 잘 뜰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공동(空洞)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로트(30)는 공동부(34)가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재로 형성되어 부력에 의해 물에 뜨는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로트(30)는 탈기공(25)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물에 뜨는 부재 또는 공동부(34)를 포함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31)의 상단에 차단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30)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했을시, 상기 탈기공(25) 내부로 삽입되어 탈기공(25)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돌기부(3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판(32)이나 돌기부(33)를 탄성재질의 부재로 형성하는 경우 더욱 향상된 밀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30)가 상기 탈기공(25)을 향해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탈기관(21)의 측면에 상기 플로트(30)를 상기 탈기공(25)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2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23)의 더욱 구체적인 형상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가이드 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로트(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플로트(30)가 가이드 부(23)를 따라 상승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T형 단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부(23)를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 부(2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탈기장치(100) 구성에 따른 탈기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가 물에 평상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가 물에 잠겼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플로트(30)가 방수층(45)에 접해 있으므로, 탈기공(25)이 열려있어 바탕면(41)과 방수층(45) 사이의 습기가 탈기공(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우 또는 폭설 등으로 인해 방수층(45)이 시공된 장소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물이 차는 경우,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플로트(30)가 부력에 의해 물에 떠서 수위를 따라 상승하고,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플로트(30)가 탈기공(25)을 차폐하여 외부의 물이 탈기공(2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로트(30)가 상기 탈기관(2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23)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나 이하 설명할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기부(20)의 측면에 힌지부(24)를 설치하고 상기 플로트(30)는 힌지부(24)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방수층(45) 위로 물이 차면 플로트(30)가 힌지부(24)를 축으로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소정의 높이에서 탈기공(25)을 막아 외부의 물이 탈기부(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로트(3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부(31)는 공동부(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31) 상단에는 돌기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8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방수시공을 할 바탕면(41)에 대한 바탕정리 단계(S1)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바탕면(41)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바탕면(41)의 균열 또는 함몰된 부분을 메우는 등 바탕면(41)의 부실부분을 보강 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바탕정리가 완료된 바탕면(41)에 고정부(10) 및 탈기부(20)를 고정시키는 단계(S2)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10)를 바탕면(41)에 볼트, 와셔 또는 못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고정부(10)와 탈기부(2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는 고정부(10)만 바탕면(41)에 고정시키면 되나, 탈기부(20)가 고정부(10)와 탈착식으로 형성된 경우는 고정부(10)를 바탕면(41)에 고정한 후 탈기부(20)를 고정부(10)에 결합한다. 상기 탈기장치(100)는 소정 면적당 하나씩 설치되므로 방수시공 면적에 따라 고정부(10) 및 탈기부(20)가 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바탕면(41)에 프라이머(42)를 도포하는 단계(S3)가 수행될 수 있다. 프라이머(42)는 바탕면(41)과 방수시트(43) 사이의 접착증을 형성한다. 프라이머(42)는 분무기, 솔 또는 롤러를 이용해 도포한다. 프라이머(42)는 바탕면(41)의 전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방수시트(43)가 인접하는 부분을 산정하여 해당 부분만을 도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라이머(42)가 도포된 바탕면(41)에 방수시트(43)를 시공하여 1차 방수층(45)을 형성하는 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프라이머(42)를 방수시트(43)가 인접하는 부분만 산정하여 도포한 경우 도포된 프라이머(42) 위로 방수시트(43)가 인접하도록 설치하여 바탕면(41) 전면에 방수시트(43)를 부착한다. 상기 방수시트(43)와 상기 탈기부(20)가 접하는 부위는 방수 실리콘 등으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43)는 방수시트(43)의 손상과 변형방지를 위해 보강메쉬가 부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방수층(45) 위로 도막방수제(44)를 도포하는 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방수시트(43) 위로 도막방수제(44)를 도포하면 이음매 없이 일체화된 2차 방수층(45)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시트로 방수층(45)을 형성한 경우의 문제점인 시트간의 접합부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접합부 부분 등에서 발생하는 하자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막방수제(44)로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우레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로트(30)를 설치하는 단계(S6)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30)는 상기 2차 방수층(45) 위로 돌출된 상기 탈기부(20)를 따라 탈기부(20)에 형성된 탈기공(25)의 위치까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탈기부(20)의 측면에 가이드 부(23)가 설치된 경우 가이드 부(23)에 결합되어 가이드 부(23)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탈기부(20)의 측면에 힌지부(24)가 설치된 경우 힌지부(24)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캡(24)을 탈기부(20)의 상측에 결합하는 단계(S7)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캡(24)은 2차 방수층(45) 위로 돌출된 탈기부(20)를 외부의 충격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한 장치이다. 