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065B1 -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 Google Patents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065B1
KR100696065B1 KR1020060035915A KR20060035915A KR100696065B1 KR 100696065 B1 KR100696065 B1 KR 100696065B1 KR 1020060035915 A KR1020060035915 A KR 1020060035915A KR 20060035915 A KR20060035915 A KR 20060035915A KR 100696065 B1 KR100696065 B1 KR 10069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resin
permeable layer
rubbe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영
최선영
Original Assignee
최낙영
최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영, 최선영 filed Critical 최낙영
Priority to KR102006003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옥상슬라브에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방수처리할 수 있는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옥상 슬라브상에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투수층내에 존재하는 옥상 슬라브에서 발생되는 기화열에 의해 팽창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는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옥상슬라브를 방수시공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에 의하여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인 폐타이어칩 및 우레탄칩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옥상슬라브, 방수

Description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STRUCTURE OF WATERPROOFING FOR ROOFTOP AND PANEL OF WATERPROOF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저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이 형성된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용 방수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옥상슬라브에 옥상슬라브용 방수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옥상슬라브용 방수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옥상슬라브상에 도 6의 방수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옥상 슬라브 310, 710: 투수층
330, 730: 고무발포층 350, 750: 방수층
370, 790: 상도층 50: 배기부재
312, 714: 세로홈 70: 방수패널
712: 가로홈 714: 세로홈
770: 이음매 방수부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옥상슬라브에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방수처리할 수 있는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옥상 슬라브상에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투수층내에 존재하는 옥상 슬라브에서 발생되는 기화열에 의해 팽창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슬라브를 시공할 때 단열 및 방수효과를 얻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를 시공하나, 이러한 건 축물의 옥상슬라브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수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옥상슬라브의 누수현상의 원인은 시공시 결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과, 콘크리트 균열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대체적으로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옥상방수공법으로는 비노출식 방수공법과 노출식 방수공법이 있으며, 비노출식 방수공법은 기존 옥상슬라브의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시공된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동일한 과정으로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 순으로 재시공하는 공법이고, 노출식 방수공법은 기존의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단열재, 보호 콘크리트 및 방수층의 순서로 시공하는 공법이다.
이 중 비노출식의 방수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 및 방수층이 상호 결합되어져 있다가 세월이 경과되면서 계절의 변화와 습도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장율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고 또 방수층 내의 콘크리트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층이 부식 또는 산화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어 누수는 물론 건물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되풀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리고 노출식 방수공법은 보호 콘크리트의 면정리를 하고 접착제로 사용하는 프라이머를 롤러 등을 이용하여 일회로 얇게 발라주는 정도의 공법으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의 강도나 포괄적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방수층의 일부가 파손 될 경우 방수층 밑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번지게 되므로 일부분 하자발생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일정한 하자부위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하수보수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비노출식 및 노출식 방수공법은 공통적으로 기존의 방수층, 단열재 및 보조 콘크리트의 철거후 재시공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이 많이 가야하는 번잡함을 수반해야 하고 이에 따른 경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수공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옥상슬라브를 방수시공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에 의하여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인 폐타이어칩 및 우레탄칩을 재활용할 수 있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옥상 슬라브상에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측에 관통설치되어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함유 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투수층과 상기 방수층사이에 고무발포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수지, 폴리염화비닐(PVC)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우레탄(PU)수지, 폴리우레아수지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수층의 저면에는 복수의 가로홈과, 상기 복수의 가로홈과 연통되는 복수의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부재의 단부가 상기 투수층의 가로홈 또는 세로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수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투수층과 상기 방수층사이에 고무발포층이 구비되고, 상기 투수층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로홈과 상기 가로홈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층의 측단이 상기 고무발포층의 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수층이 상기 고무발포층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옥상슬라브상에 사방이 서로 밀착되도록 안착되는 복수의 상기 방수패널과; 서로 밀착된 상기 방수패널 사이의 이음매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패널의 상기 방수층 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음매 방수부와; 상기 방수패널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투수층상에 존재하는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부재와; 상기 방수패널 및 상기 이음매 방수부의 전면에 방수수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는 크게 투수층(310)과, 방수층(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투수층(310)은 옥상 슬라브(10)상에 형성하여 옥상 슬라브(10)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 또는 우레탄칩을 이용하여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투수층(310)을 형성한다.
