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50A -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50A
KR20220000650A KR1020200078531A KR20200078531A KR20220000650A KR 20220000650 A KR20220000650 A KR 20220000650A KR 1020200078531 A KR1020200078531 A KR 1020200078531A KR 20200078531 A KR20200078531 A KR 20200078531A KR 20220000650 A KR20220000650 A KR 2022000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ir
acrylic
water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838B1 (ko
Inventor
박우철
Original Assignee
박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철 filed Critical 박우철
Priority to KR102020007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8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은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영역을 소정의 단위영역들로 분할하는 분할단계; 상기 단위영역들마다 홀을 상기 바닥에 수직방향으로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홀 내부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 및 상기 홀 내부로 아크릴 재료를 주입하는 아크릴주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단계는, 상기 단위영역마다 형성된 홀들 중 제1 홀로 주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제1 홀에 인접한 제2 홀들을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된 공기압으로 공기를 주입하되, 상기 홀들 중 중앙에 위치한 홀부터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중앙의 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곽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인접한 다른 홀들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물을 외곽으로 배출시켜 함수율을 축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Method for performing waterproof of the roof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옥상 바닥에 형성된 방수층의 함수율을 축소하고 방수층을 시공하는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에서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었을 경우,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물 내부로 침투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각종 방수 재료를 사용하여 내벽 및 바닥 등의 구조물에 방수 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건물의 옥상에 방수 처리된 바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옥상 또는 지붕의 바닥은 슬라브 공사를 하여 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아스콘 같은 방수액 등으로 방수처리를 함으로써 방수층(20)을 형성한다. 방수층(20) 상에 스치로폼, 암면, 그라스울 등의 단열재로서 단열 시공을 하여 단열층(3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우레탄으로 보호층(40)을 형성하여 방수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 공사 과정에서 단열재는 발포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수분을 함유하는 흡습성이 있고 건물 옥상이나 지붕의 경우,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생긴 물들이 전부 배수되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층(30)으로 스며 들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며든 물(50)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옥상 바닥에 균열이나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겨울철에 결빙되어 동파 및 균열을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도박 방수 재료 중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방수재료가 고체화되며 발생되는 잉여수분이 방수층(20)의 사이에 존재하여 열교환으로 인한 물리적 현상으로 방수층의 부풀음을 초래하고 열화 및 파단을 촉진하게 되며, 방수바탕의 콘크리트 공사 시에 구배와 드레인 주위 마감 처리를 위하여 기능공에 의한 쇠 흙손 작업 시 일정부위에는 콘크리트가 이중 접착되어 접착부수가 강우에 의한 물고임 및 일사에 의한 열교환으로 방수층이 들뜨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방수 시공에서는 방수층(20) 및 단열층(30)에 존재하는 물(50)의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누수 보수재를 이용하여 방수층(20)의 보수하는 경우에도 물(50)의 양이 많으면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누수 및 방수 시공 시에는 방수층(20)의 함수율이 6% 이하로 축소하여 방수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시 방수층(20)에 함유된 물을 최대한 줄이는 함수율 축소기술이 필요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함수율 축소가 어려워 효과적인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옥상 바닥에 형성된 방수층에 함유된 물을 제거하여 함수율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의 함수율을 축소하여 방수층을 보수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은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영역을 소정의 단위영역들로 분할하는 분할단계; 상기 단위영역들마다 홀을 상기 바닥에 수직방향으로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홀 내부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 및 상기 홀 내부로 아크릴 재료를 주입하는 아크릴주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단계는, 상기 단위영역마다 형성된 홀들 중 제1 홀로 주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제1 홀에 인접한 제2 홀들을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된 공기압으로 공기를 주입하되, 상기 홀들 중 중앙에 위치한 홀부터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중앙의 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곽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인접한 다른 홀들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물을 외곽으로 배출시켜 함수율을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은 상기 아크릴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방수영역 상에 보호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로 형성된 보호층은 우레탄 방수층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재료는 이액형 수계 아크릴 겔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주입단계는, 상기 각각의 홀에 아크릴 주입노즐을 설치하여 상기 주입 노즐을 통해 아크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 노즐은 일방향으로 아크릴 재료가 주입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주입된 아크릴 재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은, 상기 아크릴주입단계 이후에,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주입 노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되는 아크릴 재료는 1m × 1m 당 1k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옥상의 바닥에 형성된 방수층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옥상 바닥에 균열이나 부식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고 겨울철에 물의 결빙에 의한 동파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의 함수율을 최소화함으로써 방수층의 부풀음을 방지하고 물고임 및 일사에 의한 열교환으로 방수층이 들뜨는 문제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의 함수율가 최소가 되므로 누수 보수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방수 시공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건물옥상에 방수처리된 바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이 적용되는 건물옥상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이 적용되는 건물옥상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이 적용되는 건물옥상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옥상 또는 지붕의 바닥은 콘크리트 등으로 슬라브 공사를 하여 콘크리트층(100)이 형성되고, 그 위에 아스콘 같은 방수액 또는 멤브레인 등으로 방수처리를 함으로써 방수층(200)이 형성된다.