결합시에 외부로부터 결합부위를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무팩킹 등의 실리부재를 결합부위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탈기부(20)가 상기 고정부(10)의 저면에서 상승한 습기를 상기 탈기공(25)으로 배출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기관(21)과 상기 탈기관(21)을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탈기관(21)의 상측에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탈기공(25)이 형성된 캡(24)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탈기부(20)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탈기관(21)을 설치하고, 2차 방수층(45)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캡(24)을 결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탈기관
10: 고정부 20: 탈기부 30:플로트
12: 요철면
21: 탈기관 23: 가이드 부 24: 캡 25: 탈기공
33: 돌기부 34: 공동(空洞)부
43: 방수시트 44:도막방수제 45: 방수층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방수 시공할 바탕기재의 바탕정리를 하는 단계;
    상기 바탕기재에 고정되는 탈기장치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저면과 연통되어 방수층과 바탕면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기공이 구비된 상기 탈기장치의 탈기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탈기장치의 고정부 및 탈기부가 설치된 바탕기재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기재 전면에 방수시트를 시공하여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방수층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이음매없이 일체화된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방수층 위로 돌출된 상기 탈기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탈기공을 밀폐할 수 있는 플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및 이물질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캡을 탈기부 상측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수시트에는 보강 메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제는 폴리우레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방법.
KR1020100018032A 2010-02-26 2010-02-26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07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032A KR101077657B1 (ko) 2010-02-26 2010-02-26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032A KR101077657B1 (ko) 2010-02-26 2010-02-26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18A KR20110098418A (ko) 2011-09-01
KR101077657B1 true KR101077657B1 (ko) 2011-10-27

Family

ID=4495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032A KR101077657B1 (ko) 2010-02-26 2010-02-26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20B1 (ko) * 2019-07-26 2021-03-05 (주)동아방수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06Y1 (ko) 2002-11-14 2003-03-04 안중필 방수공사용 공기 및 수분 배출관
KR100706190B1 (ko) 2006-06-23 2007-04-13 김광식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100759762B1 (ko) * 2006-12-18 2007-09-20 오상근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0963486B1 (ko)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06Y1 (ko) 2002-11-14 2003-03-04 안중필 방수공사용 공기 및 수분 배출관
KR100706190B1 (ko) 2006-06-23 2007-04-13 김광식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100759762B1 (ko) * 2006-12-18 2007-09-20 오상근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0963486B1 (ko)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18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21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lecting liquid from a foundation wall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1077657B1 (ko)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837093B1 (ko)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04280Y1 (ko) 수밀성 맨홀 뚜껑 조립체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CN211735538U (zh) 一种防水防渗地下室结构
KR101502476B1 (ko) 건물 옥상의 방수구조
KR102259534B1 (ko) 바닥 습기 배출 탈기구 및 그 탈기구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7974398U (zh) 屋顶防水结构
KR101232309B1 (ko) 배수설비가 구비된 신축이음의 시공방법
KR101216662B1 (ko) 이중단열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및 그 방법
CN211172752U (zh) 一种屋面横式泄水孔防水结构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JPS5811689A (ja) 鋼製タンク底板下面の防食方法
KR101254870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KR101895753B1 (ko) 배수가 용이한 케이블 수용 경계석
CN207863322U (zh) 一种屋面防水结构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CN207919722U (zh) 一种改进型可立起截水沟盖板
KR200449230Y1 (ko) 빗물 고임 방지용 안전 맨홀 뚜껑
CN111364703A (zh) 一种屋面变形缝防水构造
JP2561965B2 (ja) 農業用水用貯水槽
CN208379621U (zh) 一种土木建筑用防水蚀拱形地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