상기 투수층(310)의 두께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공되는 옥상 슬라브의 상태, 시공되는 옥상 슬라브의 누수정도 등에 따라 정하면 족하다.
이러한 상기 투수층(310)에는 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 옥상 슬라브(10)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수분이 상기 투수층(310)의 공극에 존재하도록 하여 상기 투수층 (310)및 상기 방수층(350)이 옥상 슬라브(10)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에 의하여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층(350)은 상기 투수층(310)상에 형성되어 상기 투수층(310)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투수층(310)과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고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수지, 폴리염화비닐(PVC)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우레탄(PU)수지, 폴리우레아수지 중 선택된 1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수지, 폴리염화비닐(PVC)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우레탄(PU)수지, 폴리우레아수지로 이루어지는 방수층은 경질층이기 때문에 보행자가 상기 방수층(350)위를 보행하더라도 보행중 중심을 잃어 넘어질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중량 미만의 물건을 올려 놓더라도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방수층(350)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수지, 폴리염화비닐(PVC)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우레탄(PU)수지, 폴리우레아수지를 상기 투수층(310)상에 일정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강화플 라스틱(FRP)패널, 폴리염화비닐(PVC)패널, 폴리에틸렌(PE)패널, 폴리우레탄(PU)패널, 폴리우레아패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투수층(310)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밀하게 부착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한편, 옥상 슬라브(10)로부터 수분이 소량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수층(310)의 공극에 수분이 적정 존재하여 상기 투수층(310) 및 상기 방수층(350)을 들뜨게 하지 않으나, 옥상 슬라브(10)로부터 수분이 대량 발생하여 상기 투수층(310)의 공극에 수분이 포화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투수층(310) 및 상기 방수층(350)이 옥상 슬라브(10)로부터 들뜰 수 있으므로, 상기 투수층(310)의 공극에 존재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재(50)는 옥상 슬라브(10)로부터 발생하여 상기 투수층(310)상의 공극에 존재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상기 투수층(310) 및 상기 방수층(350)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투수층(310)에 존재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층(350)에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수층(350)과 상기 배기부재(50)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층(350)과 상기 배기부재(50)사이를 실링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재(50)의 형상 및 구조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투수 층(310)상에 존재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기시킬 수 있고, 빗물이 상기 투수층(3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배기부재(50)가 상기 방수층(350)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층(350)의 전면에 우레탄수지 등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상도층을(370)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도 2와 같이 상기 투수층(310)과 상기 방수층(350)사이에 고무발포층(350)이 구비된다.
상기 고무발포층(350)은 상기 투수층(310)상에 형성되어 더욱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고, 상기 방수층(350)상에 발생하는 진동, 소음 등이 옥상 슬라브(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방기포(open-cell) 또는 독립기포(closed-cell)로 이루어진 고무발포층(350)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단열효과뿐만 아니라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독립기포구조로 이루어진 고무발포층(350)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고무발포층(350)은 일정한 탄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고무발포층(350)상에 형성되는 상기 방수층(350)의 재질은 경질재질인 FRP, PVC, PE로 이루 어지는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방수층(350)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층(350)의 두께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저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이 형성된 투수층(310)으로 이루어진 옥상 슬라브(10)의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더욱 상기 투수층(310)상에 존재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투수층(310)내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투수층(310)의 