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036B1 -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036B1
KR101973036B1 KR1020180128860A KR20180128860A KR101973036B1 KR 101973036 B1 KR101973036 B1 KR 101973036B1 KR 1020180128860 A KR1020180128860 A KR 1020180128860A KR 20180128860 A KR20180128860 A KR 20180128860A KR 101973036 B1 KR101973036 B1 KR 101973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ion
waterproofing
extraction hole
concre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준
Original Assignee
(주)동아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방수 filed Critical (주)동아방수
Priority to KR102018012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04B1/648Damp-proof courses obtained by injection or infiltration of water-proofing agents into an existing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방수층에 산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방수성능이 보장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근 콘크리트층에 다수의 추출공을 천공하는 단계; 각각의 추출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침투형 방수제를 가압, 주입함으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되어 있는 내부 방수층을 보수하는 동시에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해 있던 수분을 상기 추출공으로 밀어내어 추출하는 단계; 추출공을 통해 외부로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추출된 수분에 대한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공을 메우는 단계; 추출공이 메워진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 코킹하는 단계; 방수 코킹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WATER EXTRACTION TYPE PERMEABLE COATING LAYER WATERPROOFING METHOD}
본 발명은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방수층에 산재하던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방수성능이 보장되도록 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의 방수는 아스팔트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중 도막 방수공법은 액상 상태의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수분 또는 용제의 증발에 따라 남은 피막으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롤러, 스프레이, 붓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시공면의 굴곡이 심하고 구조가 복잡한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도막 방수공법의 경우 빗물 등의 수분이 무근 콘크리트층을 통과하여 노후화된 방수층까지 침투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수층에 침투한 수분을 처리하지 못한 상태로 콘크리트층 상부 표면에만 새로운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55549호(2015.09.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방수층에 산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방수성능이 보장되도록 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은, 건물에서 무근 콘크리트층을 대상으로 방수하는 도막 방수공법으로서, 무근 콘크리트층에 다수의 추출공을 천공하는 단계; 각각의 추출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침투형 방수제를 가압, 주입함으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되어 있는 내부 방수층을 보수하는 동시에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해 있던 수분을 상기 추출공으로 밀어내어 추출하는 단계; 추출공을 통해 외부로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추출된 수분에 대한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공을 메우는 단계; 추출공이 메워진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 코킹하는 단계; 방수 코킹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연속된 다수의 작업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추출공은 상기 작업영역 중앙에 각각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영역은 가로 1m, 세로 1m의 정사각형 단위영역 4개가 인접하여 형성된 정사각형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젝션관은 다수가 상기 추출공을 중심으로 겹겹이 둘러싸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추출공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가압, 주입되는 침투형 방수제에 의해 밀려나는 내부 방수층의 수분이 상기 추출공으로 집중되어 추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는, 방수 코킹이 완료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유성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를 1차 도포하는 단계;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가 1차 도포된 상측에 단열기능 향상과 도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폴리머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1차 도포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가 건조되면 폴리머 시트가 부착된 상측에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를 2차 도포하는 단계; 태양열 반사기능과 단열기능을 갖는 고탄성 단열 코팅제를 1차 도포하는 단계; 1차 도포된 태양열 반사기능을 갖는 고탄성 단열 코팅제가 양생된 후 다시 한 번 고탄성 단열 코팅제를 2차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펌프를 사용하되, 상기 배수펌프는 다수의 추출공에 고여있는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본체에 다수의 흡입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공들을 메우기 위해 균열방지 방수기능을 갖는 고탄성 방수 보강제를 사용하며, 상기 추출공들 중 일부에는 수분 모니터링 부재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기 추출공들 중 일부에는 수분 모니터링 부재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건물의 중앙 지점과 건물의 사방 꼭지점 부근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건물의 면적에 따라 중앙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사방 꼭지점 부근에 이르는 중간 지점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수분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추출공을 통해 하단부가 방수층까지 도달하도록 삽입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홀이 다수 형성되며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점검관과, 상기 점검관의 상부를 덮으며 외부에서 내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추형의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은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방수층에 산재해 있던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여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방수성능을 보장받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수공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은, 추출공 천공단계(S11), 인젝션관 시공단계(S12), 수분 추출제 주입단계(S13), 추출 수분 제거단계(S14), 추출공 메움단계(S15), 방수 코킹단계(S16), 방수제 도포단계(S1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은 위와 같은 단계들을 순차 진행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방수성능이 보장되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주목할 점은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방수층에 산재하는 수분을 철저히 제거하고 그 자리를 방수제로 채움으로써 그동안 난해했던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을 제거하고 보다 완벽한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이하, 상기 각 단계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공 천공단계(S11)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무근 콘크리트층에 정사각형의 작업영역을 정하고 그 중앙에 추출공(110)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영역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 1m, 세로 1m의 정사각형 영역으로 표시된 단위영역 4개가 인접하여 형성된 보다 큰 정사각형의 영역이다. 상기 추출공(110)은 하나의 작업영역을 이루는 4개의 정사각형 단위영역이 모두 접하고 있는 중앙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인젝션관 시공단계(S12)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추출공(110)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120)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인젝션관(120)은 다수가 상기 추출공(110)을 중심으로 형성된 동심원상에 10~30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추출공(110)을 겹겹이 둘러싸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인젝션관(120)은 추출공(110)을 향하여 45도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시공한다. 이후 상기 인젝션관(120)을 미도시된 가압펌프와 호스(100H)로 연결해준다.