방수층(200) 상에 단열재로서 단열층(300)이 형성되고, 그 위에는 누름 몰타르(또는 보호 몰타르라고도 함) 등으로 보호층(400)이 형성되어 있다.
건물 옥상 또는 지붕의 바닥에는 어느 일 지점에 루프 드레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루프 드레인은 건물 옥상이나 지붕의 바닥에 고인 물을 하루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건물옥상의 바닥은 방수층 또는 단열층이 손상되어 균열(2)이 발생하거나 철근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건물 옥상이나 지붕의 경우,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생긴 물들이 전부 배수되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건물옥상의 바닥에 형성된 균열(2)에 의해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층(300)으로 스며 들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며든 물(50)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옥상 바닥에 균열이나 부식을 유발하게 된다.
도 3에서 균열(2)은 보호층(400)과 단열층(30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균열(2)은 방수층(200) 및/또는 콘크리트층(100)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은 방수층(200)의 성능복원과 균열보수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은 기존의 방수 영역에 대해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방수 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에 따라, 먼저 소정의 방수 시공이 되어야 하는 영역(이하, 방수 영역이라고 함)은 소정의 단위 영역들(71, 72, ...)로 분할된다. 소정의 단위 영역은 1m × 1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역은 내부의 함수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방수층(200)에 물의 양이 많은 경우 영역은 더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 영역은 0.5~2m × 0.5~2m로 권장될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단위 영역들(71, 72, ...)에 방수 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이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천공을 수행한다. 이 경우, 각 홀의 크기는 지름이 0.5~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로 바람을 불어 넣을 때 강한 바람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홀들(81, 82, ...)은 바닥면, 즉 바람직하게는 방수층(200)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만약 수직방향이 아니라 비스듬히 천공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한 바람을 불어 넣을 때 비스듬한 방향으로만 바람이 전달되며 다른 방향으로는 바람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영역들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은 물이 고여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방수층(200)까지 뚫어진다. 도 3에서는 단위 영역들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은 수직방향으로 보호층(400)과 단열층(30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위 영역들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은 방수층(200) 및/또는 콘크리트층(100)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건물옥상 바닥을 이루는 각 층들이 두껍게 도시되어 있지만, 보호층(400), 단열층(300) 및 방수층(200)의 두께는 수 mm 단위이다.
따라서, 도 3에서는 일례로 보호층(400)과 단열층(300)에 홀들(81, 82, ...)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홀(예컨대, 81)의 내부로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강한 공기압으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주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압축기는 공지의 콤프레셔(compressor)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홀을 통해 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때문에, 예컨대, 단열층(300) 또는 방수층(200)에 고여 있는 물(50)이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인접한 홀을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홀(81)을 통해 강한 공기압으로 공기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주입함으로써, 해당 제1 홀(81)의 인근에 존재하는 물(50)이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밀려서 해당 제1 홀(81)에 인접한 다른 제2 홀들(8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압은 제1 홀(81)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인접한 제2 홀(82)을 통해 최소한 물(50)이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후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홀(82)을 통해 공기를 강하게 주입하여 제2 홀(82)에 인접한 다른 홀들을 통해 다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가장 먼저 건물옥상 바닥의 중앙에 있는 홀로 먼저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여 물을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그 인접한 홀들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다시 물을 중앙부로부터 계속 멀어지도록 하여 물을 외곽, 예를 들어 루프 드레인 방향으로 계속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방수층(200)에 존재하는 물(50)을 중앙부에서 외곽, 즉 외곽에 있는 루프 드레인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방수층(200)의 함수율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단열층(300) 또는 방수층(200)의 함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함수율은 수분 함유율로서, 섬유 등 어떤 시료가 표준 상태에서 낮은 수분율로부터 수분 평형을 이루었을 때 건조 전과 건조 후의 차이를 건조전의 무게로 나누어 백분율로 계산되는 것을 말한다. 즉, 표준 상태에서의 시료 무게를 a, 건조 후의 시료 무게를 b라고 한다면, (a-b) × a × 100 = 함수율 혹은 수분 함유율(%)이 된다.