저면에 도 3과 같이 가로홈 및 세로홈(3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수층(310)의 저면에 형성된 가로홈 및 세로홈(312)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더욱 공기의 소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으며, 또한 상기 가로홈 및 세로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재(50)의 공기유입구가 상기 투수층(310)의 가로홈 또는/및 세로홈(312)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수층(350)상에 설치하여, 상기 투수층(310)에 존재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옥상 슬라브에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70)은 도 4와 같이 투수층(710)과 상기 투수층(710)상에 형성된 방수층(7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투수층(710)은 폐기물인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을 이용하여 공극이 형성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층(750)은 상기 투수층(710)상에 형성되어 물이 상기 투수층(7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성이 있는 재질이면 족하나, 경질의 FRP, PVC, PE, PU(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FRP, PVC, PE, PU,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방수층(750)의 경우 상기 투수층(710)과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상기 투수층(710)과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고, 또한 방수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방수층(750)상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일정 중량의 물건을 올려 놓더라도 한쪽으로 치우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70) 복수개를 사방이 밀착되도록 도 5와 같이 옥상 슬라브(10)상에 설치하고, 상기 옥상 슬라브(10)상에 고정설치된 방수패널(7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투수층(710)의 공극내에 위치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관상의 배기부재(50)를 상기 방수층(750)에 고정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방수패널(70)사이의 이음매에 FRP수지, PVC수지, PE수지, PU(폴 리우레탄)수지, 폴리우레아수지 등의 방수수지(770)를 쓰며들게 도포하여 이음매 방수부를 형성하여, 상기 방수패널(70)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방수패널(70)사이의 틈새를 방수처리하기 위해서, 도 4와 같이 상기 방수층(750)을 상기 투수층(710)상에 상기 방수층(750)의 측단이 상기 투수층(710)의 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상기 투수층(710)의 측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712)를 형성하여 더욱 상기 방수수지(770)의 접촉면을 확대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옥상 슬라브(10)상에 복수의 상기 방수패널(70)을 고정설치시키고, 상기 방수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방수패널(70)사이의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 이음매 방수부(77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복수의 방수패널(70) 및 상기 이음매 방수부(770)상에 도 5와 같이 우레탄수지 등을 도포하여 상도층(790)을 형성함으로서, 더욱 향상된 방수효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옥상 슬라브상에 도 6의 방수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70)은 일실시예인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70)과 달리 도 7과 같이 상기 투수층(710)과 상기 방수층(750)사이에 고무발포층(750)이 구비되고, 상기 투수층(710)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로홈(714) 및 세로홈(712)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발포층(750)이 상기 투수층(710)과 상기 방수층(750)사이에 게재됨으로서, 상기 방수층(750)상에 가해지는 충격 및 충격음이 옥상 슬라브(10)에 전달되지 않아 조용하고 아늑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무발포층(750)내의 기포에 의한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한편 상기 고무발포층(750)은 독립기포 또는 개방기포가 형성된 고무발포층(750)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단열성 뿐만 아니라 방수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하여 독립기포가 형성된 고무발포층(75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투수층(710)의 저면에는 도 5와 같이 가로홈(714)과 상기 가로홈(714)에 연통되는 세로홈(712)을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옥상 슬라브(10)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함유된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소통되도록하여 효과적으로 습기가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투수층(710)의 가로홈(714) 및 세로홈(712)에 존재하는 습기가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상기 배기부재(50)의 공기유입구가 상기 투수층(710)에 형성된 가로홈(714) 또는/및 세로홈(712)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기부재(50)를 상기 방수층(750)에 고정설치한다.