상기 수분 추출제 주입단계(S13))에서는 인젝션관(120)을 통해 수분 추출제인 침투형 방수제(130)를 가압펌프로 펌핑하여 가압, 주입한다. 이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산재되어 고질적인 누수의 원인이 되었던 수분을 밀어내 추출하는 것은 물론 그 자리를 침투형 방수제(130)가 채워 보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 단계에서 다수의 인젝션관(120)이 추출공(110)을 향하여 겹겹이 둘러싸도록 한 방식에 의해 내부 방수층에 침투하여 산재해있던 수분이 추출공(110)으로 집중 추출된다. 만일, 본 발명과 같이 추출공(110)을 천공하고 방수층에 산재한 수분을 추출공(110)으로 집중시켜 모으지 않는다면 내부 방수층에 침투한 수분을 추출하는 것은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하여 수분을 밀어낸 침투형 방수제(130)는 내부 방수층의 손상된 부위에 채워진 후 시간을 두고 경화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된 내부 방수층까지 보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추출 수분 제거단계(S14)에서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각각의 추출공(110)을 통해 추출되어 고여있는 수분(110W)을 배수펌프(100P)에 의해 배수처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배수펌프(100P)는 본 발명의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다수의 추출공에 고여있는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본체(101P)에 다수의 흡입호스(102P)를 문어발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단, 도면에서는 하나의 펌프본체(101P)에 4개의 흡입호스(102P)와 1개의 배출호스(103P)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하나의 펌프본체(101P)에 더 많은 개수의 흡입호스(102P)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추출된 수분을 보다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출공 메움단계(S15)에서는 추출공(110)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한 후 도 7a와 같이 고탄성의 방수 보강제(140)를 이용하여 추출공(110)을 메워준다. 이같은 고탄성의 방수 보강제(140)로는 일반적인 우레탄으로도 가능하겠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주)동아방수)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 파워코트에 물과 레미탈을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선택적으로, 도 7b 및 도 7c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추출공(110)을 메울 때 모두 메우지 않고 그들 중 일부에는 수분 모니터링 부재(15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가로 4m, 세로 4m 영역의 중앙에 하나씩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건물의 중앙 지점과 건물의 사방 꼭지점 부근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건물의 면적에 따라 중앙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사방 꼭지점 부근에 이르는 중간 지점에 추가적으로 설치한다. 상기 수분 모니터링 부재(150)는 본 발명의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을 위해 고안된 독창적인 부재로, 외부에서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의 내부를 쉽게 관찰하면서 수분이 고였는지 여부를 상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투명 재질의 점검관(151)과 덮개(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점검관(151)은 추출공(110)을 통해 하단부가 방수층까지 도달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홀(151a)이 다수 형성되어 평상시 습기가 차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점검관(151)을 추출공(110)에 삽입 설치할 때에는 추출공(110)과 점검관(151)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도 7b와 같이 방수 보강제(140)로 틈새를 완전히 메워준다. 한편, 상기 원추형의 덮개(152)는 점검관(110)의 상부를 덮으면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점검관(110)과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내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수분 모니터링 부재(150)가 설치되면 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돌출된 형태로 남아 있게 되며, 작업자는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 수분이 고였는지 여부를 언제든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수분 모니터링 부재(150)의 설치는 현장의 필요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아래에 설명되는 후속 단계들의 도면에는 편의상 수분 모니터링 부재(150)를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방수 코킹단계(S16)에서는 상기 추출공 메움단계(S15)에서 사용된 우레탄이나 상품명 파워코트를 코킹제로 사용하여 균열된 부위를 전체적으로 보수한다. 이때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 대부분은 파워코트를 사용하여 균열된 부위를 보수하고, 코너 쪽은 우레탄을 사용하여 별도로 보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젝션관(120)의 시공을 위해 천공된 홀은 방수 코킹단계(S16)에서 파워코트로 메워준다.
