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020B1 -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020B1
KR102223020B1 KR1020190090854A KR20190090854A KR102223020B1 KR 102223020 B1 KR102223020 B1 KR 102223020B1 KR 1020190090854 A KR1020190090854 A KR 1020190090854A KR 20190090854 A KR20190090854 A KR 20190090854A KR 102223020 B1 KR102223020 B1 KR 102223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cover
concrete layer
unrooted
unroot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197A (ko
Inventor
김석준
Original Assignee
(주)동아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방수 filed Critical (주)동아방수
Priority to KR102019009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0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방수공법을 진행할 때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누수의 원인을 없애고 방수도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방수공법이 완료된 후에는 태양광 발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및 조달하여 동작하면서 침투한 수분이 누적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탈기반은 무근 콘크리트층에 천공된 추출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면과 하면에 각각 개구부를 갖는 본체관; 본체관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측면에는 본체관을 통해 상승하는 수분의 배출을 허용하는 에어홀이 형성된 커버; 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관을 통해 무근 콘크리트층 하측의 수분을 흡입한 후 커버의 에어홀을 통해 배출시켜주는 배기팬;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배기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커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에 의해 모터의 동력원인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WATER EXTRACTION TYPE PERMEABLE COATING LAYER WATERPROOFING METHOD USING AIR VENT WITH SOLAR CEL}
본 발명은 탈기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공법을 진행할 때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누수의 원인을 없애고 방수도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방수공법이 완료된 후에는 태양광 발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및 조달하여 동작하면서 침투한 수분이 누적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의 방수는 아스팔트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중 도막 방수공법은 액상 상태의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수분 또는 용제의 증발에 따라 남은 피막으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롤러, 스프레이, 붓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시공면의 굴곡이 심하고 구조가 복잡한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도막 방수공법의 경우 도 1에서 볼 수 있는 구조에서 빗물 등의 수분이 무근 콘크리트층을 통과하여 노후화된 방수층까지 침투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수층에 침투한 수분을 처리하지 못한 상태로 콘크리트층 상부 표면에만 새로운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은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계속 남아 있으면서 문제를 야기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55549호(2015.09.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공법을 진행할 때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누수의 원인을 없애고 방수도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방수공법이 완료된 후에는 태양광 발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및 조달하여 동작하면서 침투한 수분이 누적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탈기반은, 건물에서 무근 콘크리트층 하측으로 존재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탈기반으로서, 무근 콘크리트층 상면에 세워지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본체관; 상기 본체관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측면에는 상기 본체관을 통해 상승하는 수분의 배출을 허용하는 에어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관을 통해 무근 콘크리트층 및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하측의 수분을 흡입한 후 상기 커버의 에어홀을 통해 배출시켜주는 배기팬;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배기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커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상기 모터의 동력원인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관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 관찰 가능하도록 하며, 태양광을 투과시켜 수분 증발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본체관 내부 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가 설치된 것