또한, 인접한 상기 방수패널(70) 사이를 효과적으로 수밀하고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층(750)의 측단을 상기 고무발포층(750)의 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수층(750)을 상기 고무발포층(750)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가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존재하는 습기가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투수층의 공극으로 유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상기 투수층의 공극에 위치한 습기가 상기 배기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에 의하여 상기 투수층 및 방수층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투수층을 폐기물인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을 사용함으로써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층과 상기 방수층사이에 고무발포층을 형성함으로서,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고 방수층에 가해지는 충격 및 충격음 등이 옥상슬라브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수층을 FRP, PVC, PE 중 선택된 1종 이상 으로 이루어진 경질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상기 방수층위를 보행하더라도 중심을 잃어 넘어질우려가 없고 또한 일정 중량 미만의 물건을 올려 놓더라도 일측으로 쳐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투수층의 저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부재의 공기유입구가 상기 투수층에 형성된 가로홈 및/또는 세로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수층에 고정설치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어 상기 투수층 등이 옥상슬라브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옥상슬라브용 방수패널이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옥상슬라브에 방수패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에 의하여 상기 방수패널일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투수층과 상기 방수층사이에 고무발포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수층의 저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배기부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어 옥상슬라브로부터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상기 방수패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수층의 측단이 상기 고무발포층의 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수층을 상기 고무발포층상에 형성함으로써, 방수수지를 이용하여 인접한 상기 방수패널사이를 효과적으로 수밀하게 고정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폐타이어칩 또는 우레탄칩으로 이루어진 투수층과;
    상기 투수층상에 형성되는 고무발포층과;
    상기 고무발포층상에 형성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수지, 폴리염화비닐(PVC)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우레탄(PU)수지, 폴리우레아수지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이루어진 경질의 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수층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로홈과 상기 가로홈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질의 방수층의 측단이 상기 고무발포층의 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질의 방수층이 상기 고무발포층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슬라브용 방수패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60035915A 2006-04-20 2006-04-20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069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15A KR100696065B1 (ko) 2006-04-20 2006-04-20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15A KR100696065B1 (ko) 2006-04-20 2006-04-20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065B1 true KR100696065B1 (ko) 2007-03-16

Family

ID=4162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915A KR100696065B1 (ko) 2006-04-20 2006-04-20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8-06-12 설준영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53438B1 (ko) * 2019-10-24 2020-09-08 (주) 소유산업개발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423A (ja) 1996-10-31 1998-05-19 Toyo Tire & Rubber Co Ltd 陸屋根の防水機構
KR20000026186A (ko) * 1998-10-19 2000-05-15 장병주, 이일쇄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단열 및 충격 완충재와, 이를 이용한지붕층의 바닥구조
JP2003003617A (ja) 2001-06-25 2003-01-08 Nippow Chemical Co Ltd 通気型複合防水、防食層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3041717A (ja) 2001-07-27 2003-02-13 Dyflex Corp 防水改修工法
KR20030025813A (ko) * 2001-09-21 2003-03-29 베르켄호프 게엠베하 스파크 침식절삭용 와이어전극
KR200345931Y1 (ko) 2003-12-10 2004-03-22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KR20060022051A (ko) * 2004-09-06 2006-03-09 이상근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20060063365A (ko) * 2004-12-07 2006-06-12 배철수 통기성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423A (ja) 1996-10-31 1998-05-19 Toyo Tire & Rubber Co Ltd 陸屋根の防水機構
KR20000026186A (ko) * 1998-10-19 2000-05-15 장병주, 이일쇄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단열 및 충격 완충재와, 이를 이용한지붕층의 바닥구조
JP2003003617A (ja) 2001-06-25 2003-01-08 Nippow Chemical Co Ltd 通気型複合防水、防食層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3041717A (ja) 2001-07-27 2003-02-13 Dyflex Corp 防水改修工法
KR20030025813A (ko) * 2001-09-21 2003-03-29 베르켄호프 게엠베하 스파크 침식절삭용 와이어전극
KR200345931Y1 (ko) 2003-12-10 2004-03-22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KR20060022051A (ko) * 2004-09-06 2006-03-09 이상근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20060063365A (ko) * 2004-12-07 2006-06-12 배철수 통기성 방수시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22051 *
200325813000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8-06-12 설준영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53438B1 (ko) * 2019-10-24 2020-09-08 (주) 소유산업개발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6078B (zh) 一种保温防水一体化建筑屋面及其施工方法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353267B1 (ko)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0929362B1 (ko)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72273B1 (ko) 탄성을 가지는 방수막 시공방법
KR101173410B1 (ko)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0636306B1 (ko) 공동주택의 바닥구조용 단열차음재, 그 제조방법 및그것이 시공된 바닥구조
KR20070010392A (ko) 방수 시공 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100519522B1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용 폴리에틸렌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시공방법
KR20220000650A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056548B1 (ko) 통기완충형 복합시트부를 포함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이의 방수시공방법
KR100800927B1 (ko) 콘크리트 슬라브의 방수층 배기장치 및 그 시공방법
Lstiburek Concrete solutions
KR101663205B1 (ko)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54781B1 (ko) 구조물의 습기 배출 유도 방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7390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기능 복합 방수 공법
KR20110037764A (ko)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