상기 방수제 도포단계(S17)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일련의 작업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된다.
먼저 도 8과 같이 방수 코킹이 완료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유성 프라이머(160a)를 도포한다. 상기 유성 프라이머(160a)는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일액형 프라이머인 제품명 ES-하도를 사용하면 적당하다. 상기 ES-하도는 침투기능이 우수하고 견고한 분자 구조로 이루어져 부착 강도가 뛰어나며 건조 양생이 빨라서 후속공정을 신속히 진행하도록 하는데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9와 같이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를 1차 도포한다.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로는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탑플렉스Ⅱ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탑플렉스Ⅱ의 경우 친환경 제품으로 상온경화형 변성 아크릴 탄성복합재료를 사용한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이며, 기존의 도막 방수제와는 달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들어있지 않아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한 친환경 방수제이다. 또한 일액형 타입으로 별도의 혼합공정이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모근 콘크리트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신장률이 우수하여 균열이나 동결융해에도 방수층이 파단되지 않으며, 유동성이 적어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도막 양생 후 후속공정이 용이하다는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가 1차 도포된 상측에 폴리머 시트(160c)를 부착한다. 이때 폴리머 시트(160c)를 시공면적에 맞게 재단한 후 1차 도포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 위로 부착한다. 부착 후에는 방수비로 중앙에서 좌우로 밀어주면서 잘 펴준다. 폴리머 시트(160c)의 경우 3mm의 두께로 형성되어 단열기능을 강화시켜주고 도막이 일정한 두께를 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으로 도 11과 같이 폴리머 시트(160c)가 부착된 상측에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d)를 2차 도포한다. 이 단계는 1차 도포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160b)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진행되며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탑플렉스Ⅱ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음으로 도 12와 같이 태양열 반사기능을 갖는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e)를 1차 도포한다. 상기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e)로는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ES-100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ES-100은 화이트 색상의 고반사율 코팅제로서 태양열 반사, 에너지 절약, 단열기능을 갖지만 내오염 방지제가 추가되어 오염도가 낮고, 우수한 방수성능과 내구성을 가지면서 탄성이 높아 내피로 성능까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도 13과 같이 1차 도포된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e)가 양생된 후 동일한 종류의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f)를 2차 도포한다. 이 단계에서도 역시 본 출원인이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명 ES-100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적당하다. 2차 도포된 고탄성 단열 코팅제(160f)가 양생되면 방수제 도포단계(S17)가 완료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에 의한 전체 시공도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추출공 120 : 인젝션관
130 : 침투형 방수제 100H : 호스
100P : 배수펌프 140 : 방수 보강제
160a 내지 160f : 방수 도막 형성을 위한 각종 방수제들

Claims (7)

  1. 건물에서 무근 콘크리트층을 대상으로 방수하는 도막 방수공법으로서,
    무근 콘크리트층에 다수의 추출공을 천공하는 단계; 각각의 추출공을 중심으로 그 주변부에 인젝션관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침투형 방수제를 가압, 주입함으로써 무근 콘크리트층 하부에서 손상되어 있는 내부 방수층을 보수하는 동시에 손상된 내부 방수층에 침투해 있던 수분을 상기 추출공으로 밀어내어 추출하는 단계;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추출된 수분에 대한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공을 메우는 단계; 추출공이 메워진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 코킹하는 단계; 및 방수 코킹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을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연속된 다수의 작업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추출공은 상기 작업영역 중앙에 각각 형성시키며,
    상기 추출공을 통해 추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펌프를 사용하되, 상기 배수펌프는 다수의 추출공에 고여있는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본체에 다수의 흡입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영역은 가로 1m, 세로 1m의 정사각형 단위영역 4개가 인접하여 형성된 정사각형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관은 다수가 상기 추출공을 중심으로 겹겹이 둘러싸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추출공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인젝션관을 통해 가압, 주입되는 침투형 방수제에 의해 밀려나는 내부 방수층의 수분이 상기 추출공을 통해 집중적으로 추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는,