이때,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홀들을 통해 강한 공기를 불어 넣기 때문에, 만약에 수직방향이 아니라 비스듬한 방향으로 홀들이 형성된다면 공기는 비스듬한 방향으로만 주입되며, 이 경우 물은 그 일방향으로만 밀려나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그 일방향 외 다른 방향으로는 물을 밀어낼 수 없으므로 함수율 축소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같이 홀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면, 그 홀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강한 공기를 순간적으로 불어 넣는다면 방사형으로 물이 밀려서 그 해당 홀을 둘러싸는 주변의 홀들, 예를 들어 최소한 8개의 주변의 홀들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효율적인 함수율 축소가 진행되는 것이다.
몰론, 경우에 따라 방수층(200)에 존재하는 물(50)의 양이 매우 적거나 아예 물(5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람을 강하게 불어 넣더라도, 이웃한 다른 홀들을 통해 물(50)이 매우 소량으로 배출되거나 아예 배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인접한 다른 홀들을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확인하여 방수층(200)에 존재하는 물(50)이 적거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다른 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이나 바람의 세기를 통해 이미 함수율 축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옥상 바닥의 중앙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각으로 가면서 강한 공기를 이용하여 함수율 축소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각 홀들을 메우는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어서 방수 영역의 단위 영역들(71, 72, ...)의 각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에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를 주입하여 방수층(200)을 재생시킨다. 이 경우, 각 홀(81, 82, ...)에 주입 노즐(510, 520)이 설치되어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가 건물옥상의 바닥 내부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수분 흡수 재료의 주입은 수직 압력 주입으로 한다.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 노즐(510, 520)은 일정시간 경과 후 제거될 수 있다. 주입 노즐은 예컨대, 1회용 패커일 수 있다. 이러한 패커는 일방향으로는 액상을 주입할 수 있으나 반대방향으로는 액상이 배출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는 고점도 친수성 아크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는 이액형 수계 아크릴 겔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점도 아크릴은 1㎡당 1kg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하나의 홀에 대해 고점도 아크릴 1kg이 주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열층(300) 또는 방수층(200)의 함수율이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에 의해 저하된다. 이에 따라, 건물 옥상의 바닥 내부의 함수율은 8% 이하로 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이후, 보호층(400) 상에 우레탄 방수층(도시 생략)을 형성하여 보호층(400) 상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단열층이 콘크리크층(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이 적용되는 건물옥상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옥상 또는 지붕의 바닥은 단열재 등을 배치하여 단열층(320)을 형성하고, 단열층(320) 상에 콘크리트 등으로 슬라브 공사를 하여 콘크리트층(100)이 형성되고, 그 위에 아스콘 같은 방수액 또는 멤브레인 등으로 방수처리를 함으로써 방수층(200)이 형성된다. 방수층(200) 상에 누름 몰타드 등으로 보호층(4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 영역의 단위 영역들(71, 72, ...)에서 콘크리트층(100)까지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이 형성될 수 있고, 강한 바람을 주입하여 함수율을 축소한 후 고점도 친수성 아크릴은 콘트리트층(100)의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주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은 먼저 방수 영역을 소정의 단위 영역들(71, 72, ...)로 분할하는 단계(710)를 포함한다. 소정의 단위 영역은 1m × 1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 시공 방법은 각각의 단위 영역들(71, 72, ...)에 방수 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이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도록 천공을 수행하는 단계(720)를 포함한다.