또한, 상기 본체관 내부에는 상기 본체관 내부의 수위가 일정 이상 차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구가 설치되며, 상기 부구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부구의 상승을 감지하면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관의 하부 외주면에는 디스크 형태를 갖고 무근 콘크리트층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관을 지지해주는 코킹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킹부재는 중앙부에서 둘레부로 갈수록 곡률을 갖고 하측으로 처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무근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수공법은, 무근 콘크리트층에 다수의 추출공을 천공하되,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연속된 다수의 작업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추출공은 상기 작업영역 중앙에 각각 형성시키는 단계; 각각의 추출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침투형 방수제를 가압, 주입함으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되어 있는 내부 방수층을 보수하는 동시에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해 있던 수분을 상기 추출공으로 밀어내어 추출하는 단계;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추출공들 중 일부에는 전술된 탈기반을 설치하되, 건물의 중앙 지점과 건물의 사방 꼭짓점 부근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건물의 면적에 따라 중앙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사방 꼭짓점 부근에 이르는 중간 지점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탈기반이 설치되지 않은 추출공을 메우는 단계;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 코킹하는 단계; 방수 코킹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도막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젝션관은 다수가 상기 추출공을 중심으로 겹겹이 둘러싸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추출공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가압, 주입되는 침투형 방수제에 의해 밀려나는 내부 방수층의 수분이 상기 추출공을 통해 집중적으로 추출되도록 하며, 상기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펌프를 사용하되, 상기 배수펌프는 다수의 추출공에 고여 있는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본체에 다수의 흡입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도막 방수공법은 방수공법을 진행할 때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누수의 원인을 없애는 한편, 방수공법이 완료된 후에는 태양광 발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및 조달하여 동작하면서 침투한 수분이 누적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관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무근 콘크리트층의 해당 추출공 내부 및 그 주변의 누수 및 방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조명용 LED가 설치된 구성에 의해 야간에도 조명하기 때문에 야간에도 해당 추출공 주변의 상황을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150)은 건물의 옥상 등에서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및 조달하여 동작하면서 건물에 침투한 수분이 누적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150)은 건물의 무근 콘크리트층에 추출공(110)을 천공한 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특히 방수공법을 진행하는 도중에 설치함으로써 철저한 수분 제거와 함께 방수막이 들뜨지 않도록 하여 방수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은 본체관(151)과, 코킹부재(152)와, 커버(153)와, 배기팬(155)과, 모터(156)와, 태양전지(154)와, 배터리(157)와, LED(158)과, 부구(1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관(151)은 무근 콘크리트층에 천공된 추출공(110)에 대응하게 그 상측이나 인근에 세워지며 상면과 하면에 각각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본체관(151)은 무근 콘크리트층이나 그 하측으로부터 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주된 유로를 형성하여 준다. 상기 본체관(15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여 탈기반(150)이 점검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특히 이처럼 점검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커버(153)의 하면에 설치된 LED(158)가 본체관(151) 내부공간에 광을 조사하여 조명하기 때문에 야간에도 해당 추출공 주변의 상황을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태양광이 투과할 수 있게 되어 본체관(151)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본체관(151)의 외주면에는 미도시된 반사시트가 둘레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야간에 상기 LED가 점등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반사시트에 의해 사람들이 탈기반(150)과 접촉하여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킹부재(152)는 본체관(151)의 하부 외주면에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코킹부재(152)가 무근 콘크리트층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관(151)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며, 나아가 무근 콘크리트층의 추출공과 본체관(151) 사이의 틈새를 덮은 상태로 기밀을 유지시켜준다. 이로써 별도의 코킹작업을 거치지 않거나 혹은 소량의 코킹제만을 사용하여도 추출공(110)을 안전하게 메워 코킹하는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코킹부재(15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부에서 둘레부로 갈수록 곡률을 갖고 하측으로 처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측으로 눌러 압착하면 무근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되도록 한다. 특히 무근 콘크리트층의 상면이 표면처리되어 매끄러운 상태인 경우 상기 코킹부재(152)를 하측으로 눌러 압착할 때 진공압이 형성되면서 밀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코킹부재(152)는 무근 콘크리트층과 도막 방수제(160)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별도의 코킹제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추출공(110)을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커버(153)는 상기 본체관(151)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커버(153)의 상단부 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다라 본체관(151)을 통해 상승하는 수분의 배출을 허용하는 다수의 에어홀(15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153a) 외측에는 에어홀(153a)을 통해 비나 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갓(153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본체관(151) 내부 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58)가 설치된다. 