    방수 코킹이 완료된 무근 콘크리트층 표면에 유성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를 1차 도포하는 단계;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가 1차 도포된 상측에 단열기능 향상과 도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폴리머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1차 도포된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가 건조되면 폴리머 시트가 부착된 상측에 일액형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를 2차 도포하는 단계;
    태양열 반사기능과 단열기능을 갖는 고탄성 단열 코팅제를 1차 도포하는 단계;
    1차 도포된 태양열 반사기능을 갖는 고탄성 단열 코팅제가 양생된 후 다시 한 번 고탄성 단열 코팅제를 2차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들을 메우기 위해 균열방지 방수기능을 갖는 고탄성 방수 보강제를 사용하며,
    상기 추출공들 중 일부에는 수분 모니터링 부재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건물의 중앙 지점과 건물의 사방 꼭지점 부근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건물의 면적에 따라 중앙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사방 꼭지점 부근에 이르는 중간 지점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수분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추출공을 통해 하단부가 방수층까지 도달하도록 삽입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홀이 다수 형성되며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점검관과, 상기 점검관의 상부를 덮으며 외부에서 내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추형의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1020180128860A 2018-10-26 2018-10-26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10197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60A KR101973036B1 (ko) 2018-10-26 2018-10-26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60A KR101973036B1 (ko) 2018-10-26 2018-10-26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036B1 true KR101973036B1 (ko) 2019-04-26

Family

ID=662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860A KR101973036B1 (ko) 2018-10-26 2018-10-26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0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90B1 (ko) * 2011-04-12 2011-11-11 (주)대한방수공사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 누수 보수 방법
KR101555549B1 (ko) 2015-03-31 2015-09-24 태정산업개발(주) 알칼리회복 단열 도막방수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과 절연보수공법
KR20170021456A (ko) * 2015-08-18 2017-02-28 (주)펜테크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90B1 (ko) * 2011-04-12 2011-11-11 (주)대한방수공사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 누수 보수 방법
KR101555549B1 (ko) 2015-03-31 2015-09-24 태정산업개발(주) 알칼리회복 단열 도막방수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과 절연보수공법
KR20170021456A (ko) * 2015-08-18 2017-02-28 (주)펜테크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779B2 (en) Device for in-situ barrier
CN101994399B (zh) 卷材防水屋面渗漏修缮的施工方法
KR101442010B1 (ko) 옥상슬랩의 친환경 방수 보수시공방법
CN103195104B (zh) 一种在建筑结构防水部位采用防排组合的构造方法
CN108442412A (zh) 变形缝渗漏防水施工方法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20110064142A (ko) 구조물의 방수 및 크랙 보수 공법
CN107448008A (zh) 一种利用微创法再造耐久防水层的施工工艺
KR101452176B1 (ko) 수중콘크리트구조물의 조인트부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물
CN105442861B (zh) 卫生间排水管道渗漏水背水面修复方法
KR101973036B1 (ko)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N106894585A (zh) 再造防水层施工工艺
KR20120097091A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100943296B1 (ko) 무기질 침투성 복합 방수공법
KR102223020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20220000650A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117482B1 (ko)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20210105091A (ko) 옥상 바닥의 누수 부위 보수 방법
KR102175494B1 (ko) 도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 이음접합부 맞댐 방수 구조 및 방수 공법
FI77502C (fi) Foerfarande foer taetning eller foer taetning i efterhand av isynnerhet byggnadsvaeggar mot fukt samt stoedelement foer tillaempning av foerfarandet.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CN209854946U (zh) 止水修复结构
KR102093886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20030042159A (ko) 매설관 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