이어서, 방수 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홀(예컨대, 81)에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강한 공기압으로 공기를 홀(81)의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7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하나의 홀을 통해 강한 공기압으로 공기를 순간적으로 주입하기 때문에, 예컨대, 단열층(300) 또는 방수층(200)에 고여 있는 물(50)이 이 공기압에 의해 밀려서 인접한 홀(예컨대, 82)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열층(300) 또는 방수층(200)에 고여 있는 물(50)이 공기에 의해 밀려서 인접한 다른 홀(8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강한 공기압의 공기를 불어 넣도록 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단열층(300) 또는 방수층(200)의 함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홀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홀에 따라 순서가 요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옥상 바닥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홀에 먼저 공기를 주입하여 물을 방사형으로 밀어내어 제1 홀에 인접한 제2 홀들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2 홀들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시 물을 외곽으로 계속 밀어내어 제2 홀들에게 인접한 다른 홀들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계속 진행함으로써 물을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키고, 결국에는 최외곽의 홀 또는 루프 드레인을 통해 물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함수율 축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방수 시공 방법은 방수 영역의 단위 영역들(71, 72, ...)의 각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81, 82, ...)에 고점도 수분 흡수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740)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방수 시공 방법은 보호층(400) 상에 우레탄 방수층(도시 생략)을 형성하여 보호층(400)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7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옥상 바닥에 구성을 뚫고,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을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밖으로 배출하여 옥상 바닥의 함수율을 낮춘 후에 고점도 친수성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시공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콘크리트층
200: 방수층
300, 320: 단열층
400: 보호층

Claims (8)

  1.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영역을 소정의 단위영역들로 분할하는 분할단계;
    상기 단위영역들마다 홀을 상기 바닥에 수직방향으로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홀 내부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 및
    상기 홀 내부로 아크릴 재료를 주입하는 아크릴주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단계는,
    상기 단위영역마다 형성된 홀들 중 제1 홀로 주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제1 홀에 인접한 제2 홀들을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된 공기압으로 공기를 주입하되, 상기 홀들 중 중앙에 위치한 홀부터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중앙의 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곽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인접한 다른 홀들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물을 외곽으로 배출시켜 함수율을 축소시키는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방수영역 상에 보호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로 형성된 보호층은 우레탄 방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재료는 이액형 수계 아크릴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주입단계는, 상기 각각의 홀에 아크릴 주입노즐을 설치하여 상기 주입 노즐을 통해 아크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노즐은 일방향으로 아크릴 재료가 주입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주입된 아크릴 재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주입단계 이후에,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주입 노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되는 아크릴 재료는 1m Х 1m 당 1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KR1020200078531A 2020-06-26 2020-06-26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KR10246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531A KR102461838B1 (ko) 2020-06-26 2020-06-26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531A KR102461838B1 (ko) 2020-06-26 2020-06-26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50A true KR20220000650A (ko) 2022-01-04
KR102461838B1 KR102461838B1 (ko) 2022-11-01

Family

ID=7934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531A KR102461838B1 (ko) 2020-06-26 2020-06-26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941A (ko) 2022-09-29 2024-04-05 박우철 지하 건축물 누수부위 방수공사용 방수액 주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57B1 (ko) * 2009-04-17 2009-07-20 (주) 인택산업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1025806B1 (ko) * 2010-10-01 2011-04-04 (주)실리칼플로어 옥상 보호모르타르 표면강화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20170077067A (ko) * 2017-06-15 2017-07-05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에서 발생 된 누수부위 보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57B1 (ko) * 2009-04-17 2009-07-20 (주) 인택산업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1025806B1 (ko) * 2010-10-01 2011-04-04 (주)실리칼플로어 옥상 보호모르타르 표면강화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20170077067A (ko) * 2017-06-15 2017-07-05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에서 발생 된 누수부위 보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941A (ko) 2022-09-29 2024-04-05 박우철 지하 건축물 누수부위 방수공사용 방수액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838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KR101442010B1 (ko) 옥상슬랩의 친환경 방수 보수시공방법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2213806B1 (ko) 구조물의 방수공법
KR20220000651A (ko) 지하 주차장 누수 부위 방수 시공 방법
KR102461838B1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243270B1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48088B1 (ko) 건축구조물 보수공사를 위한 지반 및 구조 보강공법
KR102277939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89281B1 (ko) 지하실 벽면슬랩의 친환경 방수 시공방법
KR101616285B1 (ko) 건축 옥상누수 방지 시스템구조
KR100929362B1 (ko)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102049494B1 (ko) 절개를 통한 옥상 누수 방지구조 및 누수 방지공법
KR102321316B1 (ko) 수용성 지수재를 이용한 공동주택 욕실 방수 공법
KR20000039774A (ko) 보수 방수시공방법
KR102321797B1 (ko) 지하주차장 소음 및 습윤박리 저감 에폭시 도장공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US4686810A (en) Method for leakproofing building walls, as well as insertion elemen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209958622U (zh) 一种防水保温一体化的屋面
CN209620667U (zh) 一种混凝土屋面节能防水修缮系统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CN216239901U (zh) 一种屋面渗漏修缮结构
KR100436284B1 (ko) 지하구조물의 외단열방법 및 배수용 단열패널을 갖는지하구조물
KR20210105091A (ko) 옥상 바닥의 누수 부위 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