이로써, 야간에도 본체관(151)으로 둘러싸인 해당 추출공 주변의 상황을 용이하게 점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배기팬(155)은 커버(153)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56)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면서 본체관(151)을 통해 무근 콘크리트층과 그 하측의 수분을 흡입한 후 상기 커버(153)의 에어홀(153a)을 통해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팬(155)은 다양한 타입의 팬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흡입력이 강한 프로펠러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배기팬(155)이 구비되면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무근 콘크리트층이나 그 하측에 침투한 수분을 강제 배기에 의해 신속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156)는 상기 커버(153) 내부에서 배기팬(155)과 일렬로 설치되며 배기팬(15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전지(154)는 커버(153)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상기 모터(156)의 동력원인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커버(153)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157)에 저장된다. 상기 태양전지(154)에 의해 태양광으로부터 발전하기 위한 세부적인 내용의 경우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157)는 상기 태양전지(154)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같은 배터리(157)가 구비되어 야간이나 흐린 날에도 배터리(157)가 모터(156)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배기팬(155)이 지속적으로 회전하여 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구(159)는 본체관(151) 내부에서 수위가 일정 이상 차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153)에 하측으로 고정된 제1아암(159a) 및 상기 제1아암(159a)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아암(159b)이 설치되고 상기 부구(159)는 상기 제2아암(159b)의 하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로써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관(151) 내부에서 수위가 일정 이상 차오르면 부구(159)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아암(159b)이 회전하여 틸팅된다. 이때 상기 제1아암(159a) 및 제2아암(159b) 간 힌지결합 부위에 설치된 스위치 형태의 감지센서(미도시됨)가 스위칭되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미도시됨)에 전달한다.(상기 감지센서는 스위치 형태 이외에도 제1아암과 제2아암 간 상대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센서들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커버(153)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기(미도시됨)는 통신인터페이스(미도시됨)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경보기를 통해 경보를 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153)에 작은 부저 형태의 경보기가 간단히 설치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본체관(151) 내부에서 수위가 일정 이상 차오르는 현상은 꼭 침수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무근 콘크리트층을 통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이 순간적으로 천공홀(110)에 몰리면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상기와 같이 부구(159)가 설치되면 다량의 수분이 침투하여 누수문제를 발생시키기 전에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은, 추출공 천공단계(S11), 인젝션관 시공단계(S12), 수분 추출제 주입단계(S13), 추출 수분 제거단계(S14), 추출공 메움단계(S15), 방수 코킹단계(S16), 방수제 도포단계(S17)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은 위 단계들을 순차 진행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방수성능이 보장되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주목할 점은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방수층에 산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고 그 자리를 침투형 방수제로 채움으로써 그동안 난해했던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을 제거하고 보다 완벽한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이하, 상기 각 단계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공 천공단계(S11)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무근 콘크리트층에 정사각형의 작업영역을 정하고 그 중앙에 추출공(110)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영역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 1m, 세로 1m의 정사각형 영역으로 표시된 단위영역 4개가 인접하여 형성된 보다 큰 정사각형의 영역이다. 상기 추출공(110)은 하나의 작업영역을 이루는 4개의 정사각형 단위영역이 모두 접하고 있는 중앙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인젝션관 시공단계(S12)에서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추출공(110)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120)을 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인젝션관(120)이 추출공(110)을 중심으로 형성된 동심원상에 10~30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추출공(110)을 겹겹이 둘러싸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인젝션관(120)은 그 하단부가 추출공(110)을 향하여 45도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시공한다. 이후 상기 인젝션관(120)을 미도시된 가압펌프와 호스(100H)로 연결해준다.
상기 수분 추출제 주입단계(S13))에서는 인젝션관(120)을 통해 수분 추출제인 침투형 방수제(130)를 가압펌프로 펌핑하여 가압, 주입한다. 이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산재되어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이 되었던 수분을 밀어내 추출하는 것은 물론 그 자리를 침투형 방수제(130)가 채워 보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 단계에서 다수의 인젝션관(120)이 추출공(110)을 향하여 겹겹이 둘러싸도록 한 방식에 의해 내부 방수층에 침투하여 산재해있던 수분이 추출공(110)으로 집중 추출된다. 만일, 본 발명과 같이 방수층에 산재한 수분을 추출공(110)으로 집중시켜 모으지 않는다면 내부 방수층에 침투한 수분을 추출하는 것은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하여 수분을 밀어낸 침투형 방수제(130)는 내부 방수층의 손상된 부위에 채워진 후 시간을 두고 경화되면서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내부 방수층까지 보수하게 된다.
상기 추출 수분 제거단계(S14)에서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각각의 추출공(110)을 통해 추출되어 고여 있는 수분(110W)을 배수펌프(100P)에 의해 배수처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배수펌프(100P)는 본 발명의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다수의 추출공에 고여 있는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본체(101P)에 다수의 흡입호스(102P)를 문어발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단, 도면에서는 하나의 펌프본체(101P)에 4개의 흡입호스(102P)와 1개의 배출호스(103P)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하나의 펌프본체(101P)에 더 많은 개수의 흡입호스(102P)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추출된 수분을 보다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출공 메움단계(S15)에서는 추출공(110)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한 후 도 11a와 같이 고탄성의 방수 보강제(140)를 이용하여 추출공(110)을 메우면서 일부는 탈기반(150)을 설치한다. 상기 고탄성의 방수 보강제(140)로는 일반적인 우레탄으로도 가능하겠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주)동아방수)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 파워코트에 물과 레미탈을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탈기반(15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예컨대 가로 4m, 세로 4m 영역의 중앙에 하나씩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건물의 중앙 지점과 건물의 사방 꼭짓점 부근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건물의 면적에 따라 중앙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사방 꼭짓점 부근에 이르는 중간 지점에 추가적으로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탈기반(150)은 본체관(151)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에 의해 자체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여 회전하는 배기팬(155)에 의해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침투한 수분을 신속하게 강재 배출하기 때문에 공사 중에는 무근 콘크리트층 위에 시공되는 도막 방수제(160)가 들뜨는 문제를 해소해주고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침투하는 수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수 코킹단계(S16)에서는 상기 추출공 메움단계(S15)에서 사용된 우레탄이나 상품명 파워코트를 코킹제로 사용하여 균열된 부위를 전체적으로 보수한다. 이때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 대부분은 파워코트를 사용하여 균열된 부위를 보수하고, 코너 쪽은 우레탄을 사용하여 별도로 보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젝션관(120)의 시공을 위해 천공된 홀은 방수 코킹단계(S16)에서 파워코트로 메워준다.
상기 방수제 도포단계(S17)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무근 콘크리트층 위로 일련의 도막 방수제들이 복합적으로 도포된다.
먼저 방수 코킹이 완료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유성 프라이머(160a)를 도포한다. 상기 유성 프라이머(160a)는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일액형 프라이머인 제품명 ES-하도를 사용하면 적당하다. 상기 ES-하도는 침투기능이 우수하고 견고한 분자 구조로 이루어져 부착 강도가 뛰어나며 건조 양생이 빨라서 후속공정을 신속히 진행하도록 하는데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를 1차 도포한다.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로는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탑플렉스Ⅱ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탑플렉스Ⅱ의 경우 친환경 제품으로 상온경화형 변성 아크릴 탄성복합재료를 사용한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이며, 기존의 도막 방수제와는 달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들어있지 않아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한 친환경 방수제이다. 또한 일액형 타입으로 별도의 혼합공정이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모근 콘크리트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신장률이 우수하여 균열이나 동결융해에도 방수층이 파단되지 않으며, 유동성이 적어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도막 양생 후 후속공정이 용이하다는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가 1차 도포된 상측에 폴리머 시트(160c)를 부착한다. 이때 폴리머 시트(160c)를 시공면적에 맞게 재단한 후 1차 도포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 위로 부착한다. 부착 후에는 방수비로 중앙에서 좌우로 밀어주면서 잘 펴준다. 폴리머 시트(160c)의 경우 3mm의 두께로 형성되어 단열기능을 강화시켜주고 도막이 일정한 두께를 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으로 폴리머 시트(160c)가 부착된 상측에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d)를 2차 도포한다. 이 단계는 1차 도포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진행되며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탑플렉스Ⅱ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음으로 태양열 반사기능을 갖는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e)를 1차 도포한다. 상기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e)로는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ES-100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ES-100은 화이트 색상의 고반사율 코팅제로서 태양열 반사, 에너지 절약, 단열기능을 갖지만 내오염 방지제가 추가되어 오염도가 낮고, 우수한 방수성능과 내구성을 가지면서 탄성이 높아 내피로 성능까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1차 도포된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e)가 양생된 후 동일한 종류의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f)를 2차 도포한다. 이 단계에서도 역시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ES-100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적당하다. 2차 도포된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f)가 양생되면 방수제 도포단계(S17)가 완료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의한 전체 시공도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추출공 120 : 인젝션관
130 : 침투형 방수제 100H : 호스
100P : 배수펌프 140 : 방수 보강제
150 : 탈기반 151 : 본체관
152 : 코킹부재 153 : 커버
154 : 태양전지 155 : 배기팬
156 : 모터 157 : 배터리
160a 내지 160f : 방수 도막 형성을 위한 각종 방수제들

Claims (5)

  1. 건물에서 무근 콘크리트층을 대상으로 방수하는 도막 방수공법으로서,
    무근 콘크리트층에 다수의 추출공을 천공하되,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연속된 다수의 작업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추출공은 상기 작업영역 중앙에 각각 형성시키는 단계;
    각각의 추출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침투형 방수제를 가압, 주입함으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되어 있는 내부 방수층을 보수하는 동시에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해 있던 수분을 상기 추출공으로 밀어내어 추출하는 단계;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추출공들 중 일부에는 건물에서 무근 콘크리트층 하측으로 존재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탈기반을 설치하되, 건물의 중앙 지점과 건물의 사방 꼭짓점 부근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건물의 면적에 따라 중앙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사방 꼭짓점 부근에 이르는 중간 지점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탈기반이 설치되지 않은 추출공을 메우는 단계;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 코킹하는 단계;
    방수 코킹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도막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탈기반은, 무근 콘크리트층 상면에 세워지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본체관; 상기 본체관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측면에는 상기 본체관을 통해 상승하는 수분의 배출을 허용하는 에어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관을 통해 무근 콘크리트층 및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하측의 수분을 흡입한 후 상기 커버의 에어홀을 통해 배출시켜주는 배기팬;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배기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커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상기 모터의 동력원인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반의 본체관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 관찰 가능하도록 하며, 태양광을 투과시켜 수분 증발을 유도하며,
    상기 탈기반의 커버에는 상기 본체관 내부 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반의 본체관 내부에는 수위가 일정 이상 차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구가 설치되며, 상기 부구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부구의 상승을 감지하면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의 하부 외주면에는 디스크 형태를 갖고 무근 콘크리트층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관을 지지해주는 코킹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코킹부재는 중앙부에서 둘레부로 갈수록 곡률을 갖고 하측으로 처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무근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관은 다수가 상기 추출공을 중심으로 겹겹이 둘러싸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추출공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가압, 주입되는 침투형 방수제에 의해 밀려나는 내부 방수층의 수분이 상기 추출공을 통해 집중적으로 추출되도록 하며,
    상기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펌프를 사용하되, 상기 배수펌프는 다수의 추출공에 고여 있는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본체에 다수의 흡입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1020190090854A 2019-07-26 2019-07-26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102223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54A KR102223020B1 (ko) 2019-07-26 2019-07-26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54A KR102223020B1 (ko) 2019-07-26 2019-07-26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597A Division KR102093886B1 (ko) 2018-12-27 2018-12-27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197A KR20200081197A (ko) 2020-07-07
KR102223020B1 true KR102223020B1 (ko) 2021-03-05

Family

ID=7160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854A KR102223020B1 (ko) 2019-07-26 2019-07-26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149B1 (ko) * 2021-05-18 2023-11-10 윤상훈 통기관 조립체 및 그 조립체와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71A (ja) 2008-08-21 2010-03-04 Kowa Giken:Kk 強制脱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582B1 (ko) * 2010-02-11 2013-01-04 (주)리뉴시스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방수층 보호용 탈기장치
KR101077657B1 (ko) * 2010-02-26 2011-10-27 (유)대광건설산업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212773B1 (ko) * 2010-07-09 2012-12-18 남응식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KR101176850B1 (ko) * 2010-12-07 2012-08-24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555549B1 (ko) 2015-03-31 2015-09-24 태정산업개발(주) 알칼리회복 단열 도막방수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과 절연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71A (ja) 2008-08-21 2010-03-04 Kowa Giken:Kk 強制脱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197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020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N103835216B (zh) 硬化路面以及房屋屋顶裂缝的修复施工方法
CN203701446U (zh) 车库顶板种植用屋面结构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2093886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N205688670U (zh) 一种屋面工程系统结构
KR101176850B1 (ko)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CN106894585A (zh) 再造防水层施工工艺
CN103883084A (zh) 一种出气管防水套
KR101284618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 균열 보수 공법
JP2010047971A (ja) 強制脱気装置
KR200465450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보호용 태양광 탈기장치
CN213625653U (zh) 一种可快速封井的降水井结构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101973036B1 (ko)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20220000650A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JP5757516B2 (ja) 水分除去システム、水分除去装置
JP2001164761A (ja) 既設の鋼板製支柱の重防食根巻積層嵩上補修構造および既設の鋼板製支柱の重防食根巻積層嵩上補修方法
CN113522947A (zh) 用于蜂巢格室雨水花园的土壤修复装置
GB2482006A (en) Sealing or tracing a roof leak
ES2381351B1 (es) Procedimiento de limpieza de palas de aerogeneradores.
CN219590170U (zh) 一种防水卷材检测设备
CN206279553U (zh) 新型地下建筑
KR101183927B1 (ko) 건축구조물의 지반 및 구조 보수공사를 위한 보수제 주입시스템
KR20120097745A (ko) 